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진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진위는 홍콩의 영화 감독, 각본가, 제작자이며, 다양한 장르의 영화를 연출하며 홍콩 영화의 스펙트럼을 넓히는 데 기여했다. 그는 《도성》, 《서유기》 시리즈 등에서 주성치와 협업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왕가위 감독의 작품에도 제작자로 참여했다. 유진위는 코미디, 액션, 판타지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통해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지만, 일부에서는 그의 영화가 상업적이며 작품성이 떨어진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영화 감독 - 원장
원장은 2007년 드라마 데뷔 후 여러 작품을 통해 인지도를 쌓고 영화와 드라마 주연, 연출 데뷔 및 수상 등 다방면에서 활약하며 중국 연예계에서 입지를 다진 배우이자 감독이다. - 중국의 영화 감독 - 에드워드 양
에드워드 양은 1947년 상하이에서 태어나 대만 뉴웨이브를 대표하는 영화감독으로, 도시 타이완의 현실과 인간관계를 탐구하는 작품들을 주로 연출했으며, 칸 영화제 감독상 등을 수상하고 2007년 사망했다. - 홍콩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 - 서소강
서소강은 1970년대부터 2020년대까지 배우로 활동했으며, 여러 차례 결혼과 이혼을 겪은 후 2024년 식도암으로 사망했고, 그의 부인 맹우훤 또한 장례를 준비하던 중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 홍콩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 - 양가휘
홍콩 출신 배우이자 감독인 양가휘는 광고 모델로 데뷔하여 영화 《황궁화재》를 통해 배우 활동을 시작, 《영웅본색 2》, 《연인》 등 다양한 작품에 출연하며 명성을 얻었으며, 2012년 홍콩 영화상 남우주연상을 수상했고, 가수 데뷔 및 영화 감독 데뷔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는 홍콩 영화계의 대표적인 인물이다. - 홍콩의 남자 영화 배우 - 성룡
성룡은 홍콩 출신의 배우, 무술가, 영화감독 등으로, 코미디와 무술을 결합한 영화로 아시아에서 스타덤에 올랐으며, 할리우드 진출 후 세계적인 배우로 자리매김했다. - 홍콩의 남자 영화 배우 - 견자단
견자단은 홍콩 출신의 배우이자 액션 감독으로, 1980년대 영화계에 데뷔하여 《엽문》 시리즈 등 다수의 작품에 출연했으며 액션 감독으로도 활동하며 여러 액션 감독상을 수상했다.
유진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본명 | 류전웨이 (劉鎮偉) |
다른 이름 | 기안 (技安) 류위밍 (劉宇鳴) 리다웨이 (黎大煒) 천산즈 (陳善之) |
영어 이름 | Jeffrey Lau (제프리 라우) |
출생일 | 1955년 2월 5일 |
출생지 | 영국령 홍콩 청차우섬 |
직업 | 영화 감독 각본가 영화 프로듀서 배우 |
활동 기간 | 1981년 - 현재 |
수상 경력 | |
홍콩 영화 금상장 | 최우수 작품상 2005년 쿵푸 허슬 |
홍콩 영화 평론가 협회상 | 최우수 각본상 1996년 서유기 - 월광보합 최우수 작품상 2002년 천하무쌍 |
2. 감독 작품
유진위 감독의 작품들은 다음과 같이 연대순으로 정리할 수 있다.
연도 | 제목 | 비고 |
---|---|---|
1981 | 흉방 | |
1982 | 유랑자 | |
1982 | 나의 연인, 나의 여신 | |
1982 | 쿨리 킬러 | 살출서영반 |
1983 | 혈중혈 | |
1984 | 황화 | |
1984 | 마후포 | |
1984 | 실혼노두 | |
1985 | 홍콩 부처 | |
1986 | 핑크 부대 작전 | |
1987 | 귀타귀 | |
1987 | 동방삼협 | |
1987 | 플래밍 브라더스 | |
1987 | 핑크 부대 작전 2 | |
1988 | 캐리 온 호텔 | |
1988 | 귀타귀 2 | |
1988 | 뇌룡 | |
1989 | 선더 드래곤 | 유맹차파 (별명: 자웅쌍랄) |
1990 | 상심귀 | 망부성룡 |
1991 | 지존무상 2: 영패천하 | |
1991 | 정고자 | |
1991 | 정무문 1991 | 주성치 - 신정무문 |
1991 | 생사결 | |
1991 | 영웅본색 4 | |
1991 | 지재출위 | |
1992 | 흑장미 | 용묘소수 |
1993 | 매괴지전 | |
1993 | 백발마녀전 | |
1993 | 매괴매괴아애니 | |
1994 | 동사서독 | |
1994 | 보도 | |
1994 | 애정말살 | |
1994 | 중경삼림 | |
1995 | 흑협 | |
1995 | 타락천사 | |
1996 | 마작비룡 | |
1997 | 흑장미 2 | |
1998 | 천애해각 | |
2002 | 클로저 | 석양천사 |
2004 | 쿵푸 허슬 | |
2005 | 대화서유지월광보합 | |
2009 | 강철인간 | |
2010 | 수어 | |
2011 | 동성서취 2011 | |
2014 | 흑화 | |
2014 | 수오위 | |
2016 | 서유기 3: 멸요편 | 대화서유 3 |
2017 | 소커 킬러 | |
2018 | 쿵푸연맹 | |
개봉 대기 | 뱀파이어 캅 | 맹귀차관 (1987년, 대만 번역: 쾌성적두, The Haunted Cop Shop) |
개봉 대기 | 뱀파이어 캅 2 | 맹귀학당 (1988년, 대만 번역: 좡구이특훈반, The Haunted Cop Shop 2) |
개봉 대기 | 금장대주점 | (1988년, 대만 번역: 대반점, Carry on Hotel) |
개봉 대기 | 기동녀전사 허리케인 캅 | 패왕녀복성 (1988년, Operation Pink Squad) |
개봉 대기 | 차이니스 고스트 ~ 홍콩의 환 | 맹귀대하 (1989년, 대만 번역: 쾌성적두 2지 맹귀대하, Operation Pink Squad 2) |
개봉 대기 | 고드 갬블러/도성외전 | 도성 (1990년, All for the Winner) |
개봉 대기 | 오컬트 블루스 | 시가중지 (1990년, Mortuary Blues) |
개봉 대기 | 고드 갬블러/리턴즈 | 도패 (1991년, The Top Bet) |
개봉 대기 | 유덕화의 신조협려 | 구일신조협려 (1991년, 별명: 여대위) |
개봉 대기 | 구이신조협려 | (1992년) (별명: 여대위) |
개봉 대기 | 흑장미 VS 흑장미 | 92 흑장미대흑장미 (1992년, 92 Legendary La Rose Noire) (각본 별명: 진선지) |
개봉 대기 | 대영웅 | 사조영웅전지동성서취 (1993년, Dong Cheng Xi Jiu) |
개봉 대기 | 유덕화의 스타 전설 | 천장지구 (1993년, Days of Tomorrow) (별명: 류위밍) |
개봉 대기 | 유덕화/천여지 | 천여지 (1994년) |
개봉 대기 | 1000의 순간 | 도시정연 (1994년, 대만 번역: 열혈남아지반역소자, Love and the City) |
개봉 대기 | 풀 블러드 | 화기소림 (1994년, 대만 번역: 영웅회소림, Treasure Hunt) |
개봉 대기 | 차이니스 오디세이 part1 월광의 사랑 | 서유기제일백령일회지월광보합 (1995년, 륙번역: 대화서유지월광보합; 대만 번역: 제천대성동유기, A Chinese Odyssey Part One - Pandora's Box) |
개봉 대기 | 차이니스 오디세이 part2 영원한 사랑 | 서유기대결국지선려기연 (1995년, 륙번역: 대화서유지대성취친; 대만 번역: 제천대성서유기, A Chinese Odyssey Part Two - Cinderella) |
개봉 대기 | 주성치의 고스트 버스터 | 회혼야 (1995년, 대만 번역: 정귀전문가, Out of the Dark) |
개봉 대기 | 흑장미지의결금란 | (1997년, Black Rose II) |
개봉 대기 | 무한부활 | (2002년, Second Time Around) |
개봉 대기 | 천하무쌍 | (2002년, A Chinese Odyssey 2002) |
개봉 대기 | 서유기 리로디드 | 정광대성 (2005년, A Chinese Tall Story) |
개봉 대기 | 쿵푸 사이보그 | 기기협 (2009년, Kung Fu cyborg: Metallic Attraction) |
개봉 대기 | 월광보합 | (2010년, Just Another Pandora's Box, 『적벽대전』의 패러디 영화) |
개봉 대기 | 물도 떨어지는 미녀 출수부용 | (2010년, The Fantastic Water Babes)[3]) |
개봉 대기 | 동성서취2011 | (2011년, East Meet West 2011) |
개봉 대기 | 대화천선 | (2014년, Just Another Margin) |
개봉 대기 | 완미가처168 | (2014년, Lock ME Up Tie Him Down) |
개봉 대기 | 대화서유3 | (2016년, A Chinese Dyssey:Part Three) |
개봉 대기 | 쿵푸 리그 | 功夫联盟 (2018년, Kung Fu League) |
개봉 대기 | 대뇌동해 | |
개봉 대기 | 축구 | Kick ball |
개봉 대기 | 지금 당장 껴안고 싶어 | 왕가위 As Tears Go By |
개봉 대기 | 만화위룡 | (대만 번역: 마등무성) Fist of Jury 1991 2 |
개봉 대기 | 격투비룡 방세옥 | 방세옥 (대만 번역: 쿵후황제 방세옥) Fong Sai Yuk (각본가 명의: 기안) |
개봉 대기 | 전광비룡 방세옥 2 | 방세옥속집 (대만 번역: 방세옥 2만부막적) Fong Sai Yuk 2 (각본가 명의: 기안) |
개봉 대기 | 1/2차 동침 | (대만 번역: 대화정인) Thanks for Your Love (각본가 명의: 기안) |
개봉 대기 | 암흑가 젊은 영웅전설 | 마영정 Hero (각본가 명의: 기안) |
개봉 대기 | 초시공요애 | Timeless Romance |
2. 1. 1980년대
연도 | 제목 | 비고 |
---|---|---|
1986 | 홍콩 여복성 | |
1987 | 음양의 결투 : 맹귀차관 | 猛鬼差館|맹귀차관중국어 |
1987 | 홍콩 여복성 2 : 맹귀대하 | |
1988 | 음양의 결투 2 : 맹귀학당 | 猛鬼學堂|맹귀학당중국어 |
1988 | 금장대주점 | |
1989 | 자웅쌍혈 |
2. 2. 1990년대
연도 | 제목 | ||||||
---|---|---|---|---|---|---|---|
1990 | 도성 | 시가중지 | 상심귀 | ||||
1991 | 도패 | 지존무상 2: 영패천하 | 정고자 | 정무문 1991 | 생사결 | 영웅본색 4 | 지재출위 |
1992 | 흑장미 | 용묘소수 | |||||
1993 | 매괴지전 | 동성서취 | 백발마녀전 | 매괴매괴아애니 | |||
1994 | 서유기 : 월광보합 | 동사서독 | 보도 | 애정말살 | 서유기 : 선리기연 | 중경삼림 | 화기소림 |
1995 | 홍콩 레옹 | 흑협 | 타락천사 | ||||
1996 | 비룡 | 마작비룡 | |||||
1997 | 블랙 로즈 | 흑장미 2 | |||||
1998 | 천애해각 |
2. 3. 2000년대 이후
연도 | 제목 | 비고 |
---|---|---|
2001 | 무한부활 | 각본가 명의: 기안 |
2001 | 천하무쌍 | 각본가 명의: 기안 |
2005 | 삼장법사의 모험 | 각본가 명의: 기안 |
2009 | 기기협 | 각본가 명의: 기안 |
2010 | 미션! 수영의 여왕 | 각본가 명의: 기안 |
2010 | 월광보합 | 각본가 명의: 기안 |
2011 | 동성서취 2011 | 각본가 명의: 기안 |
2014 | 완벽가처 168 | 각본가 명의: 기안 |
2016 | 대화서유 3 | 각본가 명의: 기안 |
3. 각본
연도 제목 비고 2010 월광보합 2010 수어 2011 동성서취 2011 2014 흑화 2014 수오위 2016 서유기 3: 멸요편 2016 대화서유 3 2017 소커 킬러 2018 쿵푸연맹
3. 1. 1980년대
연도 | 제목 | 비고 |
---|---|---|
1982 | 유랑자 | |
1982 | 나의 연인, 나의 여신 | |
1982 | 쿨리 킬러 | |
1984 | 황화 | |
1984 | 마후포 (馬後砲) | 코미디 |
1985 | 홍콩 부처 | |
1986 | 핑크 부대 작전 | |
1987 | 귀타귀 | |
1987 | 동방삼협 | |
1987 | 플래밍 브라더스 | |
1987 | 핑크 부대 작전 2 | |
1987 | 뱀파이어 캅 맹귀차관 (猛鬼差館) | 대만 방영명: 쾌성척두 (魁星踢斗) |
1988 | 캐리 온 호텔 | |
1988 | 귀타귀 2 | |
1988 | 뱀파이어 캅 2 맹귀학당 (猛鬼學堂) | 대만 방영명: 쥐아귀특훈반 (抓鬼特訓班) |
1988 | 열혈남아 | |
1989 | 뇌룡 | |
1989 | 선더 드래곤 류망차파 (流氓差婆) | 별칭: 자웅쌍랄 (雌雄雙辣); 대만 방영명: 류망경화 (流氓警花) |
3. 2. 1990년대
- 아비정전(1990)
- 도성(1990)
- 지존무상 2: 영패천하(1991)
- 정고자(1991)
- 정무문 1991(1991)
- 생사결(1991)
- 영웅본색 4(1991)
- 도협 2 - 상해탄(1991)
- 무림쌍웅(1991)
- 흑장미(1992)
- 매괴지전(1993)
- 동성서취(1993)
- 백발마녀전(1993)
- 서유기: 월광보합(1994)
- 동사서독(1994)
- 보도(1994)
- 애정말살(1994)
- 서유기 2: 선리기연(1994)
- 풀 블러드(1994)
- 흑협(1995)
- 타락천사(1995)
- 서유기: 월광보합 - 보리노조 역 (1995)
- 서유기 2 - 선리기연 - 보리노조 역 (1995)
- 마작비룡(1996)
- 흑장미 2(1997)
- 천애해각(1998)
3. 3. 2000년대
4. 제작
연도 | 제목 |
---|---|
1981 | 변연인 |
1982 | 유랑자 |
1982 | 나의 연인, 나의 여신 |
1982 | 쿨리 킬러 |
1984 | 황화 |
1985 | 홍콩 부처 |
1986 | 핑크 부대 작전 |
1987 | 귀타귀 |
1987 | 동방삼협 |
1987 | 플래밍 브라더스 |
1987 | 핑크 부대 작전 2 |
1988 | 캐리 온 호텔 |
1988 | 귀타귀 2 |
1989 | 맹귀장귀 |
1989 | 뇌룡 |
1990 | 도성 |
1990 | 상심귀 |
1991 | 지존무상 2: 영패천하 |
1991 | 정고자 |
1991 | 정무문 1991 |
1991 | 생사결 |
1991 | 영웅본색 4 |
1992 | 흑장미 |
1993 | 매괴지전 |
1993 | 동성서취 |
1993 | 백발마녀전 |
1994 | 서유기: 월광보합 |
1994 | 동사서독 |
1994 | 보도 |
1994 | 애정말살 |
1994 | 서유기 2: 선리기연 |
1994 | 중경삼림 |
1995 | 흑협 |
1995 | 타락천사 |
1996 | 마작비룡 |
1997 | 흑장미 2 |
1998 | 천애해각 |
2002 | 천하무쌍 |
2002 | 재회 |
2004 | 쿵푸 허슬 |
2005 | 대화서유지월광보합 |
2009 | 강철인간 |
2010 | 월광보합 |
2010 | 수어 |
2011 | 동성서취 2011 |
2014 | 흑화 |
2014 | 수오위 |
2016 | 서유기 3: 멸요편 |
2017 | 소커 킬러 |
2018 | 쿵푸연맹 |
5. 기타 활동
유진위는 감독, 각본, 제작 외에도 배우로도 활동했으며, 자신이 연출한 작품에 종종 조연으로 출연하기도 했다.
5. 1. 출연
연도 | 제목 | 역할 | 비고 |
---|---|---|---|
1982 | 유랑자 | ||
1982 | 나의 연인, 나의 여신 | ||
1982 | 쿨리 킬러 | ||
1984 | 황화 | ||
1985 | 홍콩 부처 | ||
1986 | 핑크 부대 작전 | ||
1987 | 귀타귀 | ||
1987 | 동방삼협 | ||
1987 | 플래밍 브라더스 | ||
1987 | 핑크 부대 작전 2 | ||
1988 | 캐리 온 호텔 | ||
1988 | 귀타귀 2 | ||
1989 | 뇌룡 | ||
1990 | 도성 | ||
1990 | 상심귀 | ||
1991 | 지존무상 2: 영패천하 | ||
1991 | 정고자 | ||
1991 | 정무문 1991 | ||
1991 | 생사결 | ||
1991 | 영웅본색 4 | ||
1992 | 흑장미 | ||
1993 | 매괴지전 | ||
1993 | 동성서취 | ||
1993 | 백발마녀전 | ||
1994 | 서유기: 월광보합 | ||
1994 | 동사서독 | ||
1994 | 보도 | ||
1994 | 애정말살 | ||
1994 | 서유기 2: 선리기연 | ||
1995 | 흑협 | ||
1995 | 타락천사 | ||
1996 | 마작비룡 | ||
1997 | 흑장미 2 | ||
1998 | 천애해각 | ||
2002 | 천하무쌍 | ||
2002 | 재회 | ||
2004 | 쿵푸 허슬 | ||
2005 | 대화서유지월광보합 | ||
2009 | 강철인간 | ||
2010 | 월광보합 | ||
2010 | 수어 | ||
2011 | 동성서취 2011 | ||
2014 | 흑화 | ||
2014 | 수오위 | ||
2016 | 서유기 3: 멸요편 | ||
2017 | 소커 킬러 | ||
2018 | 쿵푸연맹 |
6. 작품 세계
유진위는 어릴 적 청차우 섬에 있던 영화관에서 어머니와 함께 매일 밤 광동어 영화를 보며 영화감독의 꿈을 키웠다. 그는 영화 《대부》를 보고 영화를 찍어야겠다고 결심했다.[4] 《흑장미 대 흑장미》를 찍기 전, 량자후이는 인기가 없었지만, 유진위는 그의 연기력을 믿고 기용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4]
《도성 외전》의 대히트 이후, 유진위는 더 이상의 흥행을 낼 수 없을 것이라는 불안감에 시달렸다. 이후 작품들의 흥행 부진으로 낙담한 그는 가족과 함께 외국으로 떠나 주부 생활을 하기도 했다.[4]
6. 1. 무厘頭(모레이타우) 코미디
유진위는 1990년대 홍콩에서 유행한 '무厘頭'(모레이타우) 코미디 스타일의 대표적인 감독이다. '무厘頭'는 광동어 속어로, '말도 안 되는', '어처구니없는' 등의 뜻을 지니며, 예측 불가능한 전개, 과장된 슬랩스틱, 언어유희 등을 특징으로 한다.[2] 유진위는 이러한 무厘頭 스타일의 연출과 각본은 물론, 주성치와 공동 제작, 왕가위와의 프로덕션을 담당하기도 했다.영화 평론가 우에시마 하루히코는 1990년대를 "홍콩 영화의 황금 시대"라고 칭하며, 그 핵심 인물로 유진위를 꼽았다.[2]
대표작으로는 《서유기》(제15회 홍콩 영화 금상장: 최우수 각본상 수상 [기안 명의]), 《대영웅》, 《흑장미 대 흑장미》, 《풀 블러드》 등이 있다.
6. 2. 주성치와의 협업
주성치와 유진위는 1990년대 홍콩 영화계를 대표하는 콤비로, 다수의 작품을 함께하며 홍콩 영화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특히 《도성》은 주성치를 일약 스타덤에 오르게 한 작품으로, 유진위는 이 작품의 성공으로 큰 명성을 얻었다.[2]두 사람의 협업은 《서유기》 시리즈에서 절정에 달했다. 이 작품은 서유기라는 고전 소설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해석하여 큰 인기를 얻었으며, 홍콩 영화사에 길이 남을 명작으로 평가받는다. 유진위는 《서유기》 시리즈의 각본을 맡아 제15회 홍콩 영화 금상장에서 최우수 각본상을 받기도 했다.[4]
《서유기》는 흥행에는 실패했지만, 비평가들에게는 좋은 평가를 받았다. 유진위는 시간이 부족했고, 편집도 제때 하지 못해 불완전했다고 회고했지만, 나중에 1편과 2편을 합친 감독판 2시간 버전을 만들어 이야기의 흐름이 매끄럽고 잘 만들어졌다고 평가했다.[4]
이후에도 유진위는 주성치의 《쿵푸 허슬》에 프로듀서로 참여하여, 주성치가 촬영할 수 있도록 도왔다. 유진위는 주성치가 카메라 앞에 있는 장면은 주성치를 대신해 전부 자신이 찍었다고 밝히기도 했다.[4]
6. 3. 왕가위와의 관계
왕가위 감독과도 깊은 인연을 맺고 있다. 유진위는 왕가위의 《아비정전》, 《중경삼림》 등의 작품에 제작자로 참여했으며, 왕가위의 영화 세계를 이해하고 지원하는 역할을 했다.[2] 왕가위가 《사조영웅전》의 이전 이야기라는 설정으로 《낙원지화》의 시나리오를 쓰고 투자자를 찾아 촬영을 시작했으나, 장궈룽의 장면을 찍는 데 1주일, 2주일, 3주일, 4주일이 지나도 끝나지 않았다. 납기가 다가오자 왕가위는 유진위에게 "너부터 먼저 해달라"고 부탁했고, 유진위가 먼저 《대영웅》을 찍게 되었다.[4]7. 평가 및 영향
유진위는 다양한 장르를 통해 홍콩 영화계를 풍요롭게 만들었으며, 대중적으로 큰 인기를 얻었다. 영화 평론가 우에시마 하루히코는 1990년대를 "홍콩 영화의 황금 시대"라고 칭하며, 유진위를 그 핵심 인물로 꼽았다.[2] 그는 홍콩 영화 흥행 성적 6위를 기록했으며, 원화평, 두기봉과 함께 홍콩 3대 거장으로 꼽히기도 한다.[2]
7. 1. 홍콩 영화의 다양성
유진위는 코미디, 액션, 판타지 등 다양한 장르를 넘나들며 홍콩 영화의 스펙트럼을 넓히는 데 기여했다.[2] 특히 "무내두"() 영화의 연출과 각본을 맡았고, 주성치와 함께 영화를 제작하거나 왕가위와 프로덕션을 담당하기도 했다. 여기서 무내두는 1990년 무렵부터 광동어권에서 유행한 코미디 장르를 의미한다.영화 평론가 우에시마 하루히코는 1990년대를 "홍콩 영화의 황금 시대"라고 칭하며, 유진위를 그 핵심 인물로 꼽았다.[2]
대표작으로는 《서유기》(제15회 홍콩 영화 금상장: 최우수 각본상 수상 [기안 명의]), 《대영웅》, 《흑장미 대 흑장미》, 《풀 블러드》 등이 있다.
7. 2. 대중적 인기
유진위의 작품은 대중에게 큰 사랑을 받았으며, 홍콩 영화의 흥행을 이끌었다. 1990년대 홍콩 영화 흥행 성적 6위를 기록했으며, 액션 영화의 원화평, 홍콩 현대 영화의 두기봉과 함께 홍콩 3대 거장으로 꼽히기도 한다.[2] 영화 평론가 우에시마 하루히코는 1990년대를 "홍콩 영화의 황금 시대"로 평가하며, 그 핵심 인물로 유진위를 지목했다.[2]그는 "무내두"(1990년 무렵부터 광동어권에서 유행한 코미디 장르) 연출과 각본, 주성치와의 공동 제작, 왕가위와의 프로덕션도 많이 담당했다. 대표작으로는 《서유기》(제15회 홍콩 영화 금상장 최우수 각본상 수상 [기안 명의]), 《대영웅》, 《흑장미 대 흑장미》, 《풀 블러드》 등이 있다.
8. 수상 내역
(현재 문서에는 주어진 원본 소스에 기반한 내용이 없으므로, 빈칸으로 출력합니다.)
참조
[1]
웹사이트
演員介紹 - 劉鎮偉
http://www.u2mtv.com[...]
1956-02-04
[2]
웹사이트
http://nan.under.jp/[...]
[3]
웹사이트
したまちコメディ映画祭で「出水芙蓉」上映
http://guunonichijyo[...]
[4]
웹사이트
http://d.hatena.ne.j[...]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