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브라힘 파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브라힘 파샤는 1789년 오스만 제국 영토에서 태어난 무함마드 알리의 장남으로, 이집트 군인이자 정치가였다. 그는 아버지의 이집트 통치 확립 과정에서 인질로 보내지기도 했지만, 이후 아라비아와 그리스 독립 전쟁 등에서 군사적 업적을 세웠다. 특히 와하브 운동 진압, 그리스 독립 전쟁 개입, 오스만 시리아 정복 등을 통해 두각을 나타냈으며, 시리아 총독을 역임하기도 했다. 말년에는 건강이 악화되었고, 1848년 섭정을 거쳐 그 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이브라힘 파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샤를-필리프 라리비에르의 이브라힘 파샤 초상화 (1846년경)
샤를-필리프 라리비에르의 이브라힘 파샤 초상화 (1846년경)
칭호헤디브
역대이집트의 왈리, 또한 수단, 시리아(팔레스타인 및 트란스요르단 포함), 헤자즈, 모레아, 타소스, 크레타
재위 기간1848년 7월 20일 – 1848년 11월 10일
이전무함마드 알리
계승자압바스 힐미 1세
배우자하디자 카딘
시베키아르 카딘
호시야르 카딘
울페트 카딘
굴자르 카딘
사라 카딘
자녀무함마드 베이 왕자
아흐메드 리파트 파샤 왕자
이스마일, 이집트 헤디브
무스타파 파질 파샤 왕자
왕가알라위야
아버지무함마드 알리
어머니아미나 하님
출생일1789년
출생지카발라 또는 누스라틀르, 드라마, 루멜리아 에얄레트, 오스만 제국 (현재의 카발라, 그리스)
사망일1848년 11월 10일
사망지카이로, 이집트 에얄레트
매장일1848년 11월 10일 (사망 11시간 후)
매장지호쉬 알-바샤 이맘 알-샤피이 영묘, 카이로, 이집트
군사 정보
소속
이집트 에얄레트
군종오스만 제국군
이집트군
참전 전투오스만-사우디 전쟁
나즈드 원정 (1817–1818)
마위야 전투 (1817)
디리야 공성전
그리스 독립 전쟁
제3차 미솔롱기 공성전
크렘미디 전투
스팍테리아 전투 (1825)
마니아키 전투
레르나 제분소 전투
이집트-오스만 전쟁 (1831–1833)
아크레 공성전 (1832)
홈스 전투 (1832)
콘야 전투
베이란 전투
팔레스타인 농민 반란
헤브론 전투
알-카라크 공성전 (1834)
이집트-오스만 전쟁 (1839–1841)
네지브 전투
기타 정보
로마자 표기Ibeurahim Pasyah

2. 초기 생애 및 배경

이브라힘 파샤는 1789년 오스만 제국 영토(현재 그리스 마케도니아 지방) 카발라에서 무함마드 알리와 그의 정실 부인 아미나 하네음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16세 때(1808년) 아버지를 보좌하기 위해 카이로로 갔다. 1809년 인질로 이스탄불로 보내졌으나, 혼란스러운 제국을 보고 낙담한다.[3]

1813년 무함마드 알리가 사우드 왕가와의 전쟁을 수행하기 위해 아라비아로 갔을 때 이브라힘은 상이집트의 지휘를 맡았다. 그는 맘루크의 잔여 세력을 진압하며 전쟁을 계속했다. 1816년에는 아라비아에 있는 이집트군 사령관으로 형 투순 파샤를 계승했다.[3]

2. 1. 출생 및 가족

이브라힘 파샤는 1789년 오스만 제국의 루멜리아 속주, 현재 그리스 드라마 근처 마을 누스랏리(현재 니키포로스)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이집트의 무함마드 알리이며, 어머니는 아미나 하님(1770-1824)이다.[3] 어머니는 오스만 제국의 관리 세레즐리 알리 베이의 미망인이자 누스랏리 출신 오스만 제국 주요 인물 알리 아가의 딸이었다. 이브라힘은 무함마드 알리와 아미나 하님 사이에서 태어난 첫째 아들이었다.

이브라힘 파샤

2. 2. 초기 경력

어머니는 아미나 하님(Amina Hanim)이었다. 그녀는 오스만 제국의 관리 세레즐리 알리 베이(Serezli Ali Bey)의 미망인이자 누스랏리(Nusratli) 출신 오스만 제국 주요 인물 알리 아가(Ali Aga)의 딸이었다. 이브라힘은 이집트의 무함마드 알리와의 사이에서 태어난 첫째 아들이었다. 그는 현재 그리스 마케도니아 지역의 동부에 위치한 그리스 드라마 근처 마을 누스랏리(Nusratli)(현재 니키포로스)에서 태어났다고 알려져 있다. 당시는 오스만 제국의 루멜리아(Rumelia) 주였다.[3]

1805년, 아버지 무함마드 알리가 이집트 통치자로서의 지위를 확립하기 위한 투쟁 중 16세의 젊은 이브라힘은 오스만 제국의 카푸단 파샤(Kapudan Pasha)에게 인질로 보내졌다. 그러나 아버지가 오스만 술탄에 의해 이집트의 왈리(Wāli)로 인정받고 알렉산드리아 원정에서 영국군 원정대를 무찌른 후 이집트로 돌아갈 수 있었다.[3]

1813년 무함마드 알리가 사우드 왕가와의 전쟁을 수행하기 위해 아라비아로 갔을 때 이브라힘은 상이집트의 지휘를 맡았다. 그는 마멜루크의 잔여 세력을 진압하며 전쟁을 계속했다. 1816년에는 아라비아에 있는 이집트군 사령관으로 형 투순 파샤(Tusun Pasha)를 계승했다.[3] 1810년, 이집트로 돌아와 재무장관이 되어 재정 기반 확립에 공헌했다.

3. 군사 경력



이브라힘 파샤는 1818년 아라비아 원정에서 원정군 사령관으로 참전하여 뛰어난 군사적 재능을 발휘, 제1차 사우드 왕국을 멸망시켰다.[3] 와하브 운동에 대한 잔혹성 때문에 이집트에서 "카히르 알 와하비인"(Qahir Al Wahhabiyyin, 와하브파의 멸망자)이라고 불렸다.[4]

1832년 제1차 시리아 전역에서 활약하여 1833년 시리아의 통치자가 되었고, 1839년 제2차 시리아 전역을 승리로 이끌었다.[3]

3. 1. 와하브 운동 진압 (오스만-사우디 전쟁)

무함마드 알리는 이미 그의 군대에 유럽식 훈련을 도입하기 시작했고, 이브라힘 또한 어느 정도 훈련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지만, 그의 첫 번째 원정은 이후의 작전들보다 구식 아시아 방식에 더 가까웠다.[3] 이 전쟁은 2년 동안 지속되었고, 사우드 왕가의 멸망으로 끝났다. 무함마드 알리는 1813년 메디나의 항구인 얀부에 상륙했다. 성지들은 사우디로부터 탈환되었고, 이브라힘의 임무는 그들을 네지드 사막으로 추격하여 그들의 요새를 파괴하는 것이었다. 이집트군이 받은 훈련과 그들의 포병은 그들에게 야전에서 확실한 우위를 제공했다. 그러나 메디나에서 동쪽으로 약 약 643.74km 떨어진 사우디의 거점 디리야로 사막을 횡단하는 어려움 때문에 정복은 매우 힘든 일이었다. 이브라힘은 그의 군대의 모든 고난을 함께 나누고, 실패에 굴하지 않고 끊임없는 활력과 인내심을 보였다. 1818년 9월 말까지 그는 사우디 지도자 압둘라 빈 사우드의 항복을 받아내고 디리야를 함락하여 약탈했다.[3] 이브라힘 파샤는 와하브 운동에 대한 그의 잔혹성 때문에 이집트에서 "카히르 알 와하비인"(Qahir Al Wahhabiyyin, 와하브파의 멸망자)이라고 불렸다.[4]

3. 2. 그리스 독립 전쟁 개입 (모레아 원정)

이브라힘 파샤가 1826년 메솔롱기(Missolonghi)를 공격하는 모습 (주세페 피에트로 마졸라 작).


이브라힘 파샤, 그의 아버지 무함마드 알리 파샤와 콜로넬 세브(술레이만 파샤, 오른쪽).


1824년, 오스만 제국의 술탄 마흐무드 2세는 그리스 독립 전쟁을 진압하기 위해 이브라힘의 아버지 무함마드 알리를 펠로폰네소스(Peloponnese) 반도(모레아) 총독으로 임명했다.[3] 1822년 그리스군은 술탄자데 마흐무드 드라마리 파샤가 이끄는 약 3만 명의 오스만 군대를 격파한 상황이었다.

이브라힘은 함대와 1만 7천 명의 군대를 이끌고 펠로폰네소스로 파견되었다. 1824년 7월 4일에 출항했지만, 로도스(Rhodes)와 크레타(Crete) 사이를 오가며 몇 달 동안 발이 묶였다. 그리스 방화선(fire ship)에 대한 두려움 때문이었다. 그리스 선원들이 임금 미지급으로 반란을 일으킨 후에야, 이브라힘은 1825년 2월 26일 모돈(Modon)에 상륙할 수 있었다. 그는 1828년 10월 1일 서구 열강(Western powers)의 개입으로 항복할 때까지 모레아에 머물렀다.[3]

그는 야전에서 그리스군을 패배시켰고, 메솔롱기(Missolonghi) 공성전에서 많은 병력을 잃었지만 1826년 4월 24일 결국 함락시켰다. 그러나 마니에서는 세 번이나 패배했다. 그리스 게릴라전(guerrilla warfare) 부대가 그의 군대를 괴롭히자, 그는 보복으로 그 지역을 황폐화시키고 수천 명의 주민들을 노예(slavery)로 이집트에 보냈다. 이러한 탄압은 유럽에서 큰 분노를 일으켜, 영국, 프랑스 복고 왕국, 러시아 해군이 나바리노 해전(Battle of Navarino)(1827년 10월 20일)에 개입하게 만들었다. 이 해전에서 오스만-이집트 함대는 대패했고, 프랑스 원정군(모레아 원정(Morea expedition))이 상륙했다. 결국 1828년 10월 1일 항복 조건에 따라 이브라힘은 모레아에서 철수했다.[3]

3. 3.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 (시리아 원정)

1831년, 아버지 무함마드 알리오스만 제국의 숭고한 문 사이의 불화가 극에 달하자 이브라힘은 오스만 시리아 정복을 위해 파병되었다. 1832년 5월 27일 격렬한 아크레 공성전 끝에 아크레를 함락하고, 다마스쿠스를 점령했으며, 7월 8일 히므스에서 오스만 군대를 격파하고, 7월 29일 베일란에서 또 다른 오스만 군대를 격파하고, 소아시아를 침략하여 마침내 12월 21일 코니아에서 대재상 레시드 메흐메드 파샤를 격파했다.[3] 시리아에서 그는 수피 신비주의자 우마르 탈을 만났는데, 기록에 따르면 우마르 탈은 이브라힘 파샤의 아들을 치명적인 열병에서 치료했다고 한다. 우마르 탈은 이브라힘 파샤에게 영감을 받았고, 소코토로 돌아온 후 파샤가 설정한 방식을 따랐다. 우마르 탈은 나중에 현재 기니, 세네갈, 말리에 있는 투쿨르 제국의 지휘관이 되었다.

1833년 5월 6일 퀴타야 조약으로 시리아는 일시적으로 무함마드 알리의 손에 넘어갔다. 이브라힘은 그의 군대에 있던 셰브 대령과 유럽 장교들의 도움을 받았음이 분명하다. 1832년과 1833년 전역 이후 이브라힘은 시리아 총독으로 남았다. 그는 아마도 성공적으로 통치했을지도 모르지만, 아버지가 강요한 착취는 그의 정부의 인기를 떨어뜨리고 반란을 야기했다.[3] 그는 1834년부터 1837년까지 참모총장이었던 프랑스 장교 보포르 도토풀의 도움을 받았다.[5]

1834년 팔레스타인 농민 반란 중 이브라힘 파샤는 반란 지도자 카심 알 아흐마드를 추격하여 요르단 강 동쪽 도시 알 카락을 17일 동안 공성했다. 8월 말 도시 성벽에 구멍이 뚫린 후 알 카락은 파괴되었고, 카심을 숨겨준 주민들에 대한 처벌로 도시 밖 과수원이 뿌리째 뽑혔다. 이브라힘 파샤의 추가적인 보복을 두려워한 반란 지도자들은 이집트인들에게 넘겨졌다.[6]

1838년, 숭고한 문은 다시 투쟁할 만큼 강해졌고, 전쟁이 다시 발발했다. 이브라힘은 1839년 6월 24일 네집에서 아버지를 위해 마지막 승리를 거두었다. 그러나 영국과 오스트리아 제국은 오스만 제국의 완전성을 유지하기 위해 개입했다. 그들의 함대는 이집트와의 해상 교류를 차단했고, 전반적인 반란은 그를 시리아에서 고립시켰고, 그는 마침내 1841년 2월 그곳을 철수해야 했다.[3]

카라크인들은 6년 후 파샤와 그의 이집트 군대가 다마스쿠스에서 쫓겨났을 때 이브라힘 파샤에게 복수를 했다. 1841년 파샤와 그의 군대가 다마스쿠스에서 하즈 길을 따라 이동할 때, 그들은 카트라네에서 가자까지 계속 공격을 받았다. 지친 군대는 살해당하고 약탈당했고, 이브라힘 파샤가 가자에 도착했을 때 사령관은 그의 군대, 탄약 및 동물 대부분을 잃었다.[7]

4. 말년

시리아 철수 이후 이브라힘은 남은 생을 평화롭게 보냈지만, 건강이 악화되었다.[1] 1846년, 서유럽을 방문하여 존경과 호기심의 대상이 되었다.[1] 아버지가 노쇠해짐에 따라 1848년 7월부터 섭정을 맡았으나,[1] 같은 해 11월 병으로 사망했다.[1] 아들 이스마일 파샤(إسماعيل باشا)가 어렸기 때문에 조카인 압바스 파샤(عباس باشا)가 뒤를 이었다.[1]

5. 평가 및 유산

제공된 소스에 이브라힘 파샤에 대한 평가 및 유산 관련 내용이 없으므로, 해당 섹션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6. 훈장

훈장수여 연도
오스만 제국 공훈 훈장1817년
성 요셉 훈장 기사 작위1845년
레지옹 도뇌르 훈장 대십자장1845년
탑과 검의 훈장 대십자장(GCTE)1846년


참조

[1] 웹사이트 Ibrahim Pasha https://www.presiden[...] 2024-03-20
[2] 서적 Mehmed Ali: From Ottoman Governor to Ruler of Egypt Oneworld Publications 2009
[3] 백과사전 Ibrahim Pasha
[4] 웹사이트 The Egyptian empire 1805-1885 http://www.kobiljski[...]
[5] 서적 An occasion for war: civil conflict in Lebanon and Damascus in 1860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2-05-13
[6] 서적 https://books.google[...] 1995
[7] 서적 Frontiers of the State in the Late Ottoman Empire: Transjordan, 1850–192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06-08
[8] 서적 Mehmed Ali: From Ottoman Governor to Ruler of Egypt Oneworld Publications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