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정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정숙은 전라북도 완주군 출신의 판소리 명창으로, 동초 김연수에게 동초제 판소리 다섯 바탕을 모두 전수받아 계승자로 인정받았다. 1972년 춘향가 완창을 시작으로 여성 명창 최초로 판소리 다섯 마당을 모두 완창했으며, 국립창극단에서 활동하며 춘향전 월매역으로 명성을 얻었다. 1991년 국가무형문화재 제5호 동초제 춘향가 예능보유자로 지정되었으며, 2008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판소리 명창 - 공옥진
공옥진은 1931년 출생하여 판소리와 춤을 결합한 1인 창무극을 개척하고, 전라남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80세에 사망했다. - 판소리 명창 - 김소희 (국악인)
김소희는 심청가를 통해 판소리에 입문하여 송만갑에게 사사하고 남원 천향제에서 수상하며 재능을 인정받은 후 이화정선과 함께 활동, 중요무형문화재 지정 후 국악원을 설립하고 대학에서 한국음악 강사로 활동하며 국악 전파 및 한국 문화예술 발전에 기여한 대한민국의 중요무형문화재 판소리 명창이다. - 완주군 출신 - 심재권
심재권은 제16, 19, 20대 국회의원을 역임하고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위원장 등을 지냈으며, 위안부 문제와 독도 문제에 대한 입장을 표명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완주군 출신 - 전진기
전진기는 1987년 연극 배우로 데뷔하여 드라마, 영화, 뮤지컬, 라디오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는 배우로, 전북대학교 금속공학과 졸업 후 중앙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인천전문대학과 백제예술대학교에서 강사 및 전임교수를 역임했다. - 대한민국의 배우 - 김동훈 (배우)
김동훈은 서울 출신으로 경기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미학과를 졸업하고 '실험극장' 창립 멤버로 활동하며 배우로서 주목받았으며, 연극 「아들을 위하여」, 「포기와 베스」, 「다리에서의 조망」, 「안도라」, 「무익조」, 「세일즈맨의 죽음」, 「롤러스케이트를 타는 오뚝이」, 「심판」, 「에쿠우스」, 「햄릿」, 「피가로의 결혼」 등에 출연하고 「오셀로」와 「피가로의 결혼」 등을 연출한 다재다능한 배우이자 연출가이다. - 대한민국의 배우 - 정규수 (배우)
정규수는 1979년 연극으로 데뷔하여 연극, 영화, 드라마에서 활동하며 연기력을 인정받은 대한민국 배우로, 특히 1대 '품바' 멤버로 활동하며 인기를 얻었고, 다수의 작품에 출연하여 연기상을 수상하며 폭넓은 연기 스펙트럼을 선보였다.
오정숙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어 이름 | 吳貞淑 |
한글 이름 | 오정숙 |
한자 이름 | 吳貞淑 |
개인 정보 | |
직업 | 국악인 |
활동 시기 | 미상 |
2. 생애
오정숙은 전라북도 완주군에서 태어나 어릴 때부터 판소리에 재능을 보였다. 김연수에게 동초제 판소리 다섯 바탕을 모두 전수받아 동초제의 계승자로 인정받았다. 1972년 여성 명창 최초로 판소리 다섯 마당 완창 발표회를 개최하였고, 1977년 국립창극단에 입단하여 주요 배역과 도창, 작창을 맡았다. 1991년 국가무형문화재 제5호 동초제 춘향가 예능보유자로 지정되었다. 창극, 판소리, 대학 강단 등에서 활동하며 동초제를 전국적으로 알리는 데 기여했다. 2005년 이후 후진 양성에 힘쓰다 2008년 7월 7일 지병으로 사망했다.
2. 1. 어린 시절 및 판소리 입문
전라북도 완주군에서 태어났다. 어릴 때부터 뛰어난 목구성과 타고난 재질을 발휘하여 극단에 참여하였다. 이웃에게서 판소리의 기초를 배웠으며, 조상 중 한 명은 판소리 명창 오삼룡이었다. 14세부터 18세까지 '월리 국악' 그룹의 멤버였다. 21세에 판소리 습득과 공연에 전념했으며, 23세에 서울로 이주하여 김소희에게서 ''춘향가''의 특수한 부분을 배웠다. 1948년 부친과 함께 국극협단에 입단하였고, 1956년 명창 동초(東超) 김연수를 사사하여 10년 동안 동초제 춘향가‧흥보가‧수궁가‧심청가‧적벽가 등 판소리 다섯 마당을 이수하였다. 1962년부터 김연수에게 판소리 춘향가, 흥보가, 수궁가, 적벽가, 심청가를 배우기 시작했다.2. 2. 김연수 사사 및 동초제 계승
어릴 때부터 뛰어난 목구성과 타고난 재질을 발휘하여 극단에 참여하였으며, 현행 판소리계에 양대 유파라고 할 수 있는 동초제의 창시자인 동초 김연수 선생에게 동초제 다섯바탕을 모두 전수받아 명실상부 동초 김연수의 계승자로 인정을 받았다. 1956년 명창 동초(東超) 김연수를 사사하여 10년 동안 춘향가‧흥보가‧수궁가‧심청가‧적벽가 등 판소리 다섯 마당을 이수하였다. 1972년에 판소리 춘향가를 완창한 이후 해마다 흥보가, 심청가, 수궁가, 적벽가 순으로 완창 발표회를 개최하였고 이는 판소리 역사상 여성 명창 최초로 판소리 다섯 마당을 모두 완창한 기록으로 남아있다. 1991년에는 스승의 뒤를 이어 국가무형문화재 제5호 동초제 춘향가 예능보유자로 지정되었다.2. 3. 완창 발표 및 국립창극단 활동
1972년에 판소리 춘향가를 완창한 이후 해마다 흥보가, 심청가, 수궁가, 적벽가 순으로 완창 발표회를 개최하였고 이는 판소리 역사상 여성 명창 최초로 판소리 다섯 마당을 모두 완창한 기록으로 남아있다. 1977년에 국립창극단에 입단하여 뛰어난 연기력과 작창 실력으로 주요 배역과 도창, 작창을 맡았으며, 1991년에는 스승의 뒤를 이어 국가무형문화재 제5호 동초제 춘향가 예능보유자로 지정되었고, 90년대 중반부터는 국립창극단 지도위원으로서 많은 작품에서 작창과 도창으로 극단을 지도했다. 특히 오정숙의 춘향전 월매역은 교과서로 불릴 정도로 인정을 받았고 인기를 얻었다.2. 4. 교육 활동 및 말년
오정숙은 창극 무대, 판소리 무대, 대학 강단 등 수많은 활동을 통해 제자를 양성하여, 실질적으로 동초제를 전국적인 소리제로 올려놓았다. 2005년 국립창극단 원로단원을 끝으로 국립창극단을 퇴직하였고, 동시에 서울대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 한양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등 대학 출강도 모두 그만두었다. 이후 전북 완주군 운주면 산북리에 스승의 호를 딴 동초각(전수관)을 지어 후진 양성에 힘을 쏟았다.오정숙은 한 시대를 대표하는 여성 명창으로서 소리, 발림, 도습, 연기의 표현 동작이 혼연일체 된 완숙한 기량은 단연 여성 창악계의 패권자로 인정받고 있다.
2008년 7월 7일 지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2. 5. 사망
지병으로 2008년 7월 7일 세상을 떠났다.3. 주요 활동 및 업적
오정숙은 1950년부터 1963년까지 김연수에게서 판소리 다섯 마당(춘향가, 흥보가, 수궁가, 적벽가, 심청가)을 배웠다. 1967년 중요무형문화재 동초제 ''춘향가'' 기능 보유자 장학생으로 선정되었고, 1972년부터 1976년까지 ''춘향가'', ''흥보가'', ''수궁가'', ''심청가'', ''적벽가''를 차례로 완창했다. 1977년 국립창극단에 입단하였으며, 1984년부터 중앙대학교, 추계예술대학교, 한양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서울대학교 등에서 강사로 활동했다. 1991년 인간문화재로 지정되었고, 1999년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로 임용되었다.
3. 1. 국내 활동
오정숙은 1950년부터 1963년까지 김연수에게 판소리 다섯 마당(춘향가, 흥보가, 수궁가, 적벽가, 심청가)을 배웠다. 1967년 제5회 중요무형문화재 동초제 ''춘향가'' 기능 보유자 장학생으로 선정되었고, 1972년부터 1976년까지 ''춘향가'', ''흥보가'', ''수궁가'', ''심청가'', ''적벽가''를 차례로 완창하였다.1977년 국립창극단에 입단하였으며, 1980년 북미 순회 공연, 1981년 홍콩 민속 축제에 참가하였다. 1984년 중앙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강사를 시작으로, 1985년 추계예술대학교 및 한양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1986년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1988년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강사를 역임하였다.
1985년 베를린 세계 문화 축제 ''Horizonte''에 참가하였고, 1986년 ''춘향전''으로 제4회 국제 평화 음악제에 참가하였다. 1989년 유럽 민속 음악 축제 세계 순회 공연에 참가하였으며, 1990년 평양에서 열린 범민족 통일 음악회에 참석하였다.
1991년 인간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1999년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로 임용되었다. 2002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강사를 역임하였다.
3. 2. 해외 활동
1980년 북미 순회 공연을 가졌다. 1981년 홍콩 민속 축제에 참가하였다. 1985년 베를린 세계 문화 축제 'Horizonte'에 참가하였다. 1986년 ''춘향전''으로 제4회 국제 평화 음악제에 참가하였다. 1989년 유럽 민속 음악 축제 세계 순회 공연에 참가하였다. 1990년 평양에서 열린 범민족 통일 음악회에 참석하였다.3. 3. 교육 활동
오정숙은 1950년부터 1963년까지 김연수 선생에게 판소리 다섯 마당(춘향가, 흥보가, 수궁가, 적벽가, 심청가)을 배웠다. 1967년 제5회 중요무형문화재 동초제 ''춘향가'' 기능 보유자 장학생으로 선정되었다. 1972년 ''춘향가'' 완창을 시작으로, 1973년 ''흥보가'', 1974년 ''수궁가'', 1975년 ''심청가'', 1976년 ''적벽가''를 완창했다.1984년 중앙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강사를 시작으로, 1985년 추계예술대학교 및 한양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1986년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1988년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강사로 활동했다. 1999년에는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로 재직했고, 2002년에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강사로도 활동했다.
4. 수상 경력
연도 | 수상 내역 |
---|---|
1972년 | 중요무형문화재 전수자발표회 1등 중요무형문화재 예능 부문 대상 |
1975년 | 전주대사습대회 판소리 부문 장원 (대통령상) |
1983년 | 제1회 남도문화재 판소리 부문 대통령상 |
1984년 | KBS 국악대상 |
2000년 | 대통령 표창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