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르기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르기아는 약 5억 5550만 년 전 에디아카라기에 살았던 멸종된 전절동물이다. 러시아 백해에서 발견된 이예르가강의 영어식 표현에서 속명이 유래되었으며, 종명은 화석을 발견한 고생물학자 벤 와고너를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 요르기아는 좌우 비대칭성을 보이며, 체절화되지 않은 혹으로 덮인 피부를 가지고 있다. 화석은 러시아, 오스트레일리아, 우랄산맥 등지에서 발견되었으며, 미생물 매트리스를 섭취한 흔적이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디아카라기의 생물 - 에디아카라 생물군
에디아카라 생물군은 선캄브리아 시대 말기 에디아카라기에 번성한 다세포 생물군으로, 해파리나 유연체와 유사한 형태의 화석으로 발견되며, 캄브리아기 폭발 이전 생명체 진화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고생물학 및 진화론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에디아카라기의 생물 - 작은껍질화석
작은껍질화석은 1975년 명명된, 캄브리아기 이전과 초기에 번성하며 초기 동물 진화 연구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는 작고 다양한 형태의 화석들을 포괄하는 용어이다. - 러시아의 화석 - 글로소프테리스
글로소프테리스는 혀 모양의 잎과 그물맥을 가지는 멸종된 종자 식물로, 곤드와나 대륙에 널리 분포하며 대륙 이동설을 뒷받침하는 화석 증거가 되었다. - 러시아의 화석 - 큰뿔사슴
큰뿔사슴(Megaloceros giganteus)은 플라이스토세 후기부터 홀로세 초기까지 유라시아 대륙에 서식했던 멸종된 사슴으로, 수컷은 거대한 뿔을 가졌으며, 짝짓기, 사냥, 기후 변화 등의 요인으로 인해 멸종되었다.
요르기아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생물 분류 | |
이름 | 요르기아속 |
색 | 동물 |
화석 범위 | 645 |
계 | 동물계 |
문 | 전절동물문 |
강 | 두충강 |
과 | 요르기아과 |
속 | 요르기아속 |
속 명명 | Ivantsov, 1999 |
모식종 | Yorgia waggoneri |
모식종 명명 | Ivantsov, 1999 |
학명 | |
학명 | Yorgia waggoneri (요르기아 와고네리) |
2. 학명의 유래
속명은 백해의 짐니 베레그(Зимний Берег|겨울 해안ru)로 흐르는 이예르가강(река йерга)의 영어식 표현(Yorga River)에서 유래했으며, 이곳에서 최초 표본이 발견되었다. 종소명 와고네리(''waggoneri'')는 첫 화석 표본을 발견한 고생물학자 벤 와고너(Ben Waggoner)에 대한 경의를 표하기 위해 명명되었다.
요르기아의 화석은 약 5억 5550만 년 전 에디아카라기(벤디아기)에 해당하는 러시아 백해의 암초에서 발견되었으며,[7] 오스트레일리아 플린더스 산맥,[8] 러시아 우랄산맥 중부에서도 발견되었다.[9] 주로 과거 모래밭이었던 사암층 바닥에 음각으로 새겨져 보존되었으며, 일부 화석은 생식기, 내장, 입 등의 내부 구조 인상을 보여준다.[10]
3. 특징과 형태
요르기아를 포함한 전절동물은 다른 독립성 동물들과 비교했을 때 독특한 체형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좌우대칭동물이지만, 마디화된 몸체에서 좌우 횡적 요소(동위절)가 몸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어긋나게 배열되는 미끄럼반사대칭을 보인다. 이는 스프리기나에서도 나타나는 특징이다. 요르기아를 포함한 일부 전절동물들은 몸체의 좌우 비대칭성을 보이는데, 요르기아의 경우 머리 가까이에 있는 오른쪽 첫 번째 동위엽이 유일하게 좌우 중앙부를 가로지른다.[2][3] 이러한 진정한 좌우대칭의 결여 등으로 인해 일부 과학자들은 요르기아가 진정후생동물(측생동물을 제외한 모든 동물)의 자매 분류군에 속할 것으로 추정한다.[4]
요르기아의 윗부분 피부는 체절화되지 않고 작은 혹들로 덮여 있으며, 이는 케팔로네가속, 로시니아속, 아르카에아스피누스속 및 일부 디킨소니아속 종들과 공유하는 특징이다.[5][6]
4. 화석 기록
4. 1. 인상 화석
일부 화석은 요르기아의 음각에 의해 끝나는 일련의 양각(에피바이온 와고네리스 인상화석종)으로 나타난다. 그런 양각 화석들은 미생물막의 흔적으로 해석되는 '코끼리 피부' 같은 표면 질감으로 한정된다. 해저에서 막을 형성하는 미생물 매트리스의 표면을 요르기아가 섭취하면서 형성시킨 자국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세균성 바이오필름을 갉아먹은 것은 몸의 아래쪽에 위치한 수많은 섬모가 작용한 것일 수 있는데, 이 기관이 먹이 입자들을 붙잡아 동위절 간극에 배치된 길쭉한 특수 주머니로 운반한다.[11] 양각면에 있는 V자 모양의 흔적은 이러한 섬모 활동의 증거로 여겨진다.[3][12] 이런 섭식 습성은 에디아카라기 이후의 퇴적층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13]
요르기아에서 드러난 화석 생성 세부 요소는 다른 전절동물이 형성한 일련의 양각판에 대해 해류에 의해 해저를 따라 휩쓸려 가서 만들어진 흔적이 아닌, 섭식의 흔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 요르기아 외에도 두 개의 화석 분류군인 에피바이온과 필로조온이 유사한 섭식 자국을 형성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디킨소니아 코스타타와 디킨소니아 cf. 테누이스에 대해서도 소수의 양각 몸체 화석으로 남아있다.[12][14]
참조
[1]
저널
A New Dickinsonid from the Upper Vendian of the White Sea Winter Coast (Russia, Arkhangelsk Region)
https://www.academia[...]
[2]
저널
"Vendia'' and Other Precambrian \"Arthropods\""
https://www.academia[...]
[3]
간행물
"Vendian Animals in the Phylum Proarticulata"
http://www.geosci.mo[...]
[4]
저널
The Phylum Vendobionta: A Sister Group of the Eumetazoa?
[5]
저널
Morphology of the covers of Proarticulata (Ediacaran Metazoa)
https://www.uv.es/ev[...]
[6]
저널
Morphology of integuments of the Precambrian animals, Proarticulata
https://www.research[...]
[7]
저널
An asymmetric segmented organism from the Vendian of Russia and the status of the dipleurozoa
https://www.research[...]
2023-01-29
[8]
저널
Assemblage palaeoecology of the Ediacara biota: The unabridged edition?
http://earthscience.[...]
[9]
저널
The Ediacaran White Sea Biota in the Central Urals
[10]
저널
Anatomical Information Content in the Ediacaran Fossils and Their Possible Zoological Affinities
http://icb.oxfordjou[...]
[11]
저널
The origin of the Metazoa in the light of the Proterozoic fossil record
2003-03-31
[12]
저널
Giant Traces of Vendian Animals
http://vend.paleo.ru[...]
[13]
저널
Feeding traces of proarticulata—the Vendian metazoa
[14]
저널
Growth, decay and burial compaction of Dickinsonia, an iconic Ediacaran fossil
http://www.informaw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