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웰링턴녹색도마뱀붙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웰링턴녹색도마뱀붙이는 뉴질랜드에 서식하는 도마뱀붙이의 일종으로, 뉴질랜드 보존부에 의해 '위험' 등급으로 분류되었다. 개체 수 감소가 지속되거나 감소가 예상되는 상황이며, '데이터 부족'으로도 간주된다. 환경보존부는 웰링턴녹색도마뱀붙이의 보존을 위해 여러 지역으로 이주시키는 노력을 기울였다. 1997년부터 2001년까지 22마리가 마나 섬으로 이송되었고, 2006년부터 2013년까지 90마리 이상이 마티우/소메스 섬에 방사되었다. 방사된 개체들의 무늬를 기록하고 모니터링한 결과, 섬에서 번식 개체군이 형성되었음을 확인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43년 기재된 파충류 - 북지녹색도마뱀붙이
    선명한 녹색 바탕에 회색 또는 금색 무늬를 가진 북지녹색도마뱀붙이는 뉴질랜드에서 발견되는 주행성 도마뱀붙이로, 최대 200mm까지 자라며 수목성 생활을 하고 난생을 한다.
  • 녹색도마뱀붙이속 - 넬슨녹색도마뱀붙이
    넬슨녹색도마뱀붙이는 뉴질랜드 남섬 북서부 넬슨 지역에 서식하며 난태생으로 번식하는 도마뱀붙이의 일종으로, 개체 수 감소 추세로 인해 뉴질랜드 보존부에 의해 "위험" 등급으로 분류되었다.
  • 녹색도마뱀붙이속 - 오클랜드녹색도마뱀붙이
    오클랜드녹색도마뱀붙이는 뉴질랜드 북섬 특정 지역에 서식하며 녹색을 띠는 16cm 크기의 도마뱀붙이의 일종으로, 서식지 파괴와 외래종 위협으로 멸종 위기 종으로 분류되어 보호받고 있다.
  • 존 에드워드 그레이가 명명한 분류군 - 투아타라
    투아타라는 뉴질랜드 고유종 파충류이자 린코케팔리아목의 유일한 현존종으로, 오랜 진화 역사를 지니고 완전한 아래 측두궁 두개골, 첨생치, 두정안 등의 특징을 가지며 멸종 위기에 처해 뉴질랜드 정부의 보호를 받는다.
  • 존 에드워드 그레이가 명명한 분류군 - 코뿔소
    코뿔소는 아프리카와 아시아에 서식하며 1~2개의 뿔과 두꺼운 피부를 가진 대형 초식성 포유류이지만, 밀렵으로 인해 5종 모두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웰링턴녹색도마뱀붙이
기본 정보
상태GD
상태 기준NZTCS
상태 출처참조
상태2CITES_A2
상태2 기준CITES
상태2 출처참조
녹색도마뱀붙이속
웰링턴녹색도마뱀붙이
학명Naultinus punctatus
학명 명명자존 에드워드 그레이(:en:John Edward Gray), 1843
이명Gymnodactylus punctatus
Hoplodactylus punctatus
Naultinus elegans punctatus
Naultinus elegans pentagonalis

2. 보존 상태

2012년, 뉴질랜드 자연보존부는 웰링턴녹색도마뱀붙이를 뉴질랜드 위협 분류 시스템에 따라 '위기' 종으로 분류했다. 이는 지속적이거나 예측되는 개체 수 감소로 인해 '위기' 종의 기준을 충족한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이 도마뱀붙이는 또한 '자료 부족' 상태로도 간주된다.[1]

3. 보존 노력

뉴질랜드 환경보존부는 멸종위기에 처한 웰링턴녹색도마뱀붙이의 개체 수 회복과 서식지 보전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3][7] 주요 활동으로는 포식자로부터 안전한 으로 개체를 옮기는 사업이 있으며, 마나섬과 마티우/소메스 섬이 대표적인 이전 지역이다.[4][8] 이 과정에서 개체별 고유 무늬를 기록하는 등 체계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하였고,[5][9] 이를 통해 이주한 도마뱀붙이가 새로운 환경에 성공적으로 정착하여 번식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5][9]

3. 1. 서식지 이전

뉴질랜드 환경보존부는 웰링턴녹색도마뱀붙이의 개체 수 회복과 서식지 보전을 위해 여러 지역으로 개체를 옮기는 사업을 진행하였다.[3] 주요 이전 지역으로는 마나섬과 마티우/소메스 섬이 있으며, 이들 섬에서 웰링턴녹색도마뱀붙이가 성공적으로 정착하여 번식하는 것이 확인되었다.[4][5]

3. 1. 1. 마나섬 이전

뉴질랜드 환경보존부는 웰링턴녹색도마뱀붙이의 서식지 보전을 위해 여러 지역으로 개체를 옮기는 사업을 진행했다.[3] 1997년부터 2001년까지 총 22마리(수컷 8마리, 암컷 4마리, 성별 미상 10마리)의 웰링턴녹색도마뱀붙이가 마나섬으로 옮겨졌다.[4] 이 도마뱀붙이들은 마나섬에 성공적으로 정착한 것으로 보인다.[4]

3. 1. 2. 마티우/소머즈섬 이전

마티우/소메스 섬에 방사된 웰링턴녹색도마뱀붙이


뉴질랜드 환경보존부는 2006년부터 2013년 사이에 90마리가 넘는 웰링턴녹색도마뱀붙이를 마티우/소메스 섬에 방사했다.[3][5] 방사 과정에서 모든 개체의 사진을 촬영하고 각각의 고유한 무늬를 기록하였다. 이후 2015년 초, 기존에 기록된 어떤 무늬와도 일치하지 않는 어린 암컷 도마뱀붙이가 발견되었다. 이는 웰링턴녹색도마뱀붙이가 섬에 성공적으로 정착하여 번식 개체군을 형성했음을 시사한다.[5]

3. 2. 개체 식별 및 모니터링

뉴질랜드 환경보존부는 웰링턴녹색도마뱀붙이를 여러 안전한 장소로 옮기는 작업을 진행했다.[7] 1997년부터 2001년 사이에는 마나 섬으로 총 22마리(수컷 8마리, 암컷 4마리, 성별 불명 10마리)를 이주시켰다.[8] 이후 2006년과 2013년에는 90마리가 넘는 개체를 마티우/소메스 섬에 방사했다. 이 과정에서 모든 개체의 사진을 촬영하고 고유 무늬를 기록하여, 추후 개체 식별 및 모니터링에 활용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했다. 2015년 초 마티우/소메스 섬에서 기존 기록과 다른 무늬를 가진 어린 개체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웰링턴녹색도마뱀붙이가 섬에 성공적으로 정착하여 번식하고 있음을 시사한다.[9]

참조

[1] 웹사이트 Conservation status of New Zealand reptiles, 2012 http://www.doc.govt.[...] The Government of New Zealand 2015-07-18
[2] 웹사이트 Appendices {{!}}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3] 서적 Lizard action plan for Poneke Area, Wellington Conservancy 2009–2014 http://www.doc.govt.[...] Department of Conservation 2009-01-01
[4] 웹사이트 Naultinus elegans punctatus Barking gecko, Wellington green gecko https://nzlizards.la[...] Landcare Research 2015-07-27
[5] 웹사이트 Photo of the week: Wellington green gecko http://blog.doc.govt[...] Department of Conservation 2015-07-27
[6] 웹인용 Conservation status of New Zealand reptiles, 2012 http://www.doc.govt.[...] The Government of New Zealand 2015-07-18
[7] 서적 Lizard action plan for Poneke Area, Wellington Conservancy 2009–2014 http://www.doc.govt.[...] Department of Conservation 2009-01-01
[8] 웹인용 Naultinus elegans punctatus Barking gecko, Wellington green gecko https://nzlizards.la[...] Landcare Research 2015-07-27
[9] 웹인용 Photo of the week: Wellington green gecko http://blog.doc.govt[...] Department of Conservation 2015-07-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