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시팔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시팔교(五時八敎)는 중국 천태종의 개조인 지자대사가 고타마 붓다의 설법을 시간적, 내용적, 방법적으로 분류한 것이다. 시간적 분류인 오시(五時)는 화엄시, 녹원시, 방등시, 반야시, 법화열반시로 나뉘며, 가르침을 전달하는 형식과 내용에 따른 분류인 팔교(八敎)는 화의사교와 화법사교로 구성된다. 화의사교는 돈교, 점교, 비밀교, 부정교로, 화법사교는 삼장교, 통교, 별교, 원교로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불교 - 양귀비 (당나라)
    양귀비는 당 현종의 황귀비로서 뛰어난 미모와 재능으로 총애를 받았으나, 친족의 권력 남용과 안사의 난으로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 중국 4대 미인 중 한 명이며, 그녀의 삶은 많은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 중국의 불교 - 법명
    법명은 불교 신자가 받는 불교적 이름으로, 불교적 가르침을 따르는 삶을 상징하며, 출가, 수계 의식, 장례 의식 등 특별한 의식을 통해 받는다.
  • 불교 사상 - 아라한
    아라한은 불교에서 깨달음을 얻어 존경받는 성자를 뜻하는 말로, 부파불교 이후 부처와 구분되어 제자들이 도달할 수 있는 최고의 경지로 여겨지며, 대승불교에서 그 개인적 해탈 추구가 폄하되기도 하지만 숭배의 대상이 되기도 하는 등 불교 전통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불교 사상 - 사향사과
    사향사과는 초기 불교 경전에서 영적 성취 수준에 따라 불교 수행자를 수다원, 일래자, 불환자, 아라한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는 용어이며, 수행과 결과에 따라 8가지 종류로 세분화된다.
오시팔교

2. 오시 (五時)

지의는 고타마 붓다의 모든 가르침을 시간 순서에 따라 화엄시, 녹원시, 방등시, 반야시, 법화열반시의 5가지 시기, 즉 오시(五時)로 나누었다.[1]

2. 1. 화엄시 (華嚴時)

지의는 고타마 붓다의 모든 설법을 시간 순서에 따라 5시(五時)로 나누었는데, 그중 첫 번째가 화엄시이다.[1] 화엄시는 고타마 붓다가 깨달음을 얻은 직후, 그 깨달음의 내용을 바로 설법한 시기이다.

2. 2. 녹원시 (鹿苑時)

지의는 고타마 붓다의 모든 설법을 시간적인 순서에 따라 5시(五時)로 나누었는데, 그 중 하나가 녹원시이다.[1] 녹원시는 깨달음의 내용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도를 낮추어 《아함경(阿含經)》, 즉 소승을 설법한 시기이다.

2. 3. 방등시 (方等時)

지의는 고타마 붓다의 모든 설법을 시간 순서에 따라 5시(五時)로 나누었는데, 방등시(方等時)는 그 중 하나로 소승 불교에서 벗어나 대승 불교로 나아가도록 이끄는 설법을 한 시기이다.[1]

2. 4. 반야시 (般若時)

지의는 고타마 붓다의 모든 설법을 시간 순서에 따라 5시(五時)로 나누었는데, 반야시(般若時)는 그중 하나이다.[1] 반야시는 대승과 소승을 별개의 것으로 보는 편협한 생각을 버리도록 가르친 시기이다.

2. 5. 법화열반시 (法華涅槃時)

지의는 고타마 붓다가 설법한 내용을 시간 순서에 따라 5시(五時)로 나누었는데, 법화열반시는 그중 마지막 다섯 번째 시기이다.[1] 이 시기에는 가장 완전하고 진실된 가르침을 설법했다고 한다.

3. 팔교 (八敎)

지의는 부처의 가르침을 내용과 형식에 따라 여덟 가지로 분류했는데, 이를 팔교(八敎)라고 한다. 팔교는 크게 가르침을 전달하는 형식과 방법에 따른 분류인 화의사교(化儀四敎)와 가르침의 내용에 따른 분류인 화법사교(化法四敎)로 나뉜다.

화의사교에는 돈교(頓敎) (부처의 깨달음을 곧장 설하는 가르침[1]), 점교(漸敎) (얕은 곳에서 깊은 곳으로 점차 나아가도록 이끄는 가르침[1]), 비밀교(秘密敎) (특정한 사람에게만 알리는 가르침[1]), 부정교(不定敎) (듣는 사람에 따라 다르게 이해되는 가르침[1])가 있다.

화법사교에는 삼장교(소승 불교) (소승의 가르침[1]), 통교(通敎) (3승에 통하는 대승 가르침[1]), 별교(別敎) (보살만을 위한 차별적인 가르침[1]), 원교(圓敎) (원만하고 조화로운 가르침[1])가 있다.

3. 1. 화의사교 (化儀四敎)

지의는 가르침을 전달하는 형식과 방법에 따라 넷으로 나누어 화의사교(化儀四敎)라고 불렀다.[1] 화의사교에는 돈교(頓敎), 점교(漸敎), 비밀교(秘密敎), 부정교(不定敎)가 있다.

3. 1. 1. 돈교 (頓敎)

부처의 깨달음을 곧장 설하는 가르침 방법이다.[1]

3. 1. 2. 점교 (漸敎)

지의는 가르치고 인도하는 형식 및 방법상으로 4교(四敎)로 나누었는데, 이를 '''화의사교'''(化儀四敎: 교화를 시키는 네 가지 방법)라고 하였다. 점교(漸敎)는 이 중 하나로, 얕은 곳에서 깊은 곳으로 점차 나아가도록 이끄는 가르침이다.[1]

3. 1. 3. 비밀교 (秘密敎)

지의가 가르치고 인도하는 형식 및 방법상으로 제시한 네 가지 가르침인 화의사교(化儀四敎) 중 하나이다. 비밀교는 모두에게 알리지 않고 특정한 사람에게 그 사람에게 적절한 가르침을 베푸는 방법이다.[1]

3. 1. 4. 부정교 (不定敎)

모든 사람에게 공개하지만, 듣는 사람의 능력에 따라 다르게 이해되는 가르침이다.[1]

3. 2. 화법사교 (化法四敎)

지의는 가르침의 내용에 따라 4교(四敎)로 나누었으며, 이를 '''화법사교'''(化法四敎)라고 불렀다.[1] 화법사교에는 삼장교(소승 불교), 통교(3승에 통하는 대승 가르침), 별교(보살만을 가르침의 대상으로 하며 모든 것을 차별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는 가르침), 원교(부처의 깨달음 그대로 모든 것을 원만하고 조화롭게 바라보는 가르침)가 있다.

3. 2. 1. 삼장교 (三藏敎)

지의는 가르침의 내용에 따라 4교(四敎)로 나누어 이것을 '''화법사교'''(化法四敎: 네 가지 가르침)라고 하였다.[1] 소승 불교(小乘敎: 소승의 가르침)를 뜻하며, 줄여서 장교(藏敎)라고도 한다.

3. 2. 2. 통교 (通敎)

성문, 연각, 보살의 3승(三乘)에 모두 통하는 대승(大乘) 가르침이다.[1]

3. 2. 3. 별교 (別敎)

지의는 가르침의 내용에 따라 4교(四敎), 즉 '''화법사교'''(化法四敎: 네 가지 가르침)로 나누었다.[1]

별교(別敎)는 성문, 연각(聲聞緣覺)과 달리 보살만을 가르침의 대상으로 하며, 모든 것을 차별적인 관점에서 바라본다.[1]

3. 2. 4. 원교 (圓敎)

부처의 깨달음 그대로 모든 것을 원만하고 조화롭게 바라보는 가르침이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