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계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계원은 북한의 황제이다. 세조 유민의 외손으로, 예종 유균의 양자로 입적되었다. 968년, 예종 사후 이부형 유계은이 즉위하자 태원윤에 임명되었으나, 유계은이 시해되자 곽무위에 의해 황제로 추대되었다. 즉위 후 요나라와의 관계 개선을 시도했지만, 잔혹한 성격으로 국내를 혼란에 빠뜨렸다. 979년, 송나라의 침공으로 북한이 멸망하자 송에 항복하여 우위상장군에 임명되었고, 팽성군공에 봉해졌다. 992년에 사망하여 중서령에 추증되고 팽성군왕으로 추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대 십국 시대 사람 - 북송 태종
    북송 태종은 형인 송 태조 사후 황위에 올라 오대십국을 통일하고 문치주의를 펼쳤으나 요나라와의 전쟁 실패와 무리한 군사 원정으로 비판받은 북송의 제2대 황제이다.
  • 992년 사망 - 헌정왕후
    헌정왕후는 태조의 손녀이자 성종의 동생으로 경종의 비가 되었으나 사별 후 숙부 안종과의 사이에서 현종을 낳았으며, 현종 즉위 후 효숙왕태후로 추존된 고려의 왕족이다.
  • 992년 사망 - 미에슈코 1세
    미에슈코 1세는 963년 폴란드 공에 즉위하여 폴란드 국가를 건설하고 가톨릭으로 개종했으며, 포메라니아 등을 정복하여 폴란드 왕국의 기반을 다진 인물이다.
유계원
기본 정보
칭호영무황제 (英武皇帝)
묘호없음
시호영무황제
칸호없음
연호천회 (天會): 968년 - 973년
광운 (廣運): 974년 - 979년
풀 네임성: 유 (劉)
이름: 계원 (繼元)
본래 성: 하 (何)
본래 이름: 계원 (繼元)
생애
출생미상
사망992년
아버지하씨 (何氏)
어머니유씨 (劉氏), 유숭의 딸
재위
즉위968년
퇴위979년
이전 통치자유계은
다음 통치자북한 멸망
기타
가문출생 시: 하씨 (何氏)
입양 후: 유씨 (劉氏)
왕조북한 (십국)

2. 생애

유계원은 세조 유민의 딸에게서 태어났으며, 어머니는 설소에게 시집가 소주 유계은을 낳았으나 설소가 유민의 형인 유지원(후한 고조)에게 자결 명령을 받았다. 이후 하씨(이름 불명)에게 시집가 유계원을 낳았다. 부모가 모두 사망한 후 유계원은 예종 유균의 양자가 되었다.[1]

974년 광운으로 개원하고, 이듬해 요나라에게서 대한영무황제로 책봉되었다.[1] 송에 항복한 후에는 우위상장군, 팽성군공, 팽성공, 보강군 절도사 등에 임명되었다.[1] 992년 (순화 2년) 사망하여 중서령에 추증되고 팽성군왕으로 추봉되었다.[1]

2. 1. 출생과 즉위

생모는 세조 유민의 딸로, 설소에게 시집가 소주 유계은을 낳았지만, 설소가 유민의 형인 유지원(후한의 고조)에 의해 자결 명령을 받았다. 이후 하씨(이름은 불명)에게 시집가 계원을 낳았다. 부모가 모두 사망하자 계원은 예종 유균에게 양자로 입적되었다.[1]

천회 12년(968년)에 예종이 붕어하고 동모이부형인 소주가 제위를 계승하자, 계원은 태원윤에 임명되었다. 같은 해, 소주가 술자리에서 공급관인 후패영에게 시해되자, 사공 곽무위에 의해 황제로 추대되었다. 즉위 후에는 요나라와의 긴장 관계 개선에 힘썼으나, 잔혹한 성격으로 양모 곽황후 및 세조의 아들을 살해하고, 반항하는 신하도 일족을 멸하는 등 국내는 크게 혼란스러웠다.[1]

2. 2. 통치

천회 12년(968년) 예종이 붕어하고 동모이부형인 소주가 제위를 계승하자, 계원은 태원윤에 임명되었다. 같은 해, 소주가 술자리에서 공급관인 후패영에게 시해되자, 사공 곽무위에 의해 황제로 추대되었다.[1] 즉위 후에는 요나라와의 긴장 관계 개선에 힘썼으나, 잔혹한 성격으로 양모 곽황후 및 세조의 아들을 살해하고, 반항하는 신하도 일족을 멸하는 등 국내는 크게 혼란스러웠다.[1]

974년 광운으로 개원하고, 이듬해 요나라에 의해 대한영무황제로 책봉되었다.[1]

광운 6년, 화남 전토를 지배하에 둔 이 북벌을 시작하면서 태종이 직접 친정하였다.[1] 요나라가 북한에 원군을 보냈으나 송군 앞에서 패퇴하고, 계원은 송에 투항하여 북한은 멸망했다.[1]

2. 3. 북한 멸망과 최후

979년, 화남 전역을 장악한 이 북벌을 시작하면서 송 태종이 직접 군대를 이끌고 왔다. 요나라가 북한에 원군을 보냈으나 송군에 패했고, 유계원은 송에 항복하여 북한은 멸망했다.[1]

송에 항복한 후 유계원은 우위상장군에 임명되고 팽성군공에 봉해졌다. 981년 (태평흥국 6년)에는 팽성공에, 986년 (옹희 3년)에는 보강군 절도사에 임명되었다.[1]

992년 (순화 2년)에 유계원이 사망하자, 중서령이 추증되고 팽성군왕으로 추봉되었다.[1]

3. 가족

구분이름
아버지하씨(何氏)
어머니유씨(劉氏), 유민의 딸
부인단황후(段皇后) 단씨(段氏)
마황후(馬皇后) 마씨(馬氏)
장남유수절(劉守節)
차남유속(劉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