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울산우체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울산우체국은 1898년 울산임시우체사로 설치되어, 여러 차례 명칭 변경을 거쳐 1950년 울산우체국으로 개칭되었다. 이후 관할 우체국 및 우편취급국의 신설, 폐국, 명칭 변경 등의 변화를 겪었으며, 현재는 경영지도실, 소포영업과 등 다양한 부서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울산광역시 소재의 우체국 - 울산우편집중국
    울산우편집중국은 울산광역시, 양산시, 부산광역시 기장군,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의 우편물류를 담당하며, 부산지방우정청 소속으로 물류, 기술 지원, 노무 관련 업무를 수행한다.
  • 울산광역시 소재의 우체국 - 동울산우체국
    동울산우체국은 울산광역시 동구에 위치하며 1978년 개국하여 동구와 울주군 일부를 관할하고, 다수의 관할 우체국과 우편취급국, 경영지도실, 우편물류과, 영업과 등의 조직을 갖춘 우체국이다.
  • 울산 중구 소재의 관공서 - 근로복지공단
    근로복지공단은 1977년 설립된 고용노동부 산하 공공기관으로, 산재보험, 임금채권보장, 퇴직연금, 일자리 안정자금 지원 등 근로자 복지 사업을 수행하며 전국에 지역본부와 병원을 운영한다.
  • 울산 중구 소재의 관공서 - 고용노동부고객상담센터
    고용노동부고객상담센터는 고용노동 관련 민원 상담을 제공하는 기관으로, 전국 단일 번호 1350을 통해 고용지원센터 대표 전화를 통합 운영하며, 상담 사례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제도 개선을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 1905년 설립 - 광장시장
    광장시장은 1905년 동대문시장으로 시작하여 현재의 이름으로 불리며, 다양한 상품과 빈대떡, 마약김밥, 육회 등의 먹거리로 유명한 서울 종로구의 전통 시장이다.
  • 1905년 설립 - 경산역
    경상북도 경산시에 위치한 경부선 경산역은 1905년 보통역으로 시작하여 2011년 선상역사로 재건축되었고, 2면 4선의 승강장과 광역전철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KTX와 무궁화호 등 다양한 열차가 정차하는 역이다.
울산우체국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울산우체국 전경
울산우체국 전경
종류우체국
위치대한민국 울산광역시 중구 구교로 77
관할 지역대한민국 울산광역시 중구, 북구 및 울주군 서북부
홈페이지울산우체국

2. 연혁

1898년 6월 1일 울산임시우체사 설치를 시작으로, 1905년 울산임시우체소, 1910년 울산우편국, 1950년 울산우체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69년 과제국으로 승격, 1977년 신정동 청사 개축 이전, 1984년 동울산우체국, 1993년 남울산우체국 분리 신설 등 여러 변화를 겪었다.

2001년에는 울산언양우체국, 울산두서우체국, 울산삼남우체국, 울산범서우체국, 울산두동우체국, 울산삼성SDI우편취급소로 명칭이 변경되었다.[2] 2003년 학성동 신청사 이전,[2] 2006년 울산복산동우체국이 울산태화동우체국으로 명칭 변경,[3] 2012년 울산상북우체국 관련 변경 및 현대자동차우체국이 울산현대자동차우체국으로 명칭 변경,[4][5] 2014년 우편구역 고시[6] 및 울산현대자동차우체국 폐국,[7] 울산염포동우편취급국 관련 변경,[8] 2016년 울산농소2동우편취급국 개국,[9] 2020년 울산두서우체국 관련 변경,[10][11][12] 2021년 울산학산동우편취급국 폐국[13] 등의 변화가 있었다.

2014년 1월 1일 고시된 우편구역은 다음과 같다.[6]

배달국배달구역구역번호
울산우체국중구 전지역
북구 전지역
(단, 울산강동동우체국 관할 제외)
울주군 범서읍
44400 ~ 44439
44450 ~ 44534
44200 ~ 44231
44236 ~ 44263
44917, 44918 일부
44919 ~ 44934
(단, 44926은 일부)
울산언양우체국울주군 언양읍 · 두동면 · 두서면 · 삼남면 · 삼동면 · 상북면44900 ~ 44916
44918, 44926 일부
44935 ~ 44959
울산강동동우체국북구 구유동 · 당사동 · 대안동 · 무룡동 · 산하동 · 신명동 · 신현동 · 어물동 · 정자동44232 ~ 44235


2. 1. 설립 초기 (1898년 ~ 1945년)

1898년 6월 1일 울산임시우체사가 설치되었고, 1905년 5월 21일 울산임시우체소로 바뀌었다. 1910년 10월 1일 울산우편국으로 개칭되었다.[2]

2. 2. 해방 이후 (1945년 ~ 현재)

1950년 1월 12일 울산우체국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2] 1969년 5월 8일에는 과제국으로 승격되었고, 1977년 1월 17일 신정동 청사를 개축하여 이전하였다.[2] 1984년 6월 15일에는 동울산우체국 (5급국)이 신설 분리되었고,[2] 1993년 11월 1일에는 남울산우체국 (4급국)이 신설 분리되었다.[2]

2001년 10월 1일에는 언양우체국을 울산언양우체국으로, 두서우체국을 울산두서우체국으로, 삼남우체국을 울산삼남우체국으로, 범서우체국에서 울산범서우체국으로, 두동우체국에서 울산두동우체국으로, 울산삼성전관우편취급소에서 울산삼성SDI우편취급소로 명칭을 변경하였다.[2] 2003년 10월 6일에는 학성동 신청사로 이전하였다.[2] 2006년 10월 2일, 우체국 이전으로 인해 울산복산동우체국을 울산태화동우체국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3]

2012년 5월 1일, 울산상북우체국 별정우체국 지정이 취소되고 폐국되었으며, 울산상북우체국 (7급)이 신설 개국되었다.[4] 같은 날, 현대자동차우체국을 울산현대자동차우체국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5] 2014년 1월 1일에는 우편구역이 고시되었다.[6]

2014년 9월 30일, 울산현대자동차우체국이 폐국되었고,[7] 10월 31일에는 울산염포동우편취급국 위탁계약이 해지되었다.[8] 이후 11월 3일, 울산염포동우편취급국이 개국하였다.[8] 2016년 11월 1일에는 울산농소2동우편취급국이 개국하였다.[9]

2020년 12월 1일, 울산두서우체국이 폐국되고[10] 울산두서우편취급국으로 전환되었으며,[11] 12월 7일부터 점심시간 휴무를 실시하였다.[12] 2021년 1월 31일에는 울산학산동우편취급국이 폐국되었다.[13]

3. 관할 우체국

울산광역시에 위치한 울산우체국은 해당 지역의 우편 서비스를 담당하며, 여러 우체국과 우편취급국을 관리한다. 과거에는 더 많은 우체국이 있었으나, 현재는 일부 우체국이 폐국되었다.

3. 1. 우체국 목록

우체국명사진주소비고
울산언양우체국 집배센터울산광역시 울주군 삼남면 울산역1길 76(교동리 1689-2)
울산강동동우체국울산광역시 북구 정자7길 37-2 (정자동 67)
울산구영우편취급국울산광역시 울주군 범서읍 구영로 158(구영리 386-3)
울산농소1동우체국울산광역시 북구 호계로 196 (호계동 862-3)
울산농소2동우편취급국울산광역시 북구 신기3길 19-11, 101호 (매곡동 567)2016년 11월 1일 신설
울산농소3동우편취급국울산광역시 북구 고래로 2 상가104호(천곡동 408)
울산다운우편취급국울산광역시 중구 다운로 7 (다운동 551-10)
울산두동우체국울산광역시 울주군 두동면 대밀길 22-2 (구미리 616-3)별정우체국
2001년 10월 1일 두동우체국에서 명칭 변경
울산두서우체국울산광역시 울주군 두서면 노서길 10 (인보리 483-11)2001년 10월 1일 두서우체국에서 명칭 변경
2020년 12월 1일 폐국
울산두서우편취급국울산광역시 울주군 두서면 노서길 10 (인보리)2020년 12월 1일 신설
점심시간 휴무 실시
울산반구동우체국울산광역시 중구 화합로 414 (반구2동 57-3)
울산범서우체국울산광역시 울주군 범서읍 송현길 64 (천상리 443-4)별정우체국
2001년 10월 1일 범서우체국에서 명칭 변경
울산병영우체국울산광역시 중구 병영로 4 (남외동 247-9)
울산복산세운우편취급국울산광역시 중구 도화골길 5 (복산동 190-7)
울산북정동우체국울산광역시 중구 동헌길 165 (북정동 351)
울산삼남우체국울산광역시 울주군 삼남읍 중남로 45 (가천리 19-4)별정우체국
2001년 10월 1일 삼남우체국에서 명칭 변경
울산삼성SDI우편취급국울산광역시 울주군 삼남읍 반구대로 163 (가천리 818)2001년 10월 1일 울산삼성전관우체국에서 명칭 변경
울산상북우체국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 상북로 288 (산전리 406-6)2012년 5월 1일 별정우체국 폐국
2012년 5월 1일 신설
울산성안동우체국울산광역시 중구 백양로 100 (성안동 513-6)
울산언양우체국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동문길 49 (동부리 253-5)2001년 10월 1일 언양우체국에서 명칭 변경
울산연암동우체국울산광역시 북구 화봉로 84 (연암동 361-2)
울산연암벽산우편취급국울산광역시 북구 두부곡2길 4-7 (연암동 376-4)
울산염포동우편취급국울산광역시 북구 염포로 479(염포동 497-13)
울산우정동우체국울산광역시 중구 명륜로 66 (우정동 279-40)
울산태화동우체국울산광역시 중구 태화로 213 (태화동 426-17)2006년 10월 2일 울산복산동우체국에서 명칭 변경
울산학산동우편취급국울산광역시 중구 번영로 345 (학산동 160-7)2021년 1월 31일 폐국
울산현대자동차우체국울산광역시 북구 염포로 700(양정동)2012년 5월 1일 현대자동차우체국에서 명칭 변경
2014년 9월 30일 폐국
울산화진우편취급국울산광역시 중구 태화로 139 (태화동784-3)


3. 2. 폐국된 우체국

우체국명주소비고
울산두서우체국울산광역시 울주군 두서면 노서길 10 (인보리 483-11)2001년 10월 1일 두서우체국에서 명칭 변경, 2020년 12월 1일 폐국
울산학산동우편취급국울산광역시 중구 번영로 345 (학산동 160-7)2021년 1월 31일 폐국
울산현대자동차우체국울산광역시 북구 염포로 700 (양정동)2012년 5월 1일 현대자동차우체국에서 명칭 변경, 2014년 9월 30일 폐국


4. 조직

울산우체국은 경영지도실, 소포영업과, 지원과, 영업과, 고객지원실, 우편물류과, 물류실로 구성되어 있다.

4. 1. 부서별 역할

울산우체국에는 경영지도실, 소포영업과, 지원과, 영업과, 고객지원실, 우편물류과, 물류실이 있다.

5. 비판 및 논란

(이전 출력에서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기 때문에 '비판 및 논란' 섹션을 작성할 수 없다는 점은 동일합니다. 따라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참조

[1] 문서 명칭과 맞게 울산광역시에 있다
[2] 간행물 부산체신청고시 제2001-146호 http://gwanbo.mois.g[...] 2001-08-16
[3] 간행물 부산체신청고시 제2006-9호 http://gwanbo.mois.g[...] 2006-09-19
[4] 간행물 부산지방우정청고시 제2012-4호, 제2012-5호 http://gwanbo.mois.g[...] 2012-04-19
[5] 간행물 부산지방우정청고시 제2012-3호 http://gwanbo.mois.g[...] 2012-03-13
[6] 간행물 부산지방우정청고시 제2013-20호 http://www.koreapost[...] 2013-12-20
[7] 간행물 부산지방우정청공고 제2014-83호 http://www.koreapost[...] 2014-07-11
[8] 간행물 부산지방우정청고시 제2014-15호 http://gwanbo.mois.g[...] 2014-10-15
[9] 간행물 부산지방우정청고시 제2016-18호 http://gwanbo.mois.g[...] 2016-10-12
[10] 간행물 부산지방우정청고시 제2020-21호 https://gwanbo.mois.[...] 2020-11-23
[11] 간행물 부산지방우정청공고 제2020-138호 https://gwanbo.mois.[...] 2020-11-13
[12] 간행물 부산지방우정청고시 제2020-26호 https://gwanbo.mois.[...] 2020-12-08
[13] 간행물 부산지방우정청고시 제2020-29호 https://gwanbo.mois.[...] 2020-12-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