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리우스 파울루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율리우스 파울루스는 2~3세기 로마 제국의 법학자이자 법관으로,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카라칼라, 알렉산더 세베루스 황제 치세에 활동했다. 그는 법률가로서 활동하며, 황제의 고문으로 임명되기도 했으며, 근위대 대장을 역임했다. 파울루스는 319편의 법률 저술을 남겼으며, 그의 저술은 유스티니아누스 법전인 디게스타에 포함되어 로마법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로마의 법률가 - 타키투스
타키투스는 로마 제정 초기 역사를 다룬 저서를 남긴 역사가이자 정치가로, 황제와 원로원 간의 권력 관계, 지배층의 부패, 언론 자유의 중요성 등을 다루며 후대 역사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고대 로마의 법률가 - 마르쿠스 유니우스 브루투스
마르쿠스 유니우스 브루투스는 고대 로마 공화정 말기의 정치가이자 율리우스 카이사르 암살의 주모자이며, 공화정을 지키기 위해 카이사르를 암살했으나 내전에서 패배하여 자결했다. - 프라이펙투스 프라이토리오 - 도미티우스 울피아누스
도미티우스 울피아누스는 2~3세기 로마 제국의 법학자로, 파피니아누스의 제자로서 세베루스 알렉산데르 황제 시기에 근위대장관까지 지냈으나 살해되었으며, 그의 법학 이론은 로마법 대전 편찬에 큰 영향을 미쳤고, 공법과 사법의 구분을 제시하고 "원수는 법에 구속되지 않는다"라는 법 해석을 남겼다. - 프라이펙투스 프라이토리오 - 아이밀리우스 파피니아누스
아이밀리우스 파피니아누스는 2세기 말-3세기 초 로마 제국의 법학자로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의 측근으로 활동하며 요직을 역임했으나, 카라칼라 황제의 부당한 명령을 거부하여 처형당했고, 가이우스, 울피아누스 등과 함께 인용법에 의해 특별한 권위를 인정받은 5대 법학자 중 한 명이다. - 율리우스 씨족 - 율리우스 네포스
율리우스 네포스는 474년부터 475년까지 서로마 제국 황제였으며, 오레스테스의 반란으로 달마티아로 망명한 후 480년 암살당할 때까지 황제 지위를 유지했다. - 율리우스 씨족 - 콘스탄티우스 2세
콘스탄티우스 2세는 콘스탄티누스 1세의 아들로, 동로마 제국을 통치하며 아리우스주의를 옹호하고 사산 제국과의 전쟁과 내전을 겪었으며, 율리아누스의 반란으로 사망했다.
율리우스 파울루스 | |
---|---|
기본 정보 | |
이름 | 율리우스 파울루스 |
로마자 표기 | Iulius Paulus |
출생 | 2세기 말 ~ 3세기 초 |
사망 | 3세기 중반 |
직업 | 로마 제국 법률가 |
활동 시기 | 2세기 말 ~ 3세기 초 |
생애 | |
출신 | 파타비움 또는 폼페이아 출신 추정 |
활동 분야 |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 시기부터 알렉산데르 세베루스 황제 시기까지 활동 |
주요 활동 | 로마 황제의 자문 위원, 다양한 법률 관련 업무 수행 |
정치 경력 | 황제의 대리인 법무차관 근위대 장교 |
법학 업적 | |
주요 저서 | 율리아누스의 주석 사비누스의 주석 플라우티우스의 주석 법률 해설서 32권 칙령에 대한 해설 25권 로마법 권위자들의 의견 모음집 23권 |
법률가로서의 영향력 | 로마법에 대한 방대한 지식과 법률 적용 능력 인정받음 로마법 발전에 큰 영향 끼침 유스티니아누스 1세 법전의 주요 참고 자료 |
평가 | 로마 법률가 중 가장 중요한 인물 중 하나로 평가됨 |
기타 | |
참고 문헌 | 율리우스 파울루스 The Roman Law Library |
2. 생애
파울루스는 그리스계 출신으로, 출생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페니키아의 한 마을이나 파타비움(오늘날 이탈리아 파도바)으로 추정된다. 파타비움에서 발견된 그의 헌정 비문과 조각상은 그가 파타비움 출신일 가능성을 시사한다.[1]
셉티미우스 세베루스와 카라칼라 황제 시대에 법관으로 활동했던 그는 엘라가발루스 황제에 의해 추방되었다가 알렉산더 세베루스 황제 때 복귀했다. 222년 세베루스 황제와 그의 어머니 율리아 아비타 마마이아는 파울루스를 황제의 최고 고문 중 한 명으로 임명했으며, 228년에서 235년 사이에는 근위대의 친위대장을 역임했다.
파울루스는 법학자 울피아누스와 동시대 인물로, 전임 친위대장 아이밀리우스 파피니아누스의 경력을 어느 정도 따랐다. 그의 신중한 정치적 입장과 견해는 고르디아누스 3세 황제가 그에게 프루덴티시무스라는 명예직을 수여하게 했다.[1]
2. 1. 출신 및 초기 생애
파울루스의 가족과 생애에 관해서는 알려진 것이 별로 없다. 그는 미상의 페니키아인 마을 혹은 파타비움 (현 이탈리아 파도바) 출신 그리스 혈통으로 추정될 뿐이다. 파울루스가 파타비움 출신일 가능성은 파타비움에서 발견된 파울루스에게 헌정된 비문과 상에 바탕을 두고 있다.[1]2. 2. 법률가로서의 활동
셉티미우스 세베루스와 카라칼라 황제 재위 시대에 파울루스는 법률가로 활동했다.[1] 그는 엘라가발루스 황제에 의해 망명당했지만, 그의 후계자인 알렉산더 세베루스 황제에 의해 망명에서 돌아왔다.[1] 222년 세베루스와 그의 어머니 율리아 아비타 마마이아는 그를 황제의 주요 고문 중 한 명으로 임명했고, 228년에서 235년 사이에 그는 근위대의 근위대 대장이었다.[1] 파울루스는 법률가 율피아누스의 동시대인이었다.[1] 그는 전 근위대 대장 아이밀리우스 파피니아누스의 경력 경로를 부분적으로 따랐다.[1] 239년에 제정된 고르디아누스 3세 황제의 헌법에서 결혼을 언급하며 파울루스의 답변을 인용하는데, 그는 ''vir prudentissimus Paulus'' (''C.J.'' 5.4.6)라고 불린다.[1]2. 3. 말년
222년 알렉산더 세베루스와 그의 어머니 율리아 아비타 마마이아는 파울루스를 황제의 주요 고문 중 한 명으로 임명했고, 228년에서 235년 사이에 그는 근위대의 근위대 대장이었다. 파울루스는 법률가 율피아누스와 동시대인이었다. 그는 전 근위대 대장 아이밀리우스 파피니아누스의 경력 경로를 부분적으로 따랐다. 고르디아누스 3세 황제는 그의 조심성 많은 정치적 입장과 견해를 높이 사 그에게 프루덴티시무스라는 명예직을 수여했다.[1]3. 법학 저술 및 업적
헤레니우스 모데스티누스(Herennius Modestinus)는 울피아누스(Ulpian), 퀸투스 체르비디우스 스카에볼라(Quintus Cervidius Scaevola)와 함께 파울루스를 "위대한 법학자들의 마지막"에 속한다고 묘사했으며, 그의 업적은 매우 존중받았다.
파울루스는 426년 로마 황제 테오도시우스 2세(Theodosius II)와 발렌티니아누스 3세(Valentinian III)에 의해 그들의 견해가 헌법적으로 권위를 갖게 된 다섯 명의 법학자 중 한 명이었다. 그의 저술은 비잔티움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1세(Justinian I)가 편찬한 ''디게스타''에 포함되었으며, ''디게스타''에 있는 로마법전의 6분의 1을 차지한다. 그는 울피아누스(Ulpian)를 제치고 ''디게스타''에서 가장 많이 발췌된 로마 법학자이다. ''디게스타''는 파울루스에게 로마법에서 무죄추정의 최초 표현인 "''Ei incumbit probatio qui dicit, non qui negat''"[2] (주장하는 자에게 증명의 책임이 있지, 부정하는 자에게는 없다)[3]라는 구절을 돌린다. ''디게스타''에서 파울루스는 알렉산더 세베루스와 상반되는 견해를 제시했지만 세베루스는 아이밀리우스 파피니아누스(Aemilius Papinianus)의 견해를 선택했다는 내용이 두 구절 언급된다.
3. 1. 다양한 법률 저술
헤레니우스 모데스티누스(Herennius Modestinus)는 울피아누스(Ulpian), 퀸투스 체르비디우스 스카에볼라(Quintus Cervidius Scaevola)와 함께 파울루스를 "위대한 법학자들의 마지막"에 속한다고 묘사했다. 파울루스의 업적은 매우 존중받았다.그는 319편의 다양한 법률 저술을 남겼다. 그의 남아있는 저술들은 매우 방대하며, 다른 법학자들의 견해에 대한 날카로운 분석과 파울루스 자신의 법적 견해를 보여준다. 그는 다양한 법률 주제에 대해 저술한 것으로 보이며, 법률 및 법률 주제에 대한 철저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파울루스는 야볼레누스 프리스쿠스(Javolenus Priscus), 퀸투스 체르비디우스 스카에볼라(Quintus Cervidius Scaevola), 마르쿠스 안티스티우스 라베오(Marcus Antistius Labeo), 살비우스 율리아누스(Salvius Julianus), 아이밀리우스 파피니아누스(Aemilius Papinianus) 등의 법학자들에 대해 논평했다. 그는 마케르(Macer)와 헤레니우스 모데스티누스에게 인용되었다. 그의 글쓰기 스타일은 간결하고 때로는 모호하지만, 그의 업적은 다른 로마 법학자들 못지않게 훌륭하다. 파울루스의 저술은 발췌본으로 남아 있지만, 그의 저술은 이해하기 위해 신중하게 읽어야 한다.
파울루스는 426년 로마 황제 테오도시우스 2세(Theodosius II)와 발렌티니아누스 3세(Valentinian III)에 의해 그들의 견해가 헌법적으로 권위를 갖게 된 다섯 명의 법학자 중 한 명이었다. 파울루스의 또 다른 유산은 그의 저술이 비잔티움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1세(Justinian I)가 편찬한 ''디게스타''에 포함된 것이다.
''디게스타''에 있는 로마법전의 6분의 1은 파울루스의 저술로 구성되어 있다. 그는 울피아누스(Ulpian)를 제치고 ''디게스타''에서 가장 많이 발췌된 로마 법학자이다. ''디게스타''는 파울루스에게 로마법에서 무죄추정의 최초 표현을 돌리는데, ''Ei incumbit probatio qui dicit, non qui negat''[2]"주장하는 자에게 증명의 책임이 있지, 부정하는 자에게는 없다."[3] ''디게스타''의 파울루스는 또한 두 구절에서 언급되는데, 그는 알렉산더 세베루스와 상반되는 견해를 제시했지만 세베루스는 파피니아누스의 견해를 선택했다.
3. 2. 다른 법학자들과의 관계
로마 법학자 헤레니우스 모데스티누스(Herennius Modestinus)는 울피아누스(Ulpian), 퀸투스 체르비디우스 스카에볼라(Quintus Cervidius Scaevola)와 함께 파울루스를 "위대한 법학자들의 마지막"에 속한다고 묘사했으며, 파울루스의 업적은 매우 존중받았다.파울루스는 야볼레누스 프리스쿠스(Javolenus Priscus), 퀸투스 체르비디우스 스카에볼라(Quintus Cervidius Scaevola), 마르쿠스 안티스티우스 라베오(Marcus Antistius Labeo), 살비우스 율리아누스(Salvius Julianus), 아이밀리우스 파피니아누스(Aemilius Papinianus) 등의 법학자들에 대해 논평했다. 또한 마케르(Macer)와 헤레니우스 모데스티누스에게 인용되었다. 그의 글쓰기 스타일은 간결하고 때로는 모호하지만, 그의 업적은 다른 로마 법학자들 못지않게 훌륭하다.
파울루스는 ''디게스타''에서 울피아누스(Ulpian) 다음으로 가장 많이 발췌된 로마 법학자이다. ''디게스타''는 파울루스에게 로마법에서 무죄추정의 최초 표현인 "''Ei incumbit probatio qui dicit, non qui negat''"[2] (주장하는 자에게 증명의 책임이 있지, 부정하는 자에게는 없다)[3]를 돌린다. ''디게스타''에서 파울루스는 알렉산더 세베루스와 상반되는 견해를 제시했지만 세베루스가 파피니아누스의 견해를 선택한 두 구절에서도 언급된다.
3. 3. 글쓰기 스타일
헤레니우스 모데스티누스(Herennius Modestinus)는 울피아누스(Ulpian), 퀸투스 체르비디우스 스카에볼라(Quintus Cervidius Scaevola)와 함께 파울루스를 "위대한 법학자들의 마지막"에 속한다고 묘사했다. 파울루스의 업적은 매우 존중받았다.그는 319편의 다양한 법률 저술을 남겼다. 그의 남아있는 저술들은 매우 방대하며, 다른 법학자들의 견해에 대한 날카로운 분석과 파울루스 자신의 법적 견해를 보여준다. 그는 다양한 법률 주제에 대해 저술한 것으로 보이며, 법률 및 법률 주제에 대한 철저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파울루스는 야볼레누스 프리스쿠스(Javolenus Priscus), 퀸투스 체르비디우스 스카에볼라(Quintus Cervidius Scaevola), 마르쿠스 안티스티우스 라베오(Marcus Antistius Labeo), 살비우스 율리아누스(Salvius Julianus), 아이밀리우스 파피니아누스(Aemilius Papinianus) 등의 법학자들에 대해 논평했다. 그는 마케르(Macer)와 헤레니우스 모데스티누스에게 인용되었다. 그의 글쓰기 스타일은 간결하고 때로는 모호하지만, 그의 업적은 다른 로마 법학자들 못지않게 훌륭하다. 파울루스의 저술은 발췌본으로 남아 있지만, 그의 저술은 이해하기 위해 신중하게 읽어야 한다.
3. 4. 테오도시우스 2세와 발렌티니아누스 3세의 인정
426년 로마 황제 테오도시우스 2세(Theodosius II)와 발렌티니아누스 3세(Valentinian III)는 파울루스를 그들의 견해가 헌법적으로 권위를 갖게 된 다섯 명의 법학자 중 한 명으로 인정하였다.[2]
3. 5. 유스티니아누스 법전과의 관계
비잔티움 제국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1세(Justinian I)가 편찬한 ''디게스타''에는 파울루스의 저술이 포함되어 있다.[2] ''디게스타''에 있는 로마법전의 6분의 1은 파울루스의 저술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는 울피아누스(Ulpian)를 제치고 ''디게스타''에서 가장 많이 발췌된 로마 법학자이다.[3] ''디게스타''는 파울루스에게 로마법에서 무죄추정의 최초 표현, 즉 "주장하는 자에게 증명의 책임이 있지, 부정하는 자에게는 없다"라는 원칙을 돌린다. ''디게스타''에서 파울루스는 알렉산더 세베루스와 상반되는 견해를 제시했지만, 세베루스는 아이밀리우스 파피니아누스(Aemilius Papinianus)의 견해를 선택했다는 내용이 두 구절 언급된다.3. 6. 무죄추정의 원칙
''Ei incumbit probatio qui dicit, non qui negat''la[2]무죄추정의 최초 표현은 로마법전의 ''디게스타''에서 파울루스가 언급한 것으로, "주장하는 자에게 증명의 책임이 있지, 부정하는 자에게는 없다."[3]라는 구절이다. ''디게스타''에서 파울루스는 알렉산더 세베루스와 상반되는 견해를 제시했지만, 세베루스는 파피니아누스의 견해를 선택한 두 구절에서도 언급된다.4. 경제학
'''디게스타'''에서 파울루스는 화폐에 대한 논의를 기술했다. 파울루스는 아리스토텔레스와 유사하게, 신고전학파 용어로 "욕구의 일치 부재"로 인해 물물교환의 불편함에서 화폐가 발생했다는 (즉, 화폐 이전에 현물 또는 "물물교환" 경제가 존재했다는 가정하에) 여전히 유효한 이론과 유사한 화폐 이론을 제시했다.[6]
5. 후대의 평가 및 영향
율리우스 파울루스는 로마 제국의 저명한 법학자로, 그의 저작은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명성 때문에 파울리 센텐티아이(파울루스의 견해 또는 격언)를 비롯한 여러 저작들이 그의 것으로 잘못 알려지기도 했다.[4]
5. 1. 위서(僞書) 문제
그의 명성 때문에, 특히 3세기 편찬물인 파울리 센텐티아이(파울루스의 견해 또는 격언)를 비롯한 여러 다른 저작들이 그에게 귀속되었다.[4] 파울루스의 현존하는 저작과 그에게 귀속된 저작들 중에서 ''센텐티아이 아드 필리움''이 가장 긴 단편들을 가지고 있다.[5]참조
[1]
서적
Codex Iustinianus
https://archive.org/[...]
apud Weidmannos
1892
[2]
웹사이트
Digesta seu Pandectae 22.3.2
http://webu2.upmf-gr[...]
Université Pierre-Mendés-France
2010-10-13
[3]
서적
The Digest of Justinian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4]
간행물
The Oxford Classical Dictionary
OxfordUP
2003
[5]
웹사이트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http://www.ancientli[...]
2008-04-16
[6]
서적
History of Economic Analysis
Oxford University Press
195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