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완벽 그래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완벽 그래프는 모든 유도 부분 그래프에서 최대 클릭의 크기가 채색수와 같은 무향 그래프이다. 완벽 그래프에서는 그래프 채색, 최대 클릭, 최대 독립 집합 문제 등 NP-완전 문제를 다항 시간 안에 해결할 수 있다. 약한 완벽 그래프 정리는 그래프가 완벽하면 여 그래프도 완벽하다는 것이고, 강한 완벽 그래프 정리는 5개 이상의 홀수 길이 회로를 갖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완벽 그래프의 종류에는 이분 그래프, 현 그래프, 비교 가능성 그래프, 순열 그래프 등이 있다. 완벽 그래프는 선형 계획법 및 정수 계획법과 관련이 있으며, 최대 독립 집합을 찾는 데 활용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완벽 그래프 - 현 그래프
    현 그래프는 크기가 4 이상인 모든 순환이 현을 가지며, 완전 제거 순서를 갖고, 완전 그래프와 나무를 포함하며, 부분 트리의 교차 그래프로 표현될 수 있는 그래프이다.
  • 완벽 그래프 - 딜워스의 정리
    딜워스의 정리는 부분 순서 집합의 너비와 사슬 분할의 최소 크기 간의 관계를 설명하며, 유한한 너비를 갖는 부분 순서 집합은 너비와 같은 수의 사슬로 분할될 수 있다고 말한다.
  • 그래프 이론 - 다이어그램
    다이어그램은 2차원 기하학적 기호를 사용하여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기술로, 과학, 공학, IT, 비즈니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정보를 간략하게 나타내고 시각적 사고를 돕는다.
  • 그래프 이론 - 쾨니히스베르크의 다리 문제
    쾨니히스베르크의 다리 문제는 프레겔 강에 놓인 7개의 다리를 한 번씩만 건너 출발점으로 되돌아올 수 있는지 묻는 문제로, 오일러에 의해 그래프 이론적으로 분석되어 해결되었으며 그래프 이론의 탄생에 기여했다.
완벽 그래프
개요
종류그래프
속성유전
완전
합동 완벽
코그래프
코드
비교
간격
순열
분할
삼각형 없는
투사영역
정의
설명그래프의 모든 유도 부분 그래프에 대해, 그 클리크 수와 같은 색깔로 칠할 수 있는 그래프이다.
성질
설명완벽 그래프는 그 여집합도 완벽 그래프이다.
관련 개념강한 완벽 그래프 정리
완벽 그래프 정리

2. 정의 및 특징

완벽 그래프에서는 그래프 색칠 문제, 최대 클릭 문제, 최대 서로 소 집합 문제 등의 여러 NP-완전 문제를 다항 시간 안에 해결할 수 있다.

양끝이 같은 변(self-loop영어)이 없고, 두 꼭짓점 사이의 변의 수가 1개 이하인, 꼭짓점의 수가 n=1,2,3,\dots인 완벽 그래프의 수와 연결 완벽 그래프의 수는 다음과 같다.

꼭짓점의 수 (n)123456...
완벽 그래프의 수1241133148...
연결 완벽 그래프의 수112620105...



두 개의 상보적인 완벽 그래프

2. 1. 정의

완벽 그래프는 모든 유도 부분 그래프 \tilde\Gamma\subset\Gamma에 대하여, \tilde\Gamma에 속한 최대 클릭의 크기가 \tilde\Gamma의 색칠수와 같은 무향 그래프 \Gamma이다.

무방향 그래프에서 클리크는 서로 인접한 정점들의 부분 집합이다. 클리크 수는 가장 큰 클리크의 정점 수이다. 그래프 채색은 각 정점에 색상을 할당하여 인접한 정점들이 서로 다른 색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그래프의 채색수는 채색에 필요한 최소 색상 수이다. 모든 클리크의 정점들은 서로 다른 색을 가져야 하므로, 채색수는 항상 클리크 수보다 크거나 같다. 일부 그래프에서는 이들이 같지만, 같지 않은 경우도 있다. 완벽 그래프는 이 두 수가 그래프 자체뿐만 아니라 정점의 일부를 삭제하여 얻은 모든 유도된 부분 그래프에서도 같은 그래프로 정의된다.

7개의 정점 사이클과 그 여집합. 각 경우 최적의 채색과 최대 클릭을 굵은 선으로 표시. 그래프는 모두 클릭 크기와 같은 수의 색상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완벽하지 않다.

2. 2. 특징

그래프 \Gamma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은 서로 동치이다.

  • \Gamma는 완벽 그래프이다.
  • \Gamma여 그래프는 완벽 그래프이다.
  • \Gamma는 5 이상의 홀수 길이의 회로를 갖지 않으며, 모든 유도 부분 그래프 \tilde\Gamma에 대하여 \tilde\Gamma여 그래프도 길이 5 이상의 홀수 길이의 회로를 갖지 않는다.


처음 두 조건이 동치라는 정리는 '''약한 완벽 그래프 정리'''(weak perfect graph theorem영어)라고 하며, 세 번째 조건까지 동치라는 정리는 '''강한 완벽 그래프 정리'''(strong perfect graph theorem영어)라고 한다. 세 번째 조건은 여 그래프에 대하여 불변이므로, 약한 완벽 그래프 정리는 강한 완벽 그래프 정리의 따름정리이다.

세 번째 조건은 다항식 시간 알고리즘으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2], 완벽 그래프는 다항식 시간으로 식별할 수 있다.

완벽 그래프 정리에 따르면, 완벽 그래프의 여 그래프 또한 완벽하다. 여 그래프는 주어진 그래프에서 두 정점 사이에 간선이 없을 때만 두 정점 사이에 간선을 갖는다. 여 그래프에서의 클리크는 주어진 그래프에서의 독립 집합에 해당하며, 여 그래프의 채색은 주어진 그래프의 정점을 클리크로 분할하는 클리크 커버에 해당한다. 완벽 그래프 G의 여 그래프도 완벽하다는 사실은, G 자체에서 독립수 (최대 독립 집합의 크기)가 클리크 커버 수 (클리크 커버에 필요한 최소 클리크 수)와 같음을 의미한다. 더 나아가, 여 그래프의 모든 유도 부분 그래프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이는 완벽 그래프에 대한 또 다른 동등한 정의를 제공하는데, 각 유도 부분 그래프에서 독립수가 클리크 커버 수와 같은 그래프가 바로 그것이다.

강한 완벽 그래프 정리는 속성 대신 구조를 사용하여 완벽 그래프를 정의하는 또 다른 방법을 제시한다. 이는 주어진 그래프 내에서 사이클 그래프와 그 여 그래프의 존재 여부에 기반한다. 길이가 3보다 큰 홀수 길이의 사이클은 완벽하지 않다. 즉, 클리크 수는 2이지만 채색수는 3이다. 완벽 그래프 정리에 따르면, 길이가 3보다 큰 홀수 사이클의 여 그래프도 완벽하지 않다. 길이가 5인 사이클의 여 그래프는 또 다른 길이가 5인 사이클이지만, 더 큰 홀수 길이의 경우 여 그래프는 사이클이 아니며, 이를 ''안티사이클''이라고 한다. 강한 완벽 그래프 정리는 완벽 그래프에 대한 유일한 금지된 유도 부분 그래프가 이것이라고 주장한다. 즉, 그래프는 유도 부분 그래프가 5개 이상의 정점을 갖는 홀수 사이클 또는 홀수 안티사이클을 포함하지 않을 때 완벽하다. 이 맥락에서, 삼각형이 아닌 유도된 사이클은 "구멍"이라고 하며, 그 여 그래프는 "안티구멍"이라고 하므로, 강한 완벽 그래프 정리는 더 간결하게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즉, 그래프는 홀수 구멍과 홀수 안티구멍이 없을 때만 완벽하다.

이러한 결과들을 완벽 그래프의 또 다른 특징과 결합할 수 있다. 즉, 클리크 수와 독립수의 곱이 정점 수보다 크거나 같고, 모든 유도 부분 그래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인 그래프이다. 이 특징은 그래프의 여 그래프에서 불변이므로 완벽 그래프 정리를 함의한다. 이 특징의 한 방향은 완벽의 원래 정의에서 쉽게 유도된다. 즉, 임의의 그래프에 있는 정점의 수는 최적 채색의 색상 클래스 크기의 합과 같고, 이는 색상 수에 독립수를 곱한 것보다 작거나 같다. 완벽 그래프에서 색상 수는 클리크 수와 같으므로, 이 부등식에서 색상 수를 클리크 수로 대체할 수 있다. 다른 방향은 직접 증명할 수도 있지만, 강한 완벽 그래프 정리에서도 따라온다. 즉, 그래프가 완벽하지 않으면 홀수 사이클 또는 그 여 그래프를 포함하며, 이러한 부분 그래프에서 클리크 수와 독립수의 곱은 정점 수보다 1만큼 작다.

3. 역사

완벽 그래프 개념은 헝가리의 수학자 걸러이 티보르(Gallai Tiborhu)가 1958년에 발표한 논문에서 처음 나타났다. 이 논문에서 걸러이는 이분 그래프여 그래프가 완벽 그래프임을 증명하였다.

"완벽 그래프"라는 용어는 1963년 프랑스의 수학자 클로드 베르주(Claude Berge프랑스어)가 처음으로 사용하였다. 베르주는 이 논문에서 강한 완벽 그래프 정리를 추측하였다. 약한 완벽 그래프 정리는 1972년에 헝가리의 수학자 로바스 라슬로가 증명하였다.[3][4]

강한 완벽 그래프 정리는 오랫동안 풀리지 않는 문제로 남아 있었다. 2002년, 마리아 추드노프스키(Maria Chudnovsky영어, מריה צ'ודנובסקיhe), 닐 로버트슨( Neil Robertson영어), 폴 시모어(Paul Seymour영어), 로빈 토머스(Robin Thomas영어)가 강한 완벽 그래프 정리의 증명을 발표하였고, 2006년에 출판하였다.[5]

4. 종류

이분 그래프, 현 그래프 등 여러 종류의 그래프가 완벽 그래프에 속한다. 이러한 그래프들은 조합 구조에 대한 최소-최대 정리와 관련이 있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이분 그래프와 그 선 그래프의 완벽성은 쾨니그의 정리와 관련이 있고, 비교 가능 그래프의 완벽성은 딜워스의 정리 및 미르스키의 정리와 관련이 있다.

순열 (4,3,5,1,2)의 순열 그래프는 순열에 의해 순서가 뒤바뀌는 원소 쌍을 연결한다.


순열 그래프는 원소의 전체 순서 시퀀스(보통 1에서 n까지의 정수)에 대한 순열로부터 정의되며, 이 순열은 그래프의 꼭짓점을 형성한다. 순열 그래프의 변은 주어진 순열에 의해 순서가 뒤바뀌는 원소 쌍을 연결한다. 이것은 x가 주어진 시퀀스 및 해당 순열 모두에서 y보다 먼저 발생할 때마다 x\le y가 성립하는 부분 순서에 해당하며, 비교 불가능성 그래프이다. 순열 그래프의 여집합은 주어진 순열의 역에 대한 또 다른 순열 그래프이다. 따라서 순열 그래프는 비교 불가능성 그래프이자 비교 가능성 그래프이기도 하다. 실제로 순열 그래프는 비교 가능성 그래프이자 비교 불가능성 그래프인 정확한 그래프이다. 순열 그래프에서 클릭은 주어진 순열에서 증가하는 순서로 나타나는 원소의 부분 수열이며, 독립 집합은 감소하는 순서로 나타나는 원소의 부분 수열이다. 모든 완전 그래프에서 클릭 수와 독립 수의 곱은 꼭짓점 수보다 크다. 순열 그래프에 대한 이 부등식의 특수한 경우는 에르되스-세케레시 정리이다.

구간 그래프와 이를 정의하는 구간


구간 그래프는 실수선상의 구간 집합에 의해 정의된 순서인 구간 순서의 비교 불가능성 그래프이다. x\le y는 구간 x가 구간 y의 왼쪽에 완전히 있을 때 성립한다. 해당 구간 그래프에서 두 구간이 공통점을 가질 때마다 x에서 y로 변이 있다. 이러한 그래프의 채색은 각 작업의 예약된 시간을 설명하는 구간을 사용하여 (교실을 수업에 할당하는 것과 같은) 작업에 자원을 할당하는 문제를 모델링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구간 그래프와 순열 그래프는 모두 사다리꼴 그래프에 의해 일반화된다. 두 구간이 중첩되지 않는 구간 시스템은 무관심 그래프를 생성하며, 이는 반순서의 비교 불가능성 그래프이다. 이는 항목이 서로 매우 유사한 효용성을 가질 때 비교 불가능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인간의 선호를 모델링하는 데 사용되었다. 모든 쌍이 중첩되거나 분리된 구간은 자명하게 완전한 그래프를 생성하며, 정렬된 트리의 비교 가능성 그래프이다. 이 그래프에서 독립 수는 최대 클릭의 수와 같다.

거리-유전 그래프에서 정점 추가의 세 가지 유형


거리-유전 그래프는 단일 정점 그래프에서 시작하여 차수 1 정점("매달린 정점") 또는 기존 정점의 복사본(동일한 이웃을 가짐)을 반복적으로 추가하여 형성된다. 각 정점과 해당 복사본은 인접할 수도 있고('진짜 쌍둥이'), 인접하지 않을 수도 있다('가짜 쌍둥이'). 이러한 그래프의 모든 연결된 유도된 부분 그래프에서 정점 간의 거리는 전체 그래프와 동일하다. 쌍둥이 연산만 사용하면 코그래프가 된다. 코그래프는 직렬-병렬 부분 순서의 비교 가능 그래프이며, 보수 및 그래프의 분리 합집합을 결합하는 다른 구성 과정을 통해 형성될 수도 있다.

현 그래프와 거리-유전 그래프를 모두 갖는 그래프는 프톨레마이오스 그래프라고 불리며, 그 거리는 프톨레마이오스 부등식을 따른다. 여기에는 제한된 형태의 거리-유전 구성 시퀀스가 있는데, 가짜 쌍둥이는 해당 이웃이 클릭을 형성할 때만 추가할 수 있다. 여기에는 단일 정점에서 연결된 클릭으로 구성된 풍차 그래프와 각 양방향 연결된 구성 요소가 클릭인 블록 그래프가 특별한 경우로 포함된다.

임계 그래프는 빈 그래프에서 반복적으로 고립 정점(다른 정점과 연결되지 않음) 또는 보편 정점(다른 모든 정점과 연결됨)을 추가하여 형성된다. 이는 분할 그래프와 자명하게 완전한 그래프의 특수한 경우이다. 이들은 정확히 자명하게 완전하고 자명하게 완전한 그래프의 보수이고, 코그래프이자 분할 그래프이기도 하다.

거리-유전 그래프의 정점이 점진적 구성 시퀀스의 순서로 채색되면 결과 채색은 최적이 된다. 비교 가능 그래프의 정점이 기본 부분 순서의 선형 확장 순서로 채색되면 결과 채색은 최적이 된다. 이 속성은 완전하게 순서화 가능한 그래프로 일반화되는데, 이는 유도된 부분 그래프로 제한될 때 탐욕적 채색이 최적이 되도록 하는 순서가 존재하는 그래프이다. 코그래프는 모든 정점 순서가 이 속성을 갖는 그래프이다. 완전하게 순서화 가능한 그래프의 또 다른 하위 클래스는 구간 그래프의 일반화인 허용 오차 그래프의 보수이다.

라인 완전 그래프, 검은색 이분 이중 연결된 구성 요소, 파란색 K_4, 빨간색 삼각 책


라인 완전 그래프 L(G)의 기본 그래프 G는 이중 연결된 구성 요소가 이분 그래프, 완전 그래프 K_4, 삼각 책인 그래프이다. 이 구성 요소는 완전하며, 이들의 조합은 완전성을 유지하므로 모든 라인 완전 그래프는 완전하다.[4]

최대 클릭 (굵은 정점과 변)의 각 정점에 서로 다른 색상을 할당한 다음, 나머지 각 정점에 인접하지 않은 클릭 정점과 같은 색상을 할당하여 얻은 분할 그래프의 최적 색칠


분할 그래프는 클릭과 독립 집합으로 분할할 수 있는 그래프이다. 최대 클릭의 각 정점에 서로 다른 색상을 할당한 다음, 나머지 각 정점을 인접하지 않은 클릭 정점과 같은 색상으로 칠하여 색칠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그래프는 클릭 수와 채색수가 같으며, 완전 그래프이다. 더 넓은 범위의 그래프인 ''단극 그래프''는 클릭과 클리크의 분리된 합집합인 클러스터 그래프로 분할될 수 있다. 여기에는 클러스터 그래프가 단일 클릭인 이분 그래프도 포함된다. 단극 그래프와 그 여집합은 함께 ''일반화된 분할 그래프''의 클래스를 형성한다. 대부분의 완전 그래프는 일반화된 분할 그래프이다. 즉, 완전한 n 정점 그래프 중에서 일반화된 분할 그래프인 그래프의 비율은 n이 임의로 커짐에 따라 극한에서 1로 수렴한다.

대부분의 완전 그래프의 다른 극한적 특성은 일반화된 분할 그래프를 연구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거의 모든 완전 그래프가 해밀턴 사이클을 포함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H가 임의의 그래프인 경우, H가 큰 무작위 완전 그래프의 유도된 부분 그래프로 나타날 극한 확률은 H가 일반화된 분할 그래프가 아닌 경우, 단극 또는 공동 단극이지만 둘 다 아닌 경우, 또는 둘 다 단극 및 공동 단극인 경우 각각 0, 1/2 또는 1이다.

거리-유전 그래프도 아니고 이분 그래프도 아닌 패리티 그래프


강하게 완벽한 그래프는 모든 유도 부분 그래프에서 모든 극대 클릭과 교차하는 독립 집합이 존재하는 그래프이다. Meyniel 그래프 또는 ''매우 강하게 완벽한 그래프''에서는 모든 정점이 그러한 독립 집합에 속한다. Meyniel 그래프는 길이가 5 이상인 모든 홀수 사이클에 최소 두 개의 현이 있는 그래프로도 특징지을 수 있다.

패리티 그래프는 모든 두 정점 사이에서 모든 유도 경로가 동일한 패리티를 갖는다는 속성으로 정의된다. 즉, 길이가 모두 짝수이거나 모두 홀수이다. 여기에는 두 정점 사이의 모든 유도 경로가 동일한 길이를 갖는 거리-유전 그래프와 두 정점 사이의 모든 경로(유도 경로뿐 아니라)가 동일한 패리티를 갖는 이분 그래프가 포함된다. 패리티 그래프는 Meyniel 그래프이므로 완벽하다. 긴 홀수 사이클에 현이 하나만 있다면 현의 끝점 사이의 사이클의 두 부분은 서로 다른 패리티의 유도 경로가 될 것이다. 모든 패리티 그래프의 프리즘(단일 에지와의 데카르트 곱)은 또 다른 패리티 그래프이며, 패리티 그래프는 프리즘이 완벽한 유일한 그래프이다.

4. 1. 이분 그래프

이분 그래프 (가장자리 하나 이상)에서 채색수와 클릭수는 모두 2와 같다. 유도된 부분 그래프는 이분 그래프로 유지되므로 이분 그래프는 완벽 그래프이다.[1] 이분 그래프는 완전 그래프이며, 트리와 중앙 그래프가 그 예이다.[2] 완전 그래프 정리에 따르면 이분 그래프에서 최대 독립 집합의 크기는 최소 클릭 커버의 크기와 같다. 최대 독립 집합은 모든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정점 집합인 최소 정점 커버의 여집합이다. 최소 클릭 커버는 최대 매칭 (가능한 한 많은 분리된 가장자리)과 나머지 모든 정점에 대한 단일 정점 클릭으로 구성되며, 크기는 정점 수에서 매칭 가장자리 수를 뺀 것이다. 따라서 이 등식은 이분 그래프에서 최대 매칭의 크기와 최소 정점 커버의 크기 사이의 등식, 즉 쾨니그의 정리의 일반적인 공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3]

이분 그래프(왼쪽)와 그 라인 그래프(오른쪽). 라인 그래프에서 음영 처리된 클릭은 기본 이분 그래프의 정점에 해당하며, 해당 정점의 차수와 크기가 같다.


어떤 그래프 G에서 매칭은 라인 그래프 L(G)에서 독립 집합과 같다. L(G)G의 각 가장자리에 대해 정점을 갖고, G에서 공통 끝점을 공유하는 각 가장자리의 쌍에 대해 L(G)에서 두 정점 사이에 가장자리를 갖는 그래프이다. 라인 그래프는 두 종류의 클릭을 갖는데, 공통 끝점을 갖는 G의 가장자리 집합과 G의 삼각형이다. 이분 그래프에는 삼각형이 없으므로 L(G)의 클릭 커버는 G의 정점 커버에 해당한다. 따라서 이분 그래프의 라인 그래프에서 독립수와 클릭 커버 수는 같다. 이분 그래프의 라인 그래프의 유도된 부분 그래프는 부분 그래프의 라인 그래프이므로 이분 그래프의 라인 그래프는 완전 그래프이다.[4] 룩의 그래프와 완전 이분 그래프의 라인 그래프가 그 예시이다. 모든 이분 그래프의 라인 그래프는 룩의 그래프의 유도된 부분 그래프이다.[5]

이분 그래프의 라인 그래프는 완전 그래프이므로 클릭 수는 채색수와 같다. 이분 그래프의 라인 그래프의 클릭 수는 기본 이분 그래프의 모든 정점의 최대 차수이다. 이분 그래프의 라인 그래프의 채색수는 기본 이분 그래프의 채색 지수이며, 인접한 가장자리가 서로 다른 색상을 갖도록 가장자리를 색칠하는 데 필요한 최소 색상 수이다. 각 색상 클래스는 매칭을 형성하며, 채색 지수는 모든 가장자리를 덮는 데 필요한 최소 매칭 수이다. 이분 그래프에서 최대 차수와 채색 지수의 등식은 데네스 쾨니그의 또 다른 정리이다. 임의의 단순 그래프에서는 이 둘의 값이 1만큼 다를 수 있는데, 이것은 비징의 정리이다.[4]

4. 2. 현 그래프

현 그래프는 정점이 추가될 때 그 이웃이 클릭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점진적으로 구성되는 그래프이다. 현 그래프는 짝수 또는 홀수의 구멍(유도 순환)이 없는 그래프로도 특징지을 수 있다. , 구간 그래프, 최대 외평면 그래프 등은 현 그래프의 특수한 예시이다. 분할 그래프는 현 그래프이면서 동시에 현 그래프의 보 그래프인 그래프이다. -트리는 트리 너비를 정의할 때 핵심적인 요소로 사용되며, k+1개의 정점으로 구성된 클릭에서 시작하여 동일한 크기의 클릭을 형성하는 정점을 반복적으로 추가하는 방식으로 형성된 현 그래프이다.

현 그래프의 정점에 탐욕적 채색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점진적 구성 시퀀스의 순서대로 채색하면 최적의 채색 결과를 얻는다. 이 구성 과정에서 사용된 정점 순서의 역순은 '제거 순서'라고 불린다.

4. 3. 비교가능 그래프

부분 순서 집합은 원소 집합과 비교 관계 \le로 정의되며, 이 관계는 반사적(모든 원소 x에 대해, x\le x), 반대칭적(만약 x\le y이고 y\le x이면, x=y), 추이적(만약 x\le y이고 y\le z이면, x\le z)이다. 원소 xyx\le y 또는 y\le x이면 "비교 가능"하고, 그렇지 않으면 "비교 불가능"하다. 예를 들어, 집합 포함 (\subseteq)은 모든 집합족을 부분적으로 순서화한다. 부분 순서 집합의 비교 가능성 그래프는 부분 순서 집합의 원소를 꼭짓점으로 가지며, 비교 가능한 임의의 두 원소를 연결하는 변을 갖는다. 그 여집합은 "비교 불가능성 그래프"라고 한다. 서로 다른 부분 순서는 동일한 비교 가능성 그래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든 비교를 반전시키면 순서는 변경되지만 그래프는 변경되지 않는다.

하세 다이어그램 부분 순서 집합과, 비교 가능성 그래프


유한한 비교 가능성 그래프 (및 그 여집합인 비교 불가능성 그래프)는 항상 완전 그래프이다.[1] 비교 가능성 그래프에서 클릭은 쌍으로 비교 가능한 원소의 부분 집합에서 발생하며, 이러한 부분 집합을 사슬이라고 하며, 주어진 부분 순서에 의해 선형적으로 정렬된다. 독립 집합은 비교 불가능한 원소의 부분 집합에서 발생하며, 이러한 부분 집합을 반사슬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예시된 부분 순서 및 비교 가능성 그래프에서 \{A,B,C\}는 순서에서 사슬이고 그래프에서 클릭인 반면, \{C,D\}는 순서에서 반사슬이고 그래프에서 독립 집합이다. 따라서, 비교 가능성 그래프의 채색은 원소를 반사슬로 분할하는 것이고, 클릭 커버는 원소를 사슬로 분할하는 것이다. 부분 순서 이론의 딜워스 정리는 모든 유한 부분 순서에 대해 가장 큰 반사슬의 크기가 원소를 분할할 수 있는 최소 사슬 수와 같다고 명시한다. 그래프 언어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모든 유한 비교 가능성 그래프는 완전 그래프이다. 마찬가지로 미르스키의 정리는 모든 유한 부분 순서에 대해 가장 큰 사슬의 크기가 원소를 분할할 수 있는 최소 반사슬 수와 같다고 명시하며, 즉 모든 유한 비교 불가능성 그래프는 완전 그래프이다. 이 두 정리는 완전 그래프 정리를 통해 동등하지만, 미르스키의 정리가 딜워스 정리보다 직접 증명하기 더 쉽다. 각 원소에 대해 해당 원소가 최대인 가장 큰 사슬의 크기로 레이블을 지정하면, 동일한 레이블을 가진 부분 집합은 반사슬로 분할되며, 반사슬의 수는 전체적으로 가장 큰 사슬의 크기와 같다.[2] 모든 이분 그래프는 비교 가능성 그래프이다. 따라서, 쾨니그의 정리는 완전 그래프 이론을 통해 연결된 딜워스 정리의 특수한 경우로 볼 수 있다.[3]

4. 4. 기타 완벽 그래프



위 그래프들의 여 그래프 역시 완벽 그래프 정리에 의하여 완벽 그래프이다.

분할 그래프는 클리크와 독립 집합으로 분할할 수 있는 그래프이다. 최대 클리크의 각 정점에 서로 다른 색상을 할당한 다음, 나머지 각 정점을 인접하지 않은 클리크 정점과 같은 색상으로 칠하여 색칠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그래프는 클리크 수와 채색수가 같으며, 완전 그래프이다. 더 넓은 범위의 그래프인 ''단극 그래프''는 클리크와 클리크의 분리된 합집합인 클러스터 그래프로 분할될 수 있다. 여기에는 클러스터 그래프가 단일 클리크인 이분 그래프도 포함된다. 단극 그래프와 그 여집합은 함께 ''일반화된 분할 그래프''의 클래스를 형성한다. 대부분의 완전 그래프는 일반화된 분할 그래프이다. 즉, 완전한 n 정점 그래프 중에서 일반화된 분할 그래프인 그래프의 비율은 n이 임의로 커짐에 따라 극한에서 1로 수렴한다.

대부분의 완전 그래프의 다른 극한적 특성은 일반화된 분할 그래프를 연구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거의 모든 완전 그래프가 해밀턴 사이클을 포함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H가 임의의 그래프인 경우, H가 큰 무작위 완전 그래프의 유도된 부분 그래프로 나타날 극한 확률은 H가 일반화된 분할 그래프가 아닌 경우, 단극 또는 공동 단극이지만 둘 다 아닌 경우, 또는 둘 다 단극 및 공동 단극인 경우 각각 0, 1/2 또는 1이다.

강하게 완벽한 그래프는 모든 유도 부분 그래프에서 모든 극대 클릭과 교차하는 독립 집합이 존재하는 그래프이다. Meyniel 그래프 또는 ''매우 강하게 완벽한 그래프''에서는 모든 정점이 그러한 독립 집합에 속한다. Meyniel 그래프는 길이가 5 이상인 모든 홀수 사이클에 최소 두 개의 현이 있는 그래프로도 특징지을 수 있다.

패리티 그래프는 모든 두 정점 사이에서 모든 유도 경로가 동일한 패리티를 갖는다는 속성으로 정의된다. 즉, 길이가 모두 짝수이거나 모두 홀수이다. 여기에는 두 정점 사이의 모든 유도 경로가 동일한 길이를 갖는 거리-유전 그래프와 두 정점 사이의 모든 경로(유도 경로뿐 아니라)가 동일한 패리티를 갖는 이분 그래프가 포함된다. 패리티 그래프는 Meyniel 그래프이므로 완벽하다. 긴 홀수 사이클에 현이 하나만 있다면 현의 끝점 사이의 사이클의 두 부분은 서로 다른 패리티의 유도 경로가 될 것이다. 모든 패리티 그래프의 프리즘(단일 에지와의 데카르트 곱)은 또 다른 패리티 그래프이며, 패리티 그래프는 프리즘이 완벽한 유일한 그래프이다.

5. 알고리즘

완벽 그래프에서는 그래프 색칠 문제, 최대 클릭 문제, 최대 서로 소 집합 문제 등 여러 NP-완전 문제를 다항 시간 안에 해결할 수 있다.

그래프 \Gamma가 완벽 그래프이기 위한 세 가지 조건은 다음과 같으며, 이들은 서로 동치이다.[2]


  • \Gamma는 완벽 그래프이다.
  • \Gamma여 그래프는 완벽 그래프이다.
  • \Gamma는 5 이상의 홀수 길이의 회로를 갖지 않는다. 또한, 모든 유도 부분 그래프 \tilde\Gamma에 대하여, \tilde\Gamma여 그래프는 길이 5 이상의 홀수 길이의 회로가 아니다.


처음 두 조건의 동치는 '''약한 완벽 그래프 정리'''(weak perfect graph theorem영어)라고 하며, 세 번째 조건의 동치는 '''강한 완벽 그래프 정리'''(strong perfect graph theorem영어)라고 한다. 세 번째 조건은 여 그래프에 대하여 불변이므로, 약한 완벽 그래프 정리는 강한 완벽 그래프 정리의 따름정리다.

세 번째 조건은 다항식 시간 알고리즘으로 구현할 수 있다.[2] 즉, 완벽 그래프는 다항식 시간으로 식별할 수 있다.

완전 그래프의 경우, 그래프 채색 문제, 최대 클릭 문제, 최대 독립 집합 문제는 모두 다항 시간 내에 해결할 수 있다. 일반적인 경우의 알고리즘은 이러한 그래프의 러바스 수를 포함한다.

이 알고리즘에서 사용되는 반정부호 프로그래밍의 해결 방법은 선형 프로그래밍을 위한 타원체 방법에 기반한다. 이는 완전 그래프에서 채색수와 클릭수를 계산하기 위한 다항 시간 알고리즘으로 이어진다.

이 방법은 또한 클릭수 대신 가중 그래프에서 최대 클릭의 최대 가중치를 찾는 데에도 일반화될 수 있다. 최대 또는 최대 가중치 클릭 자체와 그래프의 최적 채색 또한 이러한 방법으로 찾을 수 있으며, 그래프의 여집합에 동일한 접근 방식을 적용하여 최대 독립 집합을 찾을 수 있다.

완전 그래프와 관련된 또 다른 중요한 계산 문제는 완전 그래프의 인식, 즉 주어진 그래프가 완전한지 테스트하는 문제이다. 강한 완벽 그래프 정리가 증명된 후, 홀 또는 안티홀의 존재를 테스트하기 위한 다항 시간 알고리즘이 발견되었다. 강한 완벽 그래프 정리에 따라, 이는 주어진 그래프가 다항 시간 내에 완전한지 테스트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참조

[1] Harvtxt
[2] 저널 Recognizing Berge graphs 2005
[3] 저널 Normal hypergraphs and the perfect graph conjecture 1972
[4] 저널 A characterization of perfect graphs 1972
[5] 저널 The strong perfect graph theorem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