왔노라, 보았노라, 이겼노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왔노라, 보았노라, 이겼노라"는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폰토스 왕 파르나케스 2세와의 젤라 전투에서 승리한 후 측근 가이우스 마티우스에게 보낸 편지에 쓴 라틴어 문구이다. 이 문구는 카이사르의 간결한 문체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시로, 군사적 승리를 간결하게 표현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후 다양한 분야에서 인용 및 변형되어 사용되었으며, 한국 사회에서도 정치, 대중문화 등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왔노라, 보았노라, 이겼노라"는 카이사르가 기원전 47년 젤라 전투에서 승리한 후 로마에 있는 그의 친구 가이우스 마티우스에게 보낸 편지에서 유래한 문구이다.
'왔노라, 보았노라, 이겼노라'는 각각 "오다", "보다", "정복하다"를 뜻하는 라틴어 동사 'venire', 'videre', 'vincere'의 1인칭 단수 완료 직설법 능동태 형태이다. 이 문장은 삼단어구이자, 각 단어가 동일한 의미를 반복하는 헨디아트리스로 분류된다. 영어 번역 문구는 쉼표 연결이라는 문법적 오류를 사용하지만, 무연결체의 예시로 정당화될 수 있으며, 예상되는 접속사의 부재는 카이사르의 승리의 갑작스러움과 신속함을 강조한다. 또한, 이 문장은 첫 자음의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해 유명한 두운의 예시로도 사용된다.[9][10]
2. 역사적 배경
2. 1. 젤라 전투
로마 내전에서 카이사르가 이끄는 로마군이 나일 전투에서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파라오인 프톨레마이오스 13세 등을 격파한 후, 소아시아에 파견했던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칼비누스가 폰토스 왕 파르나케스 2세에게 패배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카이사르는 기원전 47년 6월에 이집트를 출발하여, 도중에 시리아와 킬리키아를 안정시키면서 폰토스로 향했고, 기원전 47년 8월 2일, 폰토스 서부의 젤라에서 파르나케스 2세와 전투를 벌였다. 전투는 4시간 정도 만에 카이사르가 지휘하는 로마군의 승리로 끝났다. 이때 로마에 있는 측근 중 한 명인 가이우스 마티우스에게 "왔노라, 보았노라, 이겼노라"라고 적은 편지를 보냈다.
카이사르의 문체는 라틴 문학의 쌍벽으로 여겨지는 키케로와는 대조적으로, 명료하고 간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 "왔노라, 보았노라, 이겼노라"의 세 단어는 그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
2. 2. 카이사르의 문체
카이사르의 문체는 라틴 문학의 쌍벽으로 여겨지는 키케로와는 대조적으로, 명료하고 간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왔노라, 보았노라, 이겼노라"의 세 단어는 그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
3. 문법적 특징
3. 1. 라틴어 문법
이 문장은 세 개의 짧은 동사구로 이루어진 삼단어구이자, 각 단어가 동일한 의미를 반복하는 헨디아트리스로 분류된다.
3. 2. 영어 번역과 문법
"왔노라, 보았노라, 이겼노라"라는 영어 문구는 쉼표 연결이라고 알려진 문법적 오류를 사용한다. 문법학자들은 두 개의 독립절을 연결할 때 쉼표 사용을 자제해야 한다고 일반적으로 동의한다.[9] 때때로, 쉼표 연결은 세미콜론을 사용하여 피할 수 있다. "왔노라; 보았노라; 이겼노라".[10] 또는, "왔노라, 보았노라, 이겼노라"는 무연결체의 예시로 정당화될 수 있으며, 예상되는 접속사의 부재는 카이사르의 승리의 갑작스러움과 신속함을 강조한다. 마찬가지로, 이 문장은 첫 자음의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해 유명한 두운의 예시로도 사용된다.
4. 현대적 인용 및 변형
"왔노라, 보았노라, 이겼노라"는 카이사르 시대 이후 군사적 맥락뿐만 아니라, 예술, 문학, 대중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인용되거나 변형되어 사용되고 있다. 폴란드 국왕 얀 3세는 비엔나 전투 이후 "Venimus, Vidimus, Deus vicit"("우리가 왔고, 보았고, 신이 이겼다")라고 언급했으며, 힐러리 클린턴은 무아마르 카다피 사망과 관련하여 "우리가 왔고, 보았고, 그가 죽었다"라는 유사한 문구를 사용했다.[5][6][7] 헨델의 오페라 ''줄리오 체사레''에는 Curio, Cesare venne, e vide e vinse|쿠리오, 카이사르가 와서 보고 이겼다it라는 대사가 나오며, 빅토르 위고의 시 Veni, vidi, vixi|왔노라, 보았노라, 살았노라프랑스어는 딸 레오폴딘의 죽음 이후 쓰여 이 문구를 암시한다. 고스트버스터즈의 피터 벤크먼은 "우리가 왔지. 봤지. 엉덩이를 걷어찼지!"라는 변형을 선보였다.[8] 필립 모리스의 말보로 로고, 1965년 F1 멕시코 그랑프리에서 혼다 F1 팀의 첫 우승, 오사카 니혼바시 덴덴타운의 가전 판매점 "기타 상점"의 캐치프레이즈 등에도 사용되었다.[13][14]
4. 1. 군사적 맥락
폴란드의 국왕 얀 3세 소비에스키는 17세기 비엔나 전투 이후 "Venimus, Vidimus, Deus vicit"("우리가 왔고, 보았고, 신이 이겼다")라고 말했다.[5] 2011년 미국 국무장관이었던 힐러리 클린턴은 무아마르 카다피의 사망과 관련하여 "우리가 왔고, 보았고, 그가 죽었다"라는 유사한 문구를 사용했다.[6][7]4. 2. 예술 및 대중문화
"왔노라, 보았노라, 이겼노라"는 음악, 미술, 문학, 엔터테인먼트에서 다양하게 변형되어 사용되고 있다.헨델의 1724년 오페라 ''줄리오 체사레''에는 Curio, Cesare venne, e vide e vinse|쿠리오, 카이사르가 와서 보고 이겼다it라는 대사가 나온다. 대중음악에서는 원래 인용구를 알고 있다는 전제하에 변형된 표현이 자주 사용된다. 뮤지컬 ''메임''의 타이틀 곡(''You came, you saw, you conquered'')이나 1936년 노래 These Foolish Things (Remind Me of You)(''You came, you saw, you conquered me'')처럼 약간 변형하거나, 스웨덴 밴드 The Hives의 앨범 ''Veni Vidi Vicious'', Pitbull의 노래 "Fireball"(I saw, I came, I conquered Or should I say, I saw|나는 보았고, 왔고, 정복했어. 아니면 내가 보았다고 해야 할까영어) I conquered, I came") 또는 Ja Rule의 데뷔 앨범 ''Venni Vetti Vecci''처럼 말장난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문학과 영화에서도 많이 언급되었다. 빅토르 위고의 시 Veni, vidi, vixi|왔노라, 보았노라, 살았노라프랑스어는 1843년 19세 딸 레오폴딘의 죽음 이후 쓰였으며 첫 구절에서 J'ai bien assez vécu...|나는 충분히 오래 살았다...프랑스어라며 이 문구를 암시한다. 1984년 영화 ''고스트버스터즈''의 피터 벤크먼은 "우리가 왔지. 봤지. 엉덩이를 걷어찼지!"라는 유머러스한 변형을 선보였다.[8]
4. 3. 기타
이 문구는 대중문화에서 다양하게 변형되어 사용되었다. 필립 모리스의 담배 브랜드 말보로 로고에 이 문구가 사용되었다.[13] 1965년 F1 멕시코 그랑프리에서 혼다 F1 팀이 첫 우승을 차지했을 때, 나카무라 요시오 감독은 혼다 본사에 "Veni,Vidi,Vici.|왔노라, 보았노라, 이겼노라.la"라는 전보를 보냈다.[13] 오사카 니혼바시 덴덴타운의 가전 판매점 "기타 상점"은 "왔노라, 보았노라, 샀노라"라는 캐치프레이즈를 사용했다.[14]5. 한국 사회에서의 수용과 의미 변화
한국 사회에서 "왔노라, 보았노라, 이겼노라"는 원래의 의미를 넘어 다양한 맥락에서 활용된다. 특히, 정치인들은 자신의 업적을 강조하거나, 선거 유세에서 승리를 다짐하는 구호로 이 문구를 변형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이는 때로 과장된 자기 홍보나 권위주의적 태도로 비춰질 수 있다.
참조
[1]
서적
Imperial Ideology and Provincial Loyalty in the Roman Empir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6-01-07
[2]
웹사이트
HISTORY OF JULIUS CAESAR
http://www.historywo[...]
[3]
웹사이트
Life of Caesar
https://penelope.uch[...]
[4]
웹사이트
Julius
https://penelope.uch[...]
[5]
서적
Lettere memorabili, istoriche, politiche, ed erudite
https://books.google[...]
Bulifon
[6]
뉴스
Clinton on Qaddafi: "We came, we saw, he died"
http://www.cbsnews.c[...]
CBS Interactive Inc.
2014-11-07
[7]
웹사이트
Hillary Clinton on Gaddafi: "We Came, We Saw, He Died" (Video)
https://www.thewrap.[...]
2024-11-14
[8]
웹사이트
AFI's 100 Years...100 Movie Quotes—400 nominated movie quotes
http://www.afi.com/D[...]
American Film Institute
2012-07-18
[9]
서적
Murder of a Manuscript: Writing and Editing Tips to Keep Your Book Out of the Editorial Graveyard
https://books.google[...]
Lighthouse Publishing of the Carolinas
[10]
서적
Barron's GED Canada: High School Equivalency Exam
https://books.google[...]
Barron's Educational Series
[11]
문서
Βίοι Παράλληλοι/Καίσαρ 50
https://www.wikisour[...]
[12]
문서
De vita Caesarum libri VIII/Vita divi Iuli 37
https://www.wikisour[...]
[13]
웹사이트
SEEVERT GALLERY「Honda F-1初優勝」
http://www.honda.co.[...]
HONDA
2017-05-18
[14]
웹사이트
大阪・日本橋の有名電器店「喜多商店」が閉店
http://sankei.jp.msn[...]
MSN産経ニュース
2013-08-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