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육각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육각진은 마법 육각형과 마법 T-육각형으로 분류되며, 숫자를 특정 규칙에 따라 배열하여 각 행의 합이 같도록 하는 수학적 구조이다. 일반 마법 육각형은 1차와 3차만 존재하며, 비정상적인 마법 육각형은 다양한 차수와 시작 숫자, 각 행의 합을 가질 수 있다. 마법 T-육각형은 정육각형을 정삼각형으로 분할하여 구성하며, 짝수 차수에서만 가능하고, 마방진과 유사한 속성을 갖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법진 - 별진
    별진은 칠각별진, 팔각별진, 육각별진 등 다양한 종류의 별 모양 다각형을 포괄하는 용어로, 수학적 특징을 가지며 예술, 디자인,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 및 활용되는 잠재력을 지닌다.
  • 마법진 - 지수귀문도
  • 마방진 - 멜랑콜리아 I
    알브레히트 뒤러의 동판화 "멜랑콜리아 I"은 우울을 의인화한 인물과 여러 상징적 오브제를 통해 멜랑콜리아의 복합적인 의미와 예술가의 고뇌, 천재성을 탐구하는 작품이다.
  • 마방진 - 범마방진
    범마방진은 가로, 세로, 대각선뿐 아니라 꺾인 대각선의 숫자 합도 동일한 마방진으로, 행이나 열을 이동시켜도 성질이 유지되며 특정 형태는 존재하지 않고 보조 방진이나 라틴 방진으로 생성 가능하며 동아시아에서 발전하여 현대 수학 및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육각진
마방진 정보
유형마방진
차수3
육각진 정보
유형육각진
차수1
수학적 속성
19
상수19
원소자연수 1부터 19까지

2. 일반 마법 육각형의 증명

일반 마법 육각형은 1차와 3차를 제외하고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는 다음과 같이 증명할 수 있다.

2. 1. 증명 과정

육각형의 숫자는 연속적이며, 1부터 3n^2-3n+1까지 이어진다. 따라서 그 합은 삼각수이며, 다음 식과 같다.

:s={1\over{2}}(3n^2-3n+1)(3n^2-3n+2)={9n^4-18n^3+18n^2-9n+2\over{2}}

어떤 방향(동-서, 북동-남서 또는 북서-남동)으로든 ''r'' = 2''n'' − 1개의 행이 있다. 이 행들의 각 합은 동일한 숫자 ''M''이 된다. 그러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M={s\over{r}}={9n^4-18n^3+18n^2-9n+2\over{2(2n-1)}}

이것은 다음과 같이 다시 쓸 수 있다.

: M = \left(\frac{9n^3}{4} - \frac{27n^2}{8} + \frac{45n}{16} - \frac{27}{32}\right) + \frac{5}{32\left(2n-1\right)}

32를 곱하면

:32M=72n^3-108n^2+90n-27+{5\over2n-1}이 되고, 이것은 \frac{5}{2n-1}이 정수여야 함을 보여준다. 따라서 2''n'' − 1은 5의 약수여야 하며, 즉 2''n'' − 1 = ±1 또는 2''n'' − 1 = ±5이다. 이 조건을 충족하는 n \ge 1n=1n=3뿐이므로, 1차와 3차를 제외하고는 일반 마법 육각형이 존재하지 않음을 증명한다.

마육각진의 크기가 1과 3뿐이라는 증명은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도 있다.

먼저, 각 열의 합을 ''M''으로 한다. 한 변이 ''n''인 육각형에 들어가는 숫자는 1~3''n''(''n''-1)+1이므로, 들어가는 숫자의 합계 ''s''는 다음과 같다.

:s={1\over{2}}(9n^4-18n^3+18n^2-9n+2)

열의 수는 2''n''-1이므로 ''M''은 다음과 같다.

:M={s\over{2n-1}}={9n^4-18n^3+18n^2-9n+2\over{2(2n-1)}}

이 식을 변형하면

:32M=72n^3-108n^2+90n-27+{5\over2n-1}

이 식의 양변은 정수이므로, 5/(2''n''-1)은 정수이어야 한다. 이것이 정수가 되는 것은 2''n''-1이 5의 약수일 때이다. 따라서 ''n''=1, 3이다.

3. 비정상 마법 육각형

3보다 큰 차수의 정규 마법 육각형은 없지만, 1이 아닌 다른 숫자로 시작하는 비정상적인 마법 육각형은 존재한다.



"X"는 차수 3 육각형의 자리 표시자이고, 숫자 시퀀스를 완성하는 차수 5 육각형이 존재한다. 왼쪽은 합이 38인 육각형(1에서 19까지의 숫자)을 포함하고, 오른쪽은 26개의
합이 0인 육각형
중 하나(숫자 −9에서 9까지)를 포함한다. 더 자세한 정보는 독일어 위키백과 기사를 참조할 수 있다.

마법 육각진은 크기 1과 3인 것만 만들 수 있지만, 넣는 숫자의 조건을 완화하여 반드시 1부터 시작하지 않는 연속된 정수를 적용하면 더 큰 것도 만들 수 있다.

3. 1. 비정상 마법 육각형의 예시

3보다 큰 차수의 정규 마법 육각형은 없지만, 1이 아닌 다른 숫자로 시퀀스를 시작하는 비정상적인 마법 육각형은 존재한다.

아르센 자레이(Arsen Zahray)는 차수 4와 5의 육각형을 발견했다.

차수 4
M = 111
차수 5
M = 244



차수 4 육각형은 3으로 시작하여 39로 끝나며, 각 행의 합은 111이다. 차수 5 육각형은 6으로 시작하여 66으로 끝나며 합은 244이다.

15로 시작하여 75로 끝나고 합이 305인 차수 5 육각형도 존재한다.



차수 5 육각형에서 305보다 높은 합은 불가능하다.

2004년 10월 11일 루이스 호엘블링(Louis Hoelbling)은 차수 6 육각형을 만들었다.



이것은 21로 시작하여 111로 끝나며, 합은 546이다.

2006년 3월 22일 아르센 자레이는 시뮬레이션 어닐링을 사용하여 차수 7 마법 육각형을 발견했다.



이것은 2로 시작하여 128로 끝나며 합은 635이다.

2006년 2월 5일 루이스 K. 호엘블링(Louis K. Hoelbling)은 차수 8 마법 육각형을 생성했다.



이것은 −84로 시작하여 84로 끝나며, 합은 0이다.

2024년 9월 10일 클라우스 메퍼트(Klaus Meffert)는 AI의 도움을 받아 차수 9 마법 육각형을 발견했다.



이것은 -108로 시작하여 108로 끝나며 합은 0이다. 이 솔루션은 파이썬 프로그램으로 발견되었으며, 코드의 중요한 부분에 AI를 활용했다.

자라에 아르센(Zahray Arsen)은 1부터 시작하지 않는 연속된 정수를 적용하여 크기 4 이상의 육각진을 만들었다.



크기 4인 것은 3부터 39까지의 수를 사용하여 합을 111로 한다. 크기 5인 것은 6부터 66까지의 수를 사용하여 합을 244로 한다.

2006년 3월에 아르센은 크기 7인 육각형을 발표했다. 이 그림은 2부터 128까지의 수를 사용하여 각 열의 합을 635로 한다.

4. Magic T-hexagon

마법 T-육각형(Magic T-hexagon)은 정육각형을 여러 개의 정삼각형으로 나누어, 각 행의 숫자의 합이 같도록 만든 것이다. T-육각형은 일반적인 육각형보다 훨씬 많은 속성을 가지고 있다.

2차


1–24의 숫자가 있는 2차

4. 1. Magic T-hexagon의 특징

정육각형을 제곱수의 6배의 정삼각형으로 분할한 뒤 세 방향으로 합이 같도록 한 것으로 짝수 차수일 때 가능하다. 육각형은 다음 다이어그램에서 볼 수 있듯이 삼각형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구성은 T-육각형이라고 할 수 있으며, 육각형보다 훨씬 많은 속성을 가지고 있다.

위와 마찬가지로 삼각형의 행은 세 방향으로 이어지며, 2차 T-육각형에는 24개의 삼각형이 있다. 일반적으로 ''n''차 T-육각형에는 6n2개의 삼각형이 있다. 이러한 모든 숫자의 합은 다음과 같다.

: S = 3n2(6n2 + 1)

변 ''n''의 마법 T-육각형을 구성하려는 경우, 짝수가 되도록 ''n''을 선택해야 한다. 왜냐하면 r = 2n개의 행이 있어서 각 행의 합은 다음과 같아야 하기 때문이다.

: M = S/R = (3n2(6n2+1))/2n

이것이 정수가 되려면 ''n''이 짝수여야 한다. 현재까지 2, 4, 6 및 8차 마법 T-육각형이 발견되었다. 처음 발견된 것은 2003년 9월 13일 존 베이커(John Baker)가 발견한 2차 마법 T-육각형이었다. 그 이후로 존은 2차의 59,674,527개의 합동이 아닌 마법 T-육각형이 있다는 것을 발견한 데이비드 킹(David King)과 협력해 왔다.

마법 T-육각형은 마방진과 공통적인 여러 속성을 가지고 있지만, 고유한 특징도 가지고 있다. 이 중 가장 놀라운 점은 위쪽을 가리키는 삼각형의 숫자 합이 아래쪽을 가리키는 삼각형의 숫자 합과 같다는 것이다 (T-육각형의 크기에 관계없이). 위의 예에서,

: 17 + 20 + 22 + 21 + 2 + 6 + 10 + 14 + 3 + 16 + 12 + 7 = 5 + 11 + 19 + 9 + 8 + 13 + 4 + 1 + 24 + 15 + 23 + 18 = 150

4. 2. Magic T-hexagon의 차수와 숫자 합

정육각형을 제곱수의 6배의 정삼각형으로 분할한 뒤 세 방향으로 합이 같도록 한 것으로, 짝수 차수일 때 가능하다. 육각형은 다음 다이어그램에서 볼 수 있듯이 삼각형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구성은 T-육각형이라고 할 수 있으며, 육각형의 육각형보다 훨씬 많은 속성을 가지고 있다.

위와 마찬가지로 삼각형의 행은 세 방향으로 이어지며, 2차 T-육각형에는 24개의 삼각형이 있다. 일반적으로 ''n''차 T-육각형에는 6n2|6n의 제곱영어개의 삼각형이 있다. 이러한 모든 숫자의 합은 다음과 같다.

:S=3n2(6n2 + 1)|S=3n의 제곱(6n의 제곱 + 1)영어

변 ''n''의 마법 T-육각형을 구성하려는 경우, 짝수가 되도록 ''n''을 선택해야 한다. 왜냐하면 1=''r'' = 2''n''|r = 2n영어개의 행이 있어서 각 행의 합은 다음과 같아야 하기 때문이다.

:M=3n2(6n2+1)/2n|M=3n의 제곱(6n의 제곱+1)/2n영어

이것이 정수가 되려면 ''n''이 짝수여야 한다. 현재까지 2, 4, 6 및 8차 마법 T-육각형이 발견되었다. 처음 발견된 것은 2003년 9월 13일 존 베이커(John Baker)가 발견한 2차 마법 T-육각형이었다. 그 이후로 존은 2차의 59,674,527개의 합동이 아닌 마법 T-육각형이 있다는 것을 발견한 데이비드 킹(David King)과 협력해 왔다.

마법 T-육각형은 마방진과 공통적인 여러 속성을 가지고 있지만, 고유한 특징도 가지고 있다. 이 중 가장 놀라운 점은 위쪽을 가리키는 삼각형의 숫자 합이 아래쪽을 가리키는 삼각형의 숫자 합과 같다는 것이다 (T-육각형의 크기에 관계없이).

4. 3. 발견된 Magic T-hexagon

정육각형을 제곱수의 6배의 정삼각형으로 분할한 뒤 세 방향으로 합이 같도록 한 것으로, 짝수 차수일 때 가능하다. 육각형은 다음 다이어그램에서 볼 수 있듯이 삼각형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2차1–24의 숫자가 있는 2차



이러한 유형의 구성을 T-육각형이라고 할 수 있으며, 육각형의 육각형보다 훨씬 많은 속성을 가지고 있다.

위와 마찬가지로 삼각형의 행은 세 방향으로 이어지며, 2차 T-육각형에는 24개의 삼각형이 있다. 일반적으로 ''n''차 T-육각형에는 6n^2개의 삼각형이 있다. 이러한 모든 숫자의 합은 다음과 같다.

: S=3n^2(6n^2 + 1)

변 ''n''의 마법 T-육각형을 구성하려는 경우, 짝수가 되도록 ''n''을 선택해야 한다. 왜냐하면 각 행의 합은 다음과 같아야 하기 때문이다.

:M=\frac{S}{R}=\frac{3n^2(6n^2+1)}{2n}

이것이 정수가 되려면 ''n''이 짝수여야 한다. 현재까지 2, 4, 6 및 8차 마법 T-육각형이 발견되었다. 처음 발견된 것은 2003년 9월 13일 존 베이커(John Baker)가 발견한 2차 마법 T-육각형이었다. 그 이후로 존은 2차의 59,674,527개의 합동이 아닌 마법 T-육각형이 있다는 것을 발견한 데이비드 킹(David King)과 협력해 왔다.

마법 T-육각형은 마방진과 공통적인 여러 속성을 가지고 있지만, 고유한 특징도 가지고 있다. 이 중 가장 놀라운 점은 위쪽을 가리키는 삼각형의 숫자 합이 아래쪽을 가리키는 삼각형의 숫자 합과 같다는 것이다 (T-육각형의 크기에 관계없이).

참조

[1] 간행물 A Unique Magic Hexagon http://www.mathemati[...] Recreational Mathematics Magazine 1964-01-02
[2] 간행물 Research into the Order 3 Magic Hexagon http://www.yau-award[...] Shing-Tung Yau Awards 2008-1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