웅진여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웅진여성은 1991년 10월에 창간된 여성 잡지였으나, 1991년 12월호에 게재된 에이즈 관련 기사로 인해 사회적 물의를 빚어 창간 2개월 만에 자진 폐간되었다. 해당 기사는 허위 일기장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데코방 신용 훼손 및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를 당하고, 관련자들이 구속되거나 기소되는 등 법적 문제로 이어졌다. 또한, 르포라이터 이상규가 김부남 사건을 소재로 한 소설을 발간하여 명예훼손 혐의로 기소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날조 - 귀함별황자총통
귀함별황자총통은 조선시대 총통으로, 국보로 지정되었다가 명문 오류와 재질 분석 결과 위조품으로 판정되어 국보 지정이 해제되었으며, 이 사건은 문화재 관리의 문제점을 드러내고 사회적 신뢰 저하를 야기했다. - 1991년 폐간 - 레코드 미러
레코드 미러는 1954년 이시도어 그린이 창간한 영국의 음악 신문으로, 영국에서 싱글 차트를 발표하고 비틀즈, 롤링 스톤스 등 주요 밴드를 다루며 발행 부수를 늘렸으나, 1991년 폐간되었다가 2011년 온라인 웹사이트로 재출시되었지만 활동이 중단되었다. - 1991년 폐간 - 캘리포니아 (잡지)
- 언론 탄압 - 긴급조치
긴급조치는 1974년부터 1979년까지 박정희 정권이 유신헌법에 근거하여 발동한 일련의 조치로, 헌법상 기본권 제한과 반정부 활동 탄압에 사용되었으며, 위헌 판결을 받았다. - 언론 탄압 - PD수첩의 미국산 쇠고기 관련 보도
PD수첩의 미국산 쇠고기 관련 보도는 2008년부터 2009년까지 미국산 쇠고기의 안전성 문제를 제기하며, 제작진이 검찰 수사를 받고 명예훼손 혐의로 기소되었으나 무죄 판결을 받았으며 언론의 자유와 사법부의 독립성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킨 사건이다.
웅진여성 | |
---|---|
기본 정보 | |
![]() | |
개요 | |
상호 변경 전 | 웅진출판 |
상호 변경 후 | 웅진문화 |
사업 참여 | 성인용 도서 출판 |
기사 날짜 | 1991년 3월 18일 |
2. 역사
1991년 10월 창간된 《웅진여성》은 창간호의 데코방 관련 허위 보도로 신용훼손 혐의 고소를 당했고,[6] 12월호에 실린 에이즈 복수극 기사는 허위로 밝혀져 검찰 수사를 받았다.[2] 이 기사는 기상청과 보건사회부 조사 결과 사실과 다른 점이 확인되었다.
결국 윤석금 회장이 책임을 지고[3] 창간 2개월 만에 자진 폐간되었으며,[4] 발행사 웅진문화는 2008년 청산됐다.
2. 1. 창간 및 초기 논란
1991년 10월에 창간된 《웅진여성》은 창간호(1991년 10월호) 332페이지에 실린 전문 체인점 실태 기사에서, 선물 및 주방용품 판매 전문업체 데코방에 대해 "팬시제품 체인점으로 시작해 지난해 주방용품점으로 전환, 무리한 사업 확장으로 도산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잘못 보도했다. 이로 인해 데코방은 《웅진여성》을 신용훼손 혐의로 고소했다.[6]2. 2. 에이즈 복수극 기사 및 폐간
1991년 12월호에 에이즈 복수극 기사가 실렸는데[2], 이는 허위로 작성된 일기장을 바탕으로 한 것이었다. 검찰은 이 사건을 사자의 명예훼손 혐의로 조사하여 관련자들을 구속했다.해당 기사로 인해 일기장 주인공으로 사진이 게재된 전 CF모델 남경옥 씨는 잡지 발행사 웅진문화 유건수 사장, 편집인 이광표, 기자 조금현, 르포라이터 이상규 등을 출판물에 의한 명예훼손 혐의로 서울지검에 고소했다.[8]
이상규 르포라이터와 조금현 기자는 1992년 3월 1일 서울지검으로부터 징역 5년, 이광표 편집인은 같은 날 징역 3년을 구형받았다.[9] 그러나 이들은 기사에 피해를 본 故 김동영 의원 측과 1.5억원, 남경옥 씨 측과 2000만원에 각각 합의했고, 1992년 4월 9일 서울형사지법으로부터 공소가 기각되어 석방됐다.[10]
이후 이상규는 김부남 사건을 성적-흥미 위주로 각색한 실명소설 <나는 사람이 아닌 짐승을 죽였어요>를 발간하면서 성폭행 장면을 흥미 위주로 묘사하거나 살해 장면을 잔인하게 허위 각색한 혐의로 1992년 5월 1일 서울지검으로부터 명예훼손 혐의로 불구속 기소됐다.[11] 이 과정에서 해당 도서를 발간-판매한 도서출판 대성 탁명식 대표도 같은 날, 같은 혐의로 불구속 기소됐다.
결국 윤석금 회장이 책임을 지고[3] 웅진여성은 창간 2개월 만에 자진 폐간되었다.[4]
2. 3. 김부남 사건 관련 명예훼손
'웅진여성' 폐간 후, 르포라이터 이상규는 김부남 사건을 소재로 한 소설 <나는 사람이 아닌 짐승을 죽였어요>를 출간했다. 이 소설에서 그는 성폭행 장면을 흥미 위주로 묘사하고 살해 장면을 잔인하게 허위 각색하여 명예훼손 혐의를 받았다.[11]1992년 5월 1일 서울지검은 이상규를 명예훼손 혐의로 불구속 기소했으며, 이 소설을 출간·판매한 도서출판 대성 탁명식 대표 역시 같은 혐의로 불구속 기소되었다.[11]
3. 사회적 영향 및 평가
웅진여성 사건은 한국 사회, 특히 언론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91년 12월호에 실린 에이즈 관련 기사는 허위로 작성된 일기장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이로 인해 사회적 물의를 일으켜 창간 3호 만에 자진 폐간되었다.[5]
이 사건으로 윤석금 회장은 책임을 지고 잡지를 폐간했으며,[3] 발행사인 웅진문화(구 웅진교과서)[4]는 하락세를 겪다가 2008년 청산되었다.
웅진여성 사건은 한국 언론에 사실 확인의 중요성, 선정적 보도의 위험성, 언론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교훈을 남겼다. 앞으로 한국 언론은 이 사건을 교훈 삼아 더욱 신뢰받는 언론으로 거듭나야 할 것이다.
3. 1. 언론 윤리 문제
1991년 12월호에 실린 에이즈 관련 기사가 사회적 물의를 일으켜 3호 만에 자진 폐간되었다.[5] 창간호(1991년 10월호)의 전문체인점 실태 기사에서 선물 및 주방용품 판매 전문업체 데코방을 "도산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잘못 보도하여 신용훼손 혐의로 고소당했다.[6]폐간호(1991년 12월)의 '에이즈 여성 복수극' 기사와 관련, 일기장 주인공으로 사진이 게재된 전 CF모델 남경옥씨가 웅진문화 유건수 사장, 이광표 편집인, 조금현 기자, 이상규 르포라이터를 출판물에 의한 명예훼손 혐의로 서울지검에 고소했다.[8] 1992년 3월 1일 서울지검은 이상규 르포라이터와 조금현 기자에게 징역 5년, 이광표 편집인에게 징역 3년을 구형했다.[9] 그러나 이들은 피해를 본 故 김동영 의원 측과 1.5억원, 남경옥씨 측과 2000만원에 각각 합의하여 1992년 4월 9일 서울형사지법으로부터 공소가 기각되어 석방됐다.[10]
한편, 이상규 르포라이터는 김부남 사건을 성적-흥미 위주로 각색한 실명소설 <나는 사람이 아닌 짐승을 죽였어요>를 발간하면서 성폭행 장면을 흥미 위주로 묘사하거나 살해 장면을 잔인하게 허위 각색한 혐의로 1992년 5월 1일 서울지검으로부터 명예훼손 혐의로 불구속 기소됐다.[11] 이 과정에서 해당 도서를 발간-판매한 도서출판 대성 탁명식 대표도 같은 날, 같은 혐의로 불구속 기소됐다.
이 사건과 관련하여 일기장의 내용에 대한 사실 확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대한민국 기상청에 따르면 일기장에 "1989년 12월 1일에 첫눈이 내렸다"고 적혀 있으나, 이 날짜를 전후해 눈이 내린 적이 없다.
- 대한민국 보건사회부에 따르면 국내 여성 감염자 23명 중 헌혈 과정에서 발견된 감염자가 한 명도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출생 연도가 1967년생이거나 전직 여성연예인이 감염자라는 허위사실이 유포되었다.
3. 2. 법적 책임
1991년 12월호에 실린 '에이즈 여성 복수극' 기사와 관련하여, 일기장 주인공으로 사진이 게재된 전 CF모델 남경옥 씨는 해당 잡지 발행사 웅진문화 유건수 사장, 편집인 이광표, 기자 조금현, 르포라이터 이상규 등을 출판물에 의한 명예훼손 혐의로 서울지검에 고소했다.[8] 1992년 3월 1일, 서울지검은 이상규 르포라이터와 조금현 기자에게 징역 5년, 이광표 편집인에게 징역 3년을 구형했다.[9] 그러나 이들은 피해자인 김동영 의원 측과 1.5억원, 남경옥 씨 측과 2000만원에 합의했고, 1992년 4월 9일 서울형사지법은 공소 기각으로 이들을 석방했다.[10]이후 이상규는 김부남 사건을 성적 흥미 위주로 각색한 소설 <나는 사람이 아닌 짐승을 죽였어요>에서 성폭행 장면을 흥미롭게 묘사하고 살해 장면을 잔인하게 허위 각색하여 1992년 5월 1일 서울지검에 명예훼손 혐의로 불구속 기소되었다.[11] 이 소설을 발간·판매한 도서출판 대성 대표 탁명식도 같은 혐의로 불구속 기소되었다.
한편, 웅진여성은 창간호(1991년 10월호) 332페이지에 실린 전문체인점 실태 기사에서 선물 및 주방용품 판매 전문업체 데코방을 "팬시제품 체인점으로 시작해 지난해 주방용품점으로 전환, 무리한 사업 확장으로 도산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잘못 보도하여 데코방으로부터 신용훼손 혐의로 고소당했다.[6]
3. 3. 교훈 및 과제
1991년 10월에 창간된 웅진여성은 같은 해 12월호에 에이즈 복수극을 다룬 기사를 실었다.[2] 이 기사는 허위로 작성된 일기장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사실 확인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결국 검찰은 해당 기사를 사자의 명예훼손 혐의로 판단하여 관련자들을 구속했다. 윤석금 회장은 이 사건에 책임을 지고 2개월 만에 잡지를 자진 폐간했다.[3] 웅진여성 발행사인 웅진문화(구 웅진교과서)는[4] 잡지 폐간 이후 하락세를 겪다가 2008년 청산되었다.웅진여성 사건은 한국 언론에 다음과 같은 교훈을 남겼다. 첫째, 사실 확인의 중요성이다. 언론은 기사를 작성하기 전에 반드시 사실 확인을 철저히 해야 한다. 둘째, 선정적인 보도의 위험성이다.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보도는 독자들의 관심을 끌 수는 있지만, 사회적으로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셋째, 언론의 사회적 책임이다. 언론은 사회적 영향력이 큰 만큼, 보도에 신중을 기하고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
앞으로 한국 언론은 웅진여성 사건을 교훈 삼아 더욱 신뢰받는 언론으로 거듭나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
참조
[1]
뉴스
웅진文化(문화)로 상호변경 성인용도서 출판참여
https://newslibrary.[...]
매일경제
2021-11-27
[2]
뉴스
「에이즈 여성 보복섹스」파문,새국면 돌입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21-10-26
[3]
뉴스
웅진그룹 `웅진 여성' 폐간 결정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21-10-26
[4]
뉴스
웅진文化(문화)로 상호변경 성인용도서 출판참여
https://newslibrary.[...]
매일경제
2021-11-27
[5]
뉴스
「에이즈 여성 보복섹스」파문,새국면 돌입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21-12-22
[6]
뉴스
주방용품 업체 데코방,`웅진여성' 고소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21-12-22
[7]
뉴스
'AIDS여성 복수극'기사 사진게재로 被害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21-12-22
[8]
뉴스
'AIDS여성 복수극'기사 사진게재로 被害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21-12-22
[9]
뉴스
허위보도'웅진여성'피고인들 공소기각,석방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21-12-22
[10]
뉴스
허위보도'웅진여성'피고인들 공소기각,석방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21-12-22
[11]
뉴스
前주간지기자 李相珪씨 또 불구속기소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21-12-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