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의 언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크라이나의 언어는 우크라이나에서 사용되는 언어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우크라이나어와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오랜 역사 동안 밀접한 관계를 맺어왔다. 1991년 독립 이후 우크라이나는 우크라이나어를 유일한 국가 공용어로 지정하고 사용을 장려하는 정책을 추진해왔다. 200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우크라이나어는 67.53%, 러시아어는 29.59%의 사용률을 보였으며, 2022년에는 우크라이나어 81%, 러시아어 34%가 일상생활에서 사용되었다. 우크라이나어 외에도 루마니아어, 폴란드어, 헝가리어, 크림 타타르어 등 다양한 소수 민족어가 사용되며, 수르지크어와 같은 혼합어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크라이나의 언어 - 그리스어
그리스어는 기원전 2000년경 발칸반도에서 기원하여 현대까지 사용되는 언어로, 미케네 문명의 선형 문자 B에서 시작해 페니키아 문자에서 유래한 알파벳으로 발전했으며, 고대 그리스어에서 코이네 그리스어를 거쳐 현대 그리스어로 변화하며 그리스와 키프로스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로서 유럽 언어와 과학 기술 용어에 큰 영향을 주었다. - 우크라이나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우크라이나의 언어 | |
---|---|
언어 정보 | |
![]() | |
공용어 | 우크라이나어 |
소수 언어 | 벨라루스어 불가리아어 크림 타타르어 가가우스어 독일어 그리스어 헝가리어 폴란드어 루마니아어 러시아어 슬로바키아어 이드시어 |
인정된 소멸 위기 언어 | 벨라루스어 크림 타타르어 가가우스어 카라이임어 크림차크어 롬어 루마이어 울름어 이드시어 |
기타 언어 | 아르메니아어 튀르키예어 알바니아어 스웨덴어 |
외국어 |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아랍어 |
수화 | 우크라이나 수화 |
![]() | |
통계 | |
우크라이나어를 더 자주 사용하기 시작한 우크라이나인 | 20% 이상 |
2. 역사적 배경
우크라이나어와 러시아어는 역사적으로 우크라이나 영토 내에서 함께 사용되어 왔다. 러시아 제국 시대 말기인 1897년 러시아 제국 인구 조사에서는 당시 우크라이나 지역에서 우크라이나어가 가장 많이 사용되는 언어였음이 기록되었다. 우크라이나 독립 이후에는 사회 변화와 함께 언어 사용 환경도 지속적으로 변화하였으며[2], 여러 여론조사를 통해 그 양상이 조사되어 왔다.[14][15][16][17][18][19][20][21] 이러한 변화의 구체적인 내용과 각 시대별 상황은 이어지는 하위 문단에서 자세히 다룬다.
2. 1. 키예프 루스 시대
(해당 섹션에 대한 내용이 원본 소스에 존재하지 않아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2. 2. 러시아 제국 시대
1897년 러시아 제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당시 현대 우크라이나 영토에 해당하는 러시아 제국의 9개 현(губерния|구베르니야rus)에서의 언어 구성은 다음과 같았다. 주요 언어 사용 비율은 우크라이나어 73%, 러시아어 11%, 이디시어 9%, 독일어 2%, 폴란드어 2%, 벨라루스어 1%, 루마니아어 1% 순으로 나타났다.2. 3. 소비에트 연방 시대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소비에트 연방 시대'의 우크라이나 언어 상황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해당 섹션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2. 4. 독립 이후
우크라이나 독립 이후, 언어 사용 환경은 지속적으로 변화해왔다. 여러 여론조사는 우크라이나어와 러시아어 사용 비율의 변화 추이를 보여준다.2009년 10월, 러시아 정치사회학 회사인 FOM-우크라이나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는 응답자의 52%가 러시아어를 "의사소통 언어"로 사용한다고 답했고, 41%는 우크라이나어를, 8%는 두 언어를 혼용한다고 답했다.[14] 2010년 3월 리서치 & 브랜딩 그룹의 여론조사[15]에서는 응답자의 65%가 우크라이나어를 모국어로, 33%가 러시아어를 모국어로 여겼다. 그러나 이 조사는 당시 러시아어 구사 수준(76%)이 우크라이나어 구사 수준(69%)보다 높다는 점도 보여주었다. 선호하는 대화 언어로는 우크라이나어(46%)가 러시아어(38%)보다 많았고, 16%는 두 언어를 동등하게 선호했다.
한편, 2009년 11월 여론조사에서는 우크라이나 인구의 54.7%가 언어 문제는 중요하지 않으며 각자 선호하는 언어를 사용하면 된다고 생각했다. 응답자의 14.7%만이 언어 문제가 시급히 해결되어야 한다고 보았고, 28.3%는 해결은 필요하지만 나중에 해도 된다고 여겼다.[16]
2011년 8월 라줌코프 센터의 여론조사에서는 응답자의 53.3%가 일상생활에서 우크라이나어를, 44.5%가 러시아어를 사용한다고 답했다.[17] 2012년 5월 사회학 그룹 "RATING"의 여론조사에서는 응답자의 50%가 우크라이나어를 모국어로, 29%가 러시아어를 모국어로 여겼으며, 20%는 두 언어 모두를 모국어로 간주했다. 1%는 다른 언어를 모국어로 꼽았다.[18]
2015년 12월 라줌코프 센터가 러시아에 합병된 크림 반도와 분리주의 세력이 통제하는 도네츠크, 루한스크를 제외한 우크라이나 전역에서 실시한 연구에 따르면, 우크라이나어를 모국어로 여기는 비율은 60%로 증가했고, 러시아어는 15%로 감소했다. 두 언어를 동등하게 모국어로 여기는 비율은 22%였다. 업무 선호 언어의 경우, 우크라이나어와 러시아어를 선택한 비율이 각각 37%로 동일했고, 21%는 이중 언어를 사용했다.[19][20]
2022년 기준으로 우크라이나 인구의 81%가 사적으로 우크라이나어를 사용하며, 동시에 34%는 러시아어를 사용한다. 이는 우크라이나 거주자의 19%가 두 언어를 모두 정기적으로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2]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러시아어 사용은 더욱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다. 사회학 그룹 "RATING"이 2023년 8월 16일부터 20일까지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거의 60%가 집에서 주로 우크라이나어를 사용하고, 약 30%는 우크라이나어와 러시아어를 함께 사용하며, 9%만이 러시아어를 사용한다. 응답자의 82%는 우크라이나어를 모국어로, 16%는 러시아어를 모국어로 꼽았다. 국내 실향민과 해외 거주 난민은 의사 소통을 위해 두 언어를 모두 사용하거나 러시아어를 사용할 가능성이 더 높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70% 이상이 우크라이나어를 모국어로 여긴다.[21]
독립 이후 우크라이나 정부는 우크라이나어 사용을 장려하는 정책을 추진해왔다. 2016년 11월에는 라디오 방송국이 매일 일정 비율 이상의 우크라이나어 노래를 방송하도록 하는 규정이 시행되었다. 또한 TV 및 라디오 방송사는 뉴스 및 분석 프로그램의 60%를 우크라이나어로 방송해야 한다.[22] 2017년 9월에는 공교육에서 국가 언어인 우크라이나어 사용을 의무화하는 법이 시행되었다. 이 법은 학교가 제2언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 모든 수업에서 국가 언어인 우크라이나어를 사용하도록 요구했다. 예외적으로 "영어 또는 유럽 연합의 다른 공식 언어"를 사용하여 가르치는 언어 수업이 있다.[23] 새로운 철자법은 2019년 5월 우크라이나 내각에서 채택되었다.[24]
3. 우크라이나어
2022년 기준으로 우크라이나 인구의 81%가 사적으로 우크라이나어를 사용하며, 동시에 34%는 러시아어를 사용한다. 이는 우크라이나 거주자의 상당 부분인 19%가 두 언어를 모두 정기적으로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2] 하지만 과거의 조사 결과는 다소 다른 양상을 보여준다.
2008년 초 갤럽 연구소의 조사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시민의 83%가 러시아어로 설문지를 작성하는 것을 선택했다.[13] 이는 설문지가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영어 세 가지 버전으로 제공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나타난 결과이다. 2009년 10월, 러시아 정치사회학 회사인 FOM-우크라이나가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는 응답자의 52%가 러시아어를 "의사소통 언어"로, 41%가 우크라이나어를 사용한다고 답했으며, 8%는 두 언어를 혼용한다고 답했다.[14]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우크라이나어 사용 선호 경향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2010년 3월 리서치 & 브랜딩 그룹의 여론조사[15]에서는 응답자의 65%가 우크라이나어를 모국어로, 33%가 러시아어를 모국어로 여겼다. 이 조사는 당시 러시아어 구사 수준(76%)이 우크라이나어 구사 수준(69%)보다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더 많은 응답자(46%)가 러시아어(38%)보다 우크라이나어로 말하는 것을 선호했으며, 16%는 두 언어를 동등하게 선호한다고 밝혔다.
2011년 8월 라줌코프 센터의 여론조사에서는 응답자의 53.3%가 일상생활에서 우크라이나어를, 44.5%가 러시아어를 사용한다고 답했다.[17] 2012년 5월 사회학 그룹 "RATING"의 여론조사에서는 응답자의 50%가 우크라이나어를 모국어로, 29%가 러시아어를 모국어로, 20%가 우크라이나어와 러시아어 모두를 모국어로 여겼다.[18]
2015년 12월 라줌코프 센터가 러시아에 합병된 크림 반도와 분리주의 세력이 통제하는 도네츠크, 루한스크를 제외한 우크라이나 전 지역에서 실시한 연구에 따르면, 응답자의 다수인 60%가 우크라이나어를 모국어로 여겼으며, 러시아어는 15%, 두 언어 모두를 모국어로 여기는 비율은 22%였다. 업무 선호 언어에서는 우크라이나어와 러시아어를 선택한 비율이 각각 37%로 동일하게 나타났고, 21%는 이중 언어를 사용했다.[19][20]
2022년 러시아의 침공 이후 우크라이나어 사용은 더욱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사회학 그룹 "RATING"이 2023년 8월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거의 60%가 집에서 주로 우크라이나어를 사용하고, 약 30%는 우크라이나어와 러시아어를 함께 사용하며, 9%만이 러시아어를 주로 사용한다고 답했다. 2022년 3월 이후 일상생활에서의 러시아어 사용은 눈에 띄게 감소했다. 응답자의 82%는 우크라이나어를 모국어로, 16%는 러시아어를 모국어로 꼽았다. 국내 실향민(IDPs)과 해외 거주 난민은 두 언어를 함께 사용하거나 러시아어를 사용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았지만, 이들 중 70% 이상이 우크라이나어를 모국어로 여긴다고 답했다.[21]
우크라이나 정부는 공공 영역에서 우크라이나어의 지위를 강화하기 위한 정책을 추진해왔다. 2016년 11월에는 라디오 방송국이 매일 일정 비율 이상의 우크라이나어 노래를 방송하도록 하는 규정이 시행되었다. 이 법은 또한 TV 및 라디오 방송사가 뉴스 및 분석 프로그램의 60%를 우크라이나어로 방송하도록 규정했다.[22] 2017년 9월에는 공교육에서의 언어 사용에 관한 법률이 채택되어, 학교에서 제2언어 수업을 제외한 모든 수업을 국가 언어인 우크라이나어로 진행하도록 요구했다. 예외적으로 "영어 또는 유럽 연합의 다른 공식 언어"를 사용하여 가르치는 언어 수업이 있다.[23] 2019년 5월에는 새로운 우크라이나어 철자법이 내각에서 채택되었다.[24] 이러한 정책들은 우크라이나 사회 전반에서 우크라이나어 사용을 장려하고 국가 정체성을 강화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평가된다.
4.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우크라이나어 다음으로 우크라이나에서 널리 사용되는 언어이다. 과거 여러 조사에서는 러시아어 사용 비율이 높게 나타나기도 했으나,[13][14][15][17][18]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사회적, 정치적 변화와 함께 언어 사용 양상에도 변화가 관찰되고 있다. 2022년 조사에서는 인구의 34%가 사적으로 러시아어를 사용하고, 19%는 우크라이나어와 러시아어를 모두 정기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2] 2023년 조사에서는 일상생활에서의 러시아어 사용이 눈에 띄게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21] 이는 우크라이나 사회 내에서 우크라이나어의 사용이 강화되고 러시아어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고 있음을 보여준다.
4. 1. 우크라이나의 러시아어
2008년 초 갤럽 연구소의 연구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시민의 83%가 러시아어로 설문지를 작성하는 것을 선택했다.[13] 설문지는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영어 세 가지 버전으로 제공되었으며, 언어 관련 주제가 아니었기에 응답자의 민족적 또는 이념적 정체성과는 무관하게 언어 선호도를 보여주는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2009년 10월, 러시아 정치사회학 회사인 FOM-우크라이나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는 응답자의 52%가 러시아어를 "의사소통 언어"로 사용한다고 답했고, 41%는 우크라이나어를 사용한다고 답했으며, 8%는 두 언어를 혼용한다고 답했다.[14] 같은 해 11월에 실시된 다른 여론조사에서는 우크라이나 인구의 54.7%가 언어 문제를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으며 각자 선호하는 언어를 사용하면 된다고 답했다. 반면 14.7%는 언어 문제가 시급히 해결되어야 한다고 보았고, 28.3%는 해결은 필요하지만 나중에 해도 된다고 생각했다.[16]
2010년 3월 리서치 & 브랜딩 그룹의 여론조사[15]에 따르면, 응답자의 65%가 우크라이나어를 모국어로, 33%가 러시아어를 모국어로 여겼다. 이 조사는 또한 당시 우크라이나에서 러시아어 구사 능력(자유로운 대화, 쓰기, 읽기 가능 비율 76%)이 우크라이나어 구사 능력(69%)보다 높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선호하는 사용 언어로는 우크라이나어(46%)가 러시아어(38%)보다 많았으며, 16%는 두 언어를 동등하게 선호했다.
2011년 8월 라줌코프 센터의 여론조사에서는 응답자의 53.3%가 일상생활에서 우크라이나어를 사용하고, 44.5%가 러시아어를 사용한다고 답했다.[17]
2012년 5월 사회학 그룹 "RATING"의 여론조사에서는 응답자의 50%가 우크라이나어를 모국어로, 29%가 러시아어를 모국어로, 20%가 우크라이나어와 러시아어 모두를 모국어로 여겼고, 1%는 다른 언어를 모국어로 꼽았다.[18]
2015년 12월 라줌코프 센터가 러시아에 합병된 크림 반도와 분리주의 세력이 통제하는 도네츠크, 루한스크를 제외한 우크라이나 전 지역에서 실시한 연구에 따르면, 우크라이나어를 모국어로 여기는 비율(60%)이 러시아어(15%)보다 훨씬 높았으며, 22%는 두 언어 모두를 모국어로 여겼다. 업무 선호 언어에서는 우크라이나어와 러시아어를 선택한 비율이 37%로 동일했고, 21%는 두 언어를 함께 사용했다.[19][20]
2022년 기준으로 우크라이나 인구의 81%가 사적으로 우크라이나어를 사용하며, 동시에 34%는 러시아어를 사용한다. 이는 우크라이나 거주자의 19%가 두 언어를 모두 정기적으로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2]
사회학 그룹 "RATING"이 2023년 8월 16일부터 20일까지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거의 60%가 집에서 주로 우크라이나어를 사용하고, 약 30%는 우크라이나어와 러시아어를 함께 사용하며, 9%만이 러시아어를 사용한다. 2022년 3월 이후 일상생활에서 러시아어 사용이 눈에 띄게 감소하고 있다. 응답자의 82%는 우크라이나어를 모국어로, 16%는 러시아어를 모국어로 꼽았다. 국내 실향민(IDPs)과 해외 거주 난민은 두 언어를 모두 사용하거나 러시아어를 사용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지만, 이들 중 70% 이상이 우크라이나어를 모국어로 여긴다고 답했다.[21]
5. 수르지크어
우크라이나에서는 우크라이나어와 러시아어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흔하며, 이는 두 언어가 혼합된 형태인 수르지크어 사용과 관련지어 이해할 수 있다. 여러 여론조사 결과를 통해 이러한 언어 혼용 실태를 파악할 수 있다.
2009년 10월 FOM-우크라이나가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는 응답자의 8%가 두 언어를 혼용한다고 답했다.[14] 2010년 3월 리서치 & 브랜딩 그룹의 조사에서는 응답자의 16%가 두 언어를 동등하게 사용하는 것을 선호한다고 밝혔다.[15]
시간이 지나면서 두 언어를 모두 모국어로 여기는 인식도 나타났다. 2012년 5월 사회학 그룹 "RATING"의 여론조사에서는 응답자의 20%가 우크라이나어와 러시아어 모두를 모국어로 여겼다.[18] 2015년 12월 라줌코프 센터가 크림 반도와 분리주의 세력 통제 지역을 제외하고 실시한 조사에서는 응답자의 22%가 두 언어를 동등하게 모국어로 사용한다고 답했으며, 업무에서 두 언어를 함께 사용하는 비율은 21%였다.[19][20]
2022년 기준으로 우크라이나 인구의 19%가 우크라이나어와 러시아어를 모두 정기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2] 사회학 그룹 "RATING"이 2023년 8월에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집에서 우크라이나어와 러시아어를 함께 사용하는 비율은 약 30%에 달했다. 특히 2022년 러시아의 침공 이후 일상생활에서 러시아어 사용이 눈에 띄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21] 국내 실향민(IDPs)이나 해외 거주 난민의 경우, 두 언어를 함께 사용하거나 러시아어를 사용하는 경향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지만, 이들 중 70% 이상은 여전히 우크라이나어를 자신의 모국어로 여긴다고 답했다.[21]
6. 소수 민족어
Ethnologue에서는 우크라이나의 40개 소수 언어와 방언을 목록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이들 대부분은 소비에트 연방 시기부터 사용되어 온 언어들이다.
2012년 8월 우크라이나 최고 라다에서 채택된 "국가 언어 정책 원칙법"에 따라, 특정 지역 인구의 최소 10%가 사용하는 언어에 대해 "지방 언어" 지위를 부여할 수 있게 되었다. 이 법이 시행되면서 국가 전체의 유일한 공용어는 여전히 우크라이나어였지만, 일부 지방에서는 교육 기관, 지방 관청, 법원 등에서 소수 민족 언어가 공식적으로 사용될 수 있었다.[30]
그러나 2014년 2월, 우크라이나 최고 라다는 이 지방 언어에 관한 법률의 폐지를 결정했으나, 당시 대통령 권한 대행이었던 올렉산드르 투르치노프는 이 결정에 서명을 거부했다. 이후 2014년 9월, 우크라이나 헌법 재판소는 이 법률의 합헌 여부를 심사하기 시작했으며[31], 2018년 2월 28일에는 해당 법률이 위헌이라고 최종 판결했다.[31] 유럽 평의회 등에서는 이 법률이 소수 언어 사용자의 언어권을 공정하게 보호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제기되기도 했다.[32]
6. 1. 크림 타타르어
크림 타타르어는 크림반도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며, 우크라이나의 원주민 언어 중 하나이다. 방언이 존재한다.7. 언어 정책
우크라이나는 독립 이후 국가 정체성 확립과 러시아의 영향력에서 벗어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우크라이나어 사용을 장려하고 그 지위를 강화하는 정책을 꾸준히 추진해왔다. 이러한 정책은 교육, 방송, 공공 영역 등 사회 전반에서 우크라이나어 사용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주요 정책으로는 2016년 라디오와 텔레비전 방송에서 우크라이나어 콘텐츠 비율을 의무화한 규정[22][41], 2017년 공교육에서 우크라이나어 사용을 강화한 교육법 개정[23][42], 그리고 2019년 공공 영역 전반에 걸쳐 우크라이나어 사용을 의무화한 '국가 언어로서 우크라이나어 기능 보호에 관한 법률' 제정 등이 있다.[24][43] 이러한 일련의 언어 정책들은 우크라이나 사회 내에서 우크라이나어의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했지만, 소수 언어 사용자들의 권리 문제와 사회적 통합에 대한 과제를 남기기도 했다.
7. 1. 언어 정책에 대한 비판
Ethnologue에 따르면 우크라이나에는 40개의 소수 언어와 방언이 있으며, 이들 대부분은 소비에트 연방 시절부터 사용되어 왔다.우크라이나의 언어 정책은 소수 민족, 특히 러시아어 사용자의 언어권을 충분히 보장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2012년 8월, 우크라이나 최고 라다는 '국가 언어 정책 원칙법' Закон України «Про засади державної мовної політики»uk을 채택했다. 이 법은 특정 주(Oblast) 인구의 10%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에 "지방 언어" 지위를 부여할 수 있도록 했다. 이에 따라 일부 지역에서는 교육 기관, 지방 관청, 법원 등에서 러시아어 등 소수 언어가 사용될 수 있게 되었지만, 국가 전체적으로는 우크라이나어만이 유일한 "공용어" 지위를 유지했다[30].
그러나 이 법은 논란 끝에 2014년 2월 최고 라다에서 폐지가 결정되었으나, 당시 대통령 권한 대행이었던 올렉산드르 투르치노프가 서명을 거부하면서 유지되었다. 이후 우크라이나 헌법 재판소는 2014년 9월부터 이 법의 합헌성 여부를 심사하기 시작했고[31], 2018년 2월 28일 최종적으로 위헌 판결을 내렸다[31]. 유럽 평의회 역시 이 법이 소수 언어의 언어권을 공정하게 보호하지 못한다고 지적한 바 있다[32].
한편, 우크라이나 정부는 우크라이나어 사용을 강화하는 정책을 추진해왔다. 2016년 11월에는 라디오 방송국에서 매일 일정 비율 이상의 우크라이나어 노래를 방송하도록 의무화하는 법률이 시행되었으며, 텔레비전과 라디오의 뉴스 프로그램 중 60%를 우크라이나어로 방송하도록 규정했다[41].
2017년 9월에는 공교육에서 국어인 우크라이나어 사용을 확대하는 법률이 제정되었다. 이 법은 모든 학교에서 제2외국어가 아닌 수업은 우크라이나어로 진행하도록 의무화했다. 다만, "영어 또는 유럽 연합의 공용어"로 진행되는 수업은 예외로 두었는데[42], 이는 러시아어를 비롯한 다른 소수 언어 사용자들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비판을 낳았다. 2019년 5월에는 우크라이나 각료회의에서 새로운 우크라이나어 철자법이 채택되었다[43].
8. 2000년대 이후의 통계
2000년대 들어 우크라이나의 언어 사용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다양한 통계 조사가 이루어졌다. 조사 시기나 기관, 방법론에 따라 결과에는 다소 차이가 나타났지만, 이는 당시 우크라이나 사회의 복잡한 언어 상황을 반영한다.
예를 들어, 2008년 초 갤럽 연구소의 조사에서는 우크라이나 시민의 83%가 러시아어로 설문지를 작성하는 것을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13] 이 조사는 언어 자체를 주제로 한 것은 아니었지만, 설문지가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영어 세 가지 버전으로 제공되었기에 응답자의 선호도를 엿볼 수 있다. 갤럽은 이러한 결과가 응답자의 민족적 또는 이념적 정체성과는 무관하게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또한, 키예프 국립 언어 대학교의 2009년 연구 데이터(현재는 웹사이트에서 접근하기 어려우나 다른 경로로 보존됨[12])에 따르면, 당시 우크라이나 시민의 일상적인 의사소통에서의 우크라이나어와 러시아어 사용 양상은 다른 조사들과는 다소 다른 경향을 보이기도 했다.
이러한 2000년대의 조사 결과들은 이후 크림 위기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같은 주요 사건들을 거치며 변화하는 우크라이나 언어 환경의 기초적인 맥락을 제공한다. 2010년대 이후의 구체적인 언어 사용 변화 추세는 하위 문단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8. 1. 2001년 인구 조사
2001년 우크라이나 인구 조사는 우크라이나 독립 이후 처음이자 현재까지 유일하게 실시된 인구 조사이다. 이 조사에 따르면, 민족으로서의 우크라이나인이 전체 인구의 77.8%를 차지했으며, 다른 주요 민족 집단으로는 러시아인 (17.3%), 벨라루스인 (0.6%), 루마니아인 및 몰도바인 (합계 0.8%), 크림 타타르인 (0.5%), 불가리아인 (0.4%), 헝가리인 (0.3%), 폴란드인 (0.3%), 유대인 (0.2%), 아르메니아인 (0.2%), 그리스인 (0.2%), 카라임인 (0.1% 미만), 크림차크인 (0.1% 미만) 및 가가우즈인 (0.1%) 등이 있었다.[3][26]인구 조사에서는 모국어에 대한 질문도 포함되었는데, 이는 반드시 가정에서 주로 사용하는 언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조사 결과, 우크라이나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인구는 67.53%였으며, 러시아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인구는 29.59%로 나타났다. 그 외 다양한 소수 민족 언어들이 모국어로 사용되고 있었다.[4][27]
다음 표는 2001년 인구 조사에 따른 모국어별 사용 인구와 비율을 보여준다.[4][27]
언어 | 화자 수 | 합계 |
---|---|---|
우크라이나어 | 32,577,468 | 67.53% |
러시아어 | 14,273,670 | 29.59% |
크림 타타르어 | 231,382 | 0.48% |
몰도바어 | 185,032 | 0.38% |
헝가리어 | 161,618 | 0.34% |
루마니아어 | 142,671 | 0.30% |
불가리아어 | 134,396 | 0.28% |
벨라루스어 | 56,249 | 0.12% |
아르메니아어 | 51,847 | 0.11% |
가가우즈어 | 23,765 | 0.05% |
로마니 제어 | 22,603 | 0.05% |
폴란드어 | 19,195 | 0.04% |
독일어 | 4,206 | 0.01% |
그리스어 | 6,029 | 0.01% |
히브리어 | 3,307 | 0.01% |
슬로바키아어 | 2,768 | 0.01% |
카라이트어 | 96 | 0.00% |
기타 | 143,163 | 0.30% |
미기재 | 201,437 | 0.42% |
총계 | 48,240,902 | 100% |
위 표에는 포함되지 않았지만, 2001년 조사 당시 루신어 사용자는 6,725명이었다.[28] 또한 우크라이나 수화 (2008년 기준 54,000명), 이디시어 (2007년 기준 11,500명), 우룸어 (2000년 기준 95,000명, 종종 타타르어에 포함됨), 크림차크어 (2007년 기준 200명) 사용자도 존재한다. 표에 언급된 로마니 제어에는 블라흐 로마니어, 카르파티아 로마니어, 발칸 로마니어 등이 포함된다.[6][29] 그 외에도 스웨덴어의 감말스벤스카 방언 사용자가 소수 존재한다.
8. 2. 2010년대 이후의 조사
2010년대 이후 우크라이나의 언어 사용에 대한 여론 조사는 시기와 조사 기관, 방법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이지만, 전반적으로 우크라이나어 사용이 증가하고 러시아어 사용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특히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과 돈바스 전쟁 이후 이러한 변화가 더욱 뚜렷해졌다.조사 시기 | 조사 기관 | 주요 내용 | 출처 |
---|---|---|---|
2010년 3월 | 리서치 & 브랜딩 그룹 | 모국어: 우크라이나어 65%, 러시아어 33% 선호 언어: 우크라이나어 46%, 러시아어 38%, 동등 16% | [15][35] |
2011년 8월 | 라줌코프 센터 | 일상 사용: 우크라이나어 53.3%, 러시아어 44.5% | [17][37] |
2012년 5월 | 사회학 그룹 "RATING" | 모국어: 우크라이나어 50%, 러시아어 29%, 둘 다 20%, 기타 1% | [18][38] |
2015년 12월 (점령/분리주의 지역 제외) | 라줌코프 센터 | 모국어: 우크라이나어 60%, 러시아어 15%, 둘 다 22% 업무 언어: 우크라이나어/러시아어 각 37%, 이중 언어 21% | [19][20][39][40] |
2022년 | (기관 명시 없음) | 사적 사용: 우크라이나어 81%, 러시아어 34% (19%는 둘 다 사용) | [2] |
2023년 8월 | 사회학 그룹 "RATING" | 집 사용: 우크라이나어 약 60%, 둘 다 약 30%, 러시아어 9% 모국어: 우크라이나어 82%, 러시아어 16% | [21] |
2010년 조사에서는 응답자의 65%가 우크라이나어를 모국어로 여겼지만, 러시아어 구사 능력(읽기, 쓰기, 말하기 포함)을 가진 응답자는 76%로 우크라이나어(69%)보다 다소 높았다.[15][35] 그러나 선호하는 대화 언어로는 우크라이나어(46%)가 러시아어(38%)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후 조사들에서 점차 우크라이나어를 모국어 또는 일상 언어로 사용하는 비율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2014년 러시아의 크림 반도 점령 및 돈바스 지역 분쟁 이후 실시된 2015년 라줌코프 센터 조사에서는 러시아가 점령한 크림 반도와 분리주의 세력이 통제하는 도네츠크, 루한스크 지역을 제외했음에도 불구하고, 우크라이나어를 모국어로 생각하는 비율이 60%로 증가하고 러시아어는 15%로 감소하는 등 우크라이나어 사용 경향이 더욱 강화되었다.[19][20][39][40]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이러한 언어 사용 변화를 더욱 가속화시킨 것으로 보인다. 2022년 기준으로 사적인 대화에서 우크라이나어를 사용하는 인구는 81%에 달했으며, 러시아어 사용자는 34%였다. 이는 응답자의 19%가 두 언어를 모두 일상적으로 사용함을 의미한다.[2] 2023년 8월 사회학 그룹 "RATING" 조사에서는 집에서 주로 러시아어만 사용하는 비율이 9%까지 감소했으며, 모국어로 우크라이나어를 꼽은 비율은 82%에 달했다.[21] 이 조사에 따르면 2022년 3월 이후 일상생활에서 러시아어 사용이 눈에 띄게 감소했으며, 국내 실향민(IDPs)이나 해외 거주 난민 중에서도 70% 이상이 우크라이나어를 모국어로 여긴다고 답했다.
참고로, 2010년대 초반 이전인 2009년 10월 친러 성향의 FOM-우크라이나(FOM-Ukraine) 조사에서는 응답자의 52%가 러시아어를 "의사소통 언어"로, 41%가 우크라이나어를 사용한다고 답한 바 있으며,[14][34] 같은 해 11월 조사에서는 응답자의 과반수(54.7%)가 언어 문제가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했다.[16][36] 이는 2010년대 이후, 특히 2014년과 2022년의 사건들을 거치며 우크라이나 내 언어에 대한 인식과 사용 양상이 크게 변화했음을 보여준다.
참조
[1]
웹사이트
Понад 20% українців почали частіше використовувати українську мову
https://chytomo.com/[...]
2023-02-28
[2]
웹사이트
Мова та ідентичність в Україні на кінець 2022-го
https://zbruc.eu/nod[...]
2023-01-07
[3]
간행물
Opinion on the law on Supporting the functioning of the Ukrainian language as the State language
https://www.venice.c[...]
Venice Commission
2022-06-16
[4]
웹사이트
Table 19A050501 02. Distribution of the population of Ukraine's regions by native language (0,1)
http://database.ukrc[...]
2020-10-15
[5]
웹사이트
Чисельність осіб окремих етнографічних груп украінського етносу та їх рідна мова
http://2001.ukrcensu[...]
Database of State Statistics Committee of Ukraine
2020-10-15
[6]
웹사이트
Ukraine – Languages
https://www.ethnolog[...]
SIL International
[7]
웹사이트
Russian becomes regional language in three more regions in Ukraine
http://www.ukrinform[...]
[8]
뉴스
Constitutional Court declares unconstitutional language law of Kivalov-Kolesnichenko
https://www.ukrinfor[...]
Ukrinform
2018-02-28
[9]
웹사이트
New Language Requirement Raises Concerns in Ukraine
https://www.hrw.org/[...]
2022-01-19
[10]
웹사이트
Про затвердження переліку мов національних меншин (спільнот) та корінних народів України, яким загрожує зникнення
https://zakon.rada.g[...]
2024-06-07
[11]
웹사이트
44% of Ukrainians said they did not know English at all
https://galinfo.com.[...]
2022-04-02
[12]
웹사이트
From Russification to Ukrainisation: A survey of language politics in Ukraine - New Cold War: Know Better
https://www.newcoldw[...]
2009-06-02
[13]
웹사이트
Russian Language Enjoying a Boost in Post-Soviet States
http://www.gallup.co[...]
2008-08
[14]
웹사이트
ФОМ > Мнения и взгляды населения Украины в сентябре - октябре 2009 года
http://bd.fom.ru/rep[...]
2017-10-08
[15]
웹사이트
Маркетинговые, социологические и политические исследования - R&B Group
http://www.rb.com.ua[...]
2017-10-08
[16]
뉴스
Poll: more than half of Ukrainians did not consider language issue pressing
http://www.kyivpost.[...]
Kyiv Post
2009-11-25
[17]
웹사이트
Опитування: більшість українців спілкуються вдома українською мовою
http://tsn.ua/ukrayi[...]
2017-10-08
[18]
뉴스
The language question, the results of recent research in 2012
http://ratinggroup.c[...]
Sociological group "RATING"
2012-05-25
[19]
웹사이트
Українці стали частіше розмовляти українською
http://www.pravda.co[...]
2017-10-08
[20]
웹사이트
КОНСОЛІДАЦІЯ УКРАЇНСЬКОГО СУСПІЛЬСТВА : ШЛЯХИ, ВИКЛИКИ, ПЕРСПЕКТИВИ : Інформаційно-аналітичні матеріали
http://www.uceps.org[...]
2017-10-08
[21]
웹사이트
Соціологічне дослідження до Дня Незалежності: УЯВЛЕННЯ ПРО ПАТРІОТИЗМ ТА МАЙБУТНЄ УКРАЇНИ (16-20 серпня 2023)
https://ratinggroup.[...]
[22]
뉴스
Ukraine imposes language quotas for radio playlists
https://www.bbc.com/[...]
2016-11-08
[23]
웹사이트
New education law becomes effective in Ukraine
https://www.unian.in[...]
2019-07-16
[24]
웹사이트
Міністерство освіти і науки України - Український правопис (2019)
https://mon.gov.ua/u[...]
2021-04-19
[25]
웹사이트
Мова та ідентичність в Україні на кінець 2022-го
https://zbruc.eu/nod[...]
2023-07-18
[26]
간행물
Opinion on the law on Supporting the functioning of the Ukrainian language as the State language
https://www.venice.c[...]
Venice Commission
2023-07-19
[27]
웹사이트
Table 19A050501 02. Distribution of the population of Ukraine's regions by native language (0,1)
http://database.ukrc[...]
[28]
웹사이트
Чисельність осіб окремих етнографічних груп украінського етносу та їх рідна мова
https://2001.ukrcens[...]
State Statistics Service of Ukraine
[29]
웹사이트
Ukraine – Languages
https://www.ethnolog[...]
SIL International
[30]
문서
Russian becomes regional language in three more regions in Ukraine
ukrinform.ua
[31]
뉴스
Constitutional Court declares unconstitutional language law of Kivalov-Kolesnichenko
https://www.ukrinfor[...]
ウクルインフォルム
2018-02-28
[32]
웹사이트
New Language Requirement Raises Concerns in Ukraine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2023-07-22
[33]
웹사이트
How Many Russians and Ukrainians Speak English?
https://www.starlang[...]
2023-07-25
2022-04-02
[34]
웹사이트
ФОМ > Мнения и взгляды населения Украины в сентябре - октябре 2009 года
https://bd.fom.ru/re[...]
2023-07-26
[35]
웹사이트
Маркетинговые, социологические и политические исследования - R&B Group
http://www.rb.com.ua[...]
[36]
뉴스
Poll: more than half of Ukrainians did not consider language issue pressing
https://archive.kyiv[...]
キーウ・ポスト
2009-11-25
[37]
뉴스
"Опитування: більшість українців спілкуються вдома українською мовою"
https://web.archive.[...]
2011-08-23
[38]
간행물
"The language question, the results of recent research in 2012"
https://ratinggroup.[...]
レーティング (ウクライナ)
2012-05-25
[39]
뉴스
"Українці стали частіше розмовляти українською"
https://www.pravda.c[...]
Українська правда
2016-06-07
[40]
간행물
"КОНСОЛІДАЦІЯ УКРАЇНСЬКОГО СУСПІЛЬСТВА : ШЛЯХИ, ВИКЛИКИ, ПЕРСПЕКТИВИ : Інформаційно-аналітичні матеріали"
https://web.archive.[...]
Uceps.org
2016-06-13
[41]
뉴스
"Ukraine imposes language quotas for radio playlists"
https://www.bbc.com/[...]
BBC News
2016-11-08
[42]
뉴스
"New education law becomes effective in Ukraine"
https://www.unian.in[...]
www.unian.info
2017-09-28
[43]
문서
"Міністерство освіти і науки України - Український правопис (2019)"
https://mon.gov.ua/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