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터발덴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운터발덴주는 스위스의 역사적 지역이자, 현재는 옵발덴주와 니트발덴주로 구성된 주이다. 1315년 부룬넨 협약 날짜를 건립 연도로 여겼으며, 1572년 13개 칸톤 중 하나로 묘사되기도 했다. 운터발덴의 옛 깃발은 졸로투른주기와 동일하며, 주 방패는 옵발덴의 빨간색과 흰색 디자인, 니드발덴의 이중 열쇠 디자인을 보여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운터발덴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 | |
현지 이름 | Unterwalden |
일반 명칭 | 운터발덴 |
역사 | |
상태 | 탈샤프트 |
소속 제국 | 신성 로마 제국 |
상태 설명 | 칸톤, 구 스위스 연방 |
존속 시작 | 1300년경 |
존속 종료 | 1798년 |
존속 종료 2 | 1815년–1999년 |
주요 사건 | 제국 자유 도시 |
발생 날짜 | 1309년 |
주요 사건 2 | 브루넨 협약 |
발생 날짜 2 | 1315년 |
주요 사건 3 | 옵발덴과 니트발덴 분할 |
발생 날짜 3 | 1500년 이전 |
종료 사건 | 해체 |
종료 사건 2 | 현대 칸톤 |
이전 | 취리히가우 (슈바벤) |
이전 2 | 아르가우 (부르고뉴) |
이전 3 | 발트슈테텐 주 |
이후 | 발트슈테텐 주 |
이후 2 | 옵발덴 주 |
이후 3 | 니트발덴 주 |
지리 | |
수도 | (정보 없음) |
2. 역사
운터발덴이라는 이름은 1304년에 라틴어 ''인터 실바스''(''inter silvas'')를 번역한 것으로 처음 기록되었으며, 인트라몬타니스(''intramontanis'')와 함께 해당 지역 수도원 자산의 명칭이었다.[7] 1803년 중재법에 의해 단일 헌법으로 복원되었지만, 자르넨과 슈탄스라는 두 개의 별개 주도와 동등한 주권을 가진 두 개의 개별 주 의회가 있었다. 1815년 복원된 스위스 연방의 주였으며, 1848년 헌법에 ''운터발덴''(ob und nid dem Wald)으로 등록되었다.[8] 1999년 헌법에서는 운터발덴이라는 이름이 생략되었으며, 옵발덴과 니트발덴은 두 개의 분리된 주로 명명되었다.[9]
2. 1. 초기 동맹과 발전
1291년 독일의 루돌프 1세는 슈탄스, 알프나흐와 기스빌에 있는 영지를 매입했다.[7] 1304년부터 현지 관리원들이 자신의 인장을 사용했다.[7] 1309년 헨리 7세는 운터발덴 영토가 발트슈테테의 제국 관할지의 일부임을 확인했으나,[7] 그 자체 권리가 정치적 실체를 뜻하는 것은 아니었다.[7] 내부적으로 1291년으로 날짜가 기입된 동맹 서약은 이 시기에 시작된 것으로 생각된다.[7] 이 문서에서 운터발덴은 “아랫골 산들 사이에 있는 사람들의 공동체”(''communitas hominum Intramontanorum Vallis Inferioris'')로 묘사되는데,[7] 일반적으로 현대 번역에서 “운터발덴의 아랫골 공동체”로 번역되며 니트발덴 또는 “고유한 운터발덴”으로 해석된다.[7] 1315년 우리, 슈비츠와 함께 〈브루넨 조약〉으로 명명된 구스위스 연방 설립에 참여한 세 지역 중 하나였다.[7]운터발덴은 초기에 옵발덴과 니트발덴이라는 두 개의 별도 영역으로 분할되었다.[7] 이 두 지역이 독립적인 탈샤프텐으로서의 지위는 14세기와 15세기에 걸쳐 발전한 것으로 보이지만, 남부 동맹에서는 단일 투표권을 유지했다.[7]
14세기와 15세기에 운터발덴의 국기는 졸로투른의 국기와 동일하게 흰색 위에 빨간색으로 수평으로 동일한 부분으로 분할되었다.[7] 1481년 졸로투른이 남부 동맹에 가입한 후, 동일한 깃발을 가진 두 개의 주가 생겨서 때때로 졸로투른의 깃발 디자인을 수정하여 모호함을 해소시켰다.[7] 1600년경 니트발덴은 ‘진정한 운터발덴’ 또는 ‘준실바니아’(''Subsylvania'')로 알려졌으며, 옵발덴은 “운터발덴 옵 뎀 발트”(''Unterwalden ob dem Wald'')라 불렀는데,[7] 엄밀히 말하면 모순어법인 ''서브실바니아 수퍼 실바''(''Subsylvania super silva'')로 불렸다.[7] 이때부터 두 반주에는 별도의 문장이 있었다.[7] ‘진정한 운터발덴’ 또는 ‘니트발덴’은 빨간색과 흰색 깃발을 사용한 반면, 옵발덴은 빨간색 바탕에 은색 열쇠를 가지고 있었다.[7]
1640년대에 이르러 이 두 개의 디자인은 붉은색과 흰색 바탕에 있는 흰색과 빨간색 열쇠로 다시 디자인되었다.[7]
근대 초기 스위스에서 운터발덴은 스위스 연방의 다른 회원 주와 ‘외교’에서 단일 국가로 간주되었지만, 내부적으로는 별도의 정부, 관할구역 및 별도의 깃발이 있는 두 개의 개별 주로 구성되었다.[7]
1642년 마르틴 차일러(Martin Zeiller)는 운터발덴이 두 개의 분리된 탈샤프텐으로 나뉘었다고 보고하면서,[7] 그곳 주민은 로마계 옵발덴 사람들과 니트발덴 사람들은 독일계 킴브리족(Cimbri)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했다.[7]
2. 2. 옵발덴과 니트발덴의 분리
운터발덴은 초기에 옵발덴과 니트발덴이라는 두 개의 별도 영역으로 분할되었다. 14세기와 15세기에 걸쳐 2개의 독립적인 탈샤프텐으로서의 지위가 발전했지만, 남부 동맹에서는 단일 투표권을 유지했다.[7]14세기와 15세기에 운터발덴의 국기는 졸로투른의 국기와 동일하게 흰색 위에 빨간색으로 수평으로 동일하게 분할되었다. 1481년 졸로투른이 남부 동맹에 가입한 후, 동일한 깃발을 가진 두 개의 주가 존재하여, 때때로 졸로투른의 깃발 디자인을 수정하여 모호함을 해소했다. 1600년경 니트발덴은 ‘진정한 운터발덴’ 또는 ‘준실바니아’(''Subsylvania'')로 알려졌으며, 옵발덴은 “운터발덴 옵 뎀 발트”(''Unterwalden ob dem Wald'')라 불렀다. 엄밀히 말하면 모순어법인 ''서브실바니아 수퍼 실바''(''Subsylvania super silva'')로 불렸다. 이때부터 2개의 반주에는 두 개의 별도 문장이 있었다. ‘진정한 운터발덴’ 또는 ‘니트발덴’은 빨간색과 흰색 깃발을 사용한 반면, 옵발덴은 빨간색 바탕에 은색 열쇠를 가지고 있었다.[7]
1640년대에 이르러 이 두 개의 디자인은 붉은색과 흰색 바탕에 있는 흰색과 빨간색 열쇠로 다시 디자인되었다.[7]
근대 초기 스위스에서 운터발덴은 스위스 연방의 다른 회원 주와 ‘외교’에서 단일 국가로 간주되었지만, 내부적으로는 별도의 정부, 관할구역 및 별도의 깃발이 있는 두 개의 개별 주로 구성되었다.[7]
1642년 마르틴 차일러(Martin Zeiller)는 운터발덴이 두 개의 분리된 탈샤프텐으로 나뉘었다고 보고한다. 그곳 주민은 로마계 옵발덴 사람들과 니트발덴 사람들은 독일계 킴브리족(Cimbri)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했다.[7]
2. 3. 근대 초기와 현재
운터발덴이라는 이름은 1304년에 라틴어 ''인터 실바스''(inter silvas)를 번역한 것으로 처음 기록되었으며, 인트라몬타니스(intramontanis)와 함께 해당 지역 수도원 자산의 명칭이었다.[7] 1291년 독일의 루돌프 1세는 슈탄스, 알프나흐와 기스빌에 있는 영지를 매입했다. 1304년부터 현지 관리원들이 자신의 인장을 사용했다. 1309년에 헨리 7세는 운터발덴 영토가 발트슈테테의 제국 관할지의 일부임을 확인했다. 내부적으로 1291년으로 날짜가 기입된 동맹 서약은 이 시기에 시작된 것으로 생각된다. 문서에서 운터발덴은 “아랫골 산들 사이에 있는 사람들의 공동체”(communitas hominum Intramontanorum Vallis Inferioris)로 묘사하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현대 번역에서 “운터발덴의 아랫골 공동체”로 번역되며 니트발덴 또는 “고유한 운터발덴”으로 해석된다. 운터발덴은 1315년 우리와 슈비츠와 함께 〈브루넨 조약〉으로 명명된 구스위스 연방 설립에 참여한 세 곳 중 하나였다.운터발덴은 초기에 옵발덴과 니트발덴이라는 두 개의 별도 영역으로 분할되었다. 이 두 지역은 14세기와 15세기에 걸쳐 독립적인 탈샤프텐(Talschaften)으로서의 지위가 발전했지만, 남부 동맹에서는 단일 투표권을 유지했다.
14세기와 15세기에 운터발덴의 국기는 졸로투른의 국기와 동일하게 흰색 위에 빨간색으로 수평으로 동일하게 분할되었다. 1481년 졸로투른이 남부 동맹에 가입한 후, 동일한 깃발을 가진 두 개의 주가 생겨, 때때로 졸로투른의 깃발 디자인을 수정하여 모호함을 해소했다. 1600년경 니트발덴은 ‘진정한 운터발덴’ 또는 ‘준실바니아’(Subsylvania)로 알려졌으며, 옵발덴은 “운터발덴 옵 뎀 발트”(Unterwalden ob dem Wald)라 불렀다. 엄밀히 말하면 모순어법인 ''서브실바니아 수퍼 실바''(Subsylvania super silva)로 불렸다. 이때부터 두 반주에는 별도의 문장이 있었다. ‘진정한 운터발덴’ 또는 ‘니트발덴’은 빨간색과 흰색 깃발을 사용한 반면, 옵발덴은 빨간색 바탕에 은색 열쇠를 가지고 있었다.
1640년대에 이르러 이 두 개의 디자인은 붉은색과 흰색 바탕에 있는 흰색과 빨간색 열쇠로 다시 디자인되었다.
근대 초기 스위스에서 운터발덴은 스위스 연방의 다른 회원 주와 ‘외교’에서 단일 국가로 간주되었지만, 내부적으로는 별도의 정부, 관할구역 및 별도의 깃발이 있는 두 개의 개별 주로 구성되었다.[7]
1642년 마르틴 차일러(Martin Zeiller)는 운터발덴이 두 개의 분리된 탈샤프텐으로 나뉘었다고 보고한다. 그곳 주민은 로마계 옵발덴 사람들과 니트발덴 사람들은 독일계 킴브리족(Cimbri)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했다.
운터발덴은 중재법(1803)에서 단일 헌법으로 복원되었지만, 자르넨과 슈탄스라는 두 개의 별개 주도와 동등한 주권을 가진 두 개의 개별 주 의회가 있었다. 운터발덴은 1815년 복원된 스위스 연방의 주였으며, 1848년 헌법에 ''운터발덴''(ob und nid dem Wald)으로 등록되었다.[8] 운터발덴이라는 이름은 1999년 헌법에서 생략되었으며, 옵발덴과 니트발덴은 두 개의 분리된 주로 명명되었다.[9]
3. 상징
4. 현재의 칸톤
운터발덴은 1803년 중재법에 따라 단일 헌법으로 복원되었지만, 자르넨과 슈탄스에 각각 주도를 두고 동등한 주권을 가진 두 개의 개별 주 의회를 유지했다. 1815년 복원된 스위스 연방의 주였으며, 1848년 헌법에는 ''운터발덴''(''ob und nid dem Wald'')으로 등록되었다.[8] 1999년 헌법에서는 운터발덴이라는 이름이 사라지고 옵발덴과 니트발덴이 두 개의 분리된 주로 명명되었다.[9]
4. 1. 옵발덴 주 (Obwalden)
운터발덴은 초기에 옵발덴과 니트발덴이라는 두 개의 별도 영역으로 분할되었다. 1600년경 니트발덴은 ‘진정한 운터발덴’ 또는 ‘준실바니아’(''Subsylvania'')로 알려졌으며, 옵발덴은 “운터발덴 옵 뎀 발트”(''Unterwalden ob dem Wald'')라 불렀다. 엄밀히 말하면 모순어법인 ''서브실바니아 수퍼 실바''(''Subsylvania super silva'')로 불렸다.[7] 이때부터 2개의 반주에는 두 개의 별도 문장이 있었다. ‘진정한 운터발덴’ 또는 ‘니트발덴’은 빨간색과 흰색 깃발을 사용한 반면, 옵발덴은 빨간색 바탕에 은색 열쇠를 가지고 있었다.1642년 마르틴 차일러(Martin Zeiller)는 운터발덴이 두 개의 분리된 탈샤프텐으로 나뉘었다고 보고한다. 그곳 주민은 로마계 옵발덴 사람들과 니트발덴 사람들은 독일계 킴브리족(Cimbri)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했다.
4. 2. 니트발덴 주 (Nidwalden)
1291년 독일의 루돌프 1세는 슈탄스에 있는 영지를 매입했다. 1304년부터 현지 관리원들이 자신의 인장을 사용했다. 운터발덴은 1315년 우리, 슈비츠와 함께 〈브루넨 조약〉으로 명명된 구스위스 연방 설립에 참여한 세 지역 중 하나였다.[7]운터발덴은 초기에 옵발덴과 니트발덴이라는 두 개의 별도 영역으로 분할되었다. 이 두 지역은 14세기와 15세기에 걸쳐 독립적인 탈샤프텐(Talschaften)으로서의 지위가 발전했지만, 남부 동맹에서는 단일 투표권을 유지했다.
14세기와 15세기에 운터발덴의 국기는 졸로투른의 국기와 동일하게 흰색 위에 빨간색으로 수평으로 동일하게 분할되었다. 1481년 졸로투른이 남부 동맹에 가입한 후, 동일한 깃발을 가진 두 개의 주가 존재했기에, 때때로 졸로투른의 깃발 디자인을 수정하여 모호함을 해소했다. 1600년경 니트발덴은 ‘진정한 운터발덴’ 또는 ‘준실바니아’(Subsylvania|숩실바니아la)로 알려졌으며, 옵발덴은 “운터발덴 옵 뎀 발트”(Unterwalden ob dem Wald)라 불렸다. 엄밀히 말하면 모순어법인 ''서브실바니아 수퍼 실바''(Subsylvania super silva|숩실바니아 수페르 실바la)로 불렸다. 이때부터 두 반주에는 두 개의 별도 문장이 있었다. ‘진정한 운터발덴’ 또는 ‘니트발덴’은 빨간색과 흰색 깃발을 사용한 반면, 옵발덴은 빨간색 바탕에 은색 열쇠를 가지고 있었다.[7]
1640년대에 이르러 이 두 개의 디자인은 붉은색과 흰색 바탕에 있는 흰색과 빨간색 열쇠로 다시 디자인되었다.[7]
근대 초기 스위스에서 운터발덴은 스위스 연방의 다른 회원 주와 ‘외교’에서 단일 국가로 간주되었지만, 내부적으로는 별도의 정부, 관할구역 및 별도의 깃발이 있는 두 개의 개별 주로 구성되었다.[7]
5. 갤러리
5. 0. 1. 1572년 13개 칸톤 중 하나로 묘사된 운터발덴
5. 0. 2. 운터발덴의 주 방패 (16세기)
16세기 운터발덴의 주 방패는 옵발덴의 빨간색과 흰색 디자인과 니트발덴의 이중 열쇠 디자인을 함께 보여주는 형태였다.[7]
5. 0. 3. 1642년 운터발덴 지도 (마테우스 메리안)
참조
[1]
웹사이트
Unterwald
https://hls-dhs-dss.[...]
2013-03-05
[2]
웹사이트
Fünfzehntes_Capitel_-_Verfassung_des_Kantons_Unterwalden
https://de.wikisourc[...]
[3]
문서
Translation:Federal Treaty of 1815
[4]
웹사이트
Bundesverfassung der Schweizerischen Eidgenossenschaft. vom 12. September 1848.
http://www.verfassun[...]
1848-09-12
[5]
웹사이트
SR 101 (admin.ch)
https://web.archive.[...]
2018-11-15
[6]
서적
世界一豊かなスイスとそっくりな国ニッポン
講談社
[7]
웹사이트
Fünfzehntes_Capitel_-_Verfassung_des_Kantons_Unterwalden
https://de.wikisourc[...]
[8]
웹사이트
Bundesverfassung der Schweizerischen Eidgenossenschaft. vom 12. September 1848.
http://www.verfassun[...]
1848-09-12
[9]
웹인용
SR 101 (admin.ch)
https://www.admin.ch[...]
2022-02-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