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레타 애덤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레타 애덤스는 미국의 가스펠, R&B, 팝 음악가이다. 목사의 딸로 태어나 가스펠 음악을 접하며 성장했으며, 1980년대 초 두 장의 자작 앨범을 발매했으나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1985년 티어스 포 피어스에게 발탁되어 1987년 앨범 《The Seeds of Love》에 참여하며 〈Woman in Chains〉로 호평을 받았다. 1990년 솔로 활동을 재개하여 앨범 《Circle of One》을 발표, 영국 차트 1위를 기록했다. 이후 "Get Here" 등의 곡으로 그래미상 후보에 올랐으며, 1990년대 이후 꾸준히 앨범을 발매하며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애틀 출신 음악가 - 샘 김
1998년 미국에서 태어난 대한민국 가수 샘 김은 K팝 스타 시즌 3 준우승 이후 안테나뮤직에서 데뷔하여 다양한 앨범 발매 및 OST 참여 등 활발한 활동을 펼치다 2024년 서브라이벌로 이적했다. - 시애틀 출신 음악가 - 스테이시 오리코
스테이시 오리코는 12세에 데뷔하여 14세에 데뷔 앨범으로 성공을 거둔 미국의 가수로, "Stuck" 등의 히트곡을 내며 전 세계적으로 300만 장 이상의 판매고를 올린 두 번째 앨범 이후 음악 활동을 잠시 중단했으나 2010년대 이후 간헐적으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 미국의 솔 가수 - 재니스 조플린
재니스 조플린은 허스키한 보컬과 파워풀한 무대 매너로 1960년대를 대표하는 미국의 싱어송라이터이자 여성 로커로, 빅 브라더 앤 더 홀딩 컴퍼니의 리드 보컬로 활동하며 솔로 활동으로도 성공을 거두었으나 27세의 나이로 사망 후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미국의 솔 가수 - 로라 니로
로라 니로는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 초반까지 활동하며 독창적인 음악 스타일로 명성을 얻었고, 1997년 난소암으로 사망하기 전까지 페미니즘과 동물 권리 운동에 참여한 미국의 싱어송라이터이다. - 미국의 재즈 가수 - 토니 베넷
앤서니 도미닉 베네데토라는 본명으로도 알려진 미국의 가수 토니 베넷은 "I Left My Heart in San Francisco"와 같은 대표곡을 통해 스탠더드 팝을 고수하며 여러 세대에 걸쳐 사랑받았고, 레이디 가가와의 협업 등 음악적 스펙트럼을 넓히며 화가로도 활동했다. - 미국의 재즈 가수 - 그레고리 포터
그레고리 포터는 그래미상을 두 번 수상한 미국의 가수 겸 작곡가 겸 배우로, 데뷔 앨범 후보 지명 후 꾸준히 앨범을 발매하며 활동하고 있으며, 어린 시절 교회에서 노래하고 미식축구 선수로 활동한 이력이 있고 독특한 모자 스타일로도 유명하다.
올레타 애덤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이름 | 올레타 앤절라 아담스 |
출생지 |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 |
직업 | 가수 작곡가 피아니스트 |
활동 기간 | 1980년–현재 |
레이블 | 폰타나 / 머큐리 하모니 모나크 / 파이오니어 E1 |
웹사이트 | 올레타 아담스 공식 웹사이트 |
악기 | 보컬 피아노 |
장르 | 고스펠 소울 |
관련된 활동 | 티어스 포 피어스 |
2. 이력
올레타 애덤스는 1980년대 초 자작 음반을 내며 음악 활동을 시작했으나 큰 주목을 받지는 못했다. 1985년 캔자스시티의 한 호텔에서 공연하던 중 영국 밴드 티어스 포 피어스의 눈에 띄어[4] 그들의 앨범 ''The Seeds of Love''(1989) 작업에 참여하게 되었다. 특히 롤랜드 오자발과 함께 부른 싱글 "Woman in Chains"가 히트하며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2]
1990년 티어스 포 피어스의 월드 투어에 동행한 후,[5] 폰타나 레코드와 계약하고 솔로 활동을 본격적으로 재개했다. 같은 해 발표한 앨범 ''Circle of One''은 롤랜드 오자발이 프로듀싱에 참여했으며,[2] 싱글 "Get Here"가 세계적인 성공을 거두며 그래미상 후보에 오르는 등[6] 그녀의 대표적인 히트곡이 되었다. 이 곡은 걸프 전쟁 당시 군인 가족들에게 큰 위로가 되기도 했다.[7][8][9]
이후 ''Evolution''(1993), ''Moving On''(1995), 가스펠 앨범 ''Come Walk with Me''(1997), ''All the Love''(2001), ''세 번째 세트(Third Set)''(2017) 등 꾸준히 앨범을 발표하며 R&B, 소울, 가스펠 등 다양한 장르를 넘나드는 음악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1994년 드러머 존 쿠션과 결혼했다.[7]
2. 1. 초기 생애 및 경력
올레타 안젤라 애덤스는 목사의 딸로 태어나 가스펠 음악을 들으며 성장했다. 어린 시절 가족과 함께 워싱턴주 야키마로 이사했으며, 이 때문에 야키마는 때때로 그녀의 출생지로 표시되기도 한다. 그녀는 교회에서 처음 음악 활동을 시작했다.1970년대에 애덤스는 공연 기회를 얻기 위해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로 이주하여 데모 테이프를 녹음했다. 그러나 당시 많은 음반 제작자들은 디스코 음악에만 관심을 보였고, 애덤스가 선호하는 스타일에는 관심을 두지 않아 어려움을 겪었다.
보컬 코치인 리 파렐의 조언에 따라 애덤스는 미주리주 캔자스시티로 이사하여 다양한 지역 콘서트에서 공연했다. 그녀는 1980년대 초에 두 개의 자비 음반으로 경력을 시작했지만, 성공은 제한적이었다.[2] 1984년에는 1984년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2차전 전에 국가를 불렀다.[3]
1985년, 캔자스시티의 한 호텔에서 연주하던 중 저명한 뉴 웨이브 밴드 티어스 포 피어스의 눈에 띄었다. 2년 뒤, 애덤스는 티어스 포 피어스의 초청으로 그들의 3집 앨범 《The Seeds of Love》 작업에 객원 보컬 겸 피아니스트로 참여하게 되었다. 특히 앨범 수록곡 〈Woman in Chains〉에서 보여준 그녀의 노래는 호평을 받았다.
그녀는 티어스 포 피어스의 세계 순회공연에도 활발히 참여하였고, 1990년부터는 솔로 활동을 재개하게 되었다. 이 해 발표한 올레타의 3집 《Circle of One》에는 티어스 포 피어스의 롤랜드 오자발이 프로듀서로 참여하여 작업을 도왔다.
2. 2. 티어스 포 피어스와의 협업
1985년 6월, 올레타 애덤스는 캔자스시티 하얏트 호텔의 페퍼콘 덕 클럽에서 공연하던 중, 영국 뉴 웨이브 밴드 티어스 포 피어스의 멤버 롤랜드 오자발, 커트 스미스, 이안 스탠리에게 발탁되었다.[4] 당시 티어스 포 피어스는 "빅 체어 투어" 중이었고, 캔자스시티에 머무는 동안 애덤스의 공연을 본 후 그녀에게 다음 앨범인 ''The Seeds of Love''에 참여해 줄 것을 제안했다.[4] 애덤스는 이 제안을 수락했고, 2년 후 티어스 포 피어스는 그녀에게 정식으로 연락하여 밴드의 객원 보컬 겸 피아니스트로 합류해 줄 것을 요청했다.[4]1989년, 앨범 ''The Seeds of Love''가 발매되었다. 이 앨범에서 애덤스가 오자발과 듀엣으로 부르고, 마누 카체와 필 콜린스가 드럼 연주자로 참여한 싱글 "Woman in Chains"는 그녀의 첫 번째 히트곡이 되었으며,[2] 특히 애덤스의 노래는 호평을 받았다.
애덤스는 1990년 티어스 포 피어스의 월드 투어에도 함께했다.[5] 그녀는 각 공연의 시작 부분에서 단독 공연을 펼쳤고,[5] 티어스 포 피어스 공연 세트 동안에는 무대에 남아 피아노 연주와 보컬을 담당했다.[2] 이러한 성공적인 협업을 바탕으로 애덤스는 1990년부터 솔로 활동을 재개했으며, 같은 해 발표한 그녀의 3집 앨범 《Circle of One》에는 티어스 포 피어스의 롤랜드 오자발이 프로듀서로 참여하여 작업을 도왔다.
2. 3. 1990년대 솔로 활동
티어스 포 피어스(Tears for Fears)와의 성공적인 협업 이후, 애덤스는 그들의 음반사였던 폰타나 레코드(Fontana Records)와 계약을 맺고 1990년부터 솔로 활동을 다시 시작했다.[5] 여러 프로듀서를 만난 끝에, 그녀는 티어스 포 피어스의 멤버 롤랜드 오자발(Roland Orzabal)과 함께 새 앨범 ''Circle of One''을 공동 프로듀싱했다.[2] 이 앨범은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았으며, 브렌다 러셀(Brenda Russell)의 곡을 커버한 "Get Here"가 큰 성공을 거두면서 1991년 영국 음반 차트에서 1위를 차지했다.[6] "Get Here"는 그래미상 후보에 오르기도 했으며, 영국과 미국 차트에서 모두 5위 안에 드는 히트를 기록했다. 특히 이 곡은 1991년 걸프 전쟁 시기에 큰 반향을 일으켜,[7][8] 전쟁 지역에 파병된 군인들의 가족들에게 위안을 주는 노래로 받아들여졌다.[8][9]1991년, 애덤스는 독립 음악 출판사 페어우드 뮤직(Fairwood Music)과 계약을 맺었다. 같은 해 엘튼 존(Elton John)과 버니 토핀(Bernie Taupin)에게 헌정하는 앨범 ''Two Rooms''에 참여하여 엘튼 존의 1974년 히트곡 "Don't Let the Sun Go Down on Me"를 불렀다. 애덤스의 버전은 영국에서 40위권에 진입하며 또 다른 성공을 거두었다.
그녀의 다음 앨범인 ''Evolution''(1993) 역시 상업적으로 성공하며 영국 앨범 차트 10위권에 진입했다. 이 앨범에는 애덤스가 직접 작곡한 성인 컨템포러리 싱글 "Window of Hope"가 수록되었다. 1994년에는 첫 내한 공연을 가졌다. 1995년에 발매된 앨범 ''Moving On''에서는 R&B 장르에 대한 그녀의 음악적 지향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같은 해, 그녀는 티어스 포 피어스의 앨범 ''Raoul and the Kings of Spain''에 참여하여 롤랜드 오자발과 듀엣곡 "Me and My Big Ideas"를 녹음하며 다시 한번 호흡을 맞췄다.
2년 후인 1997년, 애덤스는 기독교를 주제로 한 가스펠 성향의 앨범 ''Come Walk with Me''를 발표했다. 이 앨범에 수록된 곡 "Holy Is the Lamb"은 1997년 그래미상 후보에 오르는 영예를 안았다. 1998년에는 필 콜린스(Phil Collins)가 이끄는 빅 밴드의 재즈 투어에 객원 보컬로 참여하기도 했다.
2. 4. 2000년대 이후 활동
2001년, 애덤스는 여섯 번째 앨범인 ''All the Love''를 발매하며 R&B/성인 컨템포러리 사운드로 돌아왔다. 이 앨범은 리키 피터슨과 피터 울프 등이 프로듀서로 참여했다. 2004년에는 이 앨범이 독일에서 ''I Can't Live a Day without You''라는 다른 제목으로 재발매되었다.같은 해 2004년, 애덤스는 티어스 포 피어스와 다시 한번 협력하여 캔자스 시티 콘서트에 특별 게스트로 출연해 "Woman in Chains"를 함께 불렀다.
2006년 10월 3일에는 첫 번째 크리스마스 앨범인 ''크리스마스 타임 위드 올레타''를 발매했다. 2008년 1월에는 두 번째 일본 공연을 가졌다.
2009년 4월 21일, 애덤스는 여덟 번째 앨범이자 종교적인 색채가 비교적 옅은 ''렛츠 스테이 히어''를 발표했다. 그 후 8년 만인 2017년 2월 10일, 아홉 번째 앨범 ''세 번째 세트(Third Set)''를 발매했다.
3. 사생활
1994년, 애덤스는 캔자스시티에 있는 연합 감리교회에서 드러머 존 쿠션과 결혼했다.[7] 두 사람은 애덤스의 데모 테이프 작업을 하던 1980년에 처음 만났으며, 결혼한 교회에서 함께 주일학교 교사로 활동했다.[7] 애덤스는 본래 결혼에 대한 열정이 없었다고 밝혔으나, 1994년 1월 17일 쿠션과 함께 로스앤젤레스 지진을 겪은 것을 계기로 결혼을 결심했다.[7] 그녀는 이 지진을 결혼할 준비가 되었다는 신의 징표로 받아들였다고 한다.[7]
4. 음반 목록
1980년대 초에 두 개의 자작 음반을 발표하며 활동을 시작했으나 큰 주목을 받지는 못했다.[1][2] 이후 티어스 포 피어스와의 성공적인 협업을 거쳐, 1990년 솔로 3집 앨범 《Circle of One》을 발표하며 본격적인 솔로 활동을 이어갔다. 이 앨범은 티어스 포 피어스의 멤버 롤랜드 오자발이 프로듀싱에 참여하여 완성도를 높였다.[3]
4. 1. 스튜디오 앨범
- ''올레타 애덤스''(1982)
- ''Going on Record''(1983)
- ''Circle of One''(1990)
- ''Evolution''(1993)
- ''Moving On''(1995)
- ''Come Walk with Me''(1997)
- ''All the Love''(2001)
- ''Christmas Time with Oleta''(2006)
- ''Let's Stay Here''(2009)
- ''Third Set''(2017)
4. 2. 컴필레이션 앨범
- ''The Very Best of Oleta Adams'' (1996년)
- ''얼티밋 컬렉션'' (2004년)
5. 수상 및 후보
wikitext
연도 | 결과 | 상 | 부문 | 작품 |
---|---|---|---|---|
1991 | 후보 | 소울 트레인 뮤직 어워드 | 최우수 R&B/어반 컨템포러리 신인 아티스트 | — |
1992 | 후보 | 그래미상 | 최우수 여성 팝 보컬 퍼포먼스 | "Get Here" |
1993 | 후보 | 그래미상 | 최우수 여성 R&B 보컬 퍼포먼스 | "Don't Let The Sun Go Down On Me" |
1994 | 후보 | 소울 트레인 뮤직 어워드[11] | 최우수 여성 R&B 싱글 | "I Just Had to Hear Your Voice" |
1997 | 후보 | 그래미상 | 최우수 R&B 앨범 | Moving On |
1998 | 후보 | 그래미상 | 최우수 컨템포러리 소울 가스펠 앨범 | Come Walk with Me |
참조
[1]
웹사이트
Oleta Adams
https://www.allmusic[...]
2018-03-12
[2]
서적
The Guinness Who's Who of Soul Music
Guinness Publishing
1993
[3]
Youtube
1984 ALCS game 2 Detroit Tigers at Kansas City Royals
https://www.youtube.[...]
YouTube
2017-07
[4]
웹사이트
80sography – 80s music interviews: Tears For Fears: Ian Stanley Interview Pt 2 (1984–89)
https://podcasts.app[...]
2023-11-18
[5]
간행물
Stories
1991-03-05
[6]
웹사이트
Best Pop Vocal Performance, Female - The 34th Grammy Awards (1991)
https://www.grammy.c[...]
2018-02-03
[7]
간행물
Moving on and up with Oleta Adams: with new husband and renewed religious faith, soulful singer scores with new album
http://findarticles.[...]
1996-08
[8]
웹사이트
Get Here by Oleta Adams, 1990
http://history.sandi[...]
Songs in American History
2006-05-01
[9]
서적
99 Red Balloons and 100 Other All-Time Great One-Hit Wonders
Bristol Park Books, Inc
[10]
웹사이트
Homepage
http://oletaadams.co[...]
2019-10-20
[11]
웹사이트
Jet
https://books.google[...]
Johnson Publishing Company
1994-03-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