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우씨왕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우씨왕후는 고구려를 배경으로 한 드라마로, 왕이 죽자 남편의 동생과 결혼하여 가족과 부족을 지키려는 왕후 우희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펼쳐진다. 주요 등장인물로는 우희(전종서), 을파소(김무열), 고남무(지창욱), 우순(정유미) 등이 있다. 2024년 제11회 서울국제영화대상 OTT부문 특별 연기상(정유미), 제10회 에이판 스타 어워즈 남자 연기상(전배수)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 경성크리처
    경성크리처는 1945년 일제강점기 경성을 배경으로 전당포 주인과 실종된 어머니를 찾는 추적자가 옹성병원에서 벌어지는 생체 실험과 그로 인해 탄생한 기괴한 크리처에 맞서는 이야기이며, 시즌 2에서는 현대 서울을 배경으로 경성과 얽힌 미완의 관계를 풀어나간다.
  •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 탄금
    탄금은 조선 시대 거상 홍랑의 실종된 아들이 돌아오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 드라마로, 이재욱, 조보아, 정가람, 엄지원, 박병은, 김재욱 등이 출연하며 레드나인 픽쳐스, 스튜디오드래곤, 바람픽쳐스, 카카오엔터테인먼트에서 제작하고 에이스메이커무비웍스와 플러스엠엔터테인먼트가 배급을 맡았다.
  • 고구려 역사 드라마 - 대조영 (드라마)
    《대조영》은 2006년부터 2007년까지 KBS에서 방영된 드라마로, 고구려 멸망 후 대조영이 발해를 건국하기까지의 삶을 그린 작품이며, 민족 영웅으로서의 대조영을 부각하여 최고 시청률 36.8%를 기록하고 2007년 KBS 연기대상에서 대상을 수상하는 등 큰 인기를 얻었다.
  • 고구려 역사 드라마 - 연개소문 (드라마)
    2006년 SBS에서 방영된 대하드라마 연개소문은 유동근, 이태곤 등이 연개소문 역을 맡아 고구려의 권력을 장악하고 군사 독재를 펼치는 과정을 그린 드라마로, 역사 왜곡 및 잔혹성 묘사 논란에도 불구하고 2006년 SBS 연기대상에서 수상하는 등 일부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 왕족을 소재로 한 작품 - 유니키티!
    유니키티!는 고양이와 유니콘의 혼합 생명체인 유니키티 공주와 친구들이 유니킹덤에서 펼치는 유쾌한 모험을 그린 애니메이션 시리즈이며, 2017년부터 2020년까지 3개의 시즌으로 방영되었다.
  • 왕족을 소재로 한 작품 - 죽어야 사는 남자
    죽어야 사는 남자는 2017년 MBC 드라마로, 중동 가상의 왕국을 배경으로 한국계 백작이 딸을 찾아 한국에 오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루며, 최민수, 강예원, 신성록 등이 출연했다.
우씨왕후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방송명우씨왕후
방송 기간2024년 8월 29일 (파트1)
방송 기간 22024년 9월 12일 (파트2)
방송 채널TVING
장르퓨전 사극, 액션
방송 횟수8부작
제작진
제작사앤드마크, 콤파스 픽쳐스, CJ ENM 스튜디오
감독정세교
제작하승수, 오광의, 유형석, 권오현, 송은주
각본이병학
프로듀서옥광희
음악이준오
출연진
출연자전종서, 김무열, 정유미, 이수혁, 박지환, 지창욱
배급
배급사쇼박스 미디어플렉스
공개 회차8부작

2. 등장인물

전종서는 고구려의 왕후 우희 역을, 김무열은 고구려 국상 을파소 역을, 지창욱은 우희의 남편이자 고구려 왕인 고남무 역을 맡았다.[1][2][3] 정유미는 우희의 언니 우순 역, 이수혁은 왕위 계승 후보 고발기 역, 박지환은 왕당 대모달 무골 역으로 출연한다.[4][5]

2. 1. 주요 인물


  • 전종서: 우희 역 - 이 드라마의 '''메인 여주인공'''으로, 고구려의 왕후이다. 왕이 죽자 남편의 동생 중 한 명과 결혼하여 가족과 부족을 지키려는 인물이다.[1]
  • 김무열: 을파소 역(아역: 안석현) - 이 드라마의 '''메인 남주인공'''으로, 고구려의 재상이자 왕의 군사인 국상이다.[2]
  • 지창욱: 고남무 역 (아역: 유지완) - 이 드라마의 '''서브 남주인공'''으로, 우희의 남편이자 고구려의 왕이다. 오천 명의 군사를 이끌고 한나라의 삼만 군사를 물리칠 만큼 뛰어난 두뇌를 가졌다.[3]
  • 정유미: 우순 역 - 이 드라마의 '''서브 여주인공'''으로, 우희의 언니이자 왕후를 모시는 태시녀이다.
  • 이수혁: 고발기 역 - 고구려 왕위 계승 후보인 삼왕자 중 한 명이다.[4]
  • 박지환: 무골 역 - 왕의 직속부대인 왕당의 대모달(대장)이다.[5]

2. 2. 계루부


  • 배기범: 고백고 역 - 고남무와 왕자들의 아버지.[6]
  • 송재림: 고패의 역 - 폐위된 왕자.
  • 강영석: 고연우 역[7]
  • 정재광: 고계수 역 - 고남무의 동생들 중 하나. 오왕자.[8]

2. 3. 절노부

2. 4. 졸본

박보경은 고씨 왕가를 멸하려는 졸본의 인물로 연비 역을 맡았다.

2. 5. 왕당

이해우는 왕당의 일원으로 모치 역을 맡았다.

2. 6. 대신들


  • 김도윤: 송우 역 - 왕을 가장 가까운 곳에서 모시는 최측근이다.
  • 유의태[11]: 밀우 역
  • 오하늬[12]: 사비 역

2. 7. 대사자

(이전 출력은 주어진 원본 소스가 '대사자' 섹션과 관련이 없음을 명시하고, 해당 섹션에 내용을 추가하지 않는 것이 올바르다고 판단했습니다. 따라서 이전 출력 내용을 그대로 유지합니다.)

2. 8. 흰호랑이족

제공된 이전 출력과 원본 소스를 다시 검토한 결과, '흰호랑이족' 섹션에 대한 내용은 원본 소스에서 찾을 수 없습니다. 이전 출력은 이 점을 정확히 반영하고 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2. 9. 그 외 인물들

배우역할배역 설명
전종서우희[1]고구려의 왕후. 왕이 죽자 남편의 동생 중 한 명과 결혼하여 가족과 부족을 지키려는 인물.
김무열을파소[2] (아역: 안석현)고구려의 재상이자 왕의 군사인 국상.
지창욱고남무[3] (아역: 유지완)우희의 남편이자 오천 명의 군사를 이끌고 한나라의 삼만 군사를 물리칠 만큼 뛰어난 두뇌를 가진 고구려의 왕.
정유미우순우희의 언니이자 왕후를 모시는 태시녀.
이수혁고발기[4]고구려 왕위 계승후보인 삼왕자.
박지환[5]무골왕의 직속부대인 왕당의 대모달(대장).
윤진영
신혜정[14]
김기리[15]
이우태아불화
김태윤
이재준
이준현
최원석
임상묵
윤한빈
정승윤
이류민
김태훈
김두욱
이미례유나라한나라 공주
오대석해대부
조하석화도자
정우일고노자
송유현여진


3. 수상

수상 내역
연도시상 부문수상자
2024제11회 서울국제영화대상 OTT부문 특별 연기상정유미
2024제10회 에이판 스타 어워즈 남자 연기상전배수


4. 참고 사항


  • 전종서김무열은 2023년 넷플릭스에서 공개된 영화 《발레리나》 이후 11개월 만에 다시 만나는 작품이다.[16]
  • 김무열, 박지환, 박보경은 2024년 영화 《범죄도시4》 이후 3개월 만에 다시 만나는 작품이다.
  • 김무열박보경은 2019년 영화 《악인전》 이후 5년 만에 다시 만나는 작품이다.
  • 정유미박지환은 2016년 SBS 월화 드라마 《육룡이 나르샤》 이후 8년 만에 다시 만나는 작품이다.
  • 박지환, 정재광, 최재훈은 2022년 영화 《범죄도시2》 이후 2년 만에 다시 만나는 작품이다.
  • [https://www.kocca.kr/kocca/bbs/view/B0000137/2003134.do?searchCnd=3&searchWrd=2023%EB%85%84+%EB%B0%A9%EC%86%A1%EC%98%81%EC%83%81%EC%BD%98%ED%85%90%EC%B8%A0&cateTp1=07&cateTp2=&useYn=&menuNo=204802&categorys=0&subcate=0&cateCode=&type=&instNo=0&questionTp=&ufSetting=&recovery=&option1=&option2=&year=&morePage=&qtp=&domainId=&sortCode=&pageIndex=1 한국콘텐츠진흥원 2023년 방송영상콘텐츠 기획안 공모 - 드라마(장편) 부분 선정작(우수상)이다.]
  • 송재림의 드라마 유작이다.

참조

[1] 문서 역사적으로 본명이 알려져있지 않기에 이름은 창작을 한 것으로 보인다
[2] 문서 을파소
[3] 문서 고국천왕
[4] 문서 고발기
[5] 문서 역사상 존재하지 않는 창작 캐릭터. 고구려 건국신화에 나오는 추모왕 휘하의 장군과 같은 이름을 가지고 있다
[6] 문서 신대왕
[7] 문서 산상왕
[8] 문서 고계수
[9] 인스타그램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
[10] 문서 명림답부와 같은 성씨를 사용하는 것으로 보아 절노부의 인물로 보인다
[11] 뉴스 공식 캐스팅 기사 https://www.mediapen[...]
[12] 뉴스 공식 캐스팅 기사 https://m.entertain.[...]
[13] 문서 한산: 용의 출현에서 안코쿠지 에케이, 고려 거란 전쟁 (드라마)|고려 거란 전쟁에서 거란족 타초곡기 병사로 출연하였다.
[14] SNS SNS https://www.instagra[...]
[15] 뉴스 결혼식 기사 https://www.gukjenew[...]
[16] 문서 영화 발레리나 (2023년 영화)|발레리나에서는 전종서가 메인 여주인공으로 출연했고 김무열이 만악의 근원이자 중간보스로 출연했다.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