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카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카타는 헤이안 시대 귀족들이 목욕할 때 입었던 유카타비라에서 유래된 일본 전통 의상이다. 에도 시대에 면직물이 보급되면서 서민들에게 널리 퍼졌고, 여름철에 주로 입는 평상복이자 외출복으로 자리 잡았다. 유카타는 곧은 솔기와 넓은 소매, 왼쪽 옷깃을 오른쪽 위에 겹쳐 입는 특징을 가지며, 오비, 게타, 킨차쿠 등을 함께 사용한다. 최근에는 디자인과 착용 방식이 다양해져, 현대적인 스타일과 간편화된 형태의 유카타도 인기를 얻고 있다. 일본 전통 예능과 스모계에서도 유카타를 사용하며, 7월 7일은 '유카타의 날'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 민속의상 - 훈도시
훈도시는 일본의 전통 속옷으로, 다양한 종류와 형태가 존재하며, 전통 행사, 스모, 연극 등에서 사용되고 문화적 의미를 지닌다. - 일본 민속의상 - 하오리
하오리는 기모노 위에 걸쳐 입는 일본 전통 의복으로, 방한복에서 시작하여 무사들의 예복으로 사용되었으며, 메이지 시대 이후 남성의 예복으로 보급되었다. - 일본어 낱말 - 사무라이
사무라이는 12세기부터 19세기까지 일본의 무사 계급을 일컫는 말로, 본래 귀족을 섬기는 사람을 뜻하는 '사부라이'에서 유래하여 쇼군을 섬기는 무사를 가리키는 용어로 변화했으며, 무사도를 따르며 일본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일본어 낱말 - 훈도시
훈도시는 일본의 전통 속옷으로, 다양한 종류와 형태가 존재하며, 전통 행사, 스모, 연극 등에서 사용되고 문화적 의미를 지닌다.
유카타 | |
---|---|
개요 | |
종류 | 간편한 여름용 기모노 |
용도 | 목욕 후 여름철 축제 편안한 실내복 |
명칭 | |
로마자 표기 | yukata |
어원 | (목욕 가운) |
특징 | |
재료 | 면 |
착용 시기 | 여름 |
착용 장소 | 온천 료칸 여름 축제 |
구성 | |
옷 | (유카타) |
허리띠 | (오비) |
신발 | (게타) 또는 (셋타) |
역사 | |
기원 | 헤이안 시대 귀족의 목욕 가운 |
발전 | 에도 시대 대중적인 여름 옷 |
착용법 | |
일반적인 착용 | 속옷 위에 바로 착용 |
전통적인 착용 | 주반 등의 속옷 위에 착용 |
참고 | |
관련 용어 | (네마키) |
2. 역사
헤이안 시대에 귀족들이 목욕할 때 입었던 유카타비라(ゆかたびら)가 유카타의 원형으로 여겨진다.[6][7]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를 거쳐 에도 시대에는 면으로 만든 유카타가 서민들에게 널리 보급되었고, 무늬와 형태도 다양해졌다. 메이지 시대에는 유카타에 비단 등의 반에리(半衿)를 덧대는 경우도 있었다.[10] 쇼와 초기 무렵까지는 유카타를 "중형", "중문"이라고 부르기도 했는데, 이는 반물 중에서 유카타에 어울리는 무늬가 중형의 무늬였기 때문이다.[11] 1980년대까지 유카타는 주로 평상복으로 착용되었다.[9]
2. 1. 헤이안 시대
헤이안 시대에는 귀족들이 목욕할 때 입었던 유카타비라(ゆかたびら)가 유카타의 원형으로 여겨진다.[6][7] 당시에는 증기 목욕을 할 때 삼베로 만든 유카타비라를 입었다.[7]2. 2.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 에도 시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무렵, 벌거벗고 탕에 몸을 담그는 목욕 습관이 생겨나면서 목욕 후 피부의 수분을 흡수시키기 위해 유카타를 입었다. 에도 시대에는 면직물 기술 발달로 면으로 만든 유카타가 널리 보급되면서 서민들에게 큰 인기를 얻었다.[6]에도 시대 중기에는 유카타의 무늬에 다양한 기교가 더해지기 시작하여, 새로운 풍속으로 서민들 사이에서 유행하고, 차츰 외출복으로서의 지위도 확립해 나갔다. 소매도 기능성 측면에서는 개방적인 넓은 소매였지만, 외출복으로 착용되면서 넓은 소매에서 각소매, 더 나아가 둥근 소매가 되었다.[8] [7]
2. 3. 에도 시대 중기 ~ 메이지 시대
에도 시대 중기에는 유카타의 무늬에 다양한 기교가 더해지기 시작하면서 새로운 풍속으로 서민들 사이에서 유행했고, 점차 외출복으로서의 지위도 확립해 나갔다. 소매도 기능성 측면에서는 개방적인 넓은 소매였지만, 외출복으로 착용되면서 넓은 소매에서 각소매, 더 나아가 둥근 소매로 변화했다.[8]메이지 시대에는 유카타에 비단 등의 반에리(半衿)를 덧대는 경우도 있었다.[10]
2. 4. 쇼와 시대 ~ 현대
1980년대까지 유카타는 주로 평상복으로 착용되었으나,[9] 현대에는 여름철 패션 아이템으로 자리 잡았다.[7] 특히 여성용 유카타는 화려한 무늬와 색상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7] 불꽃놀이 대회, 연등 축제, 본오도리 등 여름 행사 때 유카타를 착용하는 경우가 많다. 레스토랑, 유원지, 테마파크, 스포츠 경기 등에서도 유카타를 입고 방문하면 특전을 제공하는 경우가 있다.여관이나 호텔에는 잠옷으로 유카타가 준비되어 있는 경우가 많지만, 대부분 간소화된 형태이다. 원래 실내복이기 때문에 시티호텔 등에서는 유카타를 입고 공용 부분에 나가는 것은 무례하다고 여겨진다. 온천의 온천 숙소나 호텔 등에서는 전통적으로 유카타 차림으로 시설을 이용하거나 인근에 외출하는 것은 문제되지 않는다고 여겨진다.
온천 거리의 숙박 시설들은 연계하여 유카타를 일종의 리조트 웨어로 여기고 연출 아이템으로 삼는 경우도 있다. 시설 이용자에게 유카타와 게타를 대여하고 착용법도 가르쳐 주고, 숙박객에게는 그대로 선물하는 등이 그 예이다.
일본 정서의 분위기를 느낄 수 있고, 저렴하며 착용법도 간단한 민족 의상으로서 외국인 기념품으로도 인기가 많다.[12]
일본 유카타 연합회의 제안에 따라 1981년(쇼와 56년)에 칠석제(乞巧奠)의 관습과 직녀제에 착안하여 7월 7일이 "유카타의 날"로 제정되었다.[13]
3. 소재 및 제작 기법
유카타는 다양한 직물과 염색 기법을 사용하여 만들어진다. 나가이타-츄가타(Nagaita-Chugata)는 전통적인 염색 기법으로, 틀을 사용하여 양면을 염색한다.[2] 추센(Chusen)은 에도 시대 후기에 개발된 기법으로, 나가이타-츄가타보다 비용이 적게 들면서도 양면 천을 재현할 수 있다.[3]
3. 1. 소재
전통적으로 유카타는 면이 보급되기 전에는 삼으로 만들어졌으나, 에도 시대에 면이 보급되면서 흡수성이 좋은 면직물이 주로 사용되었다.[7] 현대에는 면 외에도 삼베, 폴리에스터 등 다양한 소재가 사용된다.일반적으로 무명으로 만든 평직 천이 많다. 고급 유카타에는 고치야치지미(마)나 아와시지라오리(무명)와 같은 축직이나, 홍매직으로 만든 면홍매(무명), 견홍매(무명과 비단의 교직) 등이 사용된다.
3. 2. 염색 기법
전통적으로는 틀을 사용하여 양면을 염색하는 나가이타-츄가타라는 기법으로 만들어졌다.[2] 이 기법은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에도 시대 후기에 양면 천을 재현하기 위해 추센이라는 기법이 개발되었다.[3]4. 착용 방법 및 형태
유카타는 남녀 모두 착용하며, 긴옷과 구조가 같다. 일본옷 중에서 가장 단순하고 기본적이며, 원단도 비교적 저렴하여 가정 과목 수업에서 일본식 재봉의 기초를 배울 때 유카타를 짓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인 기모노에 비해 옷자락이 약간 짧아도 좋다고 여겨지며, 발목이 살짝 보이는 정도의 길이로 입는 것이 일반적이다. 전통적으로 쪽염색한 목화로 만들어졌지만, 1990년대 후반부터 다양한 색상과 디자인의 유카타가 출시되고 있다.[1]
4. 1. 착용 방법
다른 형태의 일본 전통 의복과 마찬가지로 유카타는 곧은 솔기와 넓은 소매로 만들어진다. 남성 유카타는 겨드랑이 솔기에서 약 10cm 정도의 짧은 소매 길이를 가지는 반면, 여성 유카타는 20cm 정도의 더 긴 소매 길이를 가진다.[1] 일반적인 유카타 차림은 유카타, 오비, 게타나 샌들로 구성된다.[1]유카타를 입을 때는 모든 기모노와 마찬가지로 왼쪽 옷자락을 오른쪽 위에 겹쳐서 입고, 오비로 고정한다.[1] 즉, 마주 본 상대방에게서 보면 알파벳 소문자 "y" 모양이 되도록 깃을 맞추면 된다.[7] 남성은 각띠를, 여성은 반폭띠나 병아리띠를 주로 사용한다.[7] 신발은 맨발에 게타를 신는 것이 일반적이며, 남성의 경우 나막신도 많이 사용된다.[7]
4. 2. 형태
여성용 유카타는 양쪽 소매 안쪽과 양쪽 옆구리 일부에 몸 여덟 겹 입구(みやつくち)라는 열린 부분이 있지만, 남성용에는 없다. 또한 여성용은 원래 긴 길이의 것을 걷어 올려 오하쇼리를 만들어 입기 때문에 여성용 유카타에는 오하쇼리가 있지만, 남성용에는 없다.[7]4. 3. 신발 및 액세서리
유카타에는 보통 맨발에 게타(나막신)를 신는 것이 일반적이지만[1], 현대에는 샌들이나 조리 등을 신기도 한다. 남성의 경우 나막신을 신기도 한다. 킨차쿠(巾着)라고 하는 전통적인 휴대용 가방이나 부채를 함께 사용하여 장식할 수도 있다.5. 현대의 유카타
현대 일본에서 유카타는 여름철 패션 아이템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특히 여성용 유카타는 화려한 무늬와 색상이 다양하여 인기가 많다.[7] 불꽃놀이 대회, 연등 축제, 본오도리와 같은 여름 행사에서 유카타를 착용하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다. 일부 레스토랑, 유원지, 테마파크, 스포츠 경기 등에서는 유카타를 입고 방문하면 특별한 혜택을 제공하기도 한다.
여관이나 호텔에서는 잠옷으로 간소화된 유카타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시티호텔과 같은 곳에서는 유카타를 입고 공용 공간에 나가는 것을 무례하게 여기기도 한다. 반면, 온천의 숙소나 호텔에서는 유카타 차림으로 시설을 이용하거나 주변을 산책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풍경이다.
일부 온천 지역에서는 유카타를 리조트 복장처럼 활용하여, 유카타와 게타를 대여하거나 착용 방법을 알려주고, 숙박객에게는 선물로 제공하기도 한다.
유카타는 일본 특유의 분위기를 느낄 수 있고, 가격이 저렴하며, 입는 방법도 간단하여 외국인 관광객들에게 기념품으로 인기가 높다.[12]
1981년에는 일본 유카타 연합회의 제안으로 7월 7일이 "유카타의 날"로 제정되었다. 이는 칠석제의 관습과 직녀성에서 유래한 것이다.[13]
5. 1. 디자인의 다양화
최근에는 전통적인 흰색 무명을 쪽으로 염색한 유카타 외에도, 양복과 같은 디자인이나 화려한 색상과 무늬를 가진 유카타가 많이 출시되고 있다. 천도 무명 대신 삼을 섞거나 폴리에스터를 사용하기도 한다.[16]
여성 유카타의 경우, 다테에리를 덧대거나 프릴, 레이스를 장식하고, 미니스커트처럼 짧은 길이나 파니에를 사용한 플레어 스커트 형태 등 개성적인 디자인이 젊은 세대에게 인기를 얻고 있다. 위아래가 분리된 이부식 유카타는 옷매무새가 흐트러지지 않아 선호되기도 한다. 또한, 다양한 띠 매듭이나 띠 고정 장식, 리본이나 비즈 장식 등도 활용된다.
남성 유카타의 경우에도 얇은 셔츠나 컷소우, 모자나 엔지니어 부츠 등을 함께 코디하여 현대적인 감각으로 즐기는 경우가 늘고 있다.
현대에는 게타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이 많아 샌들을 신기도 한다. 또한, 유카타를 입을 때 족등을 신지 않는 것이 원칙이지만, 코하나가 벗겨지는 것을 막기 위해 얇은 족등을 신는 사람도 있다.
5. 2. 착용의 간편화
여성의 띠 묶는 방법은 남성보다 복잡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스스로 띠를 묶을 수 없는 사람도 많다. 그래서 「만들어진 띠」(이미 띠 매듭이 완성된 상태로 고정된 것)도 많이 사용된다.[16]6. 유카타를 상용하는 업계
가부키나 일본무용 등 일본 전통 예능에서는 연습복으로 유카타를 사용한다. 가부키 배우 등이 맞춤 제작한 유카타를 단골에게 나눠주는 풍습이 있었으나, 최근에는 줄어들고 있다. 스모계에서는 세키토리가 자신의 이름이 들어간 유카타 천을 선물하거나, 마음에 드는 무늬로 유카타를 만들어 입는 풍습이 남아있다.[15]
6. 1. 전통 예능
가부키나 일본무용 등, 일본의 전통예능에서는 연습복으로 유카타를 사용한다.가부키 배우 등이 맞춤 제작한 유카타를 단골에게 나눠주는 경우도 많았지만, 최근에는 이러한 풍습도 점차 줄어들고 있다.
스모계에서는 세키토리가 자신의 이름이 들어간 유카타 천을 단골이나 다른 스모 방에 선물하는 풍습이 아직 남아 있으며, 자신의 마음에 드는 무늬로 오리지널 유카타를 만들어 입는 스모 선수도 많다. 세키토리의 유카타는 여름옷으로, 장소 귀환이나 평상복으로 착용한다(겨울에는 두꺼운 기모노나 도테라를 입어도 좋다). 마쿠시타 이하의 스모 선수는 장소 입장부터 평상복까지 모든 장면에서 방에서 지급받는 유카타를 입는다고 한다.[15]
6. 2. 스모
스모계에서는 세키토리가 자신의 이름이 들어간 유카타 천을 단골이나 다른 스모 방에 선물하는 풍습이 아직 남아 있으며, 자신의 마음에 드는 무늬로 오리지널 유카타를 만들어 입는 스모 선수도 많다.[15] 세키토리는 여름철 평상복으로 유카타를 착용하며, 겨울에는 두꺼운 기모노나 도테라를 입기도 한다.[15] 마쿠시타 이하의 스모 선수는 장소 입장부터 평상복까지 모든 경우에 방에서 지급받는 유카타를 입는다.[15]참조
[1]
웹사이트
Yukata
https://www.japan-gu[...]
2018-04-26
[2]
웹사이트
Inside the Atelier; Matsubara Nobuo
https://www.motoji.c[...]
2024-06-28
[3]
웹사이트
New Designation of Tokyo Honzome Chusen as Traditional Craft under the Act on the Promotion of Traditional Craft Industries
https://www.meti.go.[...]
2023-10-26
[4]
웹사이트
How to Wear a Yukata
https://visitkinosak[...]
2018-10-18
[5]
웹사이트
How to Stay at a Ryokan: Dress (Yukata)
https://www.japan-gu[...]
2018-10-17
[6]
논문
和服文化の伝承媒体としてのゆかたを考える
日本繊維製品消費科学会
2000
[7]
문서
京まなびミーティング21
https://www.city.kyo[...]
京都市
2020-04-13
[8]
논문
和服文化の伝承媒体としてのゆかたを考える
日本繊維製品消費科学会
2000
[9]
논문
和服文化の伝承媒体としてのゆかたを考える
日本繊維製品消費科学会
2000
[10]
간행물
婦人之友
婦人之友社
1917-08-01
[11]
간행물
『家庭全科』1963年7月号
国際情報社
1963-07-01
[12]
문서
일본 애니메이션과 만화의 영향으로 인한 젊은층의 전통의상 관심 증가 및 외국인의 독학적 전통의상 착용 증가
[13]
웹사이트
「お楽しみ抽せん会」中止のお知らせ ◆「ゆかたの日」について◆
https://www.tafs.or.[...]
東京織物卸商業組合
2020-12-08
[14]
서적
昭和のキモノ
河出書房新社
2006-05-30
[15]
웹사이트
相撲用語集「着物」
https://www.sumo.or.[...]
[16]
문서
여성의 기모노 착용시 가슴 부풀림 방지 및 현대적 착용 방식의 위험성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