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령얼굴박쥐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령얼굴박쥐과는 박쥐목에 속하는 과의 하나로, 2개 속에 13종을 포함하고 있다. 유령얼굴박쥐속에는 앤틸리스유령얼굴박쥐, 자이언트유령얼굴박쥐, 유령얼굴박쥐가 있으며, 벌거숭이등박쥐속에는 맥클레이콧수염박쥐, 바그너콧수염박쥐, 검은콧수염박쥐, 파라과나콧수염박쥐, 콧수염박쥐, 프리스티네수염박쥐, 벌거숭이등박쥐, 큰벌거숭이등박쥐가 속한다. 좌우의 피막이 등 쪽에서 연결되는 특징을 갖는 종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령얼굴박쥐과 - 벌거숭이등박쥐속
    벌거숭이등박쥐속(Pteronotus)은 콧수염박쥐과에 속하며, 맥클레이콧수염박쥐 등 현존하는 여러 종과 멸종된 프리스티네수염박쥐를 포함한다.
  • 유령얼굴박쥐과 - 유령얼굴박쥐속
    유령얼굴박쥐속은 주걱박쥐과에 속하며 앤틸리스유령얼굴박쥐, 유령얼굴박쥐의 현존하는 2종과 자이언트유령얼굴박쥐의 멸종된 1종을 포함하는 박쥐 속이다.
  • 생물 계통도에 관한 - 눈표범
    눈표범은 고양이과 동물로 중앙아시아와 남아시아의 고산 지대에 서식하며, 길고 두꺼운 털, 큰 발, 긴 꼬리가 특징이며, 유전자 분석 결과 호랑이와 가장 가까운 종으로 밝혀졌으며, 밀렵과 서식지 파괴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여 여러 국가에서 보호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생물 계통도에 관한 - 벵골호랑이
    벵골호랑이는 인도아대륙에서 서식하는 호랑이 아종으로, 노란색~주황색 털과 검은 줄무늬를 가지며, 멧돼지, 사슴 등 우제류를 먹이로 하며,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제한적인 지역에서 서식한다.
  • 생물 분류에 관한 - 다람쥐
    다람쥐는 등 쪽에 줄무늬가 있는 다람쥐속 설치류로, 홀로 생활하며 겨울잠을 자고 씨앗, 견과류, 곤충 등을 먹으며 맹금류 등의 먹이가 되고, 특히 한반도 서식 다람쥐는 새로운 종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있으며, 유럽에서는 침입 외래종으로 지정되기도 하고 라임병을 옮길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한 동물이다.
  • 생물 분류에 관한 - 황금랑구르
    황금랑구르는 인도 아삼 주와 부탄에 분포하며 크림색에서 황금색 털을 가진 멸종위기종 영장류로, 서식지 파괴로 개체수가 감소하여 보호받고 있다.
유령얼굴박쥐과 - [생물]에 관한 문서
분류 정보
학명Mormoopidae
명명자Saussure, 1860
모식속Mormoops
모식속 명명자Leach, 1821
하위 분류
하위 속Mormoops
Pteronotus
Koopmanycteris
생물학적 특징
이빨 구조2.1.2.32.1.3.3
형태 정보
안틸레스유령얼굴박쥐
안틸레스유령얼굴박쥐 (Mormoops blainvillii)의 얼굴, 에른스트 헤켈 (1904)
분포 및 생태
화석 범위올리고세 ~ 현재

2. 하위 분류

유령얼굴박쥐과는 2개 에 약 13으로 분류된다.

2. 1. 유령얼굴박쥐속 (''Mormoops'')

2. 2. 벌거숭이등박쥐속 (''Pteronotus'')

''Pteronotus'' (Gray, 1838)
아속학명국명명명자연도
Chilonycteris (Gray, 1839)Pteronotus macleayii맥클레이콧수염박쥐Gray1839
Pteronotus personatus바그너콧수염박쥐Wagner1843
Pteronotus quadridens검은콧수염박쥐Gundlach1860
Phyllodia (Gray, 1843)Pteronotus paraguanensis파라과나콧수염박쥐Linares & Ojasti1974
Pteronotus parnellii파넬콧수염박쥐 (또는 콧수염박쥐, 커먼콧수염박쥐)Gray1843
Pteronotus pristinus† 프리스티네수염박쥐[2]Silva-Taboada1974
Pteronotus (Gray, 1838)Pteronotus davyi벌거숭이등박쥐Gray1838
Pteronotus gymnonotus큰벌거숭이등박쥐Natterer1843


3. 계통 분류

다음은 2002년 연구에 따른 박쥐목의 계통 분류이다.[4] 박쥐목 내에서 유령얼굴박쥐과는 주걱박쥐과와 가장 가까운 관계(자매군)를 형성한다. 이 두 과는 불독박쥐과와 함께 하나의 분기군을 이루며, 이 그룹은 다시 짧은꼬리박쥐과와 자매군 관계에 있다. 더 상위 분류 단계에서는 흡반발박쥐과, 원반날개박쥐류, 민발톱박쥐과, 깔때기귀박쥐과 등으로 구성된 그룹 및 큰귀박쥐과, 애기박쥐과 등 다른 작은박쥐류 그룹들과 유연 관계를 가진다. 전체 박쥐목은 크게 큰박쥐과와 나머지 작은박쥐류로 나뉜다.

4. 특징

좌우의 비막이 등 쪽에서 연결되는 종이 있다.[3]

참조

[1] 서적 The Encyclopedia of Mammals https://archive.org/[...] Facts on File
[2] 저널 世界哺乳類標準和名目録 https://doi.org/10.1[...] 日本哺乳類学会
[3] 서적 世界博物学大図鑑 東京書籍
[4] 저널 A phylogenetic supertree of the bats (Mammalia: Chiroptera) http://www.molekular[...] 2002-0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