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극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이극감(李克堪, 1423년 ~ 1465년 7월 28일)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학자입니다.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덕여(德輿), 호는 이봉(二峯), 시호는 문경(文景)입니다.
생애 및 활동:


  • 1423년(세종 5년) 한양 교동(校洞)에서 태어났습니다. 아버지는 우의정 이인손(李仁孫)입니다.
  • 어려서부터 영특하여 1444년(세종 26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 집현전에 들어갔습니다.
  • 1447년(세종 29년) 문과 중시(重試)에 합격하여 부수찬이 되었고, 세자시강원에서 세자(훗날의 예종)를 가르쳤습니다.
  • 세조 즉위 후 좌익공신 3등에 녹훈되고, 이조참의, 동부승지, 이조참판을 거쳐 형조판서에 이르렀습니다.
  • 세조의 깊은 신임을 받았으며, 세조는 그를 친구처럼 대하기도 했습니다.
  • 1461년(세조 7년)에는 왕명으로 신숙주와 함께 『북정록(北征錄)』을 편찬했습니다.
  • 『국조보감(國朝寶鑑)』, 『치평요람(治平要覽)』, 『의방유취(醫方類聚)』 등의 편찬 및 교정에도 참여했습니다.
  • 1465년(세조 11년) 부모 상을 연이어 당하고, 같은 해 형조판서에 임명되었으나 병으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 사후 2년 뒤인 1467년(세조 13년) 좌익공신 3등으로 광성군(廣城君)에 봉해졌습니다.

평가:

  • 총명하고 기억력이 뛰어났으며, 청렴한 처세로 명성이 높았습니다.
  • 한 번도 술로 손님을 접대하지 않고 집에서 술을 담그지도 않았다고 합니다.
  • 재주를 믿고 사람을 얕보며 염치와 양보하는 마음이 없다는 평가도 있습니다. (세조실록)
  • 형조판서가 된 이후 뇌물을 많이 받았다는 기록도 있습니다. (세조실록)
  • 명문장가로도 이름이 높았습니다. 그의 문집은 전해지지 않지만, 서거정의 '동문선(東文選)'에 그의 시 몇 수가 실려 있습니다.

가족 관계:

  • 증조부: 이집(李集, 호는 둔촌)
  • 조부: 이지직(李之直)
  • 부: 이인손(李仁孫)
  • 형: 이극배(李克培)
  • 아들: 이세좌(李世佐), 이세우(李世佑), 이세걸(李世傑)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