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터 P. 매카너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월터 P. 매카너기는 미국의 외교관으로, 1908년 앨라배마 주에서 태어났다. 1930년 국무부에 들어가 멕시코, 일본, 중국 등지에서 부영사, 영사, 총영사로 근무했으며, 진주만 공격 이후 일본에 억류되기도 했다. 이후 볼리비아, 브라질에서 근무했고, 1948년 상하이 총영사로 재직하며 공산당 군의 접근에도 불구하고 영사관을 유지하여 공로상을 받았다. 1950년대에는 국무부 중국부장을 역임했으며, 버마, 대한민국, 파키스탄, 중화민국 대사를 차례로 지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얀마 주재 미국 대사 - 윌리엄 시볼드
윌리엄 시볼드는 제2차 세계 대전 후 맥아더 장군의 정치 고문으로 일본 점령 정책 수립에 기여하고 버마, 오스트레일리아 주재 미국 대사와 국무부 극동담당차관보를 지낸 미국의 외교관이지만, 1949년 독도가 일본 영토라는 내용의 전보를 보내 논란이 되기도 했다. - 중화민국 주재 미국 대사 - 존 레이튼 스튜어트
미국의 선교사이자 교육자, 외교관인 존 레이튼 스튜어트는 중국 항저우에서 태어나 옌칭 대학 초대 총장을 지냈으며, 주중 미국 대사를 역임하며 국공 내전 중재에 힘썼으나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 미국으로 돌아갔다.
월터 P. 매카너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명 | 월터 패트릭 매커너히 2세 |
출생일 | 1908년 9월 11일 |
출생지 | 몬테발로, 앨라배마 주, 미국 |
사망일 | 2000년 11월 10일 |
사망지 | 애틀랜타, 조지아 주, 미국 |
배우자 | 도로시 데이비스 |
자녀 | 2명 |
학력 | 버밍햄-서던 칼리지 듀크 대학교 |
직업 | 외교관 |
경력 | |
미국 대사 | 중화민국 (1966년 6월 28일 – 1974년 4월 4일) 파키스탄 (1962년 3월 20일 – 1966년 5월 27일) 대한민국 (1959년 12월 17일 – 1961년 4월 12일) 미얀마 (1957년 8월 20일 – 1959년 11월 2일) |
극동 담당 국무부 차관보 | 1961년 4월 24일 – 1961년 12월 3일 |
재임 기간 | |
중화민국 주재 미국 대사 | 시작: 1966년 6월 28일 종료: 1974년 4월 4일 대통령: 린든 B. 존슨 리처드 닉슨 이전: 제럴드 라이트 이후: 레너드 S. 엉거 |
파키스탄 주재 미국 대사 | 시작: 1962년 3월 20일 종료: 1966년 5월 27일 대통령: 존 F. 케네디 린든 B. 존슨 이전: 윌리엄 M. 라운트리 이후: 유진 M. 로크 |
극동 담당 국무부 차관보 | 순서: 6대 시작: 1961년 4월 24일 종료: 1961년 12월 3일 대통령: 존 F. 케네디 이전: J. 그레이엄 파슨스 이후: W. 애버렐 해리먼 |
한국 주재 미국 대사 | 순서: 5대 시작: 1959년 12월 17일 종료: 1961년 4월 12일 대통령: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존 F. 케네디 이전: 월터 C. 다울링 이후: 새뮤얼 D. 버거 |
미얀마 주재 미국 대사 | 시작: 1957년 8월 20일 종료: 1959년 11월 2일 대통령: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이전: 조지프 C. 새터스웨이트 이후: 윌리엄 P. 스노 |
2. 생애
월터 P. 매카너기는 1908년 앨라배마주에서 태어나 1930년 외교관 시험에 합격하여 국무부에 들어갔다.
1931년부터 멕시코 탐피코에서 부영사로 근무를 시작했고, 1932년부터는 일본에서 고베, 타이베이, 오사카, 나가사키 등에서 부영사로 근무했다. 1941년 베이징에서 근무하던 중 진주만 공습 이후 일본에 억류되었다가 외교관 교환으로 풀려났다. 이후 볼리비아 라파스와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영사로 근무했다.
1948년 중화민국 상하이 총영사로 부임하여 중국 공산당의 집권 과정을 지켜보았다. 상하이 영사관 폐쇄 후 영국령 홍콩 총영사를 역임했다. 1952년부터 1957년까지 국무부 중국부장을 역임했다.
1957년부터 버마, 대한민국[10], 파키스탄, 중화민국 대사를 역임하며 냉전 시기 미국의 외교 정책 수행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월터 P. 매카너기는 1908년 앨라배마 주몬테발로에서 태어났다.[4] 1928년 버밍햄 서던 칼리지를 졸업하고,[4] 1930년까지 듀크 대학교에서 공부했다.[5] 듀크 대학교 재학 중에는 앨라배마 주 브랜디지에서 고등학교 교사로 일했다.[4] 1930년에 외교관 시험에 합격하여 국무부에 들어갔다.[4]2. 2. 외교관 경력
월터 P. 매카너기는 1930년 외교관 시험에 합격한 후, 미국 국무부에서 다양한 직책을 맡으며 경력을 쌓았다.초기에는 멕시코, 일본, 중국 등에서 부영사 및 영사로 근무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일본에 억류되었다가 외교관 교환으로 풀려나기도 했다. 이후 볼리비아, 브라질 등 남미 지역에서도 근무했다.
1948년부터는 중화민국 상하이에서 영사, 총영사로 근무하며 중국 공산당의 집권 과정을 지켜보았다. 상하이 영사관 폐쇄 후에는 영국령 홍콩 총영사로 부임했다. 1952년부터 1957년까지는 국무부 중국부장을 역임하며 에드윈 M. 마틴, O.E. 클럽과 함께 일했다.
1957년부터는 대사로서의 경력을 시작했다. 버마를 시작으로 대한민국[10], 파키스탄, 중화민국 대사를 역임하며 냉전 시기 미국의 외교 정책 수행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2. 2. 1. 초기 경력 (멕시코, 일본, 중국)
월터 P. 매카너기는 1930년 외교관 시험에 합격하여 미국 국무부에 들어갔다. 1931년부터 1932년까지 멕시코 탐피코에서 부영사로 근무했다.[5] 1932년부터는 일본에서 근무하기 시작하여 고베 (1932년-1934년), 타이베이 (1934년-1937년), 고베 (1937년-1938년), 오사카 (1938년-1939년), 나가사키 (1939년)에서 부영사로 근무했다.[5]1941년 초에는 왕징웨이 정권 하의 베이징에서 2등 서기관으로 근무했다.[4][5] 진주만 공격과 미국의 대일 선전 포고 이후, 일본은 매카너기를 억류했으나, 외교관 교환을 통해 석방되었다.[4]
1948년, 상하이 주재 미국 총영사로 부임했으며, 1949년에는 총영사로 승진했다. 중국 공산당 군의 접근으로 영사관은 전투 지역에 휘말렸고,[4] 1949년 5월 상하이는 중공의 지배 하에 들어갔다.[4] 매카너기는 이후에도 중국에 남아 영사관을 미국 외교관의 전초 기지로 기능하게 했다.[4] 1950년 5월 영사관을 폐쇄했지만, 국무부는 매카너기의 공로를 인정하여 공로상을 수여했다.[4]
2. 2. 2. 남미 근무
매카너기는 1942년부터 1944년까지 볼리비아 라파스에서 2등서기관 겸 영사로 근무하며 상무관을 겸직했다.[4][5] 1944년부터 1947년까지는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1등서기관 겸 영사로 근무했다.[5]2. 2. 3. 중국 근무 (상하이, 홍콩)
1948년, 매카너기는 중화민국 상하이 주재 미국 총영사관의 영사로 부임했으며, 1949년에는 총영사로 승진했다.[1] 중국 공산당 군대가 상하이를 점령(1949년 5월)한 후에도, 매카너기는 상하이에 남아 영사관을 미국 외교관의 전초 기지로 활용했다.[4] 그는 중국 공산당의 선전과 홍콩에서 입수한 정보를 분석하여 보고서를 작성했다.[1]1950년 5월, 매카너기는 상하이 영사관을 폐쇄했지만, 미국 국무부는 그의 공로를 인정하여 공로상을 수여했다.[4] 이후 1950년부터 1952년 6월까지 영국령 홍콩에서 총영사를 역임했다.[5][6][7]
2. 2. 4. 국무부 중국부장
매카너기는 1952년 6월부터 1957년 5월까지 국무부 중국부장을 역임했다.[7][8] 그는 중국 사무소에서 에드윈 M. 마틴, O.E. 클럽과 함께 워싱턴에서 근무했다.[1]2. 2. 5. 대사 경력
매카너기는 1957년 8월부터 1959년 11월까지 주 버마 대사, 1959년 12월부터 1961년 4월까지 주한 대한민국 대사[10],[1], 1962년 3월부터 1966년 5월까지 주 파키스탄 대사[9], 1966년 6월부터 1974년 4월까지 주 중화민국 대사[9],[1]를 역임했다.참조
[1]
웹사이트
Walter Patrick McConaughy - People - Department History - Office of the Historian
https://history.stat[...]
2015-01-21
[2]
웹사이트
Walter McConaughy, 92, Envoy in Asia, Dies
https://www.nytimes.[...]
2015-01-21
[3]
웹사이트
Pronunciation of "mcconaughy"
http://www.clear-eng[...]
Phoenix Language Institute
2012-09-23
[4]
뉴스
Walter P. Mcconaughy, U.s. Ambassador In Asia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2-09-23
[5]
웹사이트
Walter P. McConaughy
http://www.nndb.com/[...]
NNDB
2012-09-23
[6]
웹사이트
Consuls General of U.S. Consulate General Hong Kong Since 1949
http://hongkong.usco[...]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2012-09-23
[7]
서적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52–1954, United Nations Affairs, Volume III
http://history.stat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2012-09-23
[8]
서적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55–1957, China, Volume II
http://history.stat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2012-09-23
[9]
웹사이트
Walter Patrick McConaughy (1908-2000)
http://history.stat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2012-09-23
[10]
문서
신현확은 당시 매카너기 주한 대사를 필두로 한 미국 세력이 4.19를 배후 조종했다고 보았다.'신현확의 증언'(2017, 메디치미디어) 170쪽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