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우쑹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쑹성은 중국의 바둑 기사로, 1945년 푸젠성 푸톈에서 태어나 상하이에서 성장했다. 1964년 중국바둑협회에서 바둑 5단이 되었으며, 1960년대 중국 개인전에서 여러 차례 상위권을 기록하며 '천우 시대'를 열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1985년 오스트레일리아로 이주하여 응씨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에 참가했으며, 1999년 중국으로 돌아와 북기패학교 부교장과 중국바둑협회 훈련센터 감독을 역임했다. 2007년 시드니에서 사망했다. 바둑 교실 시리즈를 저술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레일리아의 바둑 기사 - 안영길 (바둑 기사)
    안영길은 1997년 입단하여 2009년 8단에 오른 한국 바둑 기사로, 2004년 SK가스배 신예프로10걸전 준우승 등의 국내 활동과 2010년 오스트레일리아 영주권 취득 후 한국 바둑 세계화 사업을 추진했다.
  • SBS배 연승바둑최강전 - 이세돌
    대한민국의 프로 바둑 기사 이세돌은 12세에 입단하여 2000년대 세계 바둑계를 이끌었고, 알파고와의 대국으로 주목받았으며, 공격적인 기풍으로 '비금도 소년', '쎈돌' 등으로 불렸고, 은퇴 후에는 텍사스 홀덤 플레이어 및 보드게임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 SBS배 연승바둑최강전 - 김인 (바둑 기사)
    김인은 1958년 프로 바둑 기사로 입단하여 한국 바둑계를 10년간 지배하며 국수, 왕위 등 주요 타이틀을 석권하고 40연승을 기록한 전설적인 인물로, '김 국수'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한국 바둑의 황금기를 이끌었고 SBS 바둑 해설자 및 한국기원 상무이사를 역임하며 바둑계 발전에도 기여했다.
  • 대만의 바둑 기사 - 장쉬
    대만 출신으로 일본에서 활동하는 바둑 기사 장쉬는 린하이펑의 내제자로, 본인방전, 명인전, 기성전 등 주요 기전에서 우승하며 그랜드슬램을 달성하고 사상 최초 5관왕을 차지하는 등 뛰어난 사활 능력과 과감한 결단력을 보여주는 기사이다.
  • 대만의 바둑 기사 - 왕밍완
    왕밍완은 타이베이 출신으로 일본에서 활동하며 혼인보를 두 차례 획득하고 왕좌 타이틀을 차지했으며, 독창적인 바둑 이론을 개발하고 바둑 AI 개발에도 참여한 바둑 기사이다.
우쑹성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呉淞笙 (우쑹성)
출생일1945년 4월 4일
사망일2007년 12월 23일
출생지중화인민공화국 푸젠성莆田市 (푸톈 시)
사망 국가오스트레일리아
사망지시드니
직업囲碁棋士 (바둑 기사)
프로 경력
프로 입단2014년
은퇴1999년
八段 (8단)
기타 정보
소속한국기원, 대만기원
스승林勉 (린 멘)
중화권 인물 정보
간체자吴淞笙
번체자吳淞笙
한어 병음(정보 없음)
일본어 이름ご しょうしょう
일본어 발음우・손셴
로마자 표기Wu Songsheng

2. 경력

우쑹성은 중일 바둑 교류를 통해 1963년 방중한 미야모토 나오키(宮本直毅)와의 접바둑에서 승리했고, 1964년 일본 방문에서 4승 3패, 1966년에는 2승 3패의 성적을 거두었다. 문화 대혁명 이후 1974년 일본을 방문하여 6승 1패를 기록했다. 1982년 9단으로 승단했다.

1985년 오스트레일리아로 이주한 후, 1988년 제1회 응씨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에 오스트레일리아 대표로, 제2회 대회에는 시드니 대표로 참가했다. 1989년부터 한국기원, 1998년과 1999년에는 대만기원 객원 기사로 활동했다.

2. 1. 중국 활동

1945년 푸젠성 푸톈에서 태어나 상하이에서 성장했다. 린바이오(林勉)에게 바둑을 배웠다. 1959년 상하이 바둑집중학교에 입학하여 류디화이(刘棣怀), 웨이하이홍(魏海鸿), 왕전쒸옹(汪振雄) 등에게 지도를 받았다. 1961년 국가바둑집중훈련학교에 입학했다. 1962년 전국바둑개인전에서 3위를 차지했다. 1964년 중국바둑협회에서 바둑 단급 제도가 시작될 때 최고 단인 5단이 되었다. 같은 해와 1966년 전국 개인전에서 천주더에 이어 2위를 차지하여, 천주더와 함께 "천우(陈吳) 시대"를 열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문화 대혁명 이후 1974년 일본을 방문하여 6승 1패를 기록했다. 1980년 신체육배에서 준우승했고, 1982년 9단으로 승단했다. 1983년 국가 체육 위원회로부터 체육 영예장을 받았으며, 국가 바둑 집중 훈련대 교련원이 되었다.

1999년 중국에 귀국하여 북기패학교 부교장에 취임했고, 2000년 중국바둑협회 훈련센터 감독을 맡았다. 같은 해 남방증권배 중국위기원로전에서 결승에 올랐으나 류샤오광에게 0-2로 패배해 준우승을 차지했다.

2. 2. 해외 활동

1985년 오스트레일리아로 이주하였다. 1988년 제1회 응씨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에 오스트레일리아 대표로 참가하여 1차전에서 조치훈에게 패배했다. 제2회 대회에서는 시드니 대표로 출전, 요다 노리모토에게 패했다. 1989년부터 한국기원 객원 기사로 활동했다. 1996년 제1회 삼성화재배 세계 바둑 오픈 예선을 통과하여 출전, 1차전에서 마샤오춘에게 승리하였으나 2차전에서 류샤오광에게 패했다. 1998년과 1999년에는 대만기원 객원 기사로 활동했다.

2. 3. 중국 귀국 및 사망

1999년 중국에 귀국하여 북기패학교 부교장을 맡았고, 2000년에는 중국바둑협회 훈련센터 감독을 맡았다. 같은 해 남방증권배 중국위기원로전 결승에 올라 류샤오광에게 0-2로 패하며 준우승했다.

2007년 12월 시드니의 병원에서 사망했다.

3. 중일 바둑 교류전

1963년 방중한 미야모토 나오키(宮本直毅)와의 접바둑에서 승리했고, 1964년 일본을 방문해서 4승 3패, 1965년 방일하여 4승 3패, 1966년 방일하여 2승 3패의 성적을 거두었다. 문화 대혁명 이후 1974년 방일하여 6승 1패를 기록했다.

구체적인 대국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도내용
1963년미야모토 나오키에게 접바둑 승리
1964년일본 방문, 4승 3패 (무라카미 후미요시, 카노 요시노리에게 접바둑 승리)
1965년일본 방문, 4승 3패
1966년일본 방문, 2승 3패
1972년야스나가 하지메에게 접바둑 승리
1973년사카타 에이오에게 접바둑 패배
1974년일본 방문, 6승 1패
1976년2승 3무 2패 (사토 마사하루, 오오히라 슈조에게 패, 이토 마코토에게 승)
1978년4승 3패 (우시노하마 테츠오에게 2승 1패)
1980년4승 3패 (미오 유코에게 승)


4. 저서


  • 인민체육출판사에서 2002년 『우쑹성 바둑 교실 (초급편)』을 출판하였다.
  • 인민체육출판사에서 2003년 『우쑹성 바둑 교실 (입문편)』을 출판하였다.
  • 인민체육출판사에서 2006년 『우쑹성 바둑 교실 (승화편)』을 출판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