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원자 질량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자 질량은 탄소-12 원자의 질량을 12로 정의했을 때, 특정 동위원소의 질량을 상대적으로 나타낸 값이다. 상대 동위 원소 질량은 원자 질량 단위(u 또는 Da)와 수치가 같지만, 단위가 없는 순수한 숫자이다. 원자 질량은 한 종류의 동위원소(핵종)의 질량을 의미하며, 탄소-12의 질량을 기준으로 한다. 원자 질량과 관련된 용어로는 원자량, 표준 원자량 등이 있으나, 이들은 동위원소 존재비에 대한 평균값으로, 원자 질량과는 수치적으로 차이가 있다. 원자 질량은 질량 분석법으로 측정하며, 분자 질량은 원자 질량을 합하여 계산한다.

2. 상대 동위 원소 질량

상대 동위 원소 질량은 탄소-12 원자의 질량을 12로 정했을 때, 다른 동위 원소의 질량을 상대적으로 나타낸 값이다.

상대 동위 원소 질량은 원자 질량 단위(u 또는 Da)로 나타낸 원자 질량과 같은 값을 가진다. 하지만 상대 동위 원소 질량은 단위가 없는 숫자라는 차이점이 있다. 이는 탄소-12를 기준으로 상대적인 비율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상대 동위 원소 질량"에서 "상대"라는 단어는 탄소-12에 대한 상대적인 크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탄소-12(^{12}_{6}C) 원자의 상대 동위 원소 질량은 정확히 12이다. 반면, ^{12}_{6}C 원자의 원자 질량은 정확히 12 Da 또는 12 u이며, 1.66 x 10−27 kg과 같이 다른 단위로도 표현할 수 있다.

탄소-12 이외의 원자들은 상대 동위 원소 질량이 자연수가 아니다. u 또는 Da로 표현된 원자 질량도 마찬가지로 탄소-12 이외에는 자연수가 아니지만, 항상 자연수에 가까운 값을 가진다.

상대 ''동위 원소'' 질량은 단일 원자의 속성을 나타내는 반면, 원자량은 주어진 화학 원소 시료에 있는 여러 원자들의 평균값을 의미하므로 혼동하지 않아야 한다.

원자 질량은 절대적인 질량 값이지만, 상대 동위 원소 질량은 단위가 없는 숫자이다. 이는 탄소-12를 기준으로 상대적인 비율을 사용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대 동위 원소 질량은 특정 동위 원소(핵종)의 질량을 탄소-12의 질량을 기준으로 나타낸 값이다. 탄소-12의 질량은 실험적으로 결정된다.

예를 들어 탄소-12 원자의 상대 동위 원소 질량은 정확히 12이다. 탄소-12 원자의 원자 질량은 정확히 12 달톤으로 표현할 수 있다. 다른 질량 단위로 표현하면 탄소-12 원자의 원자 질량은 1.99264688270e-26 kg이다.

달톤으로 표현되는 원자 질량과 마찬가지로, 탄소-12 이외의 핵종의 상대 동위 원소 질량은 정수가 아니지만, 항상 정수에 가까운 값을 가진다.

3. 유사 용어 및 부연 설명

상대 동위 원소 질량은 탄소-12(12C) 원자의 질량을 12로 정했을 때, 다른 동위 원소의 상대적인 질량을 나타낸다. 상대 동위 원소 질량은 원자 질량이 원자 질량 단위(u)로 표시될 때와 같은 값을 가지지만, 단위가 없는 순수한 숫자라는 점이 다르다. 이는 12C를 기준으로 비율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12C 원자의 상대 동위 원소 질량은 정확히 12이다. 반면 12C 원자의 원자 질량은 12 u 또는 12 Da(달톤)으로 표현할 수 있다.12C 이외의 핵종은 상대 동위 원소 질량이 정수가 아니지만, 항상 정수에 가까운 값을 가진다. 원자 질량과 상대 동위 원소 질량은 혼동하기 쉽고, 때로는 잘못 사용되기도 한다. 상대 원자 질량(원자량) 또는 표준 원자량과 혼동될 수 있는데, 이들은 단일 핵종 원소가 아닌 원소 표본의 동위 원소 존재비를 고려한 평균값이다.

원자 질량은 한 번에 하나의 동위 원소 또는 핵종의 질량을 의미하며, 존재비에 대한 가중 평균이 아니다. 따라서 각 동위 원소나 핵종의 원자 질량 또는 상대 동위 원소 질량은 매우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소-16(16O)의 모든 원자는 서로 정확히 동일한 원자 질량을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단일 핵종 원소이거나 하나의 주요 동위 원소를 갖는 원소의 경우, 가장 일반적인 동위 원소의 원자 질량과 (표준) 상대 원자 질량 또는 (표준) 원자량의 차이는 매우 작거나 없을 수 있다. 그러나 여러 동위 원소를 갖는 원소의 경우, 상대 동위 원소 질량과 상대 원자 질량(원자량)의 차이는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염소의 원자량과 표준 원자량은 약 35.45이다.

상대 동위 원소 질량이 정수 값에 가까운 이유는 다음과 같다.



원자 질량과 질량수(핵자 수)의 비율은 1H의 경우 1.00782505에서 56Fe의 경우 0.99884까지 다양하다. 핵자 간 결합 에너지로 인한 질량 결함은 1% 미만이며, 대부분의 원자에서 이 결함은 매우 작다. 원자 질량 단위로 주어진 상대 동위 원소 질량이나 원자 질량을 가장 가까운 정수로 반올림하면 항상 핵자 수 또는 질량수가 된다.

3. 1. 원자 질량의 정의와 측정

원자 질량의 비교와 측정은 질량 분석법Mass spectrometry|매스 스펙트로메트리영어으로 수행된다.[1]

3. 2. 상대 원자 질량과 표준 원자량

원자 질량과 상대 동위 원소 질량은 혼동하기 쉽고, 때로는 올바르게 사용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상대 원자 질량의 동의어인 표준 원자량(표준화된 원자량이라는 의미에서 특별한 종류의 원자량)과 혼동될 수도 있다. 그러나 원자량과 표준 원자량은 단일 핵종 원소가 아닌 원소 표본의 동위 원소 존재비에 대한 평균값이다. 따라서 원자량과 표준 원자량은 대개 원자 질량이나 상대 동위 원소 질량과 수치적으로 다르며, 통일된 원자 질량 단위로 표현되지 않을 때는 다른 단위를 가질 수 있다.[7][8]

원자 질량은 한 번에 하나의 동위 원소 또는 핵종의 원자 질량으로 정의되며, 존재비에 대한 가중 평균값이 아니다. 따라서 화학 원소의 동위 원소핵종의 원자 질량 또는 상대 동위 원소 질량은 매우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숫자이다. 왜냐하면 그러한 핵종의 모든 시료들은 다른 시료들과 정확하게 동일할 것으로 예상되고, 같은 에너지 준위의 모든 원자들의 핵종에 대한 모든 시료들 또한 다른 시료들과 정확히 동일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산소-16의 모든 원자들은 다른 모든 ^{16}_{8}O의 원자들과 정확히 동일한 원자 질량을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단일 핵종 원소이거나 하나의 주요 동위 원소를 갖는 많은 원소의 경우, 가장 일반적인 동위 원소의 원자 질량과 (표준) 상대 원자 질량 또는 (표준) 원자량 간의 실제 수치 유사성 또는 그 차이는 작거나 심지어는 없을 수 있으며, 대부분의 계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오류는 단일 핵종으로 고려하지 않을 때 존재할 수 있으며 중요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동위 원소를 갖는 비(非) 단일 핵종 원소의 경우에는 상대 동위 원소 질량으로부터 상대 원자 질량(원자량) 간의 수치적 차이는 질량 단위의 절반 이상일 수 있다(예컨대, 염소 (원소)의 경우에는 원자량과 표준 원자량은 거의 35.45이다). 드물게 동위 원소의 원자 질량은 상대 원자 질량, 원자량 또는 표준 원자량과 조금 다를 수 있다.

통일된 원자 질량 단위로 표현된 원자 질량(즉, 상대 동위 원소 질량)은 ^{12}_{6}C 원자를 제외하고는 항상 2가지 이유 때문에 그 값이 자연수에 근접해 있다.

원자 질량에 대한 질량수(핵자수)의 비율은 1H는 1.00782505이고, 56Fe는 0.99884이다.

핵자간 결합 에너지로 인한 질량 결함은 실험적으로, 동등한 수의 자유 핵자들의 질량 합보다 작은 비율(1% 미만)이다. ^{12}_{6}C 원자는 핵자당 평균 질량을 비교해 보면 이는 다른 원자들에 비해 상당히 강하게 결합되어 있다. 대부분의 원자들의 결합에 대한 질량의 결함은 매우 작은 부분이다. 자유로운 양성자들과 중성자들은 매우 작은 질량 차이가 있다(대략 0.00014 u).[7] 원자 질량 단위로 주어진 상대 동위 원소 질량이나 원자 질량을 가장 가까운 자연수로 반올림하면 항상 핵자 수 또는 질량수가 산출된다. 덧붙여, 중성자의 수는 질량수(핵자 수)에서 원자 번호(양성자 수)를 차감하여 도출할 수 있다.

4. 원자 질량 결함과 결합 에너지

일반 동위 원소핵자결합 에너지 곡선. 질량수와 원자 질량 사이의 비율 그래프는 유사할 것이다.


Z 개의 양성자N 개의 중성자로 원소 X를 만들 때, 다음과 같은 질량 결손이 발생한다.

\Delta = Z M_p + N M_N - M_X


이 값은 모든 핵에 대해 항상 양수이며, 핵의 질량이 양성자와 중성자를 합한 것보다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결손된 질량에 빛의 속도의 제곱을 곱하면 에너지 단위(''E''=''mc''2)로 표현되는 핵의 결합 에너지 '''Δ''c''2'''를 얻을 수 있다. 이 결합 에너지를 핵자 수로 정규화하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Delta{c^2} / ( N + Z )


핵자 수에 대한 결합 에너지 곡선은 작은 원자 질량에서 가파르게 상승한다. 질량수가 40 이상인 핵은 9 MeV 조금 아래까지 완만하게 상승하다가 56Fe 원소에서부터 점차 감소한다. 결합 에너지 생성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다. 두 개의 가벼운 핵이 결합하여 결합 에너지 곡선에서 더 높은 결합 에너지를 가지는 무거운 핵을 만드는 핵융합 반응과, 하나의 무거운 핵이 쪼개져 각 핵당 높은 결합 에너지를 가지는 두 개의 가벼운 핵을 만드는 핵분열 반응이다.[20]

질량수에 대한 원자 질량(단위: Da)의 비율은 탄소-12의 경우 1로 정의되며, 이후 56Fe까지 감소한다(58Fe 과 62Ni는 약간 더 큰 값을 가진다.). 그 후, 무거운 동위 원소들은 원자 번호가 증가함에 따라 그 값 또한 증가한다. 이 결과로부터, 지르코늄보다 무거운 원소의 핵분열은 에너지를 생성하고, 나이오븀보다 가벼운 원소들은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반면, 스칸듐보다 가벼운 원소 2 개의 핵융합(헬륨은 제외)은 에너지를 생성하고, 칼슘보다 무거운 원소들은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원자 질량과 질량수의 비율이 1에서 벗어나는 정도는 다음과 같다. 편차는 수소-1에서 양수에서 시작하여 헬륨-4에서 지역 최소값에 도달할 때까지 감소한다. 리튬, 베릴륨, 붕소의 동위 원소는 헬륨보다 결합력이 약하며, 이는 질량 대 질량수 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탄소에서 질량(달톤 단위)과 질량수의 비율은 1로 정의되며, 탄소 이후에는 철-56에서 최소값에 도달할 때까지 1보다 작아지고(철-58과 니켈-62는 약간 더 높은 값), 원자 번호가 증가하면서 무거운 동위 원소에서 양의 값으로 증가한다. 이는 지르코늄보다 무거운 원소의 핵분열이 에너지를 생성하고 니오븀보다 가벼운 원소의 핵분열에는 에너지가 필요하다는 사실에 해당한다. 반면에 스칸듐보다 가벼운 원소(헬륨 제외)의 두 원자 핵융합은 에너지를 생성하는 반면, 칼슘보다 무거운 원소의 핵융합은 에너지가 필요하다. 두 개의 4He 원자가 융합되어 베릴륨-8이 생성되는 데는 에너지가 필요하며, 베릴륨은 다시 빠르게 분해될 것이다. 4He는 트리튬 (3H) 또는 3He와 융합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빅뱅 핵합성 동안 일어났다. 7개 이상의 핵자를 가진 원소의 형성은 트리플 알파 과정에서 세 개의 4He 원자가 융합되어 리튬, 베릴륨, 붕소를 건너뛰고 탄소-12를 생성해야 한다.

핵종원자 질량과 질량수의 비율
1H
2H
3H
3He
4He
6Li
12C1
14N
16O
56Fe
210Po
232Th
238U


5. 원자 질량 단위와 그램 사이의 환산

국제단위계(SI)에서 물질의 양을 정량화하는 데 사용되는 단위는 (mol)이며, 이는 ^{12}_{6}C 12g에 포함된 원자의 수로 정의된다. 1몰에 해당하는 입자의 수는 아보가드로 수라고 하며, 대략 6.0221415×1023이다.

원자 질량 단위국제단위계 사이의 환산식은 다음과 같다.

:1 u = \frac{M_u}{N_A} = \frac{1 g/mol}{N_A}

여기서 M_u몰 질량 상수이고, N_A아보가드로 수이다.

6. 원자 질량의 측정 방법

원자 질량의 비교와 측정은 질량 분석법Mass spectrometry|매스 스펙트로메트리영어(MS)을 통해 이루어진다.

7. 분자 질량과의 관계

분자에도 비슷한 정의가 적용된다. 화합물의 분자량은 구성 원자의 원자 질량(표준 원자량 아님)을 더하여 계산할 수 있다.[9] 반대로, 몰 질량은 일반적으로 표준 원자량(원자 또는 핵종 질량이 아님)으로부터 계산된다. 따라서 분자량과 몰 질량은 수치상으로 약간의 차이가 있으며 서로 다른 개념을 나타낸다. 분자량은 분자의 질량이며, 이는 구성 원자 질량의 합이다. 몰 질량은 화학적으로 순수하지만 동위원소적으로 불균일한 앙상블에서 구성 분자 질량의 평균이다. 두 경우 모두, 원자의 다중도(발생 횟수)를 고려해야 하며, 일반적으로 각 고유 질량에 다중도를 곱하여 계산한다.

CH4의 몰 질량
표준 원자량총 몰 질량 (g/mol)
또는 분자량 (단위 없음)
C12.011112.011
H1.00844.032
CH416.043
12C1H4의 분자량
핵종 질량 (Da 또는 u)총 분자량 (Da 또는 u)
12C12.0000112.0000
1H1.00782544.0313
CH416.0313


8. 역사

존 돌턴과 토머스 톰슨은 1803년에서 1805년 사이에, 옌스 야코브 베르셀리우스는 1808년에서 1826년 사이에 상대 원자 질량을 처음으로 결정했다. 상대 원자 질량(''원자량'')은 원래 가장 가벼운 원소인 수소에 상대적으로 정의되었으며, 수소의 원자량을 1.00으로 정했다. 1820년대에 프라우트 가설은 모든 원소의 원자 질량이 수소 원자 질량의 정확한 배수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베르셀리우스는 곧 이것이 근사적으로도 사실이 아님을 증명했고, 염소와 같은 일부 원소의 경우 상대 원자 질량은 약 35.5로, 수소 원자 질량의 두 정수 배수 사이의 거의 정확히 중간에 위치했다. 이후 이것은 주로 동위원소의 혼합 때문이며, 순수한 동위원소 또는 핵종의 원자 질량은 수소 질량의 약 1% 이내의 배수임이 밝혀졌다.[11]

1860년대에 스타니슬라오 칸니차로는 아보가드로의 법칙을 적용하여 상대 원자 질량을 개선했다(특히 1860년 카를스루에 회의에서). 그는 원소의 상대 원자 질량을 결정하기 위한 법칙을 만들었다. ''서로 다른 분자에 포함된 동일한 원소의 서로 다른 양은 모두 원자량의 정수 배수이다.'' 그리고 문제의 화학 원소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분자를 가진 기체의 증기 밀도를 비교하여 상대 원자 질량과 분자 질량을 결정했다.[11]

20세기에는 1960년대까지 화학자와 물리학자가 두 가지 다른 원자 질량 척도를 사용했다. 화학자는 자연 혼합물인 산소 동위원소가 원자 질량 16을 갖도록 "원자 질량 단위"(amu) 척도를 사용했고, 물리학자는 가장 흔한 산소 동위원소(16O, 양성자 8개와 중성자 8개 포함)의 원자 질량에만 동일한 숫자 16을 할당했다. 그러나 산소-17과 산소-18도 자연 산소에 존재하기 때문에 두 가지 다른 원자 질량 표가 생겼다. 탄소-12(12C)를 기준으로 한 통일된 척도는 척도를 순수한 동위원소를 기반으로 해야 하는 물리학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면서도 화학자의 척도와 수치적으로 가까웠다. 이것이 '통일 원자 질량 단위'로 채택되었다. 현재 국제 단위계(SI)에서 이 단위의 이름에 대한 주요 권장 사항은 달톤이며 기호는 'Da'이다. '통일 원자 질량 단위'라는 이름과 기호 'u'는 동일한 단위에 대한 공인된 이름과 기호이다.[12]

''원자량''이라는 용어는 점차 사용이 줄어들고 있으며, 현재 대부분의 사용례에서는 ''상대 원자 질량''으로 대체되고 있다. 이러한 명칭의 변화는 1960년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통일 원자 질량 단위의 채택과 무게가 어떤 면에서는 부적절한 용어라는 인식이 이루어지면서 과학계에서 많은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원자량"이라는 용어를 유지하려는 주장은 주로 해당 분야의 사람들에게 잘 이해되는 용어였고, "원자 질량"이라는 용어는 이미 사용되고 있었으며(현재 정의된 대로), "상대 원자 질량"이라는 용어는 ''상대 동위원소 질량''(주어진 핵종의 단일 원자의 질량으로, 탄소-12 질량의 1/12에 상대적으로 무차원적으로 표현됨)과 쉽게 혼동될 수 있다는 것이었다.

1979년, 타협안으로 "상대 원자 질량"이라는 용어가 원자량의 보조 동의어로 도입되었다. 20년 후 이러한 동의어의 우선 순위가 바뀌었고, 현재는 "상대 원자 질량"이라는 용어가 선호된다.

그러나 "''표준'' 원자량"(다양한 표본의 표준화된 예상 원자량)이라는 용어는 변경되지 않았다.[13] "원자량"을 "상대 원자 질량"으로 간단히 대체하면 "표준 상대 원자 질량"이라는 용어가 생기기 때문이다.

참조

[1] 웹사이트 DOE Explains...Nuclei https://www.energy.g[...] 2023-04-13
[2] 간행물 atomic mass
[3] 서적 The International System of Units (SI). v1.06. https://www.bipm.org[...] Bureau International des Poids et Mesures 2019
[4] 웹사이트 NIST Standard Reference Database 121. Fundamental Physical Constants. atomic mass constant https://physics.nist[...]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2019-05-20
[5] 웹사이트 Avogadro constant https://physics.nist[...] 2019-05
[6] 웹사이트 Molar mass of carbon-12 https://physics.nist[...] 2019-05
[7] 웹사이트 Proton mass in u https://physics.nist[...] 2019-05
[8] 웹사이트 neutron mass in u https://physics.nist[...] 2019-05
[9] 웹사이트 Neutron-proton mass difference in u https://physics.nist[...] 2019-05
[10] 논문 The AME 2020 atomic mass evaluation (II). Tables, graphs and references\ast https://doi.org/10.1[...] 2021-03
[11] 논문 Origin of the Formulas of Dihydrogen and Other Simple Molecules
[12] 간행물 The International System of Units (SI) https://www.bipm.org[...] Bureau International des Poids et Mesures 2019
[13] 논문 'Atomic weight': The name, its history, definition, and units http://www.iupac.org[...]
[14] 서적 理化学事典 岩波書店
[15] 문서 “IUPAC Gold Book” 外部リンク参照
[16] 웹사이트 molar mass constant https://physics.nist[...] 2019-05-20
[17] 문서 すなわち試料ごとに異なる同位体存在比が[[放射年代測定|年代測定法]]の原理や鉱物の産地特定にも利用されている
[18] 간행물 atomic mass
[19] 웹인용 Atomic mass http://www.britannic[...]
[20] 서적 Fundamentals of Nuclear Reactors Physics Academic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