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 왕산리 지석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용인 왕산리 지석묘는 경기도 용인시 모현읍 왕산리에 위치한 청동기 시대의 고인돌 유적이다. 이 지석묘는 탁자식 고인돌 형태로, 현재 2기가 남아 있으며, 덮개돌의 크기와 보존 상태가 뛰어나 선사시대 고인돌 축조 기술을 보여준다. 총 12기의 지석묘가 확인되었으나, 2기만 심층적으로 조사되었다. 주변에는 광주산맥, 경안천, 한국외국어대학교 등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고인돌 - 연천 고인돌공원
연천 고인돌공원은 경기도 연천군에 위치한 고인돌 유적을 전시하고 교육 프로그램과 주변 관광지를 연계하여 운영하는 곳이다. - 용인시의 무덤 - 용인 보정동 고분군
용인 보정동 고분군은 6세기 후반부터 9세기까지 조성된 신라 시대의 대규모 고분군으로, 탄천과 성복천 일대의 전략적 중요성을 보여주는 유적이며, 굽다리긴목항아리, 금제 허리띠 장식 등 다양한 유물이 출토되어 학술적 가치가 높다. - 용인시의 무덤 - 이한응 묘
대한제국 말기 순국선열 이한응의 묘소는 경기도 용인시에 있으며, 묘비에는 그의 애국심을 기리는 비문이 새겨져 있고 사후 장충단에 배향되었다. - 용인시의 문화유산 - 처인성
처인성은 경기도 용인시에 위치한 사다리꼴 토성으로, 고려시대 몽골 침입을 막아낸 격전지이자 김윤후가 몽골군을 격퇴한 처인성 전투로 유명하며, 임진왜란 당시 왜군의 북상을 저지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 역사적인 장소이다. - 용인시의 문화유산 - 용인 할미산성
용인 할미산성은 경기도 용인시에 위치한 산성으로, 내성과 외성으로 구분되며 삼국시대에서 남북국 시대에 걸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된다.
용인 왕산리 지석묘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명칭 | |
한국어 명칭 | 용인 왕산리 지석묘 |
한자 명칭 | 龍仁 旺山里 支石墓 |
로마자 표기 | Yongin Wangsalli Jiseongmyo |
매큔-라이샤워 표기 | Yongin Wangsalli Chisŏngmyo |
기본 정보 | |
위치 | 모현읍, 용인시, 대한민국 |
종류 | 돌멘 |
문화재 지정 정보 | |
지정 국가 | 대한민국 |
지정 종류 | 기념물 |
지정 번호 | 22 |
지정일 | 1974년 9월 26일 |
소재지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왕산리 498번지 |
시대 | 청동기 시대 |
수량 | 1기 |
기타 정보 | |
참고 | |
문화재청 ID | 23,00220000,31 |
2. 배경
한국어로 고인돌로 알려진 돌무덤은 죽은 자를 위한 단일 묘실을 구성하는 거대한 거석으로 이루어진 무덤이다. 이는 석관묘(돌 관)와 함께 청동기 시대의 가장 두드러진 무덤 구조 중 하나이다.
지석묘는 고인돌이라고도 부르며,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무덤 양식으로, 주로 경제력이 있거나 정치권력을 가진 지배층의 무덤으로 알려져 있다. 한반도는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고인돌을 보유하고 있으며, 약 40,000기가 분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3]
한반도는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돌무덤을 보유하고 있으며, 약 40,000기가 이 지역 전역에 걸쳐 위치해 있다. 이 지역에는 돌무덤의 형태와 수직 거석의 특정한 배열 및 '상판'(수직 석재 위에 놓인 평평한 수평 석재)에 따라 분류되는 두 가지 주요 유형이 있는데, 북방식(탁자식)과 남방식(바둑판식)이 있다. 왕산리 지석묘는 북방식 지석묘로 분류된다. 북방식 지석묘는 1) 먼저 수직 거석을 세워 석실을 만들고, 2) 시신을 석실에 안치한 다음, 3) 수평 석재를 위에 덮는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이런 구조 때문에 탁자 모양을 하고 있어 탁자식이라고도 불린다. 남방식 지석묘는 이와 유사하게 만들어지지만, 수직 거석이 땅 위에 드러나는 북방식과 달리 땅 속에 묻힌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3]
3. 용인 왕산리 지석묘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왕산리에 있는 이 고인돌은 덮개돌 아래에 받침돌을 세워 공간을 마련하는 탁자식(북방식) 고인돌이다. 현재는 2기만 남아있으나, 근처에서 받침돌로 추정되는 돌이 발견되어 원래는 3기의 고인돌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용인 왕산리 지석묘는 경기 지방의 여러 고인돌 가운데 규모가 가장 크며, 보존 상태가 비교적 양호하여 선사 시대 사람들의 뛰어난 고인돌 축조 기술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유적이다.
3. 1. 구조 및 특징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왕산리에는 총 12기의 지석묘가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현재 평지(공원)에 위치한 1호와 2호만이 심층적으로 조사되었다.[3] 이 지석묘들은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무덤 양식 중 하나인 탁자식(북방식) 고인돌에 해당한다. 탁자식 고인돌은 4개의 받침돌을 세워 돌방을 만들고 그 위에 크고 평평한 덮개돌을 올려놓는 방식으로 축조된다.
1호 지석묘는 서쪽에 위치하며 2호 지석묘와 약 5.5m 떨어져 있다. 장축 방향은 경안천의 지류인 관청천의 흐름과 나란하게 동-서 방향이다. 덮개돌의 크기는 길이 5.5m, 너비 4.4m, 두께 1m이며, 타원형에 가깝다.[4] 현재 남쪽과 북쪽에 위치한 받침돌 3개가 덮개돌을 받치고 있으며, 이 받침돌들의 평균 높이는 80cm이다.[4] 덮개돌의 크기에 비해 받침돌의 높이가 낮은 편이지만 전체적으로 웅장한 모습을 보인다. 원래는 4개의 받침돌이 있었으나 하나는 유실된 것으로 추정된다.[4] 받침돌 사이의 간격은 약 1.2m이며, 동쪽의 막음돌만 남아 있다. 덮개돌과 받침돌 사이에는 덮개돌의 수평을 맞추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보이는 작은 쐐기돌을 끼워 넣은 흔적이 남아있다. 또한 석실 바깥쪽은 흙에 반쯤 묻혀 있는데, 이는 축조 당시 외부 충격으로부터 무덤을 보호하기 위해 흙을 쌓았던 흔적으로 보인다.[4] 1호 지석묘는 현재까지 비교적 완전한 형태로 잘 보존되어 있다.
2호 지석묘는 1호 지석묘보다 덮개돌이 작아 길이가 4.4m이다.[5] 현재 북쪽으로 기울어져 있으며, 받침돌 역할을 하던 수직 지석들은 모두 쓰러져 있어 1호에 비해 보존 상태가 좋지 않다. 원래 장축 방향은 1호와 달리 남-북 방향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2호 지석묘에서는 부장품으로 돌칼과 돌 화살촉 등이 발견되었다.[5]
이 외에도 지석묘 1호와 2호 주변에는 개석식(바둑판식) 지석묘의 덮개돌로 추정되는 돌들이 흩어져 있다.
용인 왕산리 지석묘는 경기 지방의 여러 고인돌 가운데 규모가 가장 크고, 특히 1호 지석묘는 보존 상태가 매우 양호하여 선사시대 사람들의 뛰어난 고인돌 축조 기술을 잘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이다.
3. 2. 주변 환경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왕산리에는 12기의 지석묘가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평지(공원)에 위치한 1호와 2호를 제외하고는 연구가 미흡하다. 지석묘 주변의 자연 환경으로는 동쪽에 광주산맥이 자리하고 있으며, 북쪽으로는 한강으로 흘러 들어가는 ''경안천''이 흐른다. 서쪽에는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와 사립 기숙학교인 한국외국어대학교 부설고등학교가 위치해 있다.
가장 잘 알려진 지석묘 1호와 2호는 약 5.5m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다. 두 지석묘의 장축 방향은 경안천의 지류인 관청천의 흐름과 나란하게 동-서 방향으로 놓여 있다.
지석묘 1호는 덮개돌 길이가 5.5m, 너비 4.4m, 두께 1m에 달한다. 덮개돌을 받치는 수직 지석은 3개이며 평균 높이는 80cm로, 덮개돌 크기에 비해 작은 편이다. 석실 바깥쪽은 흙에 반쯤 묻혀 있는데, 이는 외부의 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흙을 쌓은 것으로 보인다. 원래 4개의 지석이 있었으나 하나는 유실된 것으로 추정된다.[4] 덮개돌은 남쪽과 북쪽에 위치하며 간격은 약 1.2m이고, 동쪽의 막음돌만 남아 있다.
지석묘 2호는 덮개돌 길이가 4.4m로 1호보다 작으며, 현재 북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1호에 비해 보존 상태가 좋지 않아 받침 역할을 하는 수직 지석은 모두 무너졌다. 발견된 부장품으로는 돌칼과 돌 화살촉 등이 있다.[5] 이 외에도 개석식 지석묘의 덮개돌로 보이는 돌들이 현재 지석묘 1호와 2호 주변에 흩어져 있다.
3. 3. 출토 유물
두 번째 고인돌에서 부장품으로 돌칼과 돌 화살촉 등이 발견되었다.[5]
참조
[1]
웹사이트
용인왕산리지석묘(모현지석묘)
https://gjicp.ggcf.k[...]
경기문화재연구원
2019-08-08
[2]
웹사이트
Mohyeon Jiseongmyo (a dolmen)
https://en.ggtour.or[...]
Gyeonggi Tourism Organization
2019-08-06
[3]
웹사이트
용인 왕산리 지석묘
http://www.doopedia.[...]
Doopedia
2019-08-06
[4]
웹사이트
용인 왕산리 지석묘
http://encykorea.aks[...]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019-08-07
[5]
웹사이트
용인 왕산리 지석묘
http://www.heritage.[...]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2019-08-07
[6]
간행물
경기도문화재 명칭 변경 고시
경기도지사
2016-11-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