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스라엘의 시나이반도 점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스라엘의 시나이반도 점령은 이스라엘이 시나이반도를 점령했던 일련의 사건들을 의미한다. 이스라엘은 제2차 중동 전쟁 중 1956년 처음으로 시나이반도를 점령했으나, 국제적 압력으로 1957년 철수했다. 이후 1967년 제3차 중동 전쟁(6일 전쟁)에서 시나이반도 대부분을 점령했고, 1970년까지 소모전을 겪었다. 1973년 욤키푸르 전쟁 이후, 1979년 이집트와 평화 조약을 맺고 1982년까지 시나이반도에서 철수했다. 점령 기간 동안 이스라엘은 시나이반도에 정착촌을 건설했으며, 철수 과정에서 야미트 등 일부 정착촌은 철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스라엘-이집트 관계 - 제2차 중동 전쟁
    제2차 중동 전쟁은 1956년 이집트의 수에즈 운하 국유화에 반발한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이 군사 개입하면서 발발했으며, 국제 사회의 압력으로 휴전하고 철수하면서 이집트는 수에즈 운하 통제권을 유지하고, 영국과 프랑스는 영향력을 상실했으며, 이스라엘은 안보를 강화한 사건이다.
  • 이스라엘-이집트 관계 - 이집트–이스라엘 평화 조약
    이집트-이스라엘 평화 조약은 1977년 안와르 사다트 대통령의 이스라엘 방문 이후 체결되었으며, 상호 국가 승인, 전쟁 상태 종식, 관계 정상화, 이스라엘의 시나이 반도 철수를 주요 내용으로 하고, 이집트는 이스라엘을 공식 인정한 최초의 아랍 국가가 되었다.
  • 시나이반도 - 수에즈 지협
    수에즈 지협은 1869년 개통된 수에즈 운하가 위치한 지역으로, 지중해와 홍해를 연결하며, 세계에서 가장 붐비는 해상 운송로 중 하나이자 이집트의 주요 수입원이다.
  • 시나이반도 - 시나이 반란
    시나이 반란은 2011년 이집트 혁명 이후 시나이 반도에서 급진 이슬람 무장 단체들과 이집트 정부 간에 발생한 무력 충돌로, 무법 상태, 안보 병력 감축, 베두인 주민의 소외, 정치적 불안정 등이 원인이며, 이집트 정부의 대응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충돌이 지속되고 국제 사회의 우려를 낳고 있다.
  • 아랍-이스라엘 분쟁 - 2003년 이라크 침공
    2003년 이라크 침공은 2003년 미국, 영국 등의 연합군이 이라크의 대량살상무기 개발 의혹 등을 명분으로 침공하여 사담 후세인 정권을 무너뜨렸지만, 이후 이라크는 혼란과 종파 분쟁에 휩싸인 사건이다.
  • 아랍-이스라엘 분쟁 - 밸푸어 선언
    밸푸어 선언은 1917년 영국 외무장관이 팔레스타인에 유대인 민족 국가 건설을 지지하는 서한을 보낸 것으로, 비유대인의 권리 침해 금지 단서에도 불구하고 이스라엘 건국과 아랍-이스라엘 분쟁의 배경이 되었다.
이스라엘의 시나이반도 점령
점령 정보
사건이스라엘의 시나이반도 점령
일부아랍-이스라엘 분쟁, 수에즈 위기, 6일 전쟁
날짜1956년 10월 29일 – 1957년 3월 7일 (1차 점령)
1967년 6월 5일 – 1982년 4월 25일 (2차 점령)
장소시나이반도, 이집트
동기이스라엘에 대한 이집트 주도 봉쇄 (1949–1967) 저지
결과이집트-이스라엘 평화 조약
판결"1957년 2월:"
이스라엘은 국경의 이집트 측에 국제연합 긴급군을 배치하는 조건으로 시나이에서 철수하는 데 동의함
"1979년 3월:"
이집트는 이스라엘의 주권을 인정하고, 이스라엘에 대한 봉쇄를 종료하고, 이스라엘 국경을 따라 비무장화하기로 합의함
"1982년 4월:"
이스라엘은 시나이반도를 이집트에 반환하지만, 타바에 대한 통제권은 1989년 3월 19일까지 유지함

2. 역사

제2차 중동 전쟁 당시 이스라엘은 시나이반도를 처음 점령했지만, 국제적 압력으로 1957년 철수했다. 철수 조건으로 시나이반도는 비무장화되었고 유엔 긴급군이 주둔했다. 1967년 5월, 가말 압델 나세르 이집트 대통령은 유엔 긴급군을 철수시키고 이집트군을 주둔시켰다. 이스라엘은 전쟁이 임박했다고 판단하여 이집트를 선제 공격, 제3차 중동 전쟁이 발발하여 시나이반도 대부분을 점령했다.

이후 이집트는 이스라엘을 몰아내기 위해 소모전을 일으켰으나 1970년 전선 변화 없이 끝났다. 1973년 욤키푸르 전쟁이 발발했고, 1975년 수에즈 운하가 재개통되었다. 1979년 평화 조약으로 이스라엘은 1982년까지 시나이반도에서 철수했다.

2. 1. 수에즈 위기 (1956년)

이스라엘군은 제2차 중동 전쟁 중 1956년 10월~11월 기간 동안 시나이반도를 처음으로 점령했지만, 강한 국제적 압력으로 인해 1957년 철수했다. 이 과정에서 이스라엘군은 다음 전쟁을 위해 상세한 지도를 작성하고 보급품 은닉처를 다수 설치했다.[11] 이스라엘 철수 조건으로 시나이반도는 비무장화되었으며, 유엔 긴급군이 파견되어 이스라엘과 이집트 사이의 국경을 순찰했다.

2. 2. 6일 전쟁부터 이스라엘 철수까지 (1967년~1982년)

제2차 중동 전쟁 당시 이스라엘군은 1956년 10월부터 11월까지 시나이반도를 처음 점령했지만, 국제적인 압력으로 1957년에 철수했다. 철수 조건으로 시나이반도는 비무장화되고 유엔 긴급군이 이스라엘과 이집트 국경을 순찰했다. 1967년 5월, 가말 압델 나세르 이집트 대통령은 유엔 긴급군 철수를 명령하고 이집트군을 주둔시켰다. 이스라엘은 전쟁이 임박했다고 판단하여 이집트를 선제 공격했고, 제3차 중동 전쟁 (6일 전쟁)이 발발했다. 3일 만에 이스라엘은 시나이반도 대부분을 점령했다.[9]

이스라엘의 시나이반도 점령 후, 이집트는 이스라엘군을 몰아내기 위해 소모전(1967년~1970년)을 시작했다. 수에즈 운하 지역에서는 소규모 분쟁부터 대규모 전투까지 지속적으로 일어났다. 이스라엘의 포트사이드, 이스마일리아, 수에즈 포격으로 민간인 사상자가 다수 발생하고 수에즈 운하가 파괴되었으며, 70만 명의 이집트 국내 난민이 발생했다.[9] 전쟁은 1970년 전선 변화 없이 끝났다.[10]

1973년 10월 6일, 이집트는 시나이반도 재점령을 위해 바드르 작전을 개시했고, 시리아도 골란고원 탈환 작전을 동시에 시작하여 욤키푸르 전쟁(10월 전쟁)이 발발했다. 1975년 수에즈 운하가 재개통되었고, 안와르 사다트 대통령은 이집트 구축함을 타고 운하를 통과하는 첫 호송대를 이끌었다. 1979년 이집트와 이스라엘은 평화 조약을 맺어 이스라엘이 시나이반도 전역에서 철수하기로 합의했다. 이스라엘은 1982년 4월 26일까지 7단계에 걸쳐 철수를 완료했다.[11]

3. 이스라엘 정착촌

이스라엘 군인들이 야미트에서 주민을 강제로 철수시키는 모습


시나이반도의 이스라엘 정착촌은 지중해 해안과 아카바만 주변, 두 지역으로 나뉘어 있었다.[12] 야미트 지역 정착촌은 철수 이전에 이스라엘이 전부 철거했지만, 아카바만 지역의 오피라(샤름엘셰이크), 디자하브(다하브), 네비옷(누웨이바)은 그대로 남아 철군 이후 이집트에서 개발하였다.

3. 1. 야미트 지역



이스라엘은 야미트를 인구 20만 명 규모의 도시로 성장시킬 계획이었으나,[13] 실제 인구는 3천 명을 넘지 못했다.[14] 이스라엘은 철수 이전에 야미트 지역의 정착촌을 모두 철거했다.[12]

3. 1. 1. 정착촌 목록



이스라엘 정착촌은 지중해 해안과 아카바만 주변, 두 지역으로 나뉘어 있었다.[12] 이스라엘은 야미트 정착촌을 인구 20만 명 가량의 도시로 성장시킬 계획이었지만,[13] 야미트의 인구는 마지막까지 3천 명을 넘지 않았다.[14] 야미트 지역의 정착촌은 철수 이전에 이스라엘이 전부 철거했지만, 아카바만 지역의 오피라(샤름엘셰이크), 디자하브(다하브), 네비옷(누웨이바)은 그대로 남아, 철군 이후 이집트에서 개발하였다.

  • 야미트
  • 아브샬롬
  • 네티브 하아사라
  • 홀릿
  • 디클라
  • 프리엘
  • 수파
  • 탈메이 요세프

3. 2. 아카바만 지역

이스라엘 정착촌은 지중해 해안과 아카바만 주변, 두 지역으로 나뉘어 있었다.[12] 야미트 지역 정착촌은 철수 이전에 이스라엘이 전부 철거했지만, 아카바만 지역의 오피라(샤름엘셰이크), 디자하브(다하브), 네비옷(누웨이바)은 그대로 남아 철군 이후 이집트에서 개발하였다.

3. 2. 1. 정착촌 목록



이스라엘 정착촌은 지중해 해안과 아카바만 주변, 두 지역으로 나뉘어 있었다.[12] 이스라엘은 야미트 정착촌을 인구 20만 명 가량의 도시로 성장시킬 계획이었지만,[13] 야미트의 인구는 마지막까지 3천 명을 넘지 않았다.[14] 야미트 지역의 정착촌은 철수 이전에 이스라엘이 전부 철거했지만, 아카바만 지역의 오피라(샤름엘셰이크), 디자하브(다하브), 네비옷(누웨이바)은 그대로 남아, 철군 이후 이집트에서 개발하였다.

  • 디자하브 (다하브)
  • 네비옷 (누웨이바)
  • 오피라 (샤름엘셰이크)
  • 아비야 소네스타 비치 호텔 (타바)

참조

[1] 서적 Jimmy Carter https://books.googl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 서적 Encyclopedia or the Arab-Israeli Conflict
[3] 백과사전 War of Attrition http://www.britannic[...]
[4] 뉴스 Israeli Completes Pullout, Leaving Sinai to Egypt https://www.nytimes.[...] 1982-04-26
[5] 간행물 Middle East Research and Information Project (MERIP) https://ecf.org.il/m[...] MERIP Reports 1977
[6] 서적 The Arab–Israeli Dilemma (Contemporary Issues in the Middle East) Syracuse University Press 1985-08
[7] 웹사이트 Kintera.org—The Giving Communities http://www.theisrael[...] 2006-03-01
[8] 서적 Jimmy Carter https://books.googl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9] 서적 Encyclopedia or the Arab-Israeli Conflict
[10] 백과사전 War of Attrition http://www.britannic[...]
[11] 뉴스 Israeli Completes Pullout, Leaving Sinai to Egypt https://www.nytimes.[...] 1982-04-26
[12] 간행물 Middle East Research and Information Project (MERIP) https://ecf.org.il/m[...] MERIP Reports 1977
[13] 서적 The Arab–Israeli Dilemma (Contemporary Issues in the Middle East) Syracuse University Press 1985-08
[14] 웹사이트 Kintera.org—The Giving Communities http://www.theisrael[...] 2006-03-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