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글라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위글라프는 서사시 《베오울프》에 등장하는 인물로, 주인공 베오울프와 함께 드래곤과 싸우는 테인이다. 그는 베오울프가 드래곤과의 싸움에서 치명상을 입었을 때 용감하게 맞서 싸우며 베오울프를 돕고, 베오울프의 유언에 따라 왕위를 계승할 인물로 지목된다. 위글라프는 충성심과 용기를 상징하며, 학자들은 그의 행동과 역할에 대해 다양한 해석을 제시한다. 또한, 그는 영화 등 대중문화 작품에도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트인의 왕 - 잉에 1세 (스웨덴)
스텡킬 왕조 출신인 잉에 1세는 기독교 신앙을 지키며 이교 의식 집행을 거부하다 추방되었으나 블로트 스벤을 살해하고 왕위를 되찾았고, 노르웨이와의 분쟁을 해결한 후 사망하여 필리프에게 왕위를 계승했다. - 기트인의 왕 - 칼 7세
스베르케르 1세의 아들인 칼 7세는 망누스 2세를 살해하고 1161년부터 1167년까지 스웨덴 국왕으로 재임하며 웁살라 대주교구 설립 등 가톨릭 국가 모델에 기여했으나, 1167년 암살당했다. - 베오울프의 등장인물 - 그렌델
《베오울프》에 등장하는 괴물 그렌델은 카인의 후손으로 묘사되며 흉측한 외모를 지닌 채 흐로드가르 왕의 궁궐 헤오로트를 습격하여 공포를 몰아넣었으나, 베오울프와의 싸움 끝에 죽음을 맞이한다. - 베오울프의 등장인물 - 흐로드가르
흐로드가르는 앵글로색슨 문학 《베오울프》에 등장하는 덴마크의 왕으로, 괴물 그렌델의 공격을 받아 게아트족 영웅 베오울프의 도움을 받는다.
위글라프 | |
---|---|
인물 정보 | |
![]() | |
로마자 표기 | Wiglāf |
IPA | /ˈwiːjlɑːf/ |
역할 | 베오울프의 등장인물 |
직책 | 기트족의 왕 |
전임자 | 베오울프 |
후임자 | 불명 |
2. 위글라프의 행적
위글라프는 베오울프 서사시에 등장하는 주요 인물 중 한 명으로, 그의 행적은 서사시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위글라프는 베오울프를 도와 드래곤과 싸우고, 베오울프가 죽은 후 그의 유언을 받들어 예아트족을 이끌게 된다.
2. 1. 베오울프와의 첫 만남
위글라프는 2602행에서 처음 등장하며, 베오울프와 함께 드래곤의 공격을 받은 예아틀란드를 찾아 나서는 테인 무리의 일원이다. 위글라프가 베오울프와 함께 전쟁에 참여한 것은 이때가 처음이다.[5] 그는 "칭찬받을 만한 방패 전사", "스킬핑의 왕자", "엘프헤르의 친족"이라고 불린다.[6]2. 2. 드래곤과의 전투

베오울프가 드래곤에게 부상을 당하고 불길에 휩싸이자, 위글라프는 베오울프의 무리 중 유일하게 드래곤에 대한 공포를 이겨낸 사람이었다.[8] 그는 다른 테인들을 꾸짖고,[9] 베오울프를 돕기 위해 나아가[10] 격려의 말을 외쳤다.[11]
위글라프는 방패가 불에 타도 물러서지 않았다.[12] 베오울프가 드래곤에게 두 번째 상처를 입혔지만, 너무 세게 쳐서 검이 부러졌다.[13] 그러자 위글라프는 자신의 검으로 드래곤의 목을 찔러 불을 뿜지 못하게 했다.[14] 그의 손은 심하게 화상을 입었지만,[15] 위글라프의 공격 덕분에 베오울프는 드래곤에게 다가가 죽일 수 있었다. 시인은 위글라프에 대해 "필요할 때 그렇게 해야 한다! 테인이여!"라고 말한다.[16]
2. 3. 베오울프의 유언과 왕위 계승
죽어가는 베오울프는 위글라프에게 "백성의 필요를 지켜라"[18] (이는 위글라프가 다음 왕이 되라는 의미이다)라고 말하며, 자신의 반지, 투구, 갑옷을 물려준다.[20] 또한 위글라프에게 장례식 무덤을 만들라고 말하고,[19] 위글라프가 이제 "웨그문딩의 마지막"이라고 말한다.[21]
베오울프의 명령에 따라 위글라프는 드래곤의 굴에서 보물을 모아 베오울프가 볼 수 있도록 쌓아 놓았다.[17]
2. 4. 베오울프 사후
베오울프가 죽자, 함께 온 다른 열한 명의 전사들은 시신 주위에 모여들었다. 위글라프는 그들이 베오울프를 돕지 않고 의무를 다하지 않은 것을 비난하며 추방을 명령할 것이라고 선언한다.[22] 그는 다른 예아트인들에게 베오울프의 죽음을 알리기 위해 사자를 보낸다.[23] 예아트인들이 모이자 위글라프는 그들에게 연설하며 베오울프의 죽음을 슬퍼하고, 베오울프가 더 이상 그들을 지켜주지 못해 예아트인들에게 닥쳐올 암울한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표현한다.[24]
위글라프는 3120행에서 마지막으로 등장하는데, 일곱 명의 테인을 선택하여 드래곤의 시체를 절벽 너머 바다로 밀어 넣고, 굴을 약탈하고, 베오울프의 장례식 화장터에 보물을 놓도록 돕는다.[25]
3. 위글라프의 중요성
위글라프는 베오울프 서사시에서 중요한 인물로, 이야기 후반부에 등장하여 큰 활약을 펼친다. 그는 베오울프와 함께 예아틀란드를 공격한 드래곤에 맞서 싸운 테인 중 한 명이었다. 이 전투는 위글라프가 베오울프와 함께 참전한 첫 번째 전투였다.[5] 그는 "칭찬받을 만한 방패 전사", "스킬핑의 왕자", "엘프헤르의 친족" 등으로 묘사된다.[6]
베오울프가 드래곤에게 상처를 입고 쓰러지자, 위글라프는 용감하게 나서 베오울프를 돕고 드래곤을 물리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베오울프는 죽기 전 위글라프에게 자신의 뒤를 이어 백성을 돌볼 것을 당부하고, 자신의 갑옷과 무구를 물려준다. 이후 위글라프는 베오울프의 장례를 주관하고, 예아트족의 암울한 미래를 예견하는 연설을 한다.
위글라프의 마지막 등장은 3120행으로, 그는 일곱 명의 테인을 선택하여 드래곤의 시체를 절벽 너머 바다로 밀어 넣고, 굴을 약탈하고, 베오울프의 장례식 화장터에 보물을 놓도록 돕는다.[25]
3. 1. 충성심과 용기
위글라프는 베오울프가 드래곤에게 상처를 입고 불에 탔을 때,[7] 베오울프의 부하들 중 유일하게 드래곤에 대한 공포를 이겨낸 인물이었다.[8] 그는 다른 테인들을 꾸짖고,[9] 베오울프를 돕기 위해 나아가[10] 격려의 말을 했다.[11]
위글라프는 방패가 불에 타도 물러서지 않았다.[12] 베오울프가 드래곤에게 두 번째 상처를 입혔지만, 너무 세게 쳐서 검이 부러졌다.[13] 이때 위글라프는 자신의 검으로 드래곤의 목을 찔러 불을 뿜지 못하게 했다.[14] 그의 손은 심하게 화상을 입었지만,[15] 이 공격 덕분에 베오울프는 드래곤을 죽일 수 있었다. 시인은 위글라프에 대해 "필요할 때 그렇게 해야 한다! 테인이여!"라고 칭찬한다.[16]
3. 2. 왕위 계승의 정당성
위글라프는 베오울프의 유언을 통해 왕위 계승의 정당성을 얻는다. 베오울프는 죽기 직전 위글라프에게 "백성의 필요를 지켜라"[18]라고 말하며, 이는 위글라프에게 왕위를 넘긴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또한 베오울프는 위글라프에게 자신의 반지, 투구, 갑옷을 주며[20] 그가 "웨그문딩 가문의 마지막"[21]이라고 말한다. 이는 혈통을 중시하는 당시 사회에서 위글라프가 왕위를 계승할 정당한 자격을 갖추었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위글라프의 왕위 계승은 단순한 혈통만으로 이루어진 것은 아니다. 그는 드래곤과의 전투에서 용맹함을 보여주었고, 베오울프가 위험에 처했을 때 그를 돕기 위해 주저하지 않았다.[10] 베오울프가 드래곤에게 치명상을 입자 다른 테인들은 모두 도망쳤지만, 위글라프만이 남아 베오울프를 도왔다.[8] 이러한 위글라프의 용기와 충성심은 그가 지도자로서의 자질을 갖추고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요소이다.
3. 3. 위글라프와 관련된 학설
위글라프와 관련된 학설은 다음과 같다.- 도피와 귀환: R. R. 루미안스키는 위글라프가 베오울프의 동료 중 유일하게 도망가지 않았다는 일반적인 해석과 달리, 실제로는 다른 비겁한 동료들과 함께 도망쳤다고 주장한다. 루미안스키에 따르면 위글라프는 뉘우침을 느껴 친족의 의무와 아버지 위오스탄의 용기를 기억하고 돌아온다. 그는 동료들을 설득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혼자 전투에 참여하여 베오울프를 돕는다.[26]
- 웨그문딩 가문과 베오울프의 관계: 노먼 E. 엘리아슨은 위글라프가 웨그문딩 가문의 일원이라는 점에 주목하며,[27] 베오울프가 위글라프에게 갑옷과 목걸이를 물려준 것을 왕족의 상징을 넘겨준 것으로 해석한다. 엘리아슨은 베오울프가 스웨덴계라는 주장을 "생각할 수 없거나 심지어 우스꽝스러운" 것이라고 비판하며, 베오울프의 누이가 위오스탄과 결혼하여 위글라프가 베오울프의 조카일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는 위글라프의 왕위 계승에 대한 당위성을 부여한다고 본다.[27]
- 알레고리: 리처드 노스는 머시아의 위글라프 왕이 베오른울프 왕을 기념하고 자신을 후계자로 내세우기 위해 베오울프 서사시를 의뢰했다는 가설을 제시한다. 그는 위글라프가 에덜만이었고 왕의 아들이 아니었기에 왕위 계승이 불확실했을 수 있다고 보았다.[28]
3. 3. 1. 도피와 귀환
R. R. 루미안스키는 위글라프가 베오울프의 동료 중 유일하게 도망가지 않았다는 일반적인 해석과는 달리, 실제로는 다른 비겁한 동료들과 함께 도망쳤다고 언급한다. 그는 비겁한 자들에게 말을 걸어야 했기 때문에 전투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야 했다. 이 해석에 따르면, 위글라프는 그 후 친족의 의무와 그의 아버지 위오스탄의 용기를 기억해 낸다. 이러한 기억은 뉘우침을 불러일으키고, 그는 동료들을 설득하려 하지만 실패한다. 결국 그는 혼자 전투로 돌아간다. 이후 그는 영웅적인 왕 앞에서 첫 전투를 치르는 젊은이로서 놀랍게도 베오울프를 격려하고, 마침내 용과 싸우기 위해 전투에 합류한다.[26]3. 3. 2. 웨그문딩 가문과 베오울프의 관계
노먼 E. 엘리아슨은 위글라프가 웨그문딩 가문의 일원이라는 점에 주목한다.[27] 그는 베오울프가 죽기 직전 위글라프에게 자신의 갑옷과 목걸이를 물려주는 행위가 "아마도 왕족의 상징"을 넘겨주는 것이며, 아들이 있었다면 아들에게 물려주었을 것이라고 해석한다. 하지만 시인은 이 중요한 순간에 두 사람의 관계를 명확하게 밝히지 않는다. 래리 벤슨과 같은 학자들은 베오울프와 히겔라크의 관계처럼 삼촌-조카 관계를 추정했지만, 엘리아슨은 베오울프가 웨그문딩 가문이라는 해석에 동의하지 않는다. 그는 베오울프가 스웨덴계라는 주장을 "생각할 수 없거나 심지어 우스꽝스러운" 것이라고 여긴다.[27]엘리아슨은 시인이 "게아트족으로서 베오울프는 오넬라에게 복수해야 했고, 웨그문딩으로서 그는 오넬라의 호의를 받을 자격이 있었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다"고 말한다. 엘리아슨은 베오울프의 누이가 웨그문딩 가문의 위오스탄과 결혼했고, 따라서 위글라프가 베오울프의 조카일 가능성을 제시한다.[27] 이러한 해석은 베오울프와 위글라프의 관계를 더욱 긴밀하게 만들고, 위글라프의 왕위 계승에 대한 당위성을 부여한다.
3. 3. 3. 알레고리
리처드 노스는 역사적 인물인 머시아의 위글라프 왕이 베오울프의 위글라프, 그리고 실제로는 시 전체를 베오른울프 왕을 기념하기 위해 의뢰했으며, 동시에 자신을 후계자로 내세웠다는 오래된 가설을 재검토한다.[28] 위글라프는 에덜만이었고 왕의 아들이 아니었기에 왕위 계승이 불확실했을 수 있다.[28] 그는 이름(베오른울프, 위글라프)이 시의 영웅들과 유사하다는 점을 언급하며, 위글라프의 기원은 스칸디나비아에서 찾을 수 없다고 주장한다.[28]3. 4. 이름의 어원
위글라프(Wiglaf)라는 이름은 고대 영어의 'wig'(싸움, 전투, 전쟁)와 'laf'(남겨진 것, 남은 자)라는 두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31] 이는 "힘의 상속자" 또는 "전투를 통해 완성된 자" 등으로 해석될 수 있다.[30]"laf"를 "남아있는 자, 살아남거나 견디는 자"로 해석할 수도 있다.[31]
4. 대중문화 속 위글라프
1981년 애니메이션 영화 《그렌델 그렌델 그렌델》에서 위글라프(어니 본이 목소리 연기)는 흐로드가르의 시종 중 한 명으로 묘사되며, 베오울프의 동료가 아닌 그렌델에게 살해당한다.[32][33]
2007년 영화 《베오울프》 (감독: 로버트 저메키스)에서 위글라프 역(브렌단 글리슨 분)은 비중이 더 커졌다. 그는 베오울프와 게아츠의 첫 만남부터 베오울프가 드래곤을 물리치고 죽을 때까지 영화에 등장한다. 이 영화는 위글라프를 조력자, 부관이자 서사시 영웅의 가장 친한 친구로 묘사한다.[34]
참조
[1]
웹사이트
Lexikon över urnordiska personnamn
http://www.sofi.se/i[...]
Swedish Institute for Language and Folklore
[2]
문서
Lines 2612-2615
[3]
문서
Lines 2620-2624
[4]
간행물
Sidelights on Teutonic History During the Migration Period
[5]
문서
Lines 2625b-2627
[6]
문서
Lines 2603-2604
[7]
문서
Lines 2585-2595
[8]
문서
Lines 2599-2600
[9]
문서
Lines 2631-2660
[10]
문서
Line 2661
[11]
문서
Lines 2663-2668
[12]
문서
Lines 2675-2677
[13]
문서
Lines 2677-2682
[14]
문서
Lines 2699-2702
[15]
문서
Lines 2697-2698
[16]
문서
Lines 2708-2709
[17]
문서
Lines 2752-2782
[18]
문서
Lines 2799-2800
[19]
문서
Lines 2802-2808
[20]
문서
Lines 2809-2812
[21]
문서
Lines 2813-2814
[22]
문서
Lines 2864-2891
[23]
문서
Line 2892
[24]
문서
Lines 3077-3109
[25]
문서
Lines 3120-3136
[26]
간행물
Wiglaf
1953-01
[27]
간행물
Beowulf, Wiglaf and the Wægmundings
1978
[28]
서적
The Origins of Beowulf: From Vergil to Wiglaf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9]
간행물
The Legacy of Wiglaf: Saving a Wounded Beowulf
http://uknowledge.uk[...]
1986
[30]
서적
Hermeneutics and Medieval Culture
https://books.google[...]
SUNY Press
1989
[31]
웹사이트
Wiglaf
https://www.behindth[...]
2017-10-05
[32]
웹사이트
Grendel Grendel Grendel: Voice Credits
https://voicechasers[...]
2020-12-11
[33]
웹사이트
Grendel Grendel Grendel
https://www.ozmovies[...]
2020-12-11
[34]
뉴스
Local hero
https://www.independ[...]
2007-11-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