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의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참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크라이나는 1993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참가할 자격을 얻어 2003년 데뷔했으며, 2004년 루슬라나의 "와일드 댄스"로 첫 우승을 차지했다. 2016년 자말라가 "1944"로 두 번째 우승을 거두었으며, 2022년에는 칼루쉬 오케스트라가 "스테파니아"로 우승했다. 우크라이나는 2015년과 2019년에는 불참했으며, 2004년 준결승전 도입 이후 모든 결선에 진출한 유일한 국가이다. 우크라이나의 유로비전 참가는 국가의 소프트 파워와 국제적 이미지에 기여하며, 정치적 메시지를 담은 곡으로 주목받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라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참가 - 조지아의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참가
조지아는 2007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처음 참가한 이후 2009년을 제외하고 매년 대회에 참여하고 있으며, 정치적 중립성 문제로 2009년에는 참가가 거부된 적이 있고, 마르셀 베젠송 상과 바바라 덱스 상을 수상했으며 2011년에는 예술가상을 수상했다. - 나라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참가 - 오스트리아의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참가
오스트리아는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1957년부터 참가하여 우도 유르겐스와 콘치타 부르스트의 우승을 통해 굵직한 성과를 거두었으며, 두 차례 대회를 개최하고 에른스트 그리세만과 안드레아스 가브리엘이 해설을 맡았다.
우크라이나의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참가 | |
---|---|
개요 | |
대회 이름 |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
국가 | 우크라이나 |
참가 정보 | |
방송사 | 우크라이나 공영 방송 (UA:PBC; 2017년–현재) |
이전 방송사 | 우크라이나 국영 텔레비전 (NTU; 2003년–2016년) |
참가 횟수 | 19회 (결승: 19회) |
첫 참가 | 2003년 |
최고 성적 | 1위: 2004년, 2016년, 2022년 |
최저 성적 | 24위: 2017년 |
주최 횟수 | 2005년, 2017년 |
관련 항목 | 비드비르 (로마자 표기) |
웹사이트 | UA:PBC 웹사이트 |
현재 참가 연도 | 2024 |
2. 역사
우크라이나는 1993년부터 유럽 방송 연합(EBU)의 정회원 자격을 얻어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참가 자격을 확보했고, 2003년 우크라이나 국영 텔레비전 회사(NTU)를 통해 처음으로 대회에 참가했다. 2017년부터는 후신인 우크라이나 공영 방송 회사(UA:PBC)가 참가를 주관하고 있다.
첫 참가자인 올렉산드르 포노마료우는 2003년 대회에서 "Hasta la vista"로 14위를 기록했다. 이후 우크라이나는 빠르게 두각을 나타내어, 참가 역사상 총 세 차례 우승을 차지했다. 2004년 루슬라나가 "와일드 댄스"로 첫 우승을 안겼고, 2016년에는 자말라가 곡 "1944"로 두 번째 우승을 기록했다. 가장 최근인 2022년에는 칼루시 오케스트라가 "스테파니아"로 세 번째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
우크라이나는 재정 문제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영향으로 2015년과 2019년 두 차례 대회에 불참했다. 2015년 불참은 돈바스 전쟁으로 인한 재정적 어려움 때문이었고,[2] 2019년에는 국내 선발전 우승자와 방송사 간의 계약 문제 및 러시아 관련 논란으로 인해 최종적으로 참가를 철회했다.[5] 2020년 대회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취소되었으나, 당시 대표로 선발되었던 Go_A는 2021년 대회에 참가하여 "Shum"으로 5위를 차지했다.
2004년 준결승 제도가 도입된 이래, 우크라이나는 참가한 모든 대회의 결선에 진출한 유일한 국가라는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8] 총 11번 상위 10위 안에 들었으며, 그중 8번은 상위 5위 안에 드는 꾸준한 성적을 보여주고 있다. 우크라이나의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참가는 단순한 음악 경연을 넘어, 국가의 소프트 파워를 높이고 국제적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평가받는다.[9] 특히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에는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 또한 대회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를 통해 우크라이나의 문화와 상황을 알리고 국제적 지지를 확보하는 기회로 삼고 있다.[10]
2. 1. 2000년대 초반: 첫 참가와 루슬라나의 우승
우크라이나 국영 텔레비전 회사(NTU)는 유럽 방송 연합(EBU) 정회원 자격으로 2003년부터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참가하기 시작했다.2003년 첫 참가에서는 올렉산드르 포노마료우가 "Hasta la Vista"를 불러 14위를 기록했다.
이듬해인 2004년, 우크라이나는 두 번째 참가 만에 큰 성공을 거두었다. 루슬라나는 우크라이나 전통 음악 요소가 가미된 곡 "와일드 댄스(Wild Dances)"로 무대에 올라, 2위인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를 17점 차(280점 대 263점)로 누르고 우승을 차지했다. 이는 우크라이나의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첫 우승이었으며, 동유럽 국가의 초기 성공 사례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루슬라나의 우승 덕분에 2005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는 우크라이나의 수도 키이우에서 개최되었다.
2. 2. 2010년대: 자말라의 우승과 정치적 메시지
NTU는 돈바스 전쟁과 관련된 재정적 어려움으로 인해 2015년 콘테스트에 불참했다.[2] 하지만 우크라이나는 참가하지 않았음에도 콘테스트를 방송했으며,[3] 2016년 콘테스트 복귀를 약속하고 이를 확정했다.[4]2016년, 우크라이나는 자말라가 부른 "1944"로 두 번째 유로비전 우승을 차지했다. 이 곡은 스탈린 시대 크림 타타르족의 강제 이주라는 역사적 비극을 노래한 것으로,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 이후 러시아-우크라이나 관계가 악화된 상황에서 발표되어 더욱 큰 의미를 가졌다. 이 노래는 단순한 경연곡을 넘어, 역사적 사실을 알리고 국제 사회의 관심을 촉구하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최종 투표에서 배심원 투표는 호주가, 시청자 투표(텔레투표)는 러시아가 1위를 차지했으나, 두 투표에서 모두 2위를 기록한 우크라이나가 총 534점으로 최종 우승했다. 이는 동유럽 국가 최초의 유로비전 2회 우승 기록이기도 하다.
자말라의 우승에 따라 우크라이나는 2017년 콘테스트를 수도 키이우에서 개최했다. 개최국 자격으로 결선에 자동 진출했지만, 최종 결과는 36점으로 24위를 기록하며 역대 최저 성적을 거두었다.
우크라이나는 2019년 콘테스트에도 불참했다. 국내 선발전인 ''비드비르''에서 마루프가 "사이렌 송"으로 우승했지만, UA:PBC는 마루프를 포함한 참가 예정자들에게 러시아에서의 공연 활동을 금지하는 조항이 포함된 계약서 서명을 요구했다. 마루프와 다른 상위권 가수들이 이 계약서 서명을 거부하면서 논란이 일었고, 결국 우크라이나는 2019년 콘테스트 참가를 철회했다.[5] 이는 당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된 복잡한 정치적 상황을 반영하는 결정이었다.
2. 3. 2020년대: 칼루시 오케스트라의 우승과 지속적인 참여
2020년 대회에는 Go_A가 국내 선발전 ''비드비르''에서 우승하여 "Соловей|솔로베이ukr"라는 곡으로 우크라이나를 대표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콘테스트 자체가 취소되었다. 대신 Go_A는 다음 해인 2021년 대회에 "Шум|Shumukr"이라는 곡으로 내부 선발되어 참가했으며, 결선에서 최종 5위를 기록했다. 이 곡은 콘테스트 이후 빌보드 글로벌 200 차트 158위에 오르며, 해당 차트에 진입한 최초의 우크라이나어 노래가 되는 성과를 거두었다.[6]2022년 대회에서는 칼루시 오케스트라가 "Стефанія|스테파니아ukr"로 참가하여 우크라이나에 세 번째 우승 트로피를 안겼다. 특히 이 우승은 러시아의 전면적인 침공이라는 비극적인 상황 속에서 이루어져, 단순한 경연 우승 이상의 의미를 지니며 전 세계적으로 큰 감동과 지지를 이끌어냈다. "스테파니아"는 이후 ''빌보드'' 글로벌 200 차트에서 85위를 기록하며 "Shum"이 세운 기록을 넘어서는 등 대중적으로도 큰 성공을 거두었다.[7] 칼루시 오케스트라의 우승은 전쟁으로 고통받는 우크라이나 국민들에게 큰 위로와 희망의 메시지를 전달했으며, 국제 사회에 우크라이나에 대한 연대와 지지를 다시 한번 확인시키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우크라이나는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꾸준히 참여하며 자국의 문화와 목소리를 국제 사회에 알리고 있다. 이러한 지속적인 참여와 성공은 우크라이나의 소프트 파워를 강화하고 국가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구축하는 데 기여하는 것으로 평가받는다.[9]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역시 러시아 침공 이후에도 유로비전 참가를 지지하며, 이를 통해 우크라이나의 상황과 문화를 국제적으로 알리고 지지를 확보하려는 의지를 보였다.[10] 우크라이나는 2023년 대회에서 6위, 2024년 대회에서는 3위를 기록하는 등 꾸준히 상위권 성적을 유지하며 유로비전에서의 강세를 이어가고 있다.
3. 참가자
wikitext
연도 | 아티스트 | 곡 | 언어 | 결선 | 점수 | 준결선 | 점수 |
---|---|---|---|---|---|---|---|
2003 | 올렉산드르 포노마료프 | "Hasta la vista" | 영어 | 14 | 30 | 준결선 없음 | |
2004 | 루슬라나 | "Wild Dances" | 영어, 우크라이나어 | 1 | 280 | 2 | 256 |
2005 | GreenJolly | "Razom nas bahato" (Разом нас багато) | 우크라이나어, 영어 | 19 | 30 | 개최국 자동 진출 | |
2006 | 티나 카롤 | "Show Me Your Love" | 영어 | 7 | 145 | 7 | 146 |
2007 | 베르카 세르듀치카 | "Dancing Lasha Tumbai" | 영어, 독일어, 수르지크어 | 2 | 235 | 전년도 10위권 내 자동 진출 | |
2008 | 아니 로락 | "Shady Lady" | 영어 | 2 | 230 | 1 | 152 |
2009 | 스베틀라나 로보다 | "Be My Valentine! (Anti-Crisis Girl)" | 영어 | 12 | 76 | 6 | 80 |
2010 | 알료샤 | "Sweet People" | 영어 | 10 | 108 | 7 | 77 |
2011 | 미카 뉴턴 | "Angel" | 영어 | 4 | 159 | 6 | 81 |
2012 | 가이타나 | "Be My Guest" | 영어 | 15 | 65 | 8 | 64 |
2013 | 즐라타 오그네비치 | "Gravity" | 영어 | 3 | 214 | 3 | 140 |
2014 | 마리야 야렘추크 | "Tick-Tock" | 영어 | 6 | 113 | 5 | 118 |
2015 | 불참 | ||||||
2016 | 자말라 | "1944" | 영어, 크림 타타르어 | 1 | 534 | 2 | 287 |
2017 | O.Torvald | "Time" | 영어 | 24 | 36 | 개최국 자동 진출 | |
2018 | 멜로빈 | "Under the Ladder" | 영어 | 17 | 130 | 6 | 179 |
2019 | 마루브 | "Siren Song" | 영어 | 참가 철회 X | |||
2020 | Go_A | "Solovey" (Соловей) | 우크라이나어 | 대회 취소 X | |||
2021 | Go_A | "Shum" (Шум) | 우크라이나어 | 5 | 364 | 2 | 267 |
2022 | 칼루시 오케스트라 | "Stefania" (Стефанія) | 우크라이나어 | 1 | 631 | 1 | 337 |
2023 | 트보르치 | "Heart of Steel" | 영어, 우크라이나어 | 6 | 243 | 전년도 우승국 자동 진출 | |
2024 | 알료나 알료나 및 제리 하일 | "Teresa & Maria" | 우크라이나어, 영어 | 3 | 453 | 2 | 173 |
2025 | 2025년 2월 8일 결정 예정 †[12] | 예정 † |
4. 선발 과정
첫 번째 전국 결선의 우승곡이 20명의 참가자와 함께 두 번째 전국 결선에 진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