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정동 (파주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운정동은 대한민국 파주시에 위치한 행정 구역으로, 1956년 경의선 운정역 건설 이후 널리 사용된 지명이다. 운정이라는 이름은 지역의 지형적 특성에서 유래되었으며, 2003년 2기 신도시 개발 지역으로 지정되어 운정신도시가 조성되었다. 현재 운정동은 6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GTX-A 운정중앙역이 건설될 예정이다. 운정신도시에는 다양한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어 있으며, 여러 초·중·고등학교가 위치하여 교육 시설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주시의 행정 구역 - 법원읍
법원읍은 경기도 연천군에 위치한 읍으로, 본래 천현면이었으나 1989년 법원읍으로 승격되었으며, 율곡 이이의 장지가 있는 곳으로도 알려져 있고, 10개의 법정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읍의 이름은 법원리에서 유래되었지만 사법기관인 법원과는 관련이 없다. - 파주시의 행정 구역 - 금촌동
금촌동은 대한민국 파주시에 위치한 법정동으로, 파주시의 주요 기관과 수도권 전철역, 다양한 교통망을 갖추고 있으며, 금촌1동, 금촌2동, 금촌3동으로 구성되어 교육 시설과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어 있다. -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 한남동
한남동은 서울 용산구에 위치하며 성동구, 이태원동, 보광동과 접하고 한강과 마주하며, 한남대로를 통해 강남과 연결되고 능터골 전설이 전해지며, 한남역, 한강진역과 한남대교, 한남대로, 소월로 등의 교통 요충지이며, 서울한남초등학교, 리움미술관, 백범김구기념관 등 교육 및 문화 시설이 위치한 지역이다.
운정동 (파주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운정1동 |
한자 표기 | 雲井1洞 |
영문 표기 | Unjeong 1(il)-dong |
광역시도 | 경기도 |
시군구 | 파주시 |
면적 | 9.93 |
세대 | 21,144 |
세대 조사 | 2022년 2월 |
인구 | 52,423 |
인구 조사 | 2022년 2월 |
법정동 | 교하동, 당하동, 와동동 |
통 | 18 |
반 | 217 |
동주민센터 | 경기도 파주시 와석순환로 415 (와동동) |
홈페이지 | 파주시 운정1동 홈페이지 |
기본 정보 | |
이름 | 운정2동 |
한자 표기 | 雲井2洞 |
영문 표기 | Unjeong 2(i)-dong |
광역시도 | 경기도 |
시군구 | 파주시 |
면적 | 3.92 |
세대 | 23,971 |
세대 조사 | 2022년 2월 |
인구 | 63,082 |
인구 조사 | 2022년 2월 |
법정동 | 목동동 |
통 | 17 |
반 | 220 |
동주민센터 | 경기도 파주시 와석순환로 415 (와동동) |
홈페이지 | 파주시 운정2동 홈페이지 |
기본 정보 | |
이름 | 운정3동 |
한자 표기 | 雲井3洞 |
영문 표기 | Unjeong 3(sam)-dong |
광역시도 | 경기도 |
시군구 | 파주시 |
면적 | 5.91 |
세대 | 34,467 |
세대 조사 | 2022년 2월 |
인구 | 87,391 |
인구 조사 | 2022년 2월 |
법정동 | 야당동, 동패동 |
통 | 30 |
반 | 261 |
동주민센터 | 경기도 파주시 교하로 239 (동패동) |
홈페이지 | 파주시 운정3동 홈페이지 |
기본 정보 | |
이름 | 운정4동 |
한자 표기 | 雲井4洞 |
영문 표기 | Unjeong 4(sa)-dong |
신설 | 2023년 1월 1일 |
광역시도 | 경기도 |
시군구 | 파주시 |
면적 | 6.42 |
세대 | 9,966 |
세대 조사 | 2023년 1월 |
인구 | 22,824 |
인구 조사 | 2023년 1월 |
법정동 | 야당동, 상지석동 |
통 | 10 |
반 | 46 |
동주민센터 | 경기도 파주시 하우3길 77 (야당동) |
홈페이지 | 파주시 운정4동 홈페이지 |
기본 정보 | |
이름 | 운정5동 |
한자 표기 | 雲井5洞 |
영문 표기 | Unjeong 5(o)-dong |
신설 | 2023년 1월 1일 |
광역시도 | 경기도 |
시군구 | 파주시 |
면적 | 5.44 |
세대 | 16,220 |
세대 조사 | 2023년 1월 |
인구 | 42,597 |
인구 조사 | 2023년 1월 |
법정동 | 다율동, 동패동, 문발동, 목동동, 신촌동, 연다산동 |
통 | 22 |
반 | 84 |
동주민센터 | 경기도 파주시 돌단풍길 34 (문발동) |
홈페이지 | 파주시 운정5동 홈페이지 |
기본 정보 | |
이름 | 운정6동 |
한자 표기 | 雲井6洞 |
영문 표기 | Unjeong 6(yuk)-dong |
신설 | 2023년 1월 1일 |
광역시도 | 경기도 |
시군구 | 파주시 |
세대 | 6,587 |
세대 조사 | 2023년 1월 |
인구 | 42,597 |
인구 조사 | 2023년 1월 |
법정동 | 다율동, 동패동, 목동동 |
통 | 9 |
반 | 105 |
동주민센터 | 경기도 파주시 청석로 115 반석프라자 5층 (동패동) |
홈페이지 | 파주시 운정6동 홈페이지 |
2. 지명 유래
운정이라는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는 두 가지 설이 전해진다. 첫 번째는 지역 내에 샘이 잘 나는 우물 아홉 개가 있어 '구우물'이라 불리던 것이 '구름우물'로 변형되어 운정이라는 이름이 붙었다는 설이다. 다른 하나는 지역 자연부락인 야당리(野塘里) 이름처럼 들에 큰 연못이 있어 안개가 자주 끼었는데, 그 모습이 마치 구름 속 마을 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이다.[1] 1956년 경의선 역사를 건설하면서 지역 마을 이름을 따 운정역이라고 명명한 것을 계기로 '운정'이라는 지명이 널리 쓰이기 시작했다.[1]
운정이라는 이름의 유래에는 두 가지 설이 있다. 하나는 지역 내에 샘이 잘 나는 우물 아홉 개가 있어 형성된 마을을 '구우물'이라 부르던 것이 '구름우물'로 바뀌면서 유래했다는 설이다. 다른 하나는 지역 내 자연부락인 야당리(野塘里) 이름처럼 들에 큰 연못이 있어 안개가 자주 끼는 모습이 마치 구름 속 마을 같다고 하여 붙여졌다는 설이다.[1]
파주시의 행정 구역인 운정동은 여러 법정동을 관할하는 다수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2011년 교하읍이 분동되면서 운정1동, 운정2동, 운정3동이 처음 신설되었으며, 이후 신도시 개발과 인구 증가에 따라 행정 구역이 조정되었다. 2023년 1월 1일을 기준으로 운정4동, 운정5동, 운정6동이 추가로 설치되어 현재 총 6개의 행정동으로 운영되고 있다.
3. 역사
1956년 경의선 역사를 건설하면서 지역 마을 이름을 따 운정역이라 이름 붙이며 '운정'이라는 지명이 널리 쓰이기 시작했다. 하지만 당시 행정구역은 파주군 교하면 야당리였기 때문에 여전히 작은 자연부락 명칭에 불과했고, 교하나 야당으로 불리는 경우도 많았다.
2003년 정부가 2기 신도시 개발 지역 중 하나로 당시 파주시 교하읍의 현 운정1~6동 지역을 지정하면서 운정신도시 개발이 시작되었다. 당시 건설교통부(현 국토교통부)는 택지개발지구 명칭으로 '운정지구'를 사용했고, 신도시 명칭도 이를 따라 운정신도시로 정해져 토지 및 아파트 분양, 뉴스 등에 사용되었다. 신도시 개발 지역과 가까운 곳에 이미 '교하지구'라는 별도 택지개발이 진행 중이었기에 행정구역명 대신 경의선 운정역을 중심으로 개발 계획을 세우면서 자연스럽게 운정신도시라는 명칭을 사용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후 신도시 명칭을 두고 신도시 입주민, 원주민, 파주시 간에 갈등이 있기도 했다.
운정신도시 입주가 늘어나자 파주시는 2011년 7월, 기존의 교하읍을 교하동, 운정1동, 운정2동, 운정3동으로 나누면서 '운정동'이라는 행정구역 명칭을 공식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후 약 11년 5개월 뒤인 2023년에는 교하동의 일부 지역이 추가로 분리되어 운정4동, 운정5동, 운정6동이 신설되면서 운정동은 총 6개의 행정동으로 늘어나게 되었다.
한편, GTX-A 노선의 운정중앙역이 운정6동(동패동)에 들어설 예정이다.
4. 행정 구역
각 행정동은 관할하는 법정동 구역이 다르며, 행정동의 신설 및 분할 과정에서 주민 편의를 위한 행정복지센터(구 주민센터)의 운영 방식에도 변화가 있었다. 자세한 법정동 목록과 행정복지센터의 변화 과정은 아래 하위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법정동
행정동 | 관할 법정동 |
---|---|
운정1동 | 상지석동(上支石洞) 일부, 와동동(瓦洞洞), 교하동(交河洞) 일부, 당하동(堂下洞) 일부 |
운정2동 | 목동동(木洞洞) 일부 |
운정3동 | 야당동(野塘洞) 일부, 동패동(東牌洞) 일부 |
운정4동 | 야당동(野塘洞) 일부, 상지석동(上支石洞) 일부 |
운정5동 | 다율동(多栗洞) 일부, 동패동(東牌洞) 일부, 문발동(文發洞) 일부, 목동동(木洞洞) 일부, 신촌동(新村洞) 일부, 연다산동(煙多山洞) 일부 |
운정6동 | 다율동(多栗洞) 일부, 동패동(東牌洞) 일부, 목동동(木洞洞) 일부 |
4. 2. 주민센터 (행정복지센터)
2011년 7월 파주시 교하읍이 분동될 당시, 교하동은 기존 교하읍사무소를 그대로 사용했다. 하지만 신설된 운정1동, 운정2동, 운정3동의 주민센터는 신도시 계획에 따라 마련된 주민센터 부지 주변에 임시로 가건물을 짓거나 상가 건물의 일부를 빌려 사용해야 했다. 파주시는 2013년 3월 신도시 중앙에 운정행복센터를 열었고, 이곳에서 운정1~3동의 주민센터 업무를 통합하여 운영했다.이후 주민센터는 행정복지센터로 이름이 바뀌었으며, 운정1~3동 통합 운영 방식에서 각 동별 단독 행정복지센터 운영으로 변경되었다. 2023년 1월 1일에는 기존 운정1~3동 외에 운정4동, 운정5동, 운정6동이 새로 만들어졌다. 이 과정에서 교하동과 운정1동, 운정3동의 일부 지역이 운정5동과 운정6동으로 편입되었고, 운정3동의 동남부 일부 지역(경의선 동쪽)은 운정4동으로 나누어졌다.
5. 주거
단지명 | 건설사 | 시행사 | 주소 | 입주 | 비고 |
---|---|---|---|---|---|
노을빛마을 2단지 주공 | 온빛건설 대동건설 | 대한주택공사 | 2005년 11월 | 국민임대 | |
노을빛마을 1단지 주공 | 양우건설 | 2006년 5월 | |||
책향기마을 12단지 진흥·효자 | 진흥기업 효자건설 | 2005년 12월 | |||
청석마을 9단지 대원·효성 | 자영 효성 | 2006년 4월 | |||
한빛마을 2단지 휴먼빌 레이크팰리스 | 일신건영 | 슬기솔 | 2009년 6월 | ||
한빛마을 3단지 자유로아이파크 | 현대산업개발 | 현대산업개발 | 한빛로 11 (야당동) | 2004년 9월 | |
산내마을 11단지 현대 | 원영건업 장안종합건설 | 와석순환로 307 (목동동) | 2002년 11월 | ||
해솔마을 3단지 현대 | 현대산업개발 | 2001년 6월 | |||
가람마을 3단지 동문굿모닝힐 | 동문건설 | 2001년 9월 | |||
가람마을 8단지 동문굿모닝힐 | 금바위로 47 (와동동) | ||||
청석마을 8단지 동문디이스트 | 청석로 350 (다율동) | 2005년 12월 | |||
숲속길마을 3단지 동문굿모닝힐 | 책향기로 337 (문발동) | ||||
숲속길마을 6단지 동문굿모닝힐 | 책향기로 371 (문발동) | ||||
책향기마을 10단지 GTX운정 동문디이스트 | 책향기로 441 (동패동) | ||||
책향기마을 11단지 파밀리에 | 신동아건설 | 책향기로 420 (동패동) | |||
책향기마을 13단지 상록경남아너스빌 | 경남기업 | 공무원연금공단 | 책향기로 210 (동패동) | ||
책향기마을 15단지 상록데시앙 | 태영건설 | 책향기로 183 (동패동) | |||
책향기마을 14단지 우남퍼스트빌 | 우남건설 | ||||
산내마을 12단지 디에트르 더 클래스 | 대방건설 | 대방개발기업 | 산내로 90 | 2023년 8월 | |
산내마을 13단지 디에트르 라포레 | 산내로 89 (목동동) | 2023년 2월 | |||
산내마을 5단지 디에트르 더 센트럴 | 2025년 8월 (예정) | ||||
해오름마을 2단지 디에트르 에듀타운 | 엔비건설 | 다율로 10 (다율동) | 2024년 12월 | ||
해오름마을 10단지 운정 파크 푸르지오 | 대우건설 | 대우건설 | |||
해오름마을 14단지 운정 푸르지오 파르세나 | 대우건설파주피에프브이 | 청암로 82 (다율동) | 2022년 8월 | ||
해오름마을 1단지 중흥S클래스 에듀하이 | 중흥토건 | 중흥에스클래스 | 2024년 3월 | ||
해오름마을 5단지 중흥S클래스 에듀파크 | 새솔건설 | ||||
해오름마을 2단지 제일풍경채 그랑베뉴 | 제일건설 | 트러스트투 | 2023년 12월 | ||
해오름마을 6단지 제일풍경채 그랑포레 | 제일에셋 | 2024년 5월 | |||
별하람마을 1단지 제일풍경채 그랑퍼스트 | 파주운정오피에프브이 | 2024년 1월 |
- 초롱꽃마을 6단지 금강펜테리움 센트럴파크
- 초롱꽃마을 9단지 우미린 센터포레
- 초롱꽃마을 13단지 디에트로 더 퍼스트
- 해오름마을 8단지 운정자이 퍼스트시티
- 해오름마을 11단지 우미린 더 퍼스트
- 해오름마을 9단지 호반써밋 웨스트파크
- 산내마을 7단지 화성파크드림 시그니처
6. 교육
; 초등학교
: 가온초등학교
: 문발초등학교
: 두일초등학교
: 산들초등학교
: 청석초등학교
; 중학교
: 교하중학교
: 두일중학교
; 고등학교
: 교하고등학교
: 운정고등학교
: 지산고등학교
: 동패고등학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