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육군총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육군총감은 1956년부터 현재까지 독일 육군을 지휘하는 직책이다. 역대 육군총감 목록이 제공되며, 각 총감의 재임 기간과 주요 경력이 포함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육군 참모총장 - 총참모장 (영국)
    영국 총참모장은 국방 정책 결정, 군사 작전 지휘, 군대 효율성 관리를 책임지는 영국의 중요한 군사 직책이다.
  • 독일 연방방위군 육군 - 독일 육군
    독일 육군은 독일 제국 육군에서 기원하여 국방군을 거쳐 현재의 독일 연방군 육군으로 이어져 왔으며, 양차 세계 대전과 냉전 시대를 거쳐 독일 재통일 후에는 국제 평화 유지 작전에 참여하고 있다.
  • 독일 연방방위군 육군 - 독일 육군사관학교
    독일 육군사관학교는 독일 제국 시대로부터 이어져 온 군사 교육 기관으로, 독일군의 핵심 장교를 양성하며 여러 시대를 거쳤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해체되었고, 현재는 사관후보생 제도를 통해 육군 장교를 선발 및 양성한다.
육군총감
기본 정보
육군 총감의 깃발
육군 총감 깃발
직책육군 총감
원어 명칭Inspekteur des Heeres
약칭InspH
해당 군독일 육군
소속독일 연방 국방부
상급자독일 연방군 총감
임명권자국방 장관
창설일1956년 9월 21일
웹사이트육군 총감 공식 웹사이트
전신육군 최고 사령부
문장육군 총감 문장
알폰스 마이스
알폰스 마이스
현직자
이름알폰스 마이스 육군 중장
임기 시작2020년 2월 13일
역대 총감
초대한스 렡티거

2. 역대 육군총감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내용을 다루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본문 내용을 비움)

2. 1. 개요

역대 육군총감 (1956년~)
순서초상화이름생몰년재임 기간비고
1--한스 뢰티거1896–19601956년 9월 21일 – 1960년 4월 15일
2--알프레트 체르벨1904–19871960년 4월 16일 – 1964년 9월 30일
3--울리히 데 메지에르1912–20061964년 10월 1일 – 1966년 8월 24일연방군 총감으로 승진
4--요제프 몰1908–19981966년 8월 25일 – 1968년 9월 30일
5--알베르트 슈네츠1911–20071968년 10월 1일 – 1971년 9월 30일
6--에른스트 페르버1914–19981971년 10월 1일 – 1973년 9월 30일연합군 합동군 사령부 브룬섬 사령관으로 승진
7--호르스트 힐데브란트1919–19891973년 10월 1일 – 1979년 3월 30일
8--요하네스 푀펠1921–20071979년 4월 1일 – 1981년 9월 30일
9--마인하르트 글란츠1924–20051981년 10월 1일 – 1984년 9월 30일
10--한스-헤닝 폰 잔드라르트1933–20131984년 10월 1일 – 1987년 9월 25일연합군 합동군 사령부 브룬섬 사령관으로 승진
11--헤닝 폰 온다르자1933–1987년 10월 26일 – 1991년 9월 26일연합군 합동군 사령부 브룬섬 사령관으로 승진
12--외르크 쇤보름1937–20191991년 10월 27일 – 1992년 2월 18일독일 연방 국방부 안보 정책 차관으로 임명
13--헬게 한센1936–1992년 2월 18일 – 1994년 3월 21일연합군 합동군 사령부 브룬섬 사령관으로 승진
14--하르트무트 바거1938–1994년 3월 21일 – 1996년 2월 6일연방군 총감으로 승진
15--헬무트 빌만1940–1996년 2월 6일 – 2001년 3월 28일
16--게르트 구데라1943–2001년 3월 28일 – 2004년 3월 3일
17--한스-오토 부데1948–2004년 3월 4일 – 2010년 3월 23일
18--베르너 프레어스1954–2010년 3월 23일 – 2012년 9월 11일
19--브루노 카스도르프1952–2012년 9월 11일 – 2015년 7월 16일
20--외르크 폴머1957–2015년 7월 16일 – 2020년 2월 13일
21--알폰스 마이스1962–2020년 2월 13일 – 현재


2. 2. 목록

Hans Röttigerdeu중장1956년 9월 21일1960년 4월 15일2알프레트 체르벨
Alfred Zerbeldeu육군 중장1960년 4월 16일1964년 9월 30일3울리히 데 메지에르
Ulrich de Maizièredeu육군 중장1964년 10월 1일1966년 8월 24일1966년부터 1972년까지 연방군 총감 역임.4요제프 몰
Josef Molldeu육군 중장1966년 8월 25일1968년 9월 30일5알베르트 슈네츠
Albert Schnezdeu육군 중장1968년 10월 1일1971년 9월 30일6Ernst Ferberdeu육군 중장1971년 10월 1일1973년 9월 30일1973년부터 1975년까지 NATO 유럽 중앙군 사령관 역임.7Horst Hildebrandtdeu육군 중장1973년 10월 1일1979년 3월 31일8요하네스 푀펠
Johannes Poeppeldeu육군 중장1979년 4월 1일1981년 9월 30일9Meinhard Glanzdeu육군 중장1981년 10월 1일1984년 9월 30일10Hans-Henning von Sandrartdeu육군 중장1984년 10월 1일1987년 9월 25일1987년부터 1991년까지 NATO 유럽 중앙군 사령관 역임.11Henning von Ondarzadeu육군 중장1987년 10월 26일1991년 9월 26일1991년부터 1994년까지 NATO 유럽 중앙군 사령관 역임. 독일 국방군 출신이 아닌 첫 육군 총감.12외르크 쇤보름
Jörg Schönbohmdeu육군 중장1991년 10월 27일1992년 2월 18일1992년부터 1996년까지 독일 연방 국방부 국무 장관, 이후 독일 기독교 민주 연합(CDU) 소속 정치인으로 활동.13헬게 한센
Helge Hansendeu육군 중장1992년 2월 18일1994년 3월 24일1994년부터 1996년까지 NATO 유럽 중앙군 사령관 역임.14하르트무트 바거
Hartmut Baggerdeu육군 중장1994년 3월 21일1996년 2월 6일1996년부터 1999년까지 연방군 총감 역임.15Helmut Willmanndeu육군 중장1996년 2월 6일2001년 3월 28일16Gert Guderadeu육군 중장2001년 3월 28일2004년 3월 3일중도 퇴역.17Hans-Otto Buddedeu육군 중장2004년 3월 4일2010년 3월 24일전후 출생 첫 육군 총감.18베르너 프레어스
Werner Freersdeu육군 중장2010년 3월 24일2012년 9월 11일2012년 12월부터 유럽 연합군 최고사령부 참모장 역임.19Bruno Kasdorfdeu육군 중장2012년 9월 11일2015년 7월 16일20외르크 폴머
Jörg Vollmerdeu육군 중장2015년 7월 16일2020년 2월 13일21Alfons Maisdeu육군 중장2020년 2월 13일현직


2. 3. 특징

독일 연방육군의 육군총감은 일반적으로 중장(Generalleutnant) 계급의 장성이 임명된다.[1] 일부 역대 총감은 임기 후 더 높은 직책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있었다. 예를 들어, 제3대 울리히 데 메지에르와 제14대 하르트무트 바거는 연방군 전체를 지휘하는 연방군 총감(Generalinspekteur der Bundeswehr)으로 임명되었다.[1] 또한, NATO의 주요 직책을 맡기도 했다. 제6대 에른스트 페르버, 제10대 한스-헤닝 폰 잔트라르트, 제11대 헤닝 폰 온자르차, 제13대 헬게 한센은 NATO 유럽 중앙군 사령관을 역임했으며, 제18대 베르너 프리어스는 유럽 연합군 최고 사령부(SHAPE)의 참모장이 되었다.[1]

퇴역 후 정치계에 입문하는 사례도 있다. 제12대 요르크 쇤보름은 육군총감 퇴임 후 CDU 소속 정치인으로 활동하며 연방 국방부의 국무장관을 지냈다.[1]

임명되는 인물의 배경에도 변화가 나타났다. 초기 육군총감들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국방군(Wehrmacht) 복무 경력이 있었으나, 제11대 헤닝 폰 온자르차는 국방군 출신이 아닌 첫 육군총감이었다.[1] 이후 제17대 한스-오토 부데는 전후 세대로는 처음으로 육군총감에 임명되었다.[1] 육군총감의 임기는 일정하지 않으며, 개인적인 사유나 다른 보직으로의 이동 등으로 임기를 마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제16대 게르트 구데라는 중도에 퇴역한 사례이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