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우치 히로유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우치 히로유키는 스오 오우치씨의 당주로, 1320년 아버지의 사망으로 가독을 이었다. 1332년 겐코의 난에 참전하여 공을 세웠으나, 겐무 정권에서 소외되고 숙부 와시즈 나가히로가 스오 슈고직에 임명되었다. 이후 아시카가 다카우지를 지지하며 무가 편에 섰으나, 숙부 와시즈 나가히로와 대립했다. 1350년 아들 히로요와 함께 와시즈 나가히로 정벌에 나섰고, 아들이 남조에 귀순하여 스오 슈고다이에 임명되었으나, 히로유키는 정벌에 성공하지 못하고 1352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난보쿠초 시대의 무장 - 호소카와 요리유키
    호소카와 요리유키는 무로마치 막부 시대의 무장이자 정치가로, 아시카가 요시미츠 쇼군 시대에 관령으로서 막부를 통치하며 시코쿠 평정에 공헌하고 행정 개혁을 추진했으나, 가네요키의 정변으로 실각 후 복귀했으나 메이토쿠의 난 이후 병사했다.
  • 난보쿠초 시대의 무장 - 오우치 요시히로
    오우치 요시히로는 규슈, 야마구치 등을 지배한 유력 다이묘로, 남조 세력 격퇴에 기여하여 세력을 확장했으나, 쇼군 아시카가 요시미쓰와의 갈등으로 반란을 일으킨 후 사망했다.
  • 1352년 사망 - 알베르토 2세 델라 스칼라
    알베르토 2세 델라 스칼라는 마스티노 2세 델라 스칼라의 아들로, 1352년부터 칸그란데 2세와 공동 통치하다 칸시뇨리오 델라 스칼라와 함께 베로나를 통치했으며, 밀라노의 비스콘티 가문과 분쟁을 겪었다.
  • 1352년 사망 - 바실 칼리카
    바실리 칼리카는 14세기 노브고로드 대주교로서 정치적 역량과 종교적 지도력을 발휘하며 노브고로드 크렘린 석벽 건설, 성 소피아 대성당 개조 등의 건축 사업을 추진하고 스웨덴과의 평화 조약 협상에 관여했으며, 흑사병 창궐 당시 프스코프를 방문 후 병사하여 러시아 정교회 성인으로 추앙받는다.
  • 스오국 사람 - 고다마 겐타로
    고다마 겐타로는 일본 제국의 육군 군인이자 정치가로서, 만주군 총참모장으로 러일 전쟁 승리에 기여하고 대만 총독으로서 식민 통치를 펼치며 한일 병합 조약 체결에 관여하는 등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모두 남겼다.
  • 스오국 사람 - 오우치 요시히로
    오우치 요시히로는 규슈, 야마구치 등을 지배한 유력 다이묘로, 남조 세력 격퇴에 기여하여 세력을 확장했으나, 쇼군 아시카가 요시미쓰와의 갈등으로 반란을 일으킨 후 사망했다.
오우치 히로유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씨명다타라 성 오우치 씨(大内氏)
아명쇼메이마루(長命丸)
별명오우치노스케(大内介)
계명에이코지 칸겐(永興寺寒厳)
묘겐(妙厳)
칸겐묘겐(寒厳妙厳)
에이코지덴 혼슈베츠가 칸겐묘겐 다이젠몬(永興寺殿本州別駕寒厳妙厳大禅門)
묘소야마구치현 야마구치시 엔쇼지(円政寺)의 에이후쿠지(永福寺)
시대가마쿠라 시대(鎌倉時代) 말기 - 난보쿠초 시대
출생생년 미상
사망쇼헤이 7년/간노 3년 3월 6일(1352년 4월 20일)
관직
관위정6위
직책스오노곤노스케(周防権介)
슈리다이후(修理大夫)
가문
씨족다타라 씨(多々良氏)
아버지오우치 시게히로(大内重弘)
형제자매히로유키
히로타다(弘直)
모로타다(師直)
자녀히로요(弘世)
모로히로(師弘)
모로카타(師賢)
정치/군사 경력
주군모리쿠니 친왕(守邦親王)
고다이고 천황(後醍醐天皇)
다카우지(足利尊氏)
고무라카미 천황(後村上天皇)
막부가마쿠라 막부
무로마치 막부

2. 생애

무로마치 막부 성립 이후, 와시즈 나가히로 역시 아시카가 다카우지에게 접근하여 무가 편에 섰고, 스오 슈고직을 그대로 유지했다. 와시즈 가문과 오우치 가문의 대립은 계속되었고, 1341년 윤4월 15일에는 나가히로 측의 방화로[16] 오우치 가문의 우지데라(氏寺)였던 히카미 산 고류지(興隆寺)가 불타는 등, 갈등이 더욱 심화되었다.

1350년, 히로유키는 아들 히로요와 함께 나가히로 토벌에 나섰고, 도다이지 소유의 요시키 군 사와노 장원에 난입하여 남조에 귀순할 의사를 밝혔다. 이듬해 7월, 히로유키는 남조에 귀순하였고, 아들 히로요는 남조로부터 스오 슈고다이에 임명되었다.

나가히로 토벌에 성공하지 못한 채, 1352년 4월 20일(쇼헤이 7년/간노 3년 3월 6일), 오우치 히로유키는 사망하였다.[12][17][18][19][20][21]

2. 1. 가독 상속과 겐코의 난 (1320년 ~ 1333년)

겐오 2년(1320년) 아버지의 죽음으로 가독을 이어받았다.

겐코(元弘) 원년(1332년) 겐코의 난(元弘の乱)에서 호조 다카토키(北条高時)의 명을 가지고 고도 다케자네(厚東武実), 구마가이 나오쓰네(熊谷直経) 등 사이고쿠(西国) 세력들과 함께 상경하였다.[14]

겐코 3년/쇼쿄(正慶) 2년(1333년) 2월 이후 시코쿠(四国)에서 반(反)막부 세력이 봉기하고, 나가토 단다이(長門探題) 호조 도키타다(北条時直)와 행동을 함께 하였으며, 난의 진압에 공헌하였다. 이 일로 히로유키는 겐무 정권(建武政権)에서 소외되었고 숙부인 와시즈 나가히로(鷲頭長弘)가 스오 슈고직에 임명되었다. 스오 슈고가 된 나가히로는 오우치 부젠노곤노카미(大内豊前権守)나 '''오우치 부젠노곤노카미 뉴도'''(大内豊前権守入道)를 칭하며 오우치씨의 소료(惣領)로써 군림하였다.

겐무(建武) 2년(1335년) 12월에 히로유키는 아시카가 다카우지와 접선하고 무가의 편에 서게 된다. 엔겐(延元) 원년(1336년) 2월 와시즈 나가히로의 스오 슈고다이 직을 임명한다는 명령이 조정에서 나오게 되었다.[15] 그러나 동생인 하타노 히로타다(波野弘直)는 고다이고 천황측에 가담하였다. 간토로 출정한 닛타 요시사다(新田義貞)의 지휘 아래 들어 가, 무가측과 싸웠다. 히로타다는 훗날 귀국하였으나 다카우지의 규슈 낙향 무렵에 병사를 일으켜 고코쿠(興国) 2년/랴쿠오(暦応) 4년(1336년) 7월 7일 이와미국 마스다에서 싸우다 죽었다.

2. 2. 겐무 신정과 소외 (1333년 ~ 1335년)

겐오 2년(1320년) 아버지의 죽음으로 가독을 이어받았다.

겐코(元弘) 원년(1332년) 겐코의 난(元弘の乱)에서 호조 다카토키(北条高時)의 명을 받아 고도 다케자네(厚東武実), 구마가이 나오쓰네(熊谷直経) 등 사이고쿠(西国) 세력들과 함께 상경하였다.[14]

겐코 3년/쇼쿄(正慶) 2년(1333년) 2월 이후 시코쿠(四国)에서 반(反)막부 세력이 봉기하자, 나가토 단다이(長門探題) 호조 도키타다(北条時直)와 행동을 함께하며 난의 진압에 공헌하였다. 이 일로 히로유키는 겐무 정권(建武政権)에서 소외되었고, 숙부인 와시즈 나가히로(鷲頭長弘)가 스오 슈고직에 임명되었다. 스오 슈고가 된 나가히로는 오우치 부젠노곤노카미(大内豊前権守)나 '''오우치 부젠노곤노카미 뉴도'''(大内豊前権守入道)를 칭하며 오우치씨의 소료(惣領)로서 군림하였다.

겐무(建武) 2년(1335년) 12월, 히로유키는 아시카가 다카우지와 접선하고 무가의 편에 섰다.

2. 3. 아시카가 다카우지 지지와 무가 편 합류 (1335년 ~ 1336년)

1335년 12월, 히로유키는 아시카가 다카우지와 친분을 맺고 무가 편에 섰다.[15] 1336년 2월, 조정에서 와시즈 나가히로를 스오 슈고다이 직에 임명하는 명령이 내려왔다.[15] 그러나 히로유키의 동생인 하타노 히로타다(波野弘直)는 고다이고 천황 편에 가담하여, 간토로 출진한 닛타 요시사다의 지휘 아래 들어가 무가 측과 싸웠다. 히로타다는 훗날 귀국하였으나 다카우지의 규슈 낙향 무렵에 병사를 일으켜 1336년 7월 7일 이와미국 마스다에서 싸우다 죽었다.[15]

2. 4. 와시즈 가문과의 대립과 남조 귀순 (1341년 ~ 1352년)

겐코(元弘) 3년/쇼쿄(正慶) 2년(1333년) 2월 이후 시코쿠(四国)에서 반(反)막부 세력이 봉기하자, 나가토 단다이(長門探題) 호조 도키타다(北条時直)와 행동을 함께 하였으며, 난의 진압에 공헌하였다. 이 일로 히로유키는 겐무 정권(建武政権)에서 소외되었고 숙부인 와시즈 나가히로(鷲頭長弘)가 스오 슈고직에 임명되었다. 스오 슈고가 된 나가히로는 오우치 부젠노곤노카미(大内豊前権守)나 '''오우치 부젠노곤노카미 뉴도'''(大内豊前権守入道)를 칭하며 오우치씨의 소료(惣領)로써 군림하였다.[14]

겐무(建武) 2년(1335년 12월)에 히로유키는 아시카가 다카우지와 접선하고 무가의 편에 서게 된다. 엔겐(延元) 원년(1336년) 2월, 조정에서 와시즈 나가히로를 스오 슈고다이로 임명하는 명령이 내려왔다.[15] 그러나 히로유키의 동생인 하타노 히로타다(波野弘直)는 고다이고 천황측에 가담하여 간토로 출정한 닛타 요시사다(新田義貞)의 지휘 아래에서 무가측과 싸웠다. 히로타다는 훗날 귀국하였으나 다카우지의 규슈 낙향 무렵에 병사를 일으켜 고코쿠(興国) 2년/랴쿠오(暦応) 4년(1341년) 7월 7일 이와미국 마스다에서 전사했다.

무로마치 막부 성립 후 나가히로도 다카우지 편에 서서 스오 슈고직을 유지했다. 와시즈씨와 오우치씨의 대립이 지속되던 중 랴쿠오 4년(1341년) 4월 15일 나가히로측의 방화로[16] 오우치의 우지데라(氏寺)였던 히카미산 흥륭사(氷上山興隆寺)가 소실되면서 대립은 더욱 심각해졌다. 쇼헤이 5년/간노(観応) 원년(1350년) 히로유키는 아들 히로요(弘世)와 함께 나가히로 토벌에 나섰으며, 도다이지 소유의 요시키군(吉敷郡) 후시노장(椹野庄)에 난입해 남조에 귀순할 의사를 표명했다. 이듬해 7월, 히로유키는 남조에 귀순했고 아들 히로요가 남조로부터 스오 슈고다이로 임명되었다.

2. 5. 사망 (1352년)

쇼헤이 7년/간노 3년 3월 6일(1352년 4월 20일)에 오우치 히로유키는 나가히로 토벌을 이루지 못한 채 사망하였다.[12][17][18][19][20][21]

참조

[1] 서적 仁平寺本堂供養日記
[2] 서적 大内系図
[3] 서적 太平記 巻六「関東大勢上洛事」
[4] 서적 梅松論
[5] 서적 長防風土記
[6] 서적 大内家壁書
[7] 서적 系図纂要
[8] 서적 常陸牛久山口家譜
[9] 서적 氷上興隆寺本堂供養日記
[10] 간행물 御薗生翁甫 1980
[11] 서적 仁平寺本堂供養日記
[12] 서적 大内系図、妙厳
[13] 서적 仁平寺本堂供養日記
[14] 서적 太平記 巻六「関東大勢上洛事
[15] 서적 梅松論
[16] 서적 長防風土記
[17] 서적 大内家壁書
[18] 서적 仁平寺本堂供養日記
[19] 서적 系図纂要
[20] 서적 常陸牛久山口家譜
[21] 서적 氷上興隆寺本堂供養日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