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리엄 가우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윌리엄 가우지(1575–1653)는 잉글랜드의 청교도 설교자이자 작가였다. 그는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런던으로 이주하기 전 케임브리지에서 펠로우이자 강사로 활동했다. 1644년 웨스트민스터 신앙 고백 초안 위원회 의장, 1647년 웨스트민스터 총회 고문, 1647년 런던 지방 총회 의장을 역임했다. 가우지는 저서를 통해 가정 윤리에 대해 논하며, 간통에 대한 공정한 잣대를 제시하고 사랑에 기반한 결혼을 장려했다. 주요 저서로는 《가정의 의무에 관하여》, 《하나님의 전신 갑주》, 《하나님의 세 가지 화살: 역병, 기근, 칼》, 《히브리서 전체에 대한 주석》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53년 사망 - 로버트 필머
로버트 필머는 17세기 영국의 정치철학자로, 아담으로부터 시작된 가부장적 권위의 계승으로 왕권을 옹호하는 왕권신수설을 주장하여 당대 정치 논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653년 사망 - 메고히메
메고히메는 1579년 다테 마사무네와 결혼하여 갈등을 겪었지만 관계를 회복하고 자녀를 낳았으며, 교토에서 외교관 역할을 수행하고 불교에 귀의하여 요토쿠인이라는 법명을 받았다가 1653년에 사망했다. - 1573년 출생 - 도이 도시카쓰
도이 도시카쓰는 에도 막부 초기에 도쿠가와 이에야스, 히데타다, 이에미쓰 3대 쇼군을 섬기며 막부의 정치, 행정, 재정 등 여러 분야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막번 체제 확립과 외교, 통화 제도 개혁에 기여했으나, 후반에는 정치적 영향력이 약화된 인물이다. - 1573년 출생 - 시몬 마리우스
시몬 마리우스는 독일의 천문학자로, 갈릴레오 갈릴레이와 별개로 목성의 주요 위성들을 발견하고 이름을 붙였으며, 안드로메다 은하를 관측하는 등 업적을 남겼으나, 우주 구조에 대한 견해는 지동설을 지지하지 않았다. - 케임브리지 대학교 킹스 칼리지 동문 - 에릭 홉스봄
에릭 홉스봄은 영국 출신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자로, 《혁명의 시대》, 《자본의 시대》, 《제국의 시대》, 《극단의 시대》 등 저술을 통해 근대와 20세기를 분석했으며, 공산주의에 대한 옹호적 시각과 소련의 범죄에 대한 침묵 등의 비판을 받기도 한다. - 케임브리지 대학교 킹스 칼리지 동문 - 앨런 튜링
앨런 튜링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에니그마 암호 해독에 기여하고 컴퓨터 과학 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영국의 수학자, 컴퓨터 과학자이며, 동성애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은 후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윌리엄 가우지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 1575년 |
사망 | 1653년 12월 12일 |
국적 | 잉글랜드 |
직업 | 성직자, 저술가 |
교육 | |
학교 | 케임브리지 대학교 킹스 칼리지 |
종교 | |
종교적 소속 | 청교도 |
2. 생애
윌리엄 가우지는 초기 세대주의 계획을 제안한 인물 중 한 명으로 알려져 있다.[8] 그는 헨리 핀치 경이 저술한 《유대인의 소명》(The Calling of the Jewes영어)에 관심을 갖고 자신의 이름으로 출판했는데, 이 책의 내용이 당시 제임스 1세 국왕의 심기를 불편하게 만들어 1621년 투옥되기도 했다.[9]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그는 1575년 11월 6일 잉글랜드 미들섹스의 스트랫퍼드-레-보우에서 태어나 세례를 받았다.[1] 그는 펠스테드, 세인트 폴 학교, 이튼 칼리지, 그리고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킹스 칼리지에서 교육을 받았다.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1598년 문학사(B.A.) 학위를, 1601년 문학 석사(M.A.) 학위를 취득했다.[2][3][4]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펠로우와 강사로 활동하는 동안, 그는 전통적인 아리스토텔레스 논리학 대신 라미즘을 가르쳐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5]
2. 2. 케임브리지 대학교 및 런던에서의 활동
그는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펠로우이자 강사로 활동했다. 당시 그는 전통적인 아리스토텔레스 철학 대신 라미즘을 가르치며 옹호했는데, 이로 인해 큰 논란이 일어 거의 폭동에 가까운 상황까지 이르렀다고 전해진다.[5] 이 일화는 새뮤얼 클라크의 기록을 통해 전해지며, 윌버 새뮤얼 하웰의 저서 《1500-1700년 잉글랜드의 논리학과 수사학》(1956)에 소개되었으나 정확한 시기는 알려지지 않았다.[6]이후 런던으로 이주하여 블랙프라이어스에서 활동했다. 처음에는 스티븐 에거튼(c.1554-1622)의 조교로 일하다가, 나중에는 그의 강사직을 이어받았다.[2][7]
2. 3. 웨스트민스터 총회
70세에 가까운 고령에도 불구하고 웨스트민스터 총회에 정기적으로 참석했다. 1644년에는 웨스트민스터 신앙 고백 초안 작성을 위한 위원회의 의장으로 임명되었다. 이 위원회의 다른 초기 구성원으로는 존 애로스미스, 코넬리우스 버지스, 제레마이아 버로스, 토마스 개테이커, 토마스 굿윈, 조슈아 호일, 토마스 템플, 리처드 바인스 등이 있었다.[10] 1647년 5월 3일에는 런던 지방 총회의 의장으로 임명되었고,[12] 같은 해 11월 26일에는 웨스트민스터 총회의 고문으로 임명되었다.[1][11]2. 4. 가족
가우지는 17세기 초, 가족들의 권유로 엘리자베스 칼턴(Elizabeth Calton)과 사실상의 중매결혼을 했다.[1][19][20] 엘리자베스는 에식스 주의 목사 존 허클(John Huckle)의 아내 손에 자랐으며, 사후에 좋은 평가를 받았다.[21] 가우지 부부는 총 13명의 자녀를 두었으나, 안타깝게도 아내 엘리자베스는 막내 아이를 낳은 직후 세상을 떠났다.[1]가우지는 1622년에 ''Of Domesticall Duties|eng''(가정의 의무에 관하여)라는 책을 저술했는데, 이 책은 당시 가족 생활에 대한 그의 생각을 자세히 담아 큰 인기를 얻었다.[13][14] 그는 이 책에서 아내는 자녀보다는 높은 위치에 있지만 남편보다는 아래에 있으며, 아버지의 역할은 "집안의 왕"과 같다고 보았다.[15] 이 책은 당시 중요한 행실 서적 중 하나로 여겨져 여러 차례 다시 출판되었다.[16][17] 한편, 가우지는 간통에 대해 남녀 모두에게 동일하게 잘못된 행위라고 주장했으며, 사랑에 기반한 결혼을 권장하는 등 당시 사회 기준으로 볼 때 진보적인 견해를 보이기도 했다.[18]
3. 사상
윌리엄 가우지의 사상은 그의 저술 활동을 통해 폭넓게 나타난다. 그는 가정 생활의 규범과 의무에 대해 상세히 논했으며,[13][14] 간통과 같은 문제에 대한 윤리적 입장을 밝혔다.[18] 또한 신학적으로는 당대 청교도 신앙의 특징을 반영하며,[22] 역병과 같은 사회적 재난이나 전쟁에 대한 종교적 해석을 제시했다.[23][24][25][26] 그의 신학적 깊이는 방대한 성경 주석 작업에서도 확인된다.[27]
3. 1. 가정 윤리

윌리엄 가우지는 1622년에 ''가정의 의무에 관하여''(Of Domesticall Dutieseng)라는 책을 저술했다. 이 책은 당시 가족 생활에 대해 상세하게 다루어 큰 인기를 얻었다.[13][14] 가우지는 이 책에서 가정 내 위계질서를 강조하며 아내는 자녀보다는 위에 있지만 남편보다는 아래에 있다고 보았다. 또한 아버지의 역할은 마치 "자신의 집에서 왕"과 같다고 주장했다.[15] 그는 간통에 대해서는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똑같이 나쁜 행위라고 여겼으며, 사랑에 기반한 결혼을 장려했다.[18] 이 책은 당시 중요한 행실 서적 중 하나로 평가받았고, 이후 여러 차례 다시 출판되었다.[16][17]
가우지 본인은 13명의 자녀를 두었다. 그의 아내 엘리자베스(Elizabeth, 결혼 전 성씨는 칼턴(Calton))는 막내 자녀를 낳은 직후 세상을 떠났다. 그들의 결혼은 17세기 초에 흔했던 사실상의 중매결혼이었으며, 가우지는 가족들의 압박 속에서 결혼한 것으로 전해진다.[1][19][20] 엘리자베스는 에식스 주의 목사였던 존 허클(John Huckle)의 아내 손에서 자랐으며, 사후에 칭송을 받았다.[21]
3. 2. 신학
앤 톰슨에 따르면, 《하나님의 전신갑주》(1616)는 윌리엄 퍼킨스와 새뮤얼 워드로 대표되는 이전 세대의 "초월적 신앙"에서 다음 세대 청교도 작가들의 "내재적 신앙"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저작으로 평가받는다.[22]그는 《하나님의 세 가지 화살: 역병, 기근, 칼》(1625년 및 1631년 출판)에서 당시 사회에 퍼져 있던, 역병이 주로 가난한 사람들에게 피해를 준다는 통념을 언급했다. 그는 가난한 사람들이나 치안판사, 노인들은 감염 지역에서 도망치는 것이 허용되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지만, 다른 사람들의 경우에는 피난이 적절할 수 있다고 보았다.[23][24] 또한 당시 다른 개신교 신학자들과 마찬가지로 성전의 개념을 지지했다.[25][26]
그의 대표적인 저작 중 하나인 《히브리서 전체에 대한 주석》은 1655년 총 3권으로 출판되었다. 이 책은 방대한 분량에 상세한 주석 내용과 설교 개요를 담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27] 그의 장남인 토마스 가우지(1605년경-1681년)가 이 책의 인쇄 과정을 도왔다.[28] 이 주석서는 후대에 가치를 인정받아 1866년 에든버러의 제임스 니콜 출판사에서 재인쇄되었다.
4. 저서
윌리엄 가우지의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 ''하나님의 전신 갑주'' (1616): 앤 톰슨에 따르면, 이 책은 윌리엄 퍼킨스와 새뮤얼 워드의 "초월적 신앙"에서 다음 세대 청교도 작가들의 "내재적 신앙"으로의 전환을 보여주는 저작으로 평가받는다.[22]
- ''A Short Catechism, Wherein Are Briefly Laid Down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Christian Religion'' (1621)
- ''가정의 의무에 관하여'' (1622): 당시 가족 생활에 대해 논의한 인기 있고 상세한 저서였다.[13][14] 이 책에서 가우지는 아내는 자녀보다 위에 있지만 남편보다는 아래에 있으며, 아버지의 역할은 "자신의 집에서 왕"과 같다고 주장했다.[15] 이는 당시 중요한 행실 서적으로 여겨져 여러 판을 거듭 출판되었다.[16][17] 그는 간통을 남녀 모두에게 똑같이 나쁜 행위로 보았으며, 사랑에 기반한 결혼을 장려했다.[18]
- ''하나님의 세 가지 화살: 역병, 기근, 칼'' (1625년 및 1631년): 이 책에서 그는 역병이 주로 가난한 사람들에게 피해를 준다는 당시의 인식을 언급하며, 이들이 감염 지역에서 벗어나는 것을 허용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치안 판사나 노인도 마찬가지였으나, 다른 사람들은 피난이 가능하다고 보았다.[23][24] 또한 당시 다른 개신교 신학자들처럼 성전의 개념을 지지하기도 했다.[25][26]
- ''하나님께 나아가는 길: 또는 완전한 기도 방식, 주기도문 설명'' (1626)
- ''기사도의 존엄성'' (1626): 런던 포병대에 대한 설교 내용을 담고 있다.
- ''짧은 문답'' (1635)
- ''배교로부터의 회복'' (1639)
- ''안식일 성화'' (1641)
- ''성도의 지지'' (1642): 의회 금식 설교 내용을 담고 있다.
- ''신의 섭리의 진전'' (1645)
- ''히브리서 전체에 대한 주석'' (1655): 총 3권으로 출판된 방대한 저작으로, 상세한 내용과 설교 개요를 담고 있다.[27] 그의 장남인 토마스 가우지가 출판을 도왔으며,[28] 1866년 에든버러의 제임스 니콜에 의해 재인쇄되었다.
5. 가족 관계
그의 삼촌 5명은 유명한 청교도인이었다. 그의 어머니의 자매는 로렌스 채더턴과 윌리엄 휘태커와 결혼했고, 너새니얼, 새뮤얼 및 에제키엘 컬버웰은 그의 어머니의 형제였다.[1] 그의 사촌 메리 컬버웰은 에제키엘 치버와 결혼했다.
참조
[1]
웹사이트
Stratford-le-Bow | British History Online
http://www.british-h[...]
[2]
웹사이트
William Gouge
https://web.archive.[...]
2021-08-23
[3]
서적
Puritans and Puritanism in Europe and America: A Comprehensive Encyclopedia
2006
[4]
문서
Slightly different dates are given in {{acad|id=GG595W|name=Googe, William}}
[5]
논문
A Cambridge Prevarication in the Earlier Seventeenth Century
1955
[6]
웹사이트
Logic and Rhetoric in England 1500 1700
https://archive.org/[...]
Russell & Russell
[7]
서적
Puritans and Puritanism in Europe and America: A Comprehensive Encyclopedia
2006
[8]
간행물
A Bibliography of Dispensationalism: Part 4
https://www.galaxie.[...]
2021-08-23
[9]
문서
Concise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10]
웹사이트
Philip Schaff: Creeds of Christendom, with a History and Critical notes. Volume I. The History of Creeds. -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http://www.ccel.org/[...]
[11]
문서
Minutes of the Westminster Assembly - 26 November 1647
https://archive.org/[...]
[12]
뉴스
'Historical Collections: Parliamentary proceedings, May 1647'
http://www.british-h[...]
British History Online
2016-04-06
[13]
서적
The Protestant Idea of Marriage
2006
[14]
서적
Extracts in Life Cycles in England, 1560-1720: Cradle to Grave
1996
[15]
서적
Of Domesticall Duties
1622
[16]
웹사이트
Renaissance Household
https://web.archive.[...]
2021-08-23
[17]
웹사이트
Essay: Marriage in Early Modern England: Page 1
http://www.elizabeth[...]
[18]
서적
The World Turned Upside Down
[19]
논문
Sixteenth and Seventeenth Century Child-Rearing: A Matter of Discipline
1989
[20]
서적
Visionary Women: Ecstatic Prophecy in Seventeenth-Century England
[21]
서적
Women in Early Modern England, 1500-1700
1998
[22]
서적
The Art of Suffering and the Impact of Seventeenth-Century Anti-Providential Thought
2003
[23]
서적
Liberty Against the Law
1996
[24]
서적
Religion and the Decline of Magic
1973
[25]
서적
The Later Crusades, 1274-1580: From Lyons to Alcazar
1992
[26]
서적
Catholic and Reformed: The Roman and Protestant Churches in English Protestant Thought, 1600-1640
2002
[27]
서적
Endurance in Suffering: Hebrews 12:1-13 in Its Rhetorical, Religious, and Philosophical Context
1998
[28]
웹사이트
GOUGE, THOMAS (1605? - 1681), Nonconformist divine and philanthropist
2021-08-23
[29]
서적
Meet the Puritans : with a guide to modern reprints
https://www.worldcat[...]
Reformation Heritage Books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