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왕발은 650년 태어난 중국 당나라 초기의 시인으로, '초당사걸' 중 한 명으로 꼽힌다. 그는 6세에 시를 짓고 10세에 경전을 읽을 정도로 신동으로 불렸으며, 고종의 아들 이현의 시독을 지내며 총애를 받았으나, 투계를 비판하는 글을 썼다가 좌천되었다. 이후 괵주 참군으로 재직 중 관노를 숨겨준 죄로 제명되었고, 아버지를 찾아가는 길에 배에서 익사했다. 그의 작품으로는 '등왕각서'와 '송두소부지임촉주' 등이 있으며, 시는 사람의 마음을 표현해야 한다는 신념을 바탕으로 당나라 문학에 새로운 스타일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647년 출생 - 야지드 1세
야지드 1세는 우마이야 칼리프조의 2대 칼리프로, 세습을 통해 즉위하여 반발을 샀으며, 후세인 이븐 알리의 죽음과 여러 반란으로 혼란스러운 통치를 했고, 오늘날까지도 그의 책임에 대한 논쟁이 이어지고 있다. - 674년 사망 - 홍인
홍인은 중국 선종의 제5대 조사로, 동산법문을 창시하여 중국 선종 발전의 토대를 마련하고, 신수와 혜능을 제자로 두었으며, 수심요론을 통해 가르침을 전한다. - 674년 사망 - 세노라
세노라는 오만족 출신으로 장낙진의 사위가 되어 힘을 키워 웨이샨 일대를 통일하고 649년 대몽국을 건국하여 왕위에 오른 인물이다. - 윈청시 출신 - 관우
관우는 후한 말기 ~ 삼국시대 촉한의 무장이자 정치인으로, 유비, 장비와 도원결의를 맺은 의형제로서 유비를 보좌하며 뛰어난 무예와 충절로 이름을 알렸으나, 손권의 계략으로 최후를 맞이한 후 동아시아에서 신으로 숭배받고 대중문화에서 영웅적 인물로 묘사되기도 하지만, 강직함과 자만심이 정치적 판단력에 부정적 영향을 주었다는 평가도 받는 인물이다. - 윈청시 출신 - 설인귀
설인귀는 당나라 초기의 무장으로, 태종의 고구려 원정에서 시작해 고종 때까지 활약하며 공을 세웠고, 고구려 멸망 후 안동도호부 책임자가 되어 유민을 다스렸으나, 토번과의 전투 패배와 모함으로 유배되는 등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으며, 그의 용맹함과 지략은 후대에 널리 알려져 민간 설화와 연극의 소재가 되었고 한국에서는 감악산 산신으로 숭배받기도 한다.
왕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중국어 | |
간체 | 王勃 |
병음 | Wáng Bó |
월병 | Wong4 But6 |
예일 | Wòhng Buht |
일본어 | |
한자 | 王勃 |
히라가나 | おう ぼつ |
로마자 | Ō Botsu |
인물 정보 | |
출생 | 650년 |
사망 | 676년 |
사망 장소 | 남중국해 |
문학 활동 | |
문학 사조 | 당시 |
2. 생애
왕발은 650년에 문학적 지위가 높은 집안에서 태어났다. 할아버지는 수나라의 유교 철학자 왕통이었다.[2] 아버지는 왕복치(王福畤)였다. 《구당서》에 따르면, 왕발은 6세에 시를 지을 수 있었고, 10세에 경전을 다 읽었다고 한다. 강주 용문현(현재의 산서성 운성시 허진시) 출신으로, 어릴 때부터 신동이라는 칭송을 받았다.
664년에 조산랑이 되었고, 이어서 고종의 아들인 패왕 이현의 시독이 되어 총애를 받았으나, 여러 왕들의 투계를 비판하는 「격영왕계문」(영왕은 후일의 중종)을 써서 출사가 금지되고 검남으로 좌천되었다. 괵주 (현재의 허난성 산먼샤시)의 참군이 되었을 때 죄를 범한 관노를 숨겨주지 못하고 죽여서 제명 처분을 받았다. 이 사건으로 인해 그의 아버지 역시 연루되어 교지로 유배되었다. 675년 12월 28일, 왕발은 교지에 있는 아버지를 찾아 떠났다. 이 여행에서 배를 타고 돌아오던 중 676년에 익사했다.[3] 저서로는 『왕자안집』 16권 외에, 중화민국의 뤄전위가 편집한 『왕자안집일문』 1권과, 일본에 전해지는 일문으로 쇼소인의 『왕발집잔』 2권이 있다.
2. 1. 어린 시절과 초기 경력
왕발은 650년에 문학적 지위가 높은 집안에서 태어났다. 할아버지는 수나라의 유교 철학자 왕통이었다.[2] 아버지는 왕복치(王福畤)였다. 《구당서》에 따르면, 왕발은 6세에 시를 지을 수 있었고, 10세에 경전을 다 읽었다고 한다. 강주 용문현(현재의 산서성 운성시 허진시) 출신으로, 어릴 때부터 신동이라는 칭송을 받았다.664년에 조산랑이 되었고, 이어서 고종의 아들인 패왕 이현의 시독이 되어 총애를 받았다. 그는 장회태자 (태자 장회) 밑에서 벼슬을 시작했으나, 조롱조로 격문을 썼다는 이유로 황제의 비판을 받았다. 또한 여러 왕들의 투계를 비판하는 「격영왕계문」(영왕은 후일의 중종)을 써서 출사가 금지되고 검남으로 좌천되었다.
2. 2. 정치적 좌절과 죽음
왕보는 664년에 조산랑이 되었고, 고종의 아들인 패왕 이현의 시독으로 총애를 받았다. 그러나 여러 왕들의 투계를 비판하는 「격영왕계문」(영왕은 후일의 중종)을 써서 출사가 금지되었고, 검남으로 좌천되었다.[3] 괵주(현재의 허난성 산먼샤시)의 참군이 되었을 때 죄를 범한 관노를 숨겨주지 못하고 죽여서 제명 처분을 받았다. 이 사건에 연루되어 교지군의 령으로 좌천된 아버지 왕복치를 찾아가는 도중, 676년에 남해를 항해하는 배에서 떨어져 익사했다.[3]3. 작품 세계 및 문학적 특징
왕발은 패왕부 시절 겪은 정치적 좌절을 문학 작품에 투영했다. 도투계격(讨斗鸡檄)을 써서 패왕을 칭찬했지만 황제는 이를 무시했고, 귀족 하인 조달(曹达)을 사형에 처하게 한 사건으로 정치 생활에 타격을 입었다. 이러한 사건들을 겪으며 그의 작품은 점차 자기 고백적으로 변모했고, 부정적 분위기와 함께 정치에 대한 열망을 담아냈다.
3. 1. 자기표현(Self-display)
왕보는 상관체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지만, 보조 문학 작품에서 시인의 진정한 모습을 반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문학적 목표는 사마천의 자서전적인 "사태공자서"(史太公自序)에서 영감을 받았다.[4] 왕보가 촉(蜀)에서 배왕과 함께 여행하면서 쓴 시 "부"(赋)에서 "유묘산서"(游庙山序)와 같은 자기 과시를 볼 수 있다. 이것은 왕보가 자연과 객관적인 세계의 탐험가이자 도교 지향자로서 겪었던 경험 속 주요 갈등을 처음으로 기록한 것이다.[4]"시는 사람의 마음을 표현한다"(诗言志)는 그의 이상이 당나라 초 문학계에 점차 확립됨에 따라, 왕보의 다른 두 서문인 "면주 북정군공 연서"(绵州北亭羣公宴序)와 "하일 제공 견심방 시서"(夏日诸公见寻访诗序), 그리고 그의 가장 유명한 작품 중 하나인 등왕각서(滕王阁序)는 정치 문제에 대한 실망감을 드러냄과 동시에 국가에 대한 강한 충성심을 보여준다.[4]
등왕각서는 그의 아버지를 찾기 위한 여정에서 쓰였으며, 이 과정에서 왕보는 홍주(洪州)에 도착하여 정치적 혼란으로 인해 큰 어려움을 겪었고, 하인을 죽였으며, 그의 문장에 대한 비판을 받았다.[4] 그는 자신의 본성에 충실하며,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 등왕각에서 현지 가을 풍경에 대해 썼다.[4] 그는 정치 생활에서 거친 경험을 한 비참한 사람이라고 묘사하며, 사마상여와 자신을 비교하여 국가에 기여하고자 하는 강한 소망을 반영했다. 이는 그의 "자기 과시"에 대한 명백한 증거이다.
"초당 사걸" 중 한 명으로서, 왕보의 "시는 사람의 마음을 표현한다"는 이념은 당나라 초 시풍 전반뿐만 아니라 당나라 문학계에서의 그의 중요한 지위에도 크게 기여했다. 남조의 유풍을 남기면서, 성당의 시를 예감하게 하는 신선하고 자유로운 발상이 왕발의 작품에서 나타난다. 20대의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난 이 시인의 절창으로, 교지(交趾)로 향하는 도중에 남창 도독이 등왕각에서 연회를 열고 지었다는 등왕각서와 그 시(칠언고시)가 특히 유명하다.
등왕고각림강저 | 등왕의 높은 누각, 강가에 임하고 |
패옥명란파가무 | 패옥이 울리고, 가무는 멈추네 |
화동조비남포운 | 그림 같은 난간, 아침에 남포의 구름을 날아오르고 |
주렴모권서산우 | 구슬 발은 저녁에 서산의 비를 걷어 올리네 |
한운담영일유유 | 한가로운 구름, 연못에 그림자 드리워, 날마다 유유히 흐르네 |
물환성이기도추 | 세상 만물 바뀌고, 별자리 옮겨가, 몇 번이나 가을이 왔는가 |
각중제자금하재 | 누각 안의 황제의 아들, 지금 어디에 있는가 |
함외장강공자류 | 난간 밖의 장강은, 헛되이 스스로 흐르네 |
3. 2. 패왕부(沛王府) 시절의 변화
왕발은 패왕부 시절 정치적 좌절을 겪었다. 이 시기에 왕발은 도투계격(讨斗鸡檄)을 써서 패왕의 지방 정부를 칭찬하며 궁정 주최 경쟁에서 승리했지만, 황제는 그의 신분을 문제 삼아 이 승리를 무시했다. 결국 왕발은 패왕부에서 강제로 추방되었다.[1]왕발은 귀족의 하인인 조달(曹达)을 사형에 처하게 한 사건으로 정치적 생애에 큰 타격을 입었다. 사형 선고에서는 풀려났지만, 이전 동료들 사이에서의 지위를 잃었다.[1]
이러한 사건들을 겪으며 왕발은 자신의 문체 스타일을 변경했다. 그의 문학 작품은 점점 더 '자기 노출'적으로 변했고, 부정적인 분위기와 함께 정치 문제로 돌아가려는 슬픈 감정과 열망을 반영했다.[1]
남조의 유풍을 남기면서, 성당의 시를 예감하게 하는 신선하고 자유로운 발상이 왕발의 작품에서 나타난다. 특히, 등왕각에서 지은 "등왕각 서(滕王閣序)"와 그 시(칠언고시)는 그의 대표작으로 꼽힌다.[1]
등왕고각림강저 | 등왕의 높은 누각, 강가에 임하고 |
패옥명란파가무 | 패옥이 울리고, 가무는 멈추네 |
화동조비남포운 | 그림 같은 난간, 아침에 남포의 구름을 날아오르고 |
주렴모권서산우 | 구슬 발은 저녁에 서산의 비를 걷어 올리네 |
한운담영일유유 | 한가로운 구름, 연못에 그림자 드리워, 날마다 유유히 흐르네 |
물환성이기도추 | 세상 만물 바뀌고, 별자리 옮겨가, 몇 번이나 가을이 왔는가 |
각중제자금하재 | 누각 안의 황제의 아들, 지금 어디에 있는가 |
함외장강공자류 | 난간 밖의 장강은, 헛되이 스스로 흐르네 |
4. 영향 및 업적
왕발은 궁체시풍(宫体诗风)에 반대하며 "시는 마음을 표현한다"는 것을 확립하고 발전시켜 당나라 문학에 새로운 스타일을 제시했다.[1] 그의 시 "두 소부의 촉주 부임에 부쳐"는 "당시 삼백 수"에 선정되었고, "등왕각서"는 중국 고등학교 교과서에 실려 있다.[1]
또한 왕발은 당나라 부(赋)에서도 높은 업적을 보였다. 초당과 성당 문학사에서는 "부 형식으로 시를 쓰는(以赋为诗)" 현상이 나타났는데, 왕발의 춘사부, 채련부는 모두 문학계에서 높은 평가를 받는다.[1] 왕발과 '사걸'은 새로운 장르를 시도하고 탐구하여 당나라 문학의 번영에 크게 기여했다.[1]
5. 평가
왕발과 그의 문학 작품에 대해서는 긍정적 평가와 부정적 평가가 모두 존재한다. 긍정적인 평가는 왕발이 재능이 뛰어나며 특히 시와 부에서 당나라 문학에 큰 영향을 주었다고 평가한다. 반면, 부정적인 평가는 왕발의 조대 살해 혐의를 언급하며, 그를 "경박하고 천박하다"고 평가한다.[5]
5. 1. 긍정적 평가
두보는 왕발과 초당사걸에 대한 비판적인 시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楊王盧駱當時體|양왕노락당시체|양, 왕, 노, 뤄 - 그 시대의 문체는중국어
輕薄爲文哂未休|경박위문신미휴|경박하고 얕아서, 경멸이 끊이지 않았네.중국어
爾曹身與名俱滅|이조신여명구멸|그대들 모두 - 그대들의 몸과 이름 모두 사라졌지만,중국어
不廢江河萬古流|불폐강하만고류|만 년 동안 강물은 끊이지 않고 흐르네.중국어[5]
단성식은 왕발의 뛰어난 글쓰기 재능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王勃至碑文贊,先磨墨數升,引被覆面臥,忽然而起,一筆書之,中間不更增減,人謂之腹稿|왕발지비문찬 선마묵수승 인피복면와 홀연이기 일필서지 중간불경증감 인위지복고|왕발이 비석문이나 찬사를 지을 때마다, 먼저 여러 리터의 먹을 갈고, 담요를 얼굴까지 덮고 누웠다. 갑자기 그는 일어나서 수정하거나 지우는 일 없이 한 번에 글을 썼다. 당시 사람들은 그것을 "뱃속 초고"라고 불렀다.중국어[5]
남조의 유풍을 남기면서, 성당의 시를 예감하게 하는 신선하고 자유로운 발상이 왕발의 작품에서 나타난다. 20대의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난 이 시인의 절창으로, 교지(交趾)로 향하는 도중에 남창 도독이 등왕각에서 연회를 열고 지었다는 "등왕각서(滕王閣序)"와 그 시(칠언고시)가 특히 유명하다.
滕王高閣臨江渚|등왕고각임강저|등왕의 높은 누각, 강가에 임하고중국어 |
佩玉鳴鸞罷歌舞|패옥명란파가무|패옥이 울리고, 가무는 멈추네중국어 |
畫棟朝飛南浦雲|화동조비남포운|그림 같은 난간, 아침에 남포의 구름을 날아오르고중국어 |
珠簾暮捲西山雨|주렴모권서산우|구슬 발은 저녁에 서산의 비를 걷어 올리네중국어 |
閒雲潭影日悠悠|한운담영일유유|한가로운 구름, 연못에 그림자 드리워, 날마다 유유히 흐르네중국어 |
物換星移幾度秋|물환성이기도추|세상 만물 바뀌고, 별자리 옮겨가, 몇 번이나 가을이 왔는가중국어 |
閣中帝子今何在|각중제자금하재|누각 안의 황제의 아들, 지금 어디에 있는가중국어 |
檻外長江空自流|함외장강공자류|난간 밖의 장강은, 헛되이 스스로 흐르네중국어 |
5. 2. 부정적 평가
그러나 왕발과 그의 작품에 대한 몇 가지 부정적인 평가도 존재한다. 두보는 초기 당나라 사걸의 작품을 "경박하고 천박하다"고 언급했다. 이러한 비판은 왕발이 가복인 조달을 죽인 사건 때문에 발생했는데, 이는 정부가 용납할 수 없는 실수였다. 《구당서》[6] 왕발 열전에 따르면, 그의 행적에 대한 평가는 "부박하고, 성급하며, 천박하고, 과시적이다"(浮躁浅露)[5]로 요약된다. 중국의 저명한 학자인 원일다는 왕발과 초기 당나라 사걸의 "경박하고 천박함"에 대해 "그들의 행동과 행실이 낭만적이었기 때문에, 그들은 다른 사람들의 조롱과 비난을 받았다."[5]라고 설명했다.6. 작품 목록
- 송두소부지임촉주(送杜少府之任蜀州)
- 滕王閣序|등왕각서중국어와 그 시(칠언고시)
등왕고각림강저 | 등왕의 높은 누각, 강가에 임하고 |
패옥명란파가무 | 패옥이 울리고, 가무는 멈추네 |
화동조비남포운 | 그림 같은 난간, 아침에 남포의 구름을 날아오르고 |
주렴모권서산우 | 구슬 발은 저녁에 서산의 비를 걷어 올리네 |
한운담영일유유 | 한가로운 구름, 연못에 그림자 드리워, 날마다 유유히 흐르네 |
물환성이기도추 | 세상 만물 바뀌고, 별자리 옮겨가, 몇 번이나 가을이 왔는가 |
각중제자금하재 | 누각 안의 황제의 아들, 지금 어디에 있는가 |
함외장강공자류 | 난간 밖의 장강은, 헛되이 스스로 흐르네 |
7. 가족
이름 |
---|
왕통 |
왕도 |
왕응 |
왕적 |
왕정 |
왕푸치 |
왕푸자오 |
왕면 |
왕거 |
왕조(王助) |
왕걸(王劼) |
왕권(王勧) |
참조
[1]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ese Literatur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간행물
王通的价值———为《山西万荣县通化村史》序
https://web.archive.[...]
People's Political Consultative Conference Cultural Weekly
[3]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ese Literatur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4]
논문
Beyond the Lyric: Expanding the landscape of Early and High Tang Literature
Ann Arbor, U.S.
2019
[5]
서적
In search of jade : studies of early Tang poetry
UMI
1999
[6]
서적
Book of (Old and New) Tang Dynasty: 二十四史 旧唐书 新唐书
https://books.google[...]
DeepLogic
[7]
저널
初唐詩人王勃生卒年考
http://hdl.handle.ne[...]
弘前大学人文学部
2023-1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