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치다 도모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치다 도모야는 일본의 전 축구 선수로, 미드필더로 활약했다. 2002년 요코하마 FC에서 선수 경력을 시작하여, 오미야 아르디자, 벤포레 고후, 사우스 디스트릭트 FC 등 여러 클럽을 거쳤다. 2006년에는 요코하마 FC의 J2 리그 우승을 경험했으며, 2017년 사우스 디스트릭트 FC에서 선수 생활을 마감했다. 은퇴 후에는 요코하마 FC의 사업부 직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홍콩에 거주한 일본인 - 오카노 마사유키
오카노 마사유키는 일본의 은퇴한 축구 선수로, 공격수와 미드필더로 활동하며 J리그와 해외 리그에서 뛰었고, 199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 일본의 월드컵 첫 본선 진출을 확정짓는 골든골을 기록했으며, 은퇴 후에는 가이나레 돗토리의 제너럴 매니저 및 대표이사 GM을 역임했다. - 홍콩에 거주한 일본인 - 후쿠다 겐지
후쿠다 겐지는 일본의 전 축구 선수로, J리그에서 데뷔하여 득점왕을 차지하고 해외 리그에서 활동하다가 은퇴 후 요코하마 FC에서 테크니컬 디렉터로 활동하고 있다. - 홍콩 프리미어리그의 축구 선수 - 김신욱
김신욱은 대한민국 축구 선수로, 공격수 포지션에서 활약하며 울산 현대, 전북 현대 모터스 등에서 뛰었고, 대한민국 국가대표팀으로 월드컵에 출전하여 K리그 MVP 등을 수상했다. - 홍콩 프리미어리그의 축구 선수 - 김봉진 (축구 선수)
김봉진은 2013년 강원 FC에서 프로 데뷔한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 K리그와 더불어 홍콩, 베트남, 말레이시아, 태국, 인도네시아 등 다양한 해외 리그에서 활동하며 특히 킷치 SC에서 올해의 수비수 및 베스트 11에 선정되는 등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 홍콩의 외국인 남자 축구 선수 - 조지 베스트
조지 베스트는 북아일랜드 출신의 전설적인 축구 선수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에서 뛰어난 활약을 펼치며 발롱도르를 수상했으나 알코올 중독으로 어려움을 겪다 59세에 사망했으며, 그의 업적을 기려 벨파스트 공항 이름이 변경되고 초상이 그려진 지폐가 발행되었다. - 홍콩의 외국인 남자 축구 선수 - 김신욱
김신욱은 대한민국 축구 선수로, 공격수 포지션에서 활약하며 울산 현대, 전북 현대 모터스 등에서 뛰었고, 대한민국 국가대표팀으로 월드컵에 출전하여 K리그 MVP 등을 수상했다.
우치다 도모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우치다 도모야 |
출생일 | 1983년 7월 10일 |
출생지 | 고모노, 미에현 |
키 | 1.66m |
포지션 | 미드필더 |
클럽 경력 | |
유소년 클럽 | 욧카이치 주오 공업 고등학교 (1999-2001) |
프로 클럽 | 요코하마 FC (2002-2007): 185경기 (13골) 오미야 아르디자 (2008-2010): 47경기 (3골) 방포레 고후 (2011): 9경기 (0골) 요코하마 FC (2012-2016): 68경기 (6골) 서던 디스트릭트 FC (2017): 11경기 (1골) |
통산 | 320경기 (23골) |
2. 선수 경력
우치다는 2002년 J2 리그의 요코하마 FC에서 프로 선수 경력을 시작하여, 2003년 여름부터 공격형 미드필더로 주전 자리를 꿰찼다.[2] 요코하마 FC는 2006 시즌 우승으로 J1 리그로 승격했지만, 2007 시즌 최하위로 강등되었다. 이후 우치다는 오미야 아르디자(2008-2010), 벤포레 고후(2011)를 거쳐 2012년 요코하마 FC로 복귀했다. 2017년에는 홍콩의 사우스 디스트릭트 FC로 이적하여 선수 생활을 마무리했다.[3]
한편, 축구 잡지 "축구J+(サッカーJ+)"는 "2006년에 주목할 선수 6인" 중 한 명으로 우치다를 선정하기도 했다.
2. 1. 클럽 경력
우치다 도모야는 1983년 7월 10일 미에현 고모노에서 태어나 요카이치 중앙 공업고등학교를 졸업했다. 2002년 J2 리그의 요코하마 FC에 입단하여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으며, 이후 오미야 아르디자, 벤포레 고후를 거쳐 다시 요코하마 FC로 복귀했다. 2017년에는 홍콩의 사우스 디스트릭트 FC에서 선수 생활을 마무리하고 은퇴했다.[3]2. 1. 1. 요코하마 FC (2002-2007)
우치다는 고등학교 졸업 후, 2002년 J2 리그 클럽 요코하마 FC에 입단했다. 그는 첫 시즌부터 출전 기회를 얻어 2003년 여름 공격형 미드필더로 주전 선수로 자리 잡았다.[2] 당시 신도 겐지 감독은 "좋은 자산을 얻었다"며 높게 평가했다. 클럽의 성적은 매 시즌 부진했지만, 요코하마는 2006 시즌 우승을 차지하며 구단 역사상 처음으로 J1 리그로 승격되었다. 그는 많은 경기에 출전했지만, 요코하마는 2007 시즌 최하위를 기록하며 1년 만에 J2로 강등되었다.2. 1. 2. 오미야 아르디자 (2008-2010)
2008년, 우치다는 오미야 아르디자로 이적했다.[2] 주전 선수로 자리 잡지는 못했지만, 3시즌 동안 많은 경기에 출전했다.[2]2. 1. 3. 반포레 고후 (2011)
2011년, 우치다는 반포레 고후로 이적했다.[2] 그러나 많은 경기에 출전하지는 못했다.[3]2. 1. 4. 요코하마 FC 복귀 (2012-2016)
2012년, 우치다는 4년 만에 J2 리그 클럽인 요코하마 FC에 재합류했다.[3] 2013년에는 많은 경기에 출전했지만, 2014년부터는 출전 기회가 줄어들었다.[3]2. 1. 5. 사우스 디스트릭트 FC (2017)
2017년, 우치다는 홍콩으로 이적하여 사우스 디스트릭트 FC에 입단했다.[3] 그는 2017년 9월에 은퇴했다.[3]2. 2. 국가대표 경력
内田 智也|우치다 도모야일본어는 2001년에 일본 U-18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선발되었다.3. 개인적인 삶
우치다 히로유키는 중앙 경마의 기수이며 우치다 도모야의 사촌 형이다. 우치다 히로유키의 형인 우치다 슈이치는 전 지방 경마 기수였다. 우치다 도모야는 우치다 히로유키가 더비 제패 후의 축승회에 참가했다.[1]
4. 클럽 통계
클럽 통계[4] | 리그 | 천황배 | J리그 컵 | 합계 | |||||||||
---|---|---|---|---|---|---|---|---|---|---|---|---|---|
시즌 | 클럽 | 리그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
2002 | 요코하마 FC | J2 리그 | 10 | 0 | 0 | 0 | - | 10 | 0 | ||||
2003 | 26 | 3 | 3 | 1 | - | 29 | 4 | ||||||
2004 | 39 | 3 | 3 | 0 | - | 42 | 3 | ||||||
2005 | 41 | 3 | 2 | 2 | - | 43 | 5 | ||||||
2006 | 46 | 3 | 0 | 0 | - | 46 | 3 | ||||||
2007 | J1 리그 | 23 | 1 | 0 | 0 | 2 | 0 | 25 | 1 | ||||
요코하마 FC 합계 | 185 | 13 | 8 | 3 | 2 | 0 | 195 | 16 | |||||
2008 | 오미야 아르디자 | J1 리그 | 16 | 0 | 2 | 1 | 3 | 0 | 21 | 1 | |||
2009 | 22 | 3 | 1 | 0 | 2 | 0 | 25 | 3 | |||||
2010 | 9 | 0 | 1 | 0 | 1 | 0 | 10 | 0 | |||||
오미야 아르디자 합계 | 47 | 3 | 4 | 1 | 6 | 0 | 57 | 4 | |||||
2011 | 벤포레 고후 | J1 리그 | 9 | 0 | 1 | 0 | 1 | 0 | 11 | 0 | |||
벤포레 고후 합계 | 9 | 0 | 1 | 0 | 1 | 0 | 11 | 0 | |||||
2012 | 요코하마 FC | J2 리그 | 9 | 1 | 1 | 0 | – | 10 | 1 | ||||
2013 | 26 | 4 | 1 | 0 | – | 27 | 4 | ||||||
2014 | 17 | 0 | 1 | 0 | – | 18 | 0 | ||||||
2015 | 11 | 0 | 2 | 0 | – | 13 | 0 | ||||||
2016 | 5 | 1 | 3 | 0 | – | 8 | 1 | ||||||
요코하마 FC 합계 | 68 | 6 | 8 | 0 | – | 76 | 6 | ||||||
요코하마 FC에서 2007년은 J1, 2002-2006, 2012-2016 시즌은 J2 기록 | |||||||||||||
2016/17 | 사우던 디스트릭트 FC | 홍콩 프리미어리그 | 11 | 1 | 2 | 0 | – | 13 | 1 | ||||
사우던 디스트릭트 FC 합계 | 11 | 1 | 2 | 0 | – | 13 | 1 | ||||||
통산 | 320 | 23 | 23 | 4 | 9 | 0 | 352 | 27 |
참조
[1]
J리그
First word
[2]
J리그
J.League
https://data.j-leagu[...]
[3]
웹사이트
Yokohama FC
https://www.yokohama[...]
[4]
웹사이트
Yokohama FC
https://www.yokohama[...]
[5]
간행물
内田智也選手 現役引退 および横浜FC入社のお知らせ
https://www.yokohama[...]
横浜FC
2017-09-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