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소 (1223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소는 1223년(고종 10년)에 태어나 1282년(충렬왕 8년)에 사망한 고려 시대의 문신이다. 그는 이양준의 아들로, 1237년 양온서 동정을 시작으로 인천군사 판관, 전법판서, 삼사의 지삼사사 등을 역임했다. 관직은 통의대부에 이르렀으며, 사후 금자광록대부 지문하성사 상장군 판예부사에 증직되었다. 슬하에 이윤운과 이윤번 두 아들을 두었다.
이소는 이양준(李陽俊)의 아들로 1223년에 태어나 1282년에 사망하였다.[1] 그는 고려 고종 때부터 충렬왕 때까지 여러 관직을 역임한 문신이다.
2. 생애
이소는 무신정권 중반부터 몽골 간섭기까지 고려의 관리로 활동하였다. 덕수 이씨 가문 최초의 문신이며, 어린 나이에 국자감시에 급제할 정도로 뛰어난 능력을 보였다.[1]
관직은 궁중의 술을 관리하는 양온서 동정(정8품)으로 시작하여 국자감시 급제 후 인천군사 판관을 거쳐 전법판서, 지삼사사(정3품) 겸 세자내직랑을 지냈다. 품계는 통의대부(종3품)에 이르렀으며 사후 금자광록대부 지문하성사 상장군 판예부사(종1품)에 증직되었다.[1]
슬하에 두 아들을 두었는데, 장남은 이윤운(덕수부원군), 차남은 이윤번(증참찬공)이다.[1]연도 나이 관직 1254년 32세 자주 부사 1255년 33세 권지 합문지후, 감찰어사 1256년 34세 합문지후 1257년 35세 금오위 장사 1258년 36세 제릉서령, 합문지후 1262년 40세 합문사(여름), 고공낭중(정5품, 겨울) 1263년 41세 예빈소경(종4품), 안북대도호부 부사 1265년 43세 이윤번 출생, 어대 하사, 병부낭중(12월) 1268년 46세 장작소경(종4품), 군기감, 호부시랑(정4품) 1272년 50세 위위경(종3품) 1275년 53세 태복시사(정3품) 1277년 55세 세자 내직랑 겸직 1279년 57세 자삼사사(정3품) 1282년 60세 통의대부 전법판서 지삼사사겸 세자내직랑 재임 중 별세, 증 금자광록대부 지문하성사 상장군 판예부사(종1품)
배위는 무안 박씨로 공역서 정승 박유영의 따님이며 조부는 상의봉어 박문강이다. 외조부는 도안 이자화이다.[1] 묘는 개풍군 중면 덕수리 왕대동 170번지(군장산)에 있다.[1]
2. 1. 출생과 초기 관직
고종 10년(1223년) 추밀공 이양준(李陽俊)의 아들로 태어났다.[1] 15세에 양온서 동정(정8품)이 되고,[1] 19세에 국자감 시험에 급제하여 인천군사 판관이 되었다.[1] 21세에 부친 추밀공 이양준(李陽俊)이 별세하였다.(향년 42세)[1]
연도 | 나이 | 관직 |
---|---|---|
1237년 | 15세 | 양온서 동정(정8품) |
1238년 | 16세 | 양온령 동정 |
1239년 | 17세 | 위위주부 동정 |
1241년 | 19세 | 국자감 시험 급제, 인천군사 판관 |
1245년 | 23세 | 상의직장 동정(정7품) |
1246년 | 24세 | 북면도감 판관 |
1247년 | 25세 | 사경원 판관 |
1248년 | 26세 | 복두점 녹사, 예빈승(종6품) |
1249년 | 27세 | 잡직서령, 추밀원 당후관, 합문지후, 이윤운(李允蒀) 출생, 영광군 부사 |
1251년 | 29세 | 광주 판관 |
1252년 | 30세 | 권지 합문지후 |
2. 2. 중앙 관직 활동
이소는 고종 24년(1237년, 15세)에 양온서 동정(정8품)으로 관직을 시작하였다.[1] 이후 여러 관직을 거쳐 고종 28년(1241년, 19세)에는 국자감 시험에 급제하여 인천군사 판관을 맡았다.[1] 고종 32년(1245년, 23세)에는 상의직장 동정(정7품), 고종 35년(1248년, 26세)에는 예빈승(종6품)을 역임하였다.[1]고종 36년(1249년, 27세)에는 잡직서령, 추밀원 당후관, 합문지후 등을 거쳤으며, 같은 해 영광군 부사로 임명되었고 장남 이윤운이 태어났다.[1] 이후 광주 판관, 권지 합문지후, 자주 부사, 감찰어사 등을 역임하였다.[1]
원종 3년(1262년, 40세)에는 합문사와 고공낭중(정5품)을, 원종 4년(1263년, 41세)에는 예빈소경(종4품)과 안북대도호부 부사를 역임하였다.[1] 원종 6년(1265년, 43세)에는 차남 이윤번이 태어났고, 어대(御帶)를 하사받고 병부낭중이 되었다.[1]
원종 9년(1268년, 46세)에는 장작소경(종4품), 군기감을 거쳐 호부시랑(정4품)으로 승진하였다.[1] 원종 13년(1272년, 50세)에는 위위경(종3품)으로 승진하였다.[1] 충렬왕 1년(1275년, 53세)에는 태복시사(정3품)가 되었고, 충렬왕 3년(1277년, 55세)에는 세자 내직랑을 겸하였다.[1] 충렬왕 5년(1279년, 57세)에는 자삼사사(정3품)에 올랐다.[1]
이소는 무신정권 중반부터 몽골 간섭기까지 고려의 관리로 활동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특히 덕수 이씨 가문 최초의 문신으로서, 어린 나이에 국자감시에 급제할 정도로 뛰어난 능력을 보였다.[1]
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조부 | 이돈수 | 신호위 중랑장 |
조모 | 황려이씨(黃驪李氏) | 교위 이순진의 딸 |
부 | 이양준 | 신호군 중랑장, 흥위위 보승장군, 증직 은청광록대부, 동지추밀원사 어사대부 이부상서 상장군 |
모 | 안동권씨(安東權氏) | 중랑장 권극평(權克平)의 딸 |
본인 | 이소 | 통의대부 전법판서 지삼사사겸 세자내직랑, 증직 금자광록대부 지문하성사 상장군 판예부사(종1품) |
부인 | 무안박씨(務安朴氏) | 공역서 정승 박유영의 딸 |
장남 | 이윤운 | 통헌대부 민부전서, 봉익대부 밀직사 판도판서 상장군, 증직 선충경절공신, 벽상삼한삼중대광 수 첨의정승 감춘추관사 상호군 판전리시사 덕수부원군 |
장남 자부 | 안성군대부인(安城郡大夫人) 낙안김씨(樂安金氏) | 병부상서(兵部尙書) 김취신(金就辛)의 딸 |
차남 | 이윤번 | 순유진사, 도사 증 자헌대부 의정부 좌참찬 |
차남 자부 | 미상 |
4. 평가
이소는 고려 무신정권 중반부터 몽골 간섭기까지 활동한 관리이다. 덕수 이씨 가문 최초의 문신이며, 어린 나이에 남성시(국자감시)에 급제하여 총명함을 보였다. 양온사 동정(정8품)으로 시작하여 인천군사 판관, 전법판서, 지삼사사(정3품) 겸 세자내직랑을 지냈으며, 통의대부(종3품)에 이르렀다. 사후에는 금자광록대부 지문하성사 상장군 판예부사(종1품)에 추증되었다.
슬하에 이윤운, 이윤번 두 아들을 두었으며, 이때부터 덕수 이씨는 두 파로 나뉘었다.
5. 묘소
묘소는 개풍군 중면 군장산 아래 덕수리 왕대동 170번 산 갑좌(甲坐) 언덕에 합폄으로 조성되었으며, 묘표가 세워져 있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