맨위로가기

오슈코시 올스타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슈코시 올스타즈는 1929년 위스콘신주를 기반으로 창단된 농구팀으로, 지역 순회 경기를 시작으로 리그에 소속되지 않고 활동했다. 이후 1937년부터 1949년까지 내셔널 농구 리그(NBL)에 참가하여 12번 중 11번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며, 1941년과 1942년 NBL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 1949년 NBL이 미국 농구 협회(BAA)와 합병하여 전미 농구 협회(NBA)가 결성되면서 팀은 해체되었다. 사우스 파크 스쿨 체육관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했으며, 르로이 에드워즈는 통산 득점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9년 설립된 스포츠 클럽 - 에드먼턴 엘크스
    에드먼턴 엘크스는 1895년 창단된 캐나다 풋볼 리그(CFL)의 프로 풋볼팀으로, 14번의 그레이 컵 우승을 기록하고 워렌 문, 기즈모 윌리엄스 등 명예의 전당 헌액 선수들을 배출했다.
  • 1949년 설립된 스포츠 클럽 - 신시내티 모호크스
    신시내티 모호크스는 1947년부터 1952년까지 신시내티 가든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했던 아이스하키 팀으로, AHL과 IHL 리그에 참가하여 IHL에서는 5년 연속 리그 1위를 달성하는 전성기를 누렸다.
  • 없어진 전미 농구 협회 팀 - 시카고 스태그스
    시카고 스태그스는 BAA 창립 멤버로서 1946년부터 1950년까지 BAA와 NBA에서 활동한 미국의 프로 농구팀으로, 1946-47 시즌 BAA 파이널에 진출했으며 앤디 필립, 맥스 자슬로프스키와 같은 주요 선수를 배출했다.
  • 없어진 전미 농구 협회 팀 - 인디애나폴리스 올림피언스
    인디애나폴리스 올림피언스는 1949년부터 1953년까지 NBA에서 활동한 프로 농구 팀으로, 1948년 런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들을 중심으로 창단되었으나 승부 조작 스캔들과 재정난으로 해체되었으며, NBA 역사상 최장 연장전 승리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내셔널 바스켓볼 리그 (미국) 팀 -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는 1946년 창단되어 미네소타를 거쳐 로스앤젤레스로 연고지를 옮긴 NBA 농구팀으로, 17번의 우승을 차지하며 NBA 최다 우승팀 중 하나이다.
  • 내셔널 바스켓볼 리그 (미국) 팀 - 애틀랜타 호크스
    애틀랜타 호크스는 1946년 창단되어 버펄로, 몰린, 밀워키, 세인트루이스를 거쳐 1968년 애틀랜타에 정착한 NBA 팀으로, 트레이 영을 중심으로 운영되며 1958년 NBA 우승과 2020-21 시즌 컨퍼런스 파이널 진출을 기록했고 스테이트팜 아레나를 홈 경기장으로 사용하며 밥 페티트, 도미니크 윌킨스, 디켐베 무톰보 등 명예의 전당 헌액자를 배출했다.
오슈코시 올스타즈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별칭없음
창단1929년
해체1949년
역사오슈코시 올스타즈 (1937년-1949년)
연고지위스콘신주 오슈코시
경기장
홈 경기장사우스 파크 스쿨 체육관 (2,000석)
리그 정보
리그NBL (1937년~1949년)
컨퍼런스없음
디비전서부 디비전 (1937년~1949년)
팀 정보
색상검정, 하양
구단주론 달링
회장없음
단장없음
감독없음
제휴없음
스폰서없음
우승 기록
리그 우승NBL : 2 (1941, 1942)
기타 우승1 월드 프로페셔널 농구 토너먼트
컨퍼런스 우승없음
디비전 우승없음
유니폼
홈 유니폼없음
원정 유니폼없음
기타 정보
웹사이트없음

2. 역사

오슈코시 올스타즈는 위스콘신 주를 기반으로 한 지역 순회 경기 팀으로 시작했다. 초창기에는 특정 리그에 소속되지 않고 활동했으나, 1937년 뉴욕 르네상스와의 비공식 "월드 시리즈"에서 승리하며 세계 챔피언으로 인정받았고, 이를 계기로 NBL의 창립 멤버로 합류하게 되었다.[3]

1937년부터 1949년까지 12년간 NBL에서 활동하며 리그의 강팀으로 자리매김했다. 이 기간 동안 총 11번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며, 특히 1938년부터 1942년까지 5년 연속 NBL 챔피언십 결승에 오르는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이 중 1941년과 1942년에는 NBL 챔피언십에서 우승을 차지했다.[4] 또한 1942년에는 세계 프로 농구 토너먼트에서도 우승하며 명성을 높였다.[5] 팀의 주요 선수로는 NBL 최우수 선수상을 3회 연속 수상한 르로이 에드워즈와 진 잉글런드 등이 있었다.

1949년, NBL이 미국 농구 협회(BAA)와 합병하여 전미 농구 협회(NBA)를 결성할 당시, 오슈코시 올스타즈는 여러 사정으로 인해 NBA에 합류하지 못했다. 결국 팀 운영자였던 로니 달링이 1951년 사망하면서 팀은 해체되었다.[7]

시즌승률순위플레이오프
1948-49*3727.5871NBL 챔피언십 패배
1947-48*2931.4833서부 디비전 첫 라운드 패배
1946-47*2816.6361동부 디비전 준결승 패배
1945-46*1915.5592서부 디비전 준결승 패배
1944-451218.4003
1943-44*715.3183NBL 준결승 패배
1942-43*1112.4783NBL 준결승 패배
1941-42*204.8331NBL 챔피언십 우승
1940-41*186.7501NBL 챔피언십 우승
1939-40*1513.5361NBL 챔피언십 패배
1938-39*1711.6071NBL 챔피언십 패배
1937-38*122.8571NBL 챔피언십 패배


  • 는 플레이오프 진출을 의미한다[8]

2. 1. 창단 배경 및 초기 활동 (1929년~1937년)

오슈코시 올스타즈는 위스콘신 주를 기반으로 한 지역 순회 경기 팀으로 시작했으며, 다른 지역 팀들과 느슨하게 경기를 펼쳤다. 특정 리그에 소속되지는 않았다.

''오슈코시 데일리 노스웨스턴''의 스포츠 편집자였던 아서 헤이우드는 오슈코시에 겨울 동안 사람들의 관심을 끌 만한 프로 농구팀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헤이우드는 이 아이디어를 종자 유통업자이자 G. H. Hunkel Co.의 판매원이었던 로니 달링에게 제안했다. 달링은 평생 농구 경기를 해본 적이 없었지만, 팀 구성을 맡아 30명의 재능 있는 지역 선수들을 모아 테스트를 진행했다.[2]

초기 팀에는 고정된 선수 명단이 없었으며, 선수들은 경기마다 소속을 바꿀 수도 있었다. 선수들은 경기당 15USD에서 25USD를 벌었고, 거의 매일 경기에 나섰다. 올스타즈는 리크리에이션 체육관에서 경기를 열었으며, 보통 800명에서 1,200명의 관중이 모였다.[2]

당시 농구 규칙은 오늘날과 많이 달라 고득점 경기가 나오기 어려웠다. 득점이 나올 때마다 공은 코트 중앙으로 돌아가 센터 점프를 해야 했고, 경기 시간은 멈추지 않고 계속 흘러갔다. 팬들은 격렬한 경기를 원했고, 심판들도 선수들의 거친 몸싸움을 크게 제지하지 않았다. 팬들의 참여도 매우 직접적이어서, 판정에 불만이 있거나 상대 팀 선수가 거친 플레이를 하면 팬들이 무리를 지어 코트로 뛰어들기도 했다. 또한, 당시에는 지정된 슈터가 있어 모든 자유투를 한 선수가 전담해서 던졌다.[2]

2. 2. NBL 시절 (1937년~1949년)

오슈코시 올스타즈는 1936년 2월, 백인 선수들로만 구성된 팀으로 흑인 선수들로 구성된 뉴욕 르네상스 빅 파이브(Rens)와 처음으로 2차전 경기를 치렀다. 이 경기는 큰 관심을 끌었고, 팀 매니저 달링은 1937년에 5차전 경기로 렌스와 다시 맞붙기로 결정했다. 경기는 위스콘신주의 오슈코시, 레이신, 그린베이, 리폰, 매디슨에서 열렸다. 달링은 이 시리즈의 승자를 세계 농구 챔피언으로 인정하겠다고 선언했다.

올스타즈는 3승 2패로 시리즈에서 패배했지만, 렌스의 구단주 로버트 더글러스는 "월드 시리즈"를 7차전으로 연장하기 위해 두 경기를 더 치르는 데 동의했다. 만약 올스타즈가 이 두 경기를 모두 이기면, 4승 3패로 세계 농구 챔피언이 되는 것이었다. 올스타즈는 렌스를 상대로 두 경기 모두 승리하여 세계 챔피언으로 인정받았다. 이듬해 NBL은 오슈코시를 창립 멤버로 받아들였다.[3]

오슈코시 올스타즈는 1937년부터 1949년까지 12년 동안 NBL에 참가했다. 이 기간 동안 올스타즈는 12시즌 중 11번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며, 1938년부터 1942년까지 5년 연속 NBL 챔피언십 결승에 올랐다. 그중 1941년과 1942년에는 NBL 챔피언십에서 우승을 차지했다.[4] 또한 올스타즈는 1942년 세계 프로 농구 토너먼트에서도 우승했는데, 결승전에서 디트로이트 이글스를 꺾었다.[5]

2. 2. 1. 주요 선수

르로이 에드워즈는 통산 3,221점을 기록하여 팀 내 최다 득점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NBL에서 3시즌 연속(1937–1939) 최우수 선수상을 받았다. 진 잉글런드는 통산 2,600점으로 그 뒤를 이었으며, 1949-1950 시즌을 전미 농구 협회(NBA)에서 뛰고 은퇴했다.

2. 3. 해체 (1949년)

1940년대 후반, 몇 시즌 동안 성적이 부진했음에도 올스타즈는 여전히 승리하는 팀이었고, 오슈코시는 "농구 도시"로 널리 알려져 있었다.[6]

1949년, 당시 리그였던 내셔널 바스켓볼 리그 (NBL)는 미국 농구 협회 (BAA)와 합병하여 전미 농구 협회 (NBA)를 결성했다. 구단 운영자였던 달링은 팀 연고지를 그린베이밀워키로 이전하는 것을 제안했지만, 리그 참가 신청 마감일을 지키지 못했다는 통보를 받았다. 결국 팀은 NBA에 합류하지 못했다. 이후 1951년 4월 19일, 달링이 심부전으로 사망하면서 팀은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7]

팀의 주요 선수였던 르로이 에드워즈는 통산 3,221점을 기록했으며, 진 잉글런드가 2,600점으로 그 뒤를 이었다. 에드워즈는 NBL에서 3시즌 연속(1937년–1939년) 최우수 선수(MVP)로 선정되기도 했다. 잉글런드는 팀 해체 후 1949-1950 시즌을 NBA에서 뛰고 은퇴했다.

3. 역대 홈경기장

(내용 없음)

3. 1. 사우스 파크 스쿨 체육관 (1937년~1949년)

사우스 파크 스쿨 체육관은 1937년부터 1949년까지 오슈코시 올스타즈의 홈 경기장으로 사용되었다. 위스콘신주 오슈코시에 위치했으며, 수용 인원은 2,000명이다.

4. 역대 시즌 기록

wikitext

시즌승률순위플레이오프
1937-38*122.8571NBL 챔피언십 패배
1938-39*1711.6071NBL 챔피언십 패배
1939-40*1513.5361NBL 챔피언십 패배
1940-41*186.7501NBL 챔피언십 우승
1941-42*204.8331NBL 챔피언십 우승
1942-43*1112.4783NBL 준결승 패배
1943-44*715.3183NBL 준결승 패배
1944-451218.4003
1945-46*1915.5592서부 디비전 준결승 패배
1946-47*2816.6361동부 디비전 준결승 패배
1947-48*2931.4833서부 디비전 첫 라운드 패배
1948-49*3727.5871NBL 챔피언십 패배



'''*'''는 플레이오프 진출을 의미한다[8]

참조

[1] 뉴스 Oshkosh Pros Real City Team https://www.newspape[...] 1942-03-14
[2] 간행물 The Oshkosh Allstars The Oshkosh Daily Northwestern 1979-01
[3] 웹사이트 Early Racial Inclusion Puts Wisconsin On Pro Basketball Map {{!}} The Black Fives Foundation http://www.blackfive[...] 2016-03-17
[4] 서적 The Official NBA Encyclopedia New York: Doubleday 2000
[5] 뉴스 Oshkosh beats Detroit, 43-41, for pro title Chicago Daily Tribune 1942-03-12
[6] 웹사이트 1929-30 Oshkosh All-Stars http://oshkosh.pastp[...] 2016-03-17
[7] 웹사이트 Remembering the Oshkosh All-Stars https://advancetitan[...] 2022-05-04
[8] 웹사이트 Oshkosh All-Stars {{!}} Basketball-Reference.com https://www.basketba[...] 2016-03-17
[9] 문서 시즌의 뒷 해로 표기. 2006-07 시즌의 경우 2007로 표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