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올 오버 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 오버 미는 1997년 개봉한 영화로, 이혼한 어머니와 함께 뉴욕 헬스 키친에 사는 십 대 소녀 클로드의 성적 발견과 레즈비언 관계를 다룬다. 클로드는 가장 친한 친구 엘렌과 밴드를 결성하려 하지만, 엘렌이 마크와 데이트를 시작하면서 계획이 틀어진다. 클로드는 혐오 범죄로 추정되는 사건으로 죽은 게이 음악가 루크의 죽음에 얽히고, 루시를 만나 관계를 시작하지만, 엘렌과의 우정과 마크와의 갈등 속에서 혼란을 겪는다. 영화는 청소년기의 성장, 퀴어 문화, 혐오 범죄, 여성 인디 록 음악을 주제로 다루며, 앨리슨 폴랜드, 타라 서브코프 등이 출연했다. 비평가들의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1997년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테디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7년 성소수자 영화 - 내 남자친구의 결혼식
    《내 남자친구의 결혼식》은 줄리아 로버츠 주연의 1997년 미국 로맨틱 코미디 영화로, 28세 전 결혼하지 못하면 서로 결혼하기로 약속한 친구 사이인 줄리안과 마이클 중 마이클이 다른 여성과 결혼하려 하자 줄리안이 이를 막으려 노력하는 이야기를 그리며, 흥행 성공과 함께 비평가들의 엇갈린 평가를 받았고, 이후 리메이크 및 영화 음악의 인기를 얻었다.
  • 1997년 성소수자 영화 - 나의 장미빛 인생
    알랭 베를리너 감독의 1997년 벨기에 영화 《나의 장미빛 인생》은 여자아이로 여기는 남자아이 뤼도빅이 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겪는 갈등과 사회의 편견을 따뜻하게 그린 영화로, 골든 글로브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 등을 수상하며 평론가들의 호평을 받았다.
  • 미국의 십대 드라마 영화 - 코치 카터
    《코치 카터》는 켄 카터 감독이 이끄는 리치먼드 고등학교 농구팀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 2005년 미국 영화로, 사무엘 L. 잭슨이 연기한 카터 감독의 엄격한 교육 방식과 선수들의 성장, 그리고 승리보다 중요한 가치를 강조하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 미국의 십대 드라마 영화 - 아메리칸 뷰티
    앨런 볼 각본, 샘 멘데스 감독의 1999년 미국 드라마 영화 《아메리칸 뷰티》는 중년의 위기를 겪는 레스터 번햄과 그의 가족, 이웃을 통해 미국 교외 사회의 허위와 욕망, 억압된 감정을 탐구하며, 아카데미 5개 부문 수상 등 성공을 거두었으나 케빈 스페이시의 성추행 의혹으로 재평가되고 있다.
  • 레즈비언 영화 - 몬스터 (2003년 영화)
    몬스터는 매춘부 에일린 우어노스가 연쇄 살인을 저지르고 사형을 선고받는 과정을 그린 2003년 개봉 미국 전기 드라마 영화이다.
  • 레즈비언 영화 - 카우걸 블루스
    구스 반 산트 감독의 영화 《카우걸 블루스》는 큰 엄지를 가진 히치하이커 시시 핸크쇼가 카우걸 목장에서 겪는 삶과 사랑, 갈등을 그린 서부 드라마로, 비평과 흥행에서 실패했지만 사운드트랙은 좋은 평가를 받았다.
올 오버 미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홈 비디오 출시 커버
홈 비디오 출시 커버
감독알렉스 시첼
프로듀서돌리 홀
작가실비아 시첼
출연앨리슨 폴란드
타라 서브코프
음악레이샤 헤일리
미키 나바지오
촬영조 데살보
편집사빈 호프만
제작사발디니 픽처스
메두사 픽처스
슬램 픽처스
배급사파인 라인 피처스
상영 시간90분
국가미국
언어영어
흥행 수익$150,646 (국내)

2. 줄거리

이 영화는 이혼한 어머니와 함께 뉴욕시 헬스 키친에 사는 톰보이 기질의 십 대 소녀 클로드 (앨리슨 폴랜드)를 중심으로, 여름 방학 동안 그녀의 성적 발견과 싹트는 레즈비언 관계를 다룬다. 클로드의 가장 친한 친구는 엘렌 (타라 서브코프)이다. 엘렌이 마크 (콜 하우저)와 데이트를 시작하면서 엘렌과 밴드를 시작하려는 클로드의 계획은 틀어진다.

클로드는 자신의 아파트 건물로 막 이사 온 게이 음악가 루크 (팻 브리그스)가 혐오 범죄일 수 있는 사건으로 칼에 찔려 죽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엘렌은 루크가 살해당했을 때 그 자리에 있었다는 것을 암시하지만, 클로드는 그녀를 보호하기 위해 입을 다문다. 클로드는 게이 바에 가서 하우스 밴드에서 연주하는 핑크색 머리의 기타리스트 루시 (레이샤 헤일리)를 만난다. 클로드는 루시의 아파트로 가서 낭만적인 만남을 시작하지만, 당황하여 떠나고, 자신의 아파트로 돌아와 엘렌이 자신을 기다리고 있는 것을 발견한다. 그들은 싸움을 벌이고 클로드는 엘렌 없이는 죽을 것이라고 소리 지르며 끝이 난다.

클로드는 엘렌과 마크의 데이트에 함께 간다. 마크는 엘렌에게 진정제를 주어 심하게 아프게 만든다. 클로드는 그녀를 화장실로 데려가 토하게 하고, 엘렌은 클로드를 "빛나는 갑옷을 입은 기사"라고 부른다. 마크는 눈에 띄게 분노하지만 스스로를 억누른다. 클로드는 떠나 다시 루시의 아파트로 가지만, 짧은 키스 후 떠난다.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클로드는 길에서 마크에게 매복당하여, 엘렌과의 관계에 대한 질문을 받는다. 클로드는 마크가 엘렌을 어두운 길로 이끌고 있다고 걱정하며, 루크의 죽음에 마크가 연루되었을 가능성에 대해 경찰에 알리겠다고 위협한다.

클로드는 집으로 돌아와 엘렌이 자신을 기다리고 있는 것을 발견한다. 클로드는 마크에 대해 경찰에게 말해야 한다고 말하지만, 엘렌은 자신이 연루된 사실을 알면 감옥에 갈 것이라고 말한다. 클로드는 그런 일은 절대 일어나지 않게 할 것이라고 말한다. 클로드는 처음으로 엘렌에게 키스하고 사랑한다고 말한다. 엘렌은 클로드에게 낭만적인 관심이 없으니 그런 말은 하지 말라고 말하고, 클로드는 떠난다. 다음 날, 클로드는 자신의 방을 청소하고 엘렌의 흔적을 모두 지운다. 그녀는 출근 전에 경찰서로 간다. 나중에 경찰이 그녀의 직장에 와서 마크를 심문하기 위해 데려간다. 엘렌은 클로드에게 남자친구를 경찰에 신고한 것에 대해 증오심을 드러낸다. 클로드는 알고 있으며 미안하지만 그렇게 할 수밖에 없었다고 말한다. 엘렌은 클로드와의 우정을 끝낸다. 클로드는 루시를 만나기 시작하고 그들과 함께 첫 데이트를 한다.

3. 등장인물

다음은 영화의 등장인물과 배역을 맡은 배우 목록이다.

배역배우
클로드앨리슨 폴랜드
엘렌타라 서브코프
마크콜 하우저
제시윌슨 크루즈
루시레이샤 헤일리
루크팻 브리그스
앤 다운드
스튜어트진 캔필드
거스숀 해토시
빈센트 파스토레
데이브데이비드 리 루섹


3. 1. 주연


  • 앨리슨 폴랜드 - 클로드 역
  • 타라 서브코프 - 엘렌 역, 클로드의 가장 친한 친구
  • 콜 하우저 - 마크 역, 엘렌의 남자친구
  • 윌슨 크루즈 - 제시 역, 클로드의 피자 가게 동료
  • 레이샤 헤일리 - 루시 역, 클로드가 만나 데이트를 시작하는 기타리스트
  • 팻 브리그스 - 루크 역, 클로드와 제시의 친구인 게이 뮤지션
  • 앤 다운드 - 앤 역, 클로드의 어머니
  • 진 캔필드 - 스튜어트 역, 앤의 남자친구
  • 숀 해토시 - 거스 역
  • 빈센트 파스토레 - 돈 역
  • 데이비드 리 루섹 - 데이브 역

3. 2. 조연


  • 앨리슨 폴랜드 - 클로드 역[1]
  • 타라 서브코프 - 엘렌 역, 클로드의 가장 친한 친구[1]
  • 콜 하우저 - 마크 역, 엘렌의 남자친구[1]
  • 윌슨 크루즈 - 제시 역, 클로드의 피자 가게 동료[1]
  • 레이샤 헤일리 - 루시 역, 클로드가 만나 데이트를 시작하는 기타리스트[1]
  • 팻 브리그스 - 루크 역, 클로드와 제시의 친구인 게이 뮤지션[1]
  • 앤 다운드 - 앤 역, 클로드의 어머니[1]
  • 진 캔필드 - 스튜어트 역, 앤의 남자친구[1]
  • 숀 해토시 - 거스 역[1]
  • 빈센트 파스토레 - 돈 역[1]
  • 데이비드 리 루섹 - 데이브 역[1]

4. 제작

All Over Me영어의 제작에는 빅토리아 파렐이 의상을, 리나 토드가 배역을 담당했다.[1]

4. 1. 제작진


  • 의상: 빅토리아 파렐[1]
  • 배역: 리나 토드[1]

5. 평가

영화 《올 오버 미》는 1997년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장편 영화 부문 테디상을 수상했다.[18] 또한 선댄스 영화제 심사위원 대상, 고담 어워즈 돌파 감독상, GLAAD 미디어 어워드 뛰어난 영화(제한 개봉), 인디펜던트 스피릿 어워드 여우주연상(앨리슨 폴랜드) 후보에 올랐다.

5. 1. 비평

영화 ''올 오버 미''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로튼 토마토에서는 31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87%의 긍정도를 보였으며, 평점은 7.3/10이었다. 로튼 토마토는 "''올 오버 미''는 청소년들의 삶과 낭만적인 관계에 대해 매우 자주 무시되거나 오해받는 심각하고 민감한 접근 방식을 취한다"라고 평가했다.[5]

평론가들은 이 영화가 시첼 자매의 데뷔작임에도 불구하고 강력하고 눈에 띄게 잘 만들어졌다고 평가했다.[6][7] 또한 시첼 자매가 청소년기와 우정을 다룬 이야기를 정직하고 현실적이며 진정성 있게, 그러면서도 미묘하고 절제되며 동정심을 가지고 묘사한 점을 높이 평가했다.[8][9] 에마누엘 레비는 이 영화를 복잡하고 흥미롭다고 평가했으며, 마조리 바움가르텐은 모든 연령대의 "riot grrrl"을 위한 영화라고 평가했다.[6][10] 뉴욕 타임스의 자넷 마슬린은 자신감 넘치는 첫 장편 영화라고 칭찬했지만, 내용보다는 스타일이 더 많다고 평가했다.[7] 반면 돈 윌모트는 이 영화가 멜로드라마적이라고 생각했으며, ''E!''는 자극적이지만 부자연스럽다고 묘사하며 "순한 면을 걷는 영화"라고 평가했다.[11][12]

클로드 역을 맡은 앨리슨 폴랜드는 평론가들로부터 광범위한 칭찬을 받았다. 에마누엘 레비는 그녀를 본능적인 배우라고 칭하며 "화면의 모든 프레임을 지배한다"고 평가했다.[6] 자넷 마슬린은 폴랜드가 역할에 "쓸쓸한 진실성"을 불어넣는다고 말했다.[7] 타라 서브코프 역시 로사나 아퀘트에 비견되는 연기로 칭찬받았다.[7][10] 다만, 모든 평론가가 엘렌 역을 맡은 서브코프의 연기를 좋아한 것은 아니었다. ''E!''는 그녀를 "그저 짜증나는" 배우라고 평가했다.[12]

''올 오버 미''는 청소년기의 성장과 성에 대한 탐구를 다루면서, 평론가들로부터 1995년에 제작된 래리 클라크의 ''키즈''와 마리아 마젠티의 ''The Incredibly True Adventure of Two Girls in Love''와 비교되었다.[8][10][13] 유사점이 언급되기도 했지만, ''올 오버 미''는 이 두 영화와는 다른 점으로 칭찬받았다. ''E!''는 ''키즈''보다 더 부드럽다고 평가했고, 무스케위츠는 ''올 오버 미''가 ''키즈''보다 덜 착취적이라고 말했다.[9][12] 에마누엘 레비는 ''올 오버 미''가 ''키즈''와 ''The Incredibly True Adventure of Two Girls in Love''보다 훨씬 더 흥미롭고 복잡하다고 묘사했다.[6] 론 웰스는 "신이시여, ''키즈''가 아니라서 다행이다"라고 말했고, 번스타인은 "비교는 요점을 벗어난다"고 말했다.[14][15] 에마누엘 레비는 ''The Incredibly True Adventure of Two Girls in Love''와 비교했을 때 ''올 오버 미''가 "훨씬 더 완성도가 높다"고 평가했다.[6] SplicedWire는 ''올 오버 미''가 1990년대 중반에 나온 또 다른 여성 중심의 성장 영화인 토드 솔론즈의 ''Welcome to the Dollhouse''와 "이상적인 동반 영화"라고 평가했다.[16] LGBT 간행물 ''The Advocate''는 ''올 오버 미''가 1997년에 개봉된 레즈비언과 1990년대 얼터너티브 음악 장면을 다룬 영화인 ''Slaves to the Underground''보다 개선되었다고 평가했다.[17]

5. 2. 수상 내역

''올 오버 미''는 1997년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장편 영화 부문 테디상을 수상했다.[18] 선댄스 영화제, 고담 어워즈, GLAAD 미디어 어워드 등 여러 영화제에서 후보에 올랐다.

영화제수상 부문후보
선댄스 영화제심사위원 대상올 오버 미
고담 어워즈돌파 감독상올 오버 미
GLAAD 미디어 어워드뛰어난 영화(제한 개봉)올 오버 미
인디펜던트 스피릿 어워드여우주연상앨리슨 폴랜드


6. 주제

이 영화는 1990년대 미국을 배경으로 십 대 소녀 클로드가 레즈비언으로서 자신의 성 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과 당시 퀴어 문화와 혐오 범죄라는 사회적 문제를 다루고 있다.[1]

6. 1. 청소년기의 성장통

이 영화는 이혼한 어머니와 함께 뉴욕시 헬스 키친에 사는 톰보이 기질의 십 대 소녀 클로드 (앨리슨 폴랜드)를 중심으로, 여름 방학 동안 그녀의 성적 정체성 탐구와 레즈비언으로서의 커밍아웃 과정을 다룬다. 클로드의 가장 친한 친구는 엘렌 (타라 서브코프)이다. 엘렌이 마크 (콜 하우저)와 데이트를 시작하면서 엘렌과 밴드를 시작하려는 클로드의 계획은 좌절된다.

클로드는 자신의 아파트 건물로 막 이사 온 게이 음악가 루크 (팻 브리그스)가 혐오 범죄로 의심되는 사건으로 칼에 찔려 사망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엘렌은 루크가 살해당했을 때 그 자리에 있었다는 것을 암시하지만, 클로드는 그녀를 보호하기 위해 침묵한다. 클로드는 게이 바에 가서 하우스 밴드에서 연주하는 핑크색 머리의 기타리스트 루시 (레이샤 헤일리)를 만난다. 클로드는 루시의 아파트로 가서 낭만적인 만남을 가지지만, 당황하여 떠난다. 집으로 돌아온 클로드는 엘렌이 자신을 기다리고 있는 것을 발견하고, 그들은 싸움을 벌인다. 클로드는 엘렌 없이는 죽을 것이라고 소리 지르며 싸움은 끝이 난다.

클로드는 엘렌과 마크의 데이트에 함께 한다. 마크는 엘렌에게 진정제를 먹여 심하게 아프게 만든다. 클로드는 엘렌을 화장실로 데려가 토하게 하고, 엘렌은 클로드를 "빛나는 갑옷을 입은 기사"라고 부른다. 마크는 분노하지만 스스로를 억누른다. 클로드는 다시 루시의 아파트로 가지만, 짧은 키스 후 떠난다.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클로드는 길에서 마크에게 매복당하여 엘렌과의 관계에 대한 질문을 받는다. 클로드는 마크가 엘렌을 어두운 길로 이끌고 있다고 걱정하며, 루크의 죽음에 마크가 연루되었을 가능성에 대해 경찰에 알리겠다고 위협한다.

클로드는 집으로 돌아와 엘렌이 자신을 기다리고 있는 것을 발견한다. 클로드는 마크에 대해 경찰에게 말해야 한다고 말하지만, 엘렌은 자신이 연루된 사실을 알면 감옥에 갈 것이라고 말한다. 클로드는 그런 일은 절대 일어나지 않게 할 것이라고 말한다. 클로드는 처음으로 엘렌에게 키스하고 사랑한다고 말한다. 엘렌은 클로드에게 낭만적인 관심이 없으니 그런 말은 하지 말라고 말하고, 클로드는 떠난다. 다음 날, 클로드는 자신의 방을 청소하고 엘렌의 흔적을 모두 지운다. 그녀는 출근 전에 경찰서로 간다. 나중에 경찰이 그녀의 직장에 와서 마크를 심문하기 위해 데려간다. 엘렌은 클로드에게 남자친구를 경찰에 신고한 것에 대해 증오심을 드러낸다. 클로드는 알고 있으며 미안하지만 그렇게 할 수밖에 없었다고 말한다. 엘렌은 클로드와의 우정을 끝낸다. 클로드는 루시를 만나기 시작하고 그들과 함께 첫 데이트를 한다.

6. 2. 퀴어 문화와 혐오 범죄

이 영화는 1990년대 미국 퀴어 문화와 혐오 범죄 문제를 다룬다.[1] 특히, 게이 음악가 루크 (팻 브리그스)가 칼에 찔려 죽은 사건은 혐오 범죄일 가능성이 제기된다.[1] 루크의 죽음은 영화의 중심인물인 십 대 소녀 클로드 (앨리슨 폴랜드)에게 큰 영향을 미치며, 클로드는 루크의 죽음을 통해 레즈비언으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깨닫고, 게이 바에서 만난 루시 (레이샤 헤일리)와 낭만적인 관계를 시작한다.[1]

7. 음악

영화 음악은 미키 나바지오가 작곡했으며, 영화의 사운드트랙은 1997년 4월 29일 TVT 레코드 레이블을 통해 발매되었다.[20] 사운드트랙에는 나바지오의 음악과 함께 여러 인디 음악 및 라이엇 걸 뮤지션들의 곡이 수록되어 있다.

7. 1. 사운드트랙

''올 오버 미''의 영화 음악은 미키 나바지오가 작곡했다.[19] 이 영화의 사운드트랙은 1997년 4월 29일 TVT 레이블을 통해 발매되었다.[20] 여기에는 나바지오의 음악과 함께 여러 인디 음악 및 라이엇 걸 뮤지션들의 곡이 수록되어 있다.

올뮤직은 이 사운드트랙에 대해 5점 만점에 4점으로 평가했다.[21]

번호곡명아티스트
1"Hello"베이브스 인 토이랜드 (로리 바르베로, 캣 비젤란, 모린 허먼)
2"Ellen and Claude Jammin"미키 나바지오
3"Shy"애니 디프랑코
4"Hole In The Ground"헬륨 (밴드) (메리 티모니)
5"I Wanna Be Your Joey Ramone"슬리터 키니 (코린 터커, 로라 맥팔레인)
6"Game Song"터스카데로
7"Jackie Blue"오자크 마운틴 데어데블스 (래리 리, 스티브 캐시)
8"Claude Sees Ellen And Mark"미키 나바지오
9"Squeezebox Days"더 머머스 (레이샤 헤일리)
10"Dragon Lady"제럴딘 파이버스 (칼라 보줄리치, 다니엘 키넌, 케빈 피츠제럴드, 윌리엄 터튼)
11"Dynamite"피피톤 (앨리슨 피피톤)
12"Empty Glasses"디 앰프스 (킴 딜)
13"Descent"레미 제로 (레미 제로)
14"6 a.m. Jullander Shere"코너스샵 (틴더 싱)
15"The Kiss"미키 나바지오
16"Dimming Soul"말론 (미셸 말론)
17"Pissing in a River"패티 스미스 그룹 (패티 스미스, 이반 크랄)
18"Superglider"드럭스토어 (밴드) (이사벨 몬테이로, 데런 로빈슨)
19"Finale"미키 나바지오
20"Something's Burning"12 라운즈


8. 개봉 및 배급

MPAA는 ''올 오버 미''에 대해 십 대 소녀와 관련된 성행위와 마약 사용, 그리고 강한 언어 사용을 이유로 R 등급을 부여했다. 이 영화는 1997년 베를린 국제 영화제 파노라마 부문에서 초연되었다.[2] 이후 1997년 토리노 국제 게이 & 레즈비언 영화제, 1998년 리스본 게이 & 레즈비언 영화제 등 여러 영화제에서 상영되었다.

1997년 4월 25일, 파인 라인 픽쳐스의 배급으로 미국 극장에서 개봉되었고,[3] 1998년 2월 19일에는 오스트레일리아 극장에서 개봉되었다. 지역 1 DVD는 2005년 6월 14일 이미지 엔터테인먼트 배급으로, 지역 2 DVD는 2002년 4월 8일 Millivres Multimedia 배급으로 출시되었다.[4]

이 영화는 대한민국에서는 극장 개봉이나 DVD 출시가 되지 않았다. 이는 십 대 소녀의 성행위, 마약 사용 등 민감한 소재를 다루고 있어, 한국의 보수적인 사회 분위기 속에서 상영 및 배급에 어려움이 있었을 것으로 추론된다.

참조

[1] 웹사이트 Production notes http://www.finelinef[...] Fine Line Features 2007-11-04
[2] 웹사이트 1997 Programme http://www.berlinale[...] Berlinale 2007-08-31
[3] 웹사이트 All Over Me (1997) http://www.boxoffice[...] Box Office Mojo 2008-04-15
[4] 웹사이트 All Over Me (1997) DVD https://www.amazon.c[...] Amazon.co.uk 2002-04-08
[5] 웹사이트 All Over Me (1997) http://www.rottentom[...] Fandango Media 2022-06-07
[6] 웹사이트 Film Review - All Over Me http://emanuellevy.c[...] EmanuelLevy.com 2007-08-26
[7] 웹사이트 All Over Me (1996) - Friendship Bent by Gender http://movies2.nytim[...] 2007-08-26
[8] 웹사이트 Teens as They Really Are: ''All Over Me'' gets inside adolescent girls' troubled world http://www.sfgate.co[...] 2007-08-26
[9] 웹사이트 All Over Me: Talent All Around http://efilmcritic.c[...] EFilmCritic.com 2007-08-26
[10] 웹사이트 All Over Me http://www.austinchr[...] 2007-08-16
[11] 웹사이트 All Over Me Movie Review https://web.archive.[...] FilmCritic.com 2007-08-26
[12] 웹사이트 All Over Me - E! Reviews http://www.eonline.c[...] E! Online 2007-08-26
[13] 웹사이트 All Over Me Review http://www.boxoffice[...] BoxOffice.com 2007-08-26
[14] 웹사이트 All Over Me Review http://www.filmthrea[...] FilmThreat.com 2007-08-26
[15] 웹사이트 The Truth About Girls http://www.salon.com[...] 2007-08-26
[16] 웹사이트 All Over Me Review http://splicedwire.c[...] SplicedWire.com 2007-08-26
[17] 웹사이트 Slaves to the Underground. - Free Online Library https://www.thefreel[...]
[18] 웹사이트 TEDDY TWENTY TRIBUTE - Berlinale to celebrate the TEDDY with a programme of 36 films http://www.berlinale[...] Berlinale 2007-08-31
[19] 웹사이트 Filmmaker Biographies http://www.finelinef[...] Fine Line Features 2008-04-15
[20] 웹사이트 All Over Me > Overview "{{AllMusic|class=al[...] Allmusic 2008-04-15
[21] AllMusic "{{AllMusic|class=a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