으름난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으름난초는 난초과 으름난초속에 속하는 부생식물이다. 잎이 없어 광합성을 하지 않으며, 갓버섯과 란균근을 형성하여 영양분을 얻는다. 초여름에 노란색 또는 분홍색 꽃을 피우고 가을에 타원형의 육질 열매를 맺는다. 으름난초는 숲 속, 특히 삼나무나 노송나무 인공림 등에서 비교적 잘 자라며, 직박구리 등의 새에 의해 종자가 퍼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열대에서 온대 아시아, 뉴기니섬에 5종이 분포하며, 일본에는 으름난초 1종이 분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닐라아과 - 바닐라족
바닐라족은 난초과에 속하는 분류군으로, 바닐라빈 생산으로 유명한 바닐라속을 포함한 여러 속으로 구성된다. - 바닐라아과 - 방울새란족
방울새란족은 포고니아족에 속하는 난초의 한 부류로, 북아메리카와 동아시아의 습한 환경에 주로 서식하며, 다양한 꽃의 형태와 색깔을 가지고 있고, 클레이스테시오프시스속, 이소트리아속, 포고니아속 등을 포함하며, 일부 종은 멸종 위기에 처해 보존이 필요하다. - 1865년 기재된 식물 - 박달나무
박달나무는 온대 북부 지방에 자라는 낙엽활엽수로, 단단하고 치밀한 재질 덕분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으며, 특히 고조선 시대부터 활을 만드는 데 쓰여 신성한 나무로 여겨지고 한국의 건국 신화에 등장하는 신단수로도 추정된다. - 1865년 기재된 식물 - 물봉선
물봉선은 대한민국 각지에 분포하는 봉선화과의 한해살이풀로, 붉은 줄기, 톱니 모양 잎, 홍자색 나팔꽃 모양의 꽃이 특징이며, 탄력 있는 꼬투리 속 씨앗이 터져 번식하는 습지 식물이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으름난초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키르토시아 셉텐트리오날리스(Cyrtosia septentrionalis) |
명명자 | (리히아르트 폰 헨 Heinrich Gustav Reichenbach) Rchb.f. |
이명 | 갈레올라 셉텐트리오날리스(Galeola septentrionalis) 리히아르트 폰 헨 Rchb.f. |
학술 분류 | |
계 | 식물계(Plantae) |
문 (계통군) | 피자식물(Angiosperms) |
강 (계통군) | 외떡잎식물(Monocots) |
목 | 비짜루목(Asparagales) |
과 | 난초과(Orchidaceae) |
속 | 키르토시아속(Cyrtosia) |
종 | 키르토시아 셉텐트리오날리스(Cyrtosia septentrionalis) |
2. 특징
으름난초는 엽록체가 없어 광합성을 하지 못하므로, 갓버섯과 난균근(蘭菌根)을 형성하여 영양적으로 기생하는 등 전적으로 다른 생물에 의존하여 영양분을 얻는다.[10] 지하에는 굵은 지하경이 있어 길게 옆으로 뻗으며, 지하경에는 잎의 비늘 조각 모양인 인엽이 붙어 있다. 초여름에는 꽃자루를 뻗는데, 높이가 50~100cm에 달하고, 전체가 노란색 또는 진한 분홍색이며, 인엽은 거의 보이지 않는다. 가지 끝에 피는 꽃은 3cm 가까이 되며, 전체가 크림색이고 육질이다.[10]
열매는 가을에 성숙하며 타원형의 다육질이고, 익을수록 무겁게 늘어져서, 다수의 비엔나 소시지를 매달아 놓은 듯한 모습이 된다.[11] 부생란류는 매우 생육 환경이 한정되는 경우가 많지만, 으름난초는 삼림 내라면 비교적 어디에서나 나타나며, 삼나무나 노송나무의 인공림 등에서도 볼 수 있다.
2. 1. 형태

지상부에는 잎이 없고, 땅에서 곧게 뻗은 노란색 꽃자루가 나와 높이 1m에 달한다. 가을이 되면 꽃자루 윗부분에 열매가 맺히고, 익으면 길이가 10cm 정도가 되며, 줄기를 포함하여 전체가 새빨갛게 된다. 덩어리째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열매에는 당분이 포함되어 있어[9], 사람이 약간 단맛을 느낄 수 있지만, 탄닌이 많이 들어 있고, 화학 약품과 같은 강한 냄새와 쓴맛이 있어 식용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민간에서는 "토통초(土通草)"라고 불리며, 강장·강정 약으로 여겨진다. 약용 술의 재료로 사용되지만, 약효에 대한 공식적인 보고는 거의 없다. 채집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검게 변한다. 씨앗은 난초과로서는 비교적 크고, 육안으로 형태를 확인할 수 있다.
2. 2. 생태
갓버섯과 란균근을 형성하여 영양적으로 기생한다. 숲 속이라면 비교적 어디에서나 나타나며, 삼나무나 노송나무의 인공림 등에서도 볼 수 있다.일반적으로 난초과 식물은 먼지 종자라고 불리는 매우 미세한 종자를 대량으로 바람에 날리는 종자 산포를 하지만, 2015년 교토 대학의 연구에 의해 직박구리 등의 새에 의한 으름난초의 종자 산포가 밝혀졌다. 이것은 세계 최초의 난초과 식물에 있어서 동물에 의한 종자 산포 보고이다.[12]
3. 분류
난초과 으름난초속( Cyrtosiala )은 열대에서 온대 아시아, 뉴기니섬에 5종이 있으며, 모두 부생식물이다. 일본에는 이 속에 으름난초 1종이 분포한다.
으름난초속의 이명으로 Galeolala가 있으며, 일본에서는 으름난초 외에 타카츠루란(별명: 덩굴투구난초) (Erythrorchis altissimala (Blume) Blume, 이명: Galeola altissimala (Blume) Reichb.fil.)이 야쿠시마 이남에 알려져 있다. 타카츠루란은 덩굴성이며, 높이는 5m에 달하는 일본 최대의 난이다. 환경성 레드 리스트에서는 절멸 위기 IA류(CR)이다.
4. 이용
으름난초의 열매는 당분이 포함되어 있어[9] 사람이 먹으면 약간 단맛을 느낄 수 있다. 하지만 탄닌이 많이 들어있고, 화학 약품과 같은 강한 냄새와 쓴맛이 있어 식용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민간에서는 "토통초(土通草)"라고 불리며 강장·강정제로 쓰이기도 한다. 약용 술의 재료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약효에 대한 공식적인 보고는 거의 없다.
5. 문화
일본에서는 "산신의 석장(山の神の錫杖)"[13] 외에도 "여우의 석장", "야마토우가라시"[14], "야마가미노샤쿠조", "야마타가라시", "산호"[15] 등으로 불린다.
6.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Kew World Checklist of Selected Plant Families
http://apps.kew.org/[...]
[2]
웹사이트
Flora of China, v 25 p 169, 血红肉果兰 xue hong rou guo lan, ''Cyrtosia septentrionalis''
http://www.efloras.o[...]
[3]
논문
Autogamous fruit set in a mycoheterotrophic orchid ''Cyrtosia septentrionalis''
2013-03
[4]
웹사이트
ツチアケビ
http://www.jpnrdb.co[...]
[5]
웹사이트
Cyrtosia septentrionalis
http://www.catalogue[...]
[6]
웹사이트
Kew World Checklist of Selected Plant Families
http://apps.kew.org/[...]
[7]
웹사이트
Flora of China, v 25 p 169, 血红肉果兰 xue hong rou guo lan, ''Cyrtosia septentrionalis''
http://www.efloras.o[...]
[8]
논문
Autogamous fruit set in a mycoheterotrophic orchid ''Cyrtosia septentrionalis''
2013-03
[9]
서적
日本の野生植物 草本I 単子葉植物
平凡社
1989
[10]
서적
日本の野生植物 草本I 単子葉植物
[11]
간행물
朝日百科 世界の植物
朝日新聞社
1982
[12]
뉴스
光合成をやめたラン科植物ツチアケビにおける鳥による種子散布 -動物に種子散布を託す初めてのラン科植物の発見-
http://www.kyoto-u.a[...]
京都大学
2018-09-03
[13]
서적
南方熊楠全集 第2巻
[14]
서적
花と樹の事典
[15]
서적
草木辞苑
1988
[16]
웹사이트
1200000655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