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당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왕당파(王黨派, 영어: royalist)는 군주제의 유지나, 군주에 의한 통치(친정)를 주장하는 정치 당파이다. 근왕파라고도 불리며, 공화파(republican)와 대립한다.
개요왕당파는 시민 혁명에 반대하며 절대 왕정과 귀족제의 유지를 주장한다. 입헌군주제를 지향하는 입헌군주파도 넓은 의미에서 왕당파에 포함될 수 있다. 왕당파는 왕권 강화의 필수 세력으로, 왕정을 유지하고 정당화하는 역할을 한다. 반드시 귀족만이 왕당파인 것은 아니며, 부르주아, 시민, 농민 등의 지지를 받는 왕당파도 존재한다.
프랑스 혁명기의 왕당파프랑스 혁명기의 왕당파는 프로방스 백작(루이 18세)과 아르투아 백작(샤를 10세) 등 왕족, 절대 왕정 시대의 구체제 귀족, 성직자 등을 지칭하는 말이었다. 이들은 프랑스 왕국과 같은 왕정 국가를 유지하려 했다. 왕정을 인정하되 의회의 통제를 받으려는 입헌군주제주의자(푀양파)도 있었으나, 혁명기에는 지롱드파와 자코뱅파 등 공화파의 공격 대상이 되어 왕당파로 묶여 함께 취급되었다. 특히 파리에서는 왕당파가 탄압과 테러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반면, 계몽주의의 영향이 적었던 지방에서는 급진적인 국왕 무용론이 대세로 자리 잡지는 못했다. 방데 반란처럼 징병제에 반대하고 종교의 자유를 요구하는 농민 반란에 지방 귀족이 합류하여 왕당파의 성격을 띠는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19세기 후반 제3공화국이 들어서면서 왕당파의 정치적 세력은 급격히 위축되었고, 프랑스는 다시 왕정으로 복고되지 못했다.
현대의 왕당파현재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 오스트리아 등 일부 국가에서 왕정 복고를 지향하는 소수의 왕당파가 활동하고 있다. 현대 프랑스에서는 왕당파가 거의 몰락했으나, 오를레앙주의를 기반으로 한 우파 자유주의 전통이 남아 있으며, 일부 극우 성향의 왕당파도 존재한다.
왕당파와 관련된 세력
- 정통왕당파 (Légitimistes): 프랑스 혁명 이후 부르봉가의 적장자가 살리카법에 따라 프랑스 국왕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 파벌이다. 부르봉 왕정복고의 주 세력이었으며, 오를레앙가의 7월 왕정을 부정했다.
- 오를레앙파: 입헌군주제를 지지하며 오를레앙가를 지지한 파벌이다.
- 보나파르트파: 나폴레옹 가문을 지지하며 제정 부활을 주장한 파벌이다.
다른 나라의 왕당파
- 잉글랜드: 잉글랜드 내전 당시 왕당파는 찰스 1세를 지지하며 의회파와 대립했다.
- 스페인: 스페인 내전 당시 왕당파는 프랑코를 중심으로 한 군부와 연합하여 공화파에 대항했다.
- 칠레: 칠레 독립 전쟁 당시 왕당파는 스페인 왕실을 지지하며 독립 세력에 대항했다.
기타왕당파는 단순히 군주제를 옹호하는 세력뿐 아니라, 사회, 경제, 문화적 측면에서 보수적인 성향을 띠는 경우가 많다. 왕당파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해 왔으며, 그들의 정치적 영향력과 활동은 각 국가와 시대적 상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참고 자료
- 위키백과: 왕당파, 정통왕당파, 프랑스 왕당파, 방데 전쟁
- 나무위키: 오를레앙파
- 우리역사넷
- 매일노동뉴스
- 교보문고
- 외교부
- 독립기념관
- KOCW 공개 강의
- 금성출판사
- 연세대학교
- 네이버 블로그
- YouTube
- kyotoreview.org
왕당파 | |
---|---|
왕당파 | |
![]() | |
개요 | |
정의 | 군주제를 지지하는 사람이나 단체 |
반대 | 공화주의 |
주요 지지 기반 | 귀족, 성직자, 보수주의자 |
역사 | |
시대별 왕당파 | 영국 내전 시기의 왕당파 (잉글랜드) 프랑스 혁명 시기의 왕당파 (프랑스) 스페인 내전 시기의 왕당파 (스페인) 미국 독립 전쟁 시기의 로열리스트 (미국 독립 전쟁) 러시아 내전 시기의 백군 오스트리아의 검은색-노란색 동맹 |
왕당파의 활동 | 군주 복원 운동 반혁명 운동 기존 질서 유지 |
대표적인 왕당파 인물 | 찰스 1세 루이 16세 니콜라이 2세 프란츠 요제프 1세 |
주요 사상 | 왕권신수설 전통주의 보수주의 |
현대 왕당파 | |
특징 | 입헌군주제 지지 상징적 군주제 유지 전통과 문화 존중 |
활동 | 군주제 복원 운동 (일부 국가) 군주 기념 행사 왕실 지지 활동 |
주요 국가 | 영국 스페인 캐나다 일본 |
비판 | |
비판 의견 | 민주주의 원칙에 대한 도전 특권층 옹호 시대착오적 이념 |
주요 비판자 | 공화주의자 사회주의자 민주주의자 |
관련 주제 | |
관련 개념 | 군주제 귀족정 보수주의 전통주의 왕실 |
관련 인물 | 군주 귀족 왕당파 지지자 |
관련 사건 | 영국 내전 프랑스 혁명 스페인 내전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