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의릉 (고려 목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의릉(義陵)은 고려 제7대 왕 목종(穆宗, 재위 997년 ~ 1009년)과 그의 왕비 선정왕후 유씨(宣正王后 劉氏)의 능입니다.
위치 및 특징:


  • 위치: 원래 목종은 1009년 강조(康兆)의 정변으로 폐위된 후 적성현(積城縣)에서 시해되었고, 시신은 화장되어 공릉(恭陵)에 안장되었습니다. 이후 1012년(현종 3년) 현종이 공릉을 개성 동쪽으로 이장하고 의릉이라 개칭했습니다. 현재 의릉의 정확한 위치는 북한 황해북도 개성특별시에 있는 것으로 추정되나, 정확한 위치는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 형태: 의릉은 현재 정확한 위치가 알려지지 않아 능제나 구조 및 시설은 밝혀진 것이 없습니다. 다만, 폐위된 목종의 제1비인 선정왕후 사후에 선정왕후와 함께 묻힌 합장릉입니다.
  • 특징: 고려 왕릉은 대부분 가파른 산비탈에 장방형으로 구획한 뒤 3단 남짓의 계단을 깐 형태로 만들어져 있으며, 병풍석과 난간석으로 봉분을 보호하고 상석, 장명등, 망주석, 석수, 문인석, 무인석, 정자각, 능비 등을 배치해 왕릉의 격을 높였습니다.

목종의 생애:

  • 목종은 경종(景宗)과 헌애왕후 황보씨(獻哀王后 皇甫氏)의 아들로, 980년에 태어났습니다.
  • 997년 성종(成宗)의 뒤를 이어 즉위하였으나, 어머니 천추태후(千秋太后)가 섭정하였습니다.
  • 재위 기간 동안 개정전시과(改定田柴科)를 실시하고, 숭불정책(崇佛政策)을 펼치는 등 제도 정비에 힘썼습니다.
  • 1009년 강조의 정변으로 폐위되어 유배를 가던 중 살해되었습니다.

의릉 관련 추가 정보:

  • 목종은 고려 왕조 왕사에서 첫 번째로 시해당한 군주입니다.
  • 처음 강조가 올린 묘호는 민종(愍宗), 시호는 선령대왕(宣靈大王), 능호는 공릉(恭陵)이었으나, 현종이 묘호를 목종(穆宗), 시호를 목종선양대왕(穆宗宣讓大王), 능호를 의릉(義陵)으로 고쳤습니다.
  • 목종 대에는 서경(西京)을 중시하여, 서경의 명칭을 호경(鎬京)으로 고치기도 했습니다.


의릉 (고려 목종)
기본 정보
의릉
의릉
능 위치개성시
좌표37°54′00″N 126°33′00″E
이름목종
생몰년980년 ~ 1009년
재위997년 ~ 1009년
訟 (송)
시호효공양헌대왕(孝恭讓憲大王)
묘호목종(穆宗)
왕비
성씨김씨
본관경주 김씨
칭호선정왕후(宣正王后)
진릉(眞陵)
기타 정보
지정 번호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보 제179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