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요하네스 리히테나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하네스 리히테나워는 14세기 후반에 활동한 것으로 추정되는 독일의 검술가이다. 그는 '체텔'이라고 불리는 운율시 형태로 검술의 핵심 개념과 기술을 가르쳤으며, 이는 롱소드 검술을 포함한 다양한 무술과 전투 기술에 대한 지침을 담고 있다. 리히테나워의 가르침은 독일식 검술의 기초가 되었으며, 15-16세기에 걸쳐 여러 검술가들에 의해 계승, 발전되었다. '리히테나워 협회'는 리히테나워의 제자 및 동료 검술가들을 지칭하며, 페터 폰 단치히, 지그문트 링에크와 같은 유명한 검술가들이 포함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무술가 - 파울루스 헥토르 마이어
    파울루스 헥토르 마이어는 갑옷 제작자 아들로 태어나 고대 무기와 무술을 연구하고 자신만의 검술 시스템을 집대성한 『무술 대강』을 집필했지만, 시 금고 횡령으로 교수형에 처해진 비극적인 인물이다.
  • 무술 유파 창시자 - 오가와 나오야
    오가와 나오야는 유도, 프로레슬링, 종합격투기 선수로 활동하며,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최연소 우승, 올림픽 은메달 획득, 전일본 유도 선수권 7회 우승 등의 뛰어난 경력을 가진 일본의 스포츠 선수이다.
  • 무술 유파 창시자 - 안토니오 이노키
    안토니오 이노키는 일본 프로레슬링의 황금기를 이끈 프로레슬러이자 정치인, 격투기 프로모터로, 역도산의 제자로 프로레슬링에 입문하여 신일본 프로레슬링을 설립하고 무하마드 알리와의 격투기 이벤트, 스포츠 평화당 창당 및 참의원 당선 등의 활동을 펼치며 프로레슬링계에 큰 공헌을 남겼다.
요하네스 리히테나워
요하네스 리히테나워의 펜싱 기술
다른 이름리히테나워의 "제델"(zedel)
Codex 44A.8의 리히테나워의 가르침 주석 앞에 앉아있는 대가의 이미지.
Codex 44A.8의 리히테나워의 가르침 주석 앞에 앉아있는 대가의 이미지.
기인요하네스 리히테나워
언어중세 고지 독일어
날짜14세기
존재 상태구전 전통, 1400년경부터 여러 버전으로 고정됨
주요 원고Hs. 3227a
Cod. 44.A.8
Cod. I.6.4°.3
Ms. Thott.290.2º
Cod. guelf. 78.2 Aug.2°
Ms. M.I.29
Ms. Dresd. C.487
Ms. E.1939.65.341
Ms. Germ. Quart. 2020
Cod.icon. 393
Cod. 10825/10826
M. Dresd. C.93/94
ISBN978-1-58160-668-3

2. 생애

리히테나워는 14세기 중후반에 활동했던 것으로 보인다.[1]

리히테나워에 대한 유일한 전기는 GNM Hs. 3227a(1400년경으로 추정)[2]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마스터 리히테나우는 검술을 철저하고 올바르게 배우고 숙달했지만, 스스로 발명하거나 만들어낸 것은 아니다. 대신, 그는 이 정당하고 진실된 기술을 배우고 알고 싶어했기 때문에 이 기술을 위해 여러 나라를 여행하고 방문했다."[3]

그의 독일 성씨는 그가 '리히테나우'(현재 'Lichtenau')라는 곳 출신임을 나타낸다. 이 이름을 가진 지역은 여러 곳이 있다. 마스만(1844)은 다음 다섯 곳을 후보지로 언급했다.

후보지
리히테나우 임 뮐크라이스 (오스트리아 상부)
프랑켄의 리히테나우, 뉘른베르크
라인강변의 리히테나우, 바덴, 스트라스부르 근처
헤세의 리히테나우
베스트팔렌의 리히테나우, 베스트팔렌, 파더보른 근처



이 중에서 그는 뉘른베르크가 후기(르네상스 시대) 검술의 중심지였고, '리히테나우 협회' 회원들의 지리적 출신지를 고려하여 오스트리아 상부의 리히테나우보다 프랑켄의 리히테나우를 가장 유력한 후보지로 취급한다.[4]

3. 가르침 (Zettel)

리히테나워의 제자들은 그의 가르침을 기억하기 쉽도록 운율이 있는 시 형태로 보존했는데, 이를 '체텔'이라고 불렀다. '체텔'은 초기 고지 독일어 'zedel'에서 유래한 단어로, 영어의 'schedule'과 비슷한 의미를 가지며, "간단한 요약"을 뜻한다. 15세기 후반부터 이 시의 일부가 널리 알려졌고, 16세기에는 독일 검술의 일반적인 전통으로 자리 잡았다.

'체텔'이라는 용어는 1452년 Cod. 44 A 8 필사본(fol. 9v)에서 처음 등장한다. 해당 필사본에는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다.

:''Alhÿe hebt sich an dye zedel der Ritterlichen kunst des fechtens dye do geticht vnd gemacht hat Johans Liechtenawer der ain hocher maister In den künsten gewesen ist dem got genadig seÿ''

:"여기에서 기사의 검술 ''zedel''이 시작되며, 이는 요하네스 리히테나워가 작곡하고 만들었으며, 그는 예술 분야의 고위 마스터였고, 신께서 그에게 자비를 베푸시기를 바랍니다."

체텔은 학생들이 구두로 배운 내용을 쉽게 기억하도록 돕기 위한 일종의 기억술 목록이었다. 기술을 자세히 설명하기보다는 의도적으로 암호처럼 모호하게 작성되었는데, 이는 해당 기술을 모르는 사람들이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이 구절들은 리히테나워의 추종자들에게 핵심적인 가르침으로 여겨졌다. 초기 검술 교본들은 각 연 또는 4행시를 먼저 제시하고, 그 뒤에 자세한 설명이나 주석을 덧붙이는 방식으로 구성되었다.

체텔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 검술에 대한 일반적인 소개
  • 양손검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일반적인 소개 (검을 양손으로 잡는 방법)
  • 양손검을 사용한 17가지 주요 기술 (''Hauptstücke'')


일반적인 소개 부분은 실용적인 조언뿐만 아니라 윤리적인 내용도 담고 있으며, 다음과 같이 시작한다.

Jung Ritter lere / got lip haben / frawen io ere /젊은 기사여, 신을 사랑하고 여성을 존경하는 법을 배우라.



리히테나워는 갑옷을 입고 하는 전투나 레슬링과 같은 다른 분야에서도 가르침을 남겼다고 알려져 있다. Ms. 3227a에는 단검, 메서, 소형 방패와 같은 무기에 대한 언급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르침이 모두 리히테나워가 직접 쓴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리히테나워는 양손검을 사용한 비무장 검술에 주력했고, 다른 분야는 다른 검술가들이 전문으로 했을 가능성이 높다. 갑옷을 입고 말을 탄 상태에서 싸우는 방법에 대한 구절은 안드레아스 리그니처, 마틴 훈스펠트, 주드 레우 등이 쓴 것으로 추정되며, 레슬링에 대한 구절은 대부분 오트 유드의 작품으로 여겨진다.[5]

말을 탄 상태에서 하는 검술에 대한 '체텔' 외에도, 리히테나워의 전통을 따르는 여러 논문에는 26개의 "도형" 그룹이 포함되어 있다. 이는 특정 연과 4행시를 요약한 것으로 보인다. 1516년 안드레 파우르페인트는 "초보 검객을 위한 12가지 가르침"을 기록했는데, 이 가르침 역시 양손검 '체텔'의 내용을 요약한 것이며, 16세기 동안 여러 논문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한다. 따라서 이 도형들은 말을 탄 상태에서의 검술 교육 초기 단계를 나타내는 기억술이었고, 전체 시는 나중에 배우는 내용이었을 수 있다.[7]

3. 1. 롱소드 검술

리히테나워의 롱소드 검술은 독일 검술의 핵심으로 여겨지며, 후대 검술 교본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가르침은 공격과 방어, 거리 조절, 타이밍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다루며, 실전적인 전투 기술을 강조한다.

그의 제자들은 가르침을 ''체텔(초기 고지 독일어 zedel, 영어 schedule에 해당하는 독일어로 "간단한 요약")''이라는 기억술 시 형태로 보존했다. 이 시는 15세기 후반에 널리 알려졌고, 16세기까지 독일 검술의 일반적인 전통에 통합되었다.

''체텔''은 구두로 배운 개념을 학생들이 기억하도록 돕기 위한 기억술 목록으로, 기술을 자세히 설명하기보다는 암호화된 구절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모호한 표현은 기술을 모르는 사람이 내용을 파악하지 못하도록 의도되었다.[5]

리히테나워 학파의 초기 검술 교본들은 각 연 또는 4행시를 제시하고, 그 뒤에 주석 또는 자세한 설명을 덧붙이는 방식으로 구성되었다.

체텔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 검술에 대한 일반적인 소개 (윤리적 내용 포함)
  • 양손검으로 싸우는 것에 대한 일반적인 소개
  • 양손검으로 싸우는 17개의 주요 기술(''Hauptstücke'')


일반적인 소개는 실용적이고 윤리적인 내용을 담고 있으며, "젊은 기사여, 신을 사랑하고 여성을 존경하는 법을 배우라."로 시작한다.

17개의 "주요 기술"은 다음과 같다.

  • 다섯 개의 "마스터 타격" 또는 "숨겨진 타격": 조른하우, 크룸하우, 츠베르크하우, 쉴하우, 샤이텔하우
  • 네 개의 가드(''후텐'' 또는 ''레거''): "쟁기"(''Pflug''), "황소"(''Ochs''), ''vom tag'', "바보"(''Alber'')
  • 기술 목록: ''Versetzen'', ''Nachreisen'', ''Überlaufen'', ''Absetzen'', ''Durchwechseln'', ''Zucken'', ''Durchlaufen''(그랩플링), ''Abschneiden'', ''Händedrücken'' 네 개의 ''Hängen'', 스물네 개의 ''Winden''.


리히테나워의 가르침은 운율 대구(Merkverse) 형태로 전해지며, 미숙련자를 멀리하고 이해한 자에게 기억술 체계를 제공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난해하게 만들어졌다.

리히테나워의 검술 체계는 오늘날 "독일식 검술"의 기원이 되었다. 그의 가르침은 15세기와 16세기에 걸쳐 다양한 검술서에서 주석, 확충, 수정되며 계승되었다.

3. 2. 갑옷 전투와 레슬링

리히테나워는 장검, 검과 백러, 단도, 등의 무기 사용 외에도 갑옷 전투, 평복 전투, 때로는 기승 시 전투에서의 격투에 관한 가르침도 남겼다.[1]

4. 리히테나워 협회

파울루스 칼의 검술 교본에서 가장 오래된 사본 서문에 나오는 17명의 스승 목록이다. 이것이 정식 조직이었는지는 불분명하지만, 대사범(리히테나워)의 사망한 제자와 동료를 기리는 기념물일 것으로 추측된다.[8]

특히 주목할 점은 목록의 국제적인 성격으로, 오늘날의 오스트리아, 체코, 독일, 폴란드 출신의 스승들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는 리히테나워 자신이 이 기술을 배우기 위해 많은 나라를 여행했다는 MS 3227a의 진술과 일치한다. 이 목록에 있는 스승 중 몇몇은 검술 논문을 쓴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절반 정도는 전혀 알려지지 않았다.

파울루스 칼은 협회 구성원을 다음과 같이 나열한다.[9]

원문 표기한글 표기
hanns liechtenawer요하네스 리히테나워
peter wildigans von glacz글라츠의 페터 빌디간스
peter von tanczk페터 폰 단치히
hanns spindler von cznaÿm즈나임의 한스 슈핀들러
lamprecht von prag프라하의 람프레히트
hanns seyden faden von erfürt에르푸르트의 한스 자이덴파덴
andre liegniczer안드레 리그니처
iacob liegniczer야코프 리그니처
sigmund amring지그문트 시닝 아인 링에크
hartman von nurñberg뉘른베르크의 하르트만
martein hunczfeld마르틴 훈츠펠트
hanns pägnüczer한스 페그니처
phÿlips perger필립스 페르거
virgilÿ von kracå크라쿠프의 버질리
dietherich degen vechter von brawnschweig브런즈윅의 단검 격투가 디트리히
ott iud, der der her[e]n von o[e]sterreicher ringer gewessen ist. 오트 유드, 오스트리아 영주의 레슬러
Der edel vnd fest Stettner der am maisten der maister aller Schüeler gewesen ist vnd ich maister pauls kall pin sein Schüeler gewesen고귀하고 변함없는 [한스] 슈테트너, 모든 학자들의 가장 뛰어난 스승이었으며, 나 파울루스 칼은 그의 제자였다.



15세기 중반에는 리히테나우어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다는 주장이 검술가에게 명예로운 일이 되었다. 파울루스 칼은 "리히테나우어의 친구" 16명의 검술가를 위와 같이 목록으로 만들었다.

5. 영향과 유산

리히테나워의 검술 체계는 오늘날 "독일식 검술"이라고 불린다. 그의 가르침은 15세기에는 한스 데블링거, 지크문트 링에크, 페터 폰 단치히 등에 의해, 16세기에는 파울루스 헥토르 마이어 등에 의해 다양한 검술서에 수록된 어휘 주해를 통해 해석, 확장, 수정되었다. 사실, 아무리 자존심이 강한 검술가라도, 자신의 검술이 리히테나워의 영향을 받지 않았거나 심지어 몇몇 요소가 리히테나워의 가르침과 상반되더라도, 리히테나워의 전통을 계승하는 것처럼 행동하는 것이 거의 필수적이었다.[1]

리히테나워의 가르침은 장검, 검과 백러, 단도, 등의 무기 사용, 갑주 전투와 평복 전투, 그리고 때로는 기승 시 전투에서의 격투 등 어느 정도 기술 중심적인 내용을 다루었다.[1]

참조

[1] 서적 In Saint George's Name: An Anthology of Medieval German Fighting Arts Freelance Academy Press 2010
[2] 웹사이트 1418 Modus Dimicandi Magistri H. Beringois of the Ms. G.B.f.18.a http://talhoffer.wor[...] 2013
[3] 서적 "Unarmored Longsword Combat by Master Liechtenauer via Priest Döbringer." Paladin Press 2008
[4] 간행물 "über handschriftliche Fechtbücher" 1844
[5] 논문 Liegnitzer, Hundsfeld or Lew? The question of authorship of popular Medieval fighting teachings 2014
[6] 서적 Ergrundung Ritterlicher Kunst der Fechterey Hieronymus Vietor 1516
[7] 서적 In Saint George's Name: An Anthology of Medieval German Fighting Arts Freelance Academy Press 2010
[8] 서적 In Saint George's Name: An Anthology of Medieval German Fighting Arts Freelance Academy Press 2010
[9] 간행물 "über handschriftliche Fechtbücher" https://books.google[...] 1844
[10] 서적 "Unarmored Longsword Combat by Master Liechtenauer via Priest Döbringer." Paladin Press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