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스라엘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스라엘 축구 국가대표팀은 오스만 제국 시대에 축구가 처음 소개된 후, 1928년 팔레스타인 축구 협회가 결성되면서 시작되었다. 1929년 FIFA에 가입했으며,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활동하다가 1948년 이스라엘의 독립과 함께 이스라엘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변경되었다. 1954년부터 1974년까지 아시아 축구 연맹(AFC)에 소속되어 활동하며 1964년 AFC 아시안컵 우승을 달성했으나, 아랍 연맹의 보이콧으로 인해 제명되었다. 이후 유럽 축구 연맹(UEFA)에 가입하여 활동하며, 1970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으나, 이후 월드컵이나 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 본선에는 진출하지 못했다. 올림픽에서는 1968년과 1976년 8강에 진출했으며, 2023년 UEFA U-21 챔피언십 4강 진출을 통해 48년 만에 올림픽 본선 진출을 확정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스라엘 축구 국가대표팀 - 이스라엘 U-18 축구 국가대표팀
    이스라엘 U-18 축구 국가대표팀은 이스라엘을 대표하는 18세 이하의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UEFA U-19 챔피언십에 참가하여 1997년 조별 리그 4위, 2022년 준우승을 기록하였다.
  • 이스라엘의 축구 - 이스라엘 축구 협회
    이스라엘 축구 협회는 1928년 창립되어 FIFA 및 AFC에 가입했다가 UEFA로 옮겨 현재 UEFA 소속으로 활동하며, 정치적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 이스라엘의 축구 - 이스라엘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이스라엘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1999년 FIFA 여자 월드컵을 앞두고 정식 창설되었으며, FIFA 여자 월드컵, UEFA 여자 선수권 대회, 올림픽 본선에는 아직 진출하지 못했고, 2023-24 UEFA 여자 네이션스 리그 C에서 1위를 기록했다.
  • 1928년 설립된 축구단 - 부자스포르
    부자스포르는 1928년 이즈미르에서 창단되어 프로 자격을 얻고 쉬페르 리그까지 승격했으나 재정 문제로 해산된 터키의 축구 클럽이다.
  • 1928년 설립된 축구단 - 페르시자 자카르타
    페르시자 자카르타는 1928년 VIJ로 창단되어 1950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된 자카르타 연고의 축구 클럽으로, 페르세리카탄 시대 6회 우승, 2001년 리그 우승, 2018년 리가 1 우승 등을 통해 인도네시아를 대표하는 클럽으로 성장했으며, 자크마니아라는 팬덤을 보유하고 겔로라 붕 카르노 스타디움을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스라엘 축구 국가대표팀
기본 정보
이스라엘 축구 협회 로고
엠블럼
FIFA 트리그램ISR
별칭he (테켈레트, 하늘색과 흰색)
he (하 니브헤레트, 선택된 팀)
협회이스라엘 축구 협회(IFA)
대륙 연맹유럽 축구 연맹(UEFA) (유럽; 1980–81; 1991–현재)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OFC) (오세아니아; 1985–89)
아시아 축구 연맹(AFC) (아시아; 1954–74)
감독란 벤 시몬
주장엘리 다사
최다 출장 선수요시 베나윤(101)
최다 득점 선수에란 자하비(35)
홈 경기장다양한 경기장
FIFA 최고 랭킹15
FIFA 최고 랭킹 날짜2008년 11월
FIFA 최저 랭킹99
FIFA 최저 랭킹 날짜2018년 1월
Elo 최고 랭킹23
Elo 최고 랭킹 날짜1976년 4월
Elo 최저 랭킹81
Elo 최저 랭킹 날짜1959년 12월
유니폼 패턴 (홈)pattern_la1: _isr2223H
pattern_b1: _isr2223H
pattern_ra1: _isr2223H
pattern_sh1: _isr2223H
pattern_so1: _isr2223H
유니폼 색상 (홈)leftarm1: 6FAFFF
body1: 6FAFFF
rightarm1: 6FAFFF
shorts1: FFFFFF
socks1: 6FAFFF
유니폼 패턴 (원정)pattern_la2: _isr2223A
pattern_b2: _isr2223A
pattern_ra2: _isr2223A
pattern_sh2: _isr2223A
pattern_so2: _isr2223A
유니폼 색상 (원정)leftarm2: FFFFFF
body2: FFFFFF
rightarm2: FFFFFF
shorts2: 6FAFFF
socks2: FFFFFF
경기 정보
첫 경기5–0 (카이로, 이집트; 1930년 4월 4일)
이스라엘 국가로: 3–1 (뉴욕, 미국; 1948년 9월 26일)
최대 점수차 승리9–0 (웰링턴, 뉴질랜드; 1988년 3월 23일)
최대 점수차 패배7–1 (카이저슬라우테른, 독일; 2002년 2월 13일)
월드컵
월드컵 출전 횟수1
첫 월드컵1970년
월드컵 최고 성적조별 리그 (1970년)
AFC 아시안컵
출전 횟수4
첫 출전1956년
최고 성적우승 (1964년)
UEFA 유럽 선수권 대회
출전 횟수0
최고 성적해당 없음
아시안 게임
출전 횟수2
첫 출전1958년
최고 성적은메달 (1974년)
메달 기록
AFC 아시안컵


2. 역사

오스만 제국 시대에 축구가 처음 소개되었다.[2] 팔레스타인 축구 협회는 1928년 8월에 결성되었으며, 1929년 6월에 FIFA에 가입했다. 당시 협회는 아랍 및 유대인 클럽뿐만 아니라 영국 위임통치령 기간 동안 이 지역에서 복무하는 영국 경찰관과 군인 클럽으로 구성되었다.[2]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 축구 국가대표팀1934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 이집트를 상대로 데뷔전을 치렀으며, 카이로에서 0-5로 패했다.[2] 이 팀은 레바논과의 친선 경기를 포함하여 5번의 국제 경기를 치렀다.[2]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 축구 국가대표팀이 해산될 때까지 이 5번의 경기에서 국가대표팀은 유대인 선수만 출전시켰다. 각 경기 전에는 영국의 "하느님, 국왕 폐하를 지켜주소서", 유대인(그리고 미래의 이스라엘의) "하티크바", 그리고 상대 팀의 국가가 연주되었다.[2]

1948년, 이 팀은 공식적으로 이스라엘의 축구 국가대표팀이 되었다.[3] 이스라엘 국가대표팀의 독립 국가로서의 첫 경기는 1948년 9월 26일 미국 올림픽 팀을 상대로 치러졌다. 이 경기에서 미국이 1-3으로 승리했으며, 경기 20분 만에 사무엘 벤-드로르가 이스라엘 건국 이후 첫 골을 넣었다.

이스라엘은 1948년 독립 이후 아시아 축구 연맹(AFC)의 창립 멤버 중 하나였다.[4] 1954년부터 1974년까지 아시아 축구 연맹(AFC)에 소속되어 활동했다.[6] 1954년 제2회 마닐라 아시안 게임이 계기가 되어, 대회 중인 1954년 5월 8일에 다른 12개국과 함께 아시아 축구 연맹(AFC)를 설립했지만, 가맹하지는 않았다.[32][33] 아랍 연맹의 이스라엘 보이콧으로 인해 여러 이슬람교 국가들이 이스라엘과의 경기를 거부했다.

1964년 AFC 아시안컵에서 우승한 이스라엘


이스라엘은 1964년 AFC 아시안컵을 개최하여 우승했다. 1968년, 이스라엘은 1968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하여 8강전에서 불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에 패했다.

1970년대 이스라엘 축구 국가대표팀, 텔아비브의 블룸필드 경기장


1969년, 이스라엘은 1970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이스라엘은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경기에서 모르데하이 슈피글러가 득점하여, 이스라엘의 유일한 FIFA 월드컵 득점을 기록했다.

1973년 10월 6일에 제4차 중동 전쟁이 일어나자, 더 이상 대전이 불가능한 상태에 빠졌다.[34] 1974년 아시안 게임에서 이스라엘은 결승전에서 이란에게 0-1로 패했다.[5] 이 경기는 AFC로서의 마지막 경기가 되었다. 1974년 아시안 게임 축구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8]과 쿠웨이트 축구 국가대표팀이 이스라엘과의 2라운드 경기를 거부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1974년 9월 14일에 이란의 수도 테헤란에서 AFC 총회가 개최되어, 이스라엘의 제명이 결정되었다.[34] 쿠웨이트와 다른 무슬림 및 아랍 국가들은 이스라엘과의 경기를 거부했고, 이로 인해 이스라엘은 연맹에서 추방되었다.[6] 이 안건은 찬성 17표, 반대 13표, 기권 6표로 통과되었다.[7][6]

1976년, 이스라엘은 1976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하여 8강전에서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에 패했다.

AFC 아시안컵 기록
연도순위경기득점실점
1956년준우승320165
1960년준우승320164
1964년우승330051
1968년3위4202115
1972년기권+
합계1회 우승139042815



+ ''이스라엘은 개최국 자격으로 예선에 통과했지만, 이후 기권했다.''

아시안 게임 기록
연도라운드경기득점실점
1951불참
1954
19588강320163
1962불참
1966
1970
1974준우승7601244
합계2/1310802307



1973년 10월 6일에 제4차 중동 전쟁이 일어나면서 이스라엘은 더 이상 아시아 축구 연맹(AFC)에서 활동이 불가능한 상태에 빠졌다.[34] 테헤란 아시안 게임에 이스라엘 대표팀은 출전하여 일본을 3-0으로 꺾고 2차 리그에 진출했지만, 쿠웨이트와 북한이 대전을 거부했다. 이스라엘은 부전승과 미얀마전 승리로 결승에 진출, 아자디 스타디움에서 개최국 이란과 맞붙었으나 자책골로 0-1로 패했다.[34] 이 경기는 이스라엘의 AFC 소속 마지막 경기가 되었다.

1974년 9월 14일 테헤란에서 열린 AFC 총회에서 이스라엘 축구 협회는 제명되었고,[34] 이후 지역 연맹 미소속 상태로 활동했다. 1980년대 초, 이스라엘은 대부분의 경기를 UEFA(유럽) 팀과 치렀으며, 1982년 FIFA 월드컵 예선의 유럽 지역 예선에 참가했다. 이후 두 번의 월드컵 예선에서는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OFC) 예선에 참가했다.

로니 로젠탈이 1990년 FIFA 월드컵 예선 (오세아니아)에서 뉴질랜드를 상대로 경기하는 모습


1989년, 이스라엘은 1990년 FIFA 월드컵 예선 (오세아니아)에서 호주와 뉴질랜드를 제치고 우승하여 CONMEBOL–OFC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그러나 플레이오프에서 콜롬비아에 패하며(1–0, 0–0) 월드컵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1991년, 이스라엘 클럽들은 UEFA의 유럽 클럽 대항전에 참가하기 시작했고, 이스라엘은 1992년 월드컵 예선 유럽 지역에 복귀했다. 1994년, 이스라엘은 아시아를 떠난 지 20년 만에 UEFA의 정식 회원국이 되었다. 유럽 내에서 이스라엘은 상대적으로 작은 국가였지만, 몇몇 성공을 거두었는데, 특히 1993년 프랑스와의 파리 원정 경기에서 3-2로 승리했고, 1999년에는 오스트리아를 5-0으로 이겼다. 그 해 이스라엘은 UEFA 유로 2000 예선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지만 덴마크에 패했다.

이스라엘은 2006년 월드컵 예선에서 플레이오프 진출에 근접했으며, 프랑스에 이어 3위를 기록했고, 4승 6무를 기록하며 10경기 무패 행진을 이어간 스위스와 승점이 같았다. 그러나 스위스는 골득실에서 앞서 예선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아브라함 그랜트 감독은 2005년 10월 26일 사임을 발표했다. 그의 계약이 만료된 후, 드로르 카슈탄이 그를 계승했다.

UEFA 유로 2008 예선에서 이스라엘은 본선 진출에 매우 근접했지만, E조에서 2위 러시아에 단 1점 뒤진 4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러시아는 크로아티아와 함께 조 2위로 본선에 직행했고, 잉글랜드와는 승점 23점으로 동률이었지만 잉글랜드 역시 진출에 실패했다. 크로아티아와의 4-3 홈 패배는 13경기 연속 공식 경기 무패 및 9경기 연속 홈 무패 행진을 마감하는 첫 패배였다.

2010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 이스라엘은 다시 스위스, 그리스, 라트비아에 이어 4위를 기록했다. UEFA 유로 2012 예선에서 카슈탄 감독은 프랑스인 루이스 페르난데스로 교체되었지만 이스라엘은 다시 예선 통과에 실패했고, 그리스와 크로아티아에 이어 3위를 기록했다.

이스라엘 축구 협회가 UEFA에 계속 남아 있는 것은 호주가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에서 아시아 축구 연맹으로 이적하는 것을 정당화하는 선례가 되었다.[9]

2018년에는 빌리 루텐슈타이너가 기술 이사로 임명되었다. 국립 축구 아카데미가 설립되었고, 세 개의 지원 개발 센터가 설립되었다.[10]

이후 이스라엘은 월드컵이나 유럽 선수권 대회 본선 진출에 실패했고, 참가한 예선에서 기복 있는 모습을 보이며, 좋은 모습과 그렇지 못한 모습을 번갈아 보여주었다. 그러나 유로 2020 예선에서는 역사적인 기록을 세울 뻔했다. 특히 치열했던 예선 G조에서 5위(전체 2위)를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이스라엘은 네이션스 리그 2018-2019 에디션에서의 순위에 힘입어 플레이오프에 진출할 자격을 얻었다. 먼저 스코틀랜드에서 경로 C 플레이오프 준결승을 치러야 했고, 이 경기에서 승리하여 세르비아에서 열리는 플레이오프 결승에 진출할 자격을 얻었다. 세르비아는 연장전에서 노르웨이를 원정에서 꺾었다. 경기는 치열했고, 이스라엘은 정규 시간과 연장전에서 0-0으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결국 탈락했다(0-0, 3:5). 에란 자하비가 첫 번째 이스라엘 킥을 놓쳤다.

이전 에디션에서 조 1위를 차지하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UEFA가 결정한 형식 변경 덕분에 네이션스 리그 2020-2021 에디션에서 리그 B로 승격된 이스라엘은 2승 2무 2패의 균형 잡힌 기록으로 조에서 3위(전체 2위)를 기록하며 생존을 보장했다. 2022-2023 네이션스 리그에서 이스라엘은 3팀으로 구성된 조에서 1위를 차지했다. (러시아는 참여했어야 했지만, 우크라이나에 대한 침략으로 인해 유럽 및 국제 대회에서 제외되었다.) 알바니아와의 2승(두 경기 모두 2-1)과 아이슬란드와의 2무(각각 2-2) 덕분에 2024-2025 에디션에서 리그 A로 승격되었다.

유로 2024 예선에서 이스라엘은 이전 대회와 마찬가지로 플레이오프 단계에서 탈락했다. 실제로, 이들은 예선 I조에서 3위를 기록했고, 2022-2023 네이션스 리그에서 조 1위를 차지한 덕분에 플레이오프 진출을 확정했다. 경로 B 플레이오프 준결승에서 아이슬란드를 상대로 에란 자하비의 전반 31분 페널티킥으로 선제골을 넣었지만, 우위를 지키지 못하고 완패했다(1-4). 경기의 전환점은 로이 레비보의 거친 반칙으로 인한 후반 73분 퇴장과 에란 자하비가 퇴장 7분 후, 1-2로 점수가 벌어진 상황에서 페널티킥을 실축한 것이었다.

네이션스리그 첫 시즌 리그 C에 편입된 이스라엘은 1조에서 스코틀랜드, 알바니아와 맞붙었다. 그리고 첫 경기에서 알바니아에 0-1로 패했고 스코틀랜드와의 2차전에서는 2-1로 승리를 거두었으며 알바니아와의 3차전에서도 2-0의 완승을 거두며 1차전 패배를 설욕했다. 물론 스코틀랜드와의 최종전에서 2-3으로 패했지만 2승 2패·조 2위로 스코틀랜드와 함께 차기 시즌 리그 B 승격을 확정지었다.

리그 B로 승격된 이후 이스라엘은 슬로바키아, 스코틀랜드, 체코와 2조에 편성되어 6경기에서 2승 2무 2패·조 3위를 기록하며 차기 시즌 리그 A 승격에는 실패했지만 리그 B 잔류에는 성공했다.

colspan="22" style="background:#0d94e1; color:white" "|UEFA 네이션스리그 기록
리그 단계rowspan="7"|결선
시즌리그조 내 순위경기 수득점실점시즌 종료 시 승격/강등전체 순위연도순위경기 수무*득점실점스쿼드
2018–19C12위42026530위 2019진출 실패
2020–21B22위62227725위 2021
2022–23B21위42208617위 2023
2024–25A24위6114513TBD 2025
합계207582631TBD합계


  • 승부차기로 결정된 녹아웃 경기를 포함한 무승부를 나타냅니다.
  • *조별 리그는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표시된 국기는 결선 단계의 개최국을 나타냅니다.

2. 1. 초기 역사 (오스만 제국 및 영국 위임통치령 시기)

오스만 제국 시대에 축구가 처음 소개되었다.[2] 팔레스타인 축구 협회는 1928년 8월에 결성되었으며, 1929년 6월에 FIFA에 가입했다. 당시 협회는 아랍 및 유대인 클럽뿐만 아니라 영국 위임통치령 기간 동안 이 지역에서 복무하는 영국 경찰관과 군인 클럽으로 구성되었다.[2]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 축구 국가대표팀1934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 이집트를 상대로 데뷔전을 치렀으며, 카이로에서 0-5로 패했다.[2] 이 팀은 레바논과의 친선 경기를 포함하여 5번의 국제 경기를 치렀다.[2]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 축구 국가대표팀이 해산될 때까지 이 5번의 경기에서 국가대표팀은 유대인 선수만 출전시켰다. 각 경기 전에는 영국의 "하느님, 국왕 폐하를 지켜주소서", 유대인(그리고 미래의 이스라엘의) "하티크바", 그리고 상대 팀의 국가가 연주되었다.[2]

1948년, 이 팀은 공식적으로 이스라엘의 축구 국가대표팀이 되었다.[3] 이스라엘 국가대표팀의 독립 국가로서의 첫 경기는 1948년 9월 26일 미국 올림픽 팀을 상대로 치러졌다. 이 경기에서 미국이 1-3으로 승리했으며, 경기 20분 만에 사무엘 벤-드로르가 이스라엘 건국 이후 첫 골을 넣었다.

2. 2. 아시아 축구 연맹 (AFC) 소속 시기 (1954년 ~ 1974년)

이스라엘은 1948년 독립 이후 아시아 축구 연맹(AFC)의 창립 멤버 중 하나였다.[4] 1954년부터 1974년까지 아시아 축구 연맹(AFC)에 소속되어 활동했다.[6] 1954년 제2회 마닐라 아시안 게임이 계기가 되어, 대회 중인 1954년 5월 8일에 다른 12개국과 함께 아시아 축구 연맹(AFC)를 설립했지만, 가맹하지는 않았다.[32][33] 아랍 연맹의 이스라엘 보이콧으로 인해 여러 이슬람교 국가들이 이스라엘과의 경기를 거부했다.

이스라엘은 1964년 AFC 아시안컵을 개최하여 우승했다. 1968년, 이스라엘은 1968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하여 8강전에서 불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에 패했다.

1969년, 이스라엘은 1970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이스라엘은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경기에서 모르데하이 슈피글러가 득점하여, 이스라엘의 유일한 FIFA 월드컵 득점을 기록했다.

1973년 10월 6일에 제4차 중동 전쟁이 일어나자, 더 이상 대전이 불가능한 상태에 빠졌다.[34] 1974년 아시안 게임에서 이스라엘은 결승전에서 이란에게 0-1로 패했다.[5] 이 경기는 AFC로서의 마지막 경기가 되었다. 1974년 아시안 게임 축구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8]과 쿠웨이트 축구 국가대표팀이 이스라엘과의 2라운드 경기를 거부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1974년 9월 14일에 이란의 수도 테헤란에서 AFC 총회가 개최되어, 이스라엘의 제명이 결정되었다.[34] 쿠웨이트와 다른 무슬림 및 아랍 국가들은 이스라엘과의 경기를 거부했고, 이로 인해 이스라엘은 연맹에서 추방되었다.[6] 이 안건은 찬성 17표, 반대 13표, 기권 6표로 통과되었다.[7][6]

1976년, 이스라엘은 1976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하여 8강전에서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에 패했다.

AFC 아시안컵 기록
연도순위경기득점실점
1956년준우승320165
1960년준우승320164
1964년우승330051
1968년3위4202115
1972년기권+
합계1회 우승139042815



+ ''이스라엘은 개최국 자격으로 예선에 통과했지만, 이후 기권했다.''

아시안 게임 기록
연도라운드경기득점실점
1951불참
1954
19588강320163
1962불참
1966
1970
1974준우승7601244
합계2/1310802307


2. 3. 국제 대회 유랑 시기 (1974년 ~ 1991년)

1973년 10월 6일에 제4차 중동 전쟁이 일어나면서 이스라엘은 더 이상 아시아 축구 연맹(AFC)에서 활동이 불가능한 상태에 빠졌다.[34] 테헤란 아시안 게임에 이스라엘 대표팀은 출전하여 일본을 3-0으로 꺾고 2차 리그에 진출했지만, 쿠웨이트와 북한이 대전을 거부했다. 이스라엘은 부전승과 미얀마전 승리로 결승에 진출, 아자디 스타디움에서 개최국 이란과 맞붙었으나 자책골로 0-1로 패했다.[34] 이 경기는 이스라엘의 AFC 소속 마지막 경기가 되었다.

1974년 9월 14일 테헤란에서 열린 AFC 총회에서 이스라엘 축구 협회는 제명되었고,[34] 이후 지역 연맹 미소속 상태로 활동했다. 1980년대 초, 이스라엘은 대부분의 경기를 UEFA(유럽) 팀과 치렀으며, 1982년 FIFA 월드컵 예선의 유럽 지역 예선에 참가했다. 이후 두 번의 월드컵 예선에서는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OFC) 예선에 참가했다.

1989년, 이스라엘은 1990년 FIFA 월드컵 예선 (오세아니아)에서 호주와 뉴질랜드를 제치고 우승하여 CONMEBOL–OFC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그러나 플레이오프에서 콜롬비아에 패하며(1–0, 0–0) 월드컵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2. 4. 유럽 축구 연맹 (UEFA) 소속 시기 (1991년 ~ 현재)

1991년, 이스라엘 클럽들은 UEFA의 유럽 클럽 대항전에 참가하기 시작했고, 이스라엘은 1992년 월드컵 예선 유럽 지역에 복귀했다. 1994년, 이스라엘은 아시아를 떠난 지 20년 만에 UEFA의 정식 회원국이 되었다. 유럽 내에서 이스라엘은 상대적으로 작은 국가였지만, 몇몇 성공을 거두었는데, 특히 1993년 프랑스와의 파리 원정 경기에서 3-2로 승리했고, 1999년에는 오스트리아를 5-0으로 이겼다. 그 해 이스라엘은 UEFA 유로 2000 예선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지만 덴마크에 패했다.

이스라엘은 2006년 월드컵 예선에서 플레이오프 진출에 근접했으며, 프랑스에 이어 3위를 기록했고, 4승 6무를 기록하며 10경기 무패 행진을 이어간 스위스와 승점이 같았다. 그러나 스위스는 골득실에서 앞서 예선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아브라함 그랜트 감독은 2005년 10월 26일 사임을 발표했다. 그의 계약이 만료된 후, 드로르 카슈탄이 그를 계승했다.

UEFA 유로 2008 예선에서 이스라엘은 본선 진출에 매우 근접했지만, E조에서 2위 러시아에 단 1점 뒤진 4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러시아는 크로아티아와 함께 조 2위로 본선에 직행했고, 잉글랜드와는 승점 23점으로 동률이었지만 잉글랜드 역시 진출에 실패했다. 크로아티아와의 4-3 홈 패배는 13경기 연속 공식 경기 무패 및 9경기 연속 홈 무패 행진을 마감하는 첫 패배였다.

2010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 이스라엘은 다시 스위스, 그리스, 라트비아에 이어 4위를 기록했다. UEFA 유로 2012 예선에서 카슈탄 감독은 프랑스인 루이스 페르난데스로 교체되었지만 이스라엘은 다시 예선 통과에 실패했고, 그리스와 크로아티아에 이어 3위를 기록했다.

이스라엘 축구 협회가 UEFA에 계속 남아 있는 것은 호주가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에서 아시아 축구 연맹으로 이적하는 것을 정당화하는 선례가 되었다.[9]

2018년에는 빌리 루텐슈타이너가 기술 이사로 임명되었다. 국립 축구 아카데미가 설립되었고, 세 개의 지원 개발 센터가 설립되었다.[10]

이후 이스라엘은 월드컵이나 유럽 선수권 대회 본선 진출에 실패했고, 참가한 예선에서 기복 있는 모습을 보이며, 좋은 모습과 그렇지 못한 모습을 번갈아 보여주었다. 그러나 유로 2020 예선에서는 역사적인 기록을 세울 뻔했다. 특히 치열했던 예선 G조에서 5위(전체 2위)를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이스라엘은 네이션스 리그 2018-2019 에디션에서의 순위에 힘입어 플레이오프에 진출할 자격을 얻었다. 먼저 스코틀랜드에서 경로 C 플레이오프 준결승을 치러야 했고, 이 경기에서 승리하여 세르비아에서 열리는 플레이오프 결승에 진출할 자격을 얻었다. 세르비아는 연장전에서 노르웨이를 원정에서 꺾었다. 경기는 치열했고, 이스라엘은 정규 시간과 연장전에서 0-0으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결국 탈락했다(0-0, 3:5). 에란 자하비가 첫 번째 이스라엘 킥을 놓쳤다.

이전 에디션에서 조 1위를 차지하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UEFA가 결정한 형식 변경 덕분에 네이션스 리그 2020-2021 에디션에서 리그 B로 승격된 이스라엘은 2승 2무 2패의 균형 잡힌 기록으로 조에서 3위(전체 2위)를 기록하며 생존을 보장했다. 2022-2023 네이션스 리그에서 이스라엘은 3팀으로 구성된 조에서 1위를 차지했다. (러시아는 참여했어야 했지만, 우크라이나에 대한 침략으로 인해 유럽 및 국제 대회에서 제외되었다.) 알바니아와의 2승(두 경기 모두 2-1)과 아이슬란드와의 2무(각각 2-2) 덕분에 2024-2025 에디션에서 리그 A로 승격되었다.

유로 2024 예선에서 이스라엘은 이전 대회와 마찬가지로 플레이오프 단계에서 탈락했다. 실제로, 이들은 예선 I조에서 3위를 기록했고, 2022-2023 네이션스 리그에서 조 1위를 차지한 덕분에 플레이오프 진출을 확정했다. 경로 B 플레이오프 준결승에서 아이슬란드를 상대로 에란 자하비의 전반 31분 페널티킥으로 선제골을 넣었지만, 우위를 지키지 못하고 완패했다(1-4). 경기의 전환점은 로이 레비보의 거친 반칙으로 인한 후반 73분 퇴장과 에란 자하비가 퇴장 7분 후, 1-2로 점수가 벌어진 상황에서 페널티킥을 실축한 것이었다.

==== UEFA 네이션스리그 ====

네이션스리그 첫 시즌 리그 C에 편입된 이스라엘은 1조에서 스코틀랜드, 알바니아와 맞붙었다. 그리고 첫 경기에서 알바니아에 0-1로 패했고 스코틀랜드와의 2차전에서는 2-1로 승리를 거두었으며 알바니아와의 3차전에서도 2-0의 완승을 거두며 1차전 패배를 설욕했다. 물론 스코틀랜드와의 최종전에서 2-3으로 패했지만 2승 2패·조 2위로 스코틀랜드와 함께 차기 시즌 리그 B 승격을 확정지었다.

리그 B로 승격된 이후 이스라엘은 슬로바키아, 스코틀랜드, 체코와 2조에 편성되어 6경기에서 2승 2무 2패·조 3위를 기록하며 차기 시즌 리그 A 승격에는 실패했지만 리그 B 잔류에는 성공했다.

colspan="22" style="background:#0d94e1; color:white" "|UEFA 네이션스리그 기록
리그 단계rowspan="7"|결선
시즌리그조 내 순위경기 수득점실점시즌 종료 시 승격/강등전체 순위연도순위경기 수무*득점실점스쿼드
2018–19C12위42026530위 2019진출 실패
2020–21B22위62227725위 2021
2022–23B21위42208617위 2023
2024–25A24위6114513TBD 2025
합계207582631TBD합계


  • 승부차기로 결정된 녹아웃 경기를 포함한 무승부를 나타냅니다.
  • *조별 리그는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표시된 국기는 결선 단계의 개최국을 나타냅니다.

2. 4. 1. UEFA 네이션스리그

네이션스리그 첫 시즌 리그 C에 편입된 이스라엘은 1조에서 스코틀랜드, 알바니아와 맞붙었다. 그리고 첫 경기에서 알바니아에 0-1로 패했고 스코틀랜드와의 2차전에서는 2-1로 승리를 거두었으며 알바니아와의 3차전에서도 2-0의 완승을 거두며 1차전 패배를 설욕했다. 물론 스코틀랜드와의 최종전에서 2-3으로 패했지만 2승 2패·조 2위로 스코틀랜드와 함께 차기 시즌 리그 B 승격을 확정지었다.

리그 B로 승격된 이후 이스라엘은 슬로바키아, 스코틀랜드, 체코와 2조에 편성되어 6경기에서 2승 2무 2패·조 3위를 기록하며 차기 시즌 리그 A 승격에는 실패했지만 리그 B 잔류에는 성공했다.

colspan="22" style="background:#0d94e1; color:white" "|UEFA 네이션스리그 기록
리그 단계rowspan="7"|결선
시즌리그조 내 순위경기 수득점실점시즌 종료 시 승격/강등전체 순위연도순위경기 수무*득점실점스쿼드
2018–19C12위42026530위 2019진출 실패
2020–21B22위62227725위 2021
2022–23B21위42208617위 2023
2024–25A24위6114513TBD 2025
합계207582631TBD합계


  • 승부차기로 결정된 녹아웃 경기를 포함한 무승부를 나타냅니다.
  • *조별 리그는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표시된 국기는 결선 단계의 개최국을 나타냅니다.

3. 국제 대회 기록

### FIFA 월드컵

이스라엘의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은 1970년 대회가 유일하다. 이 대회에서 이스라엘은 우루과이에 0-2로 패했고, 스웨덴이탈리아와는 각각 1-1, 0-0으로 비기며 2무 1패, 조 최하위로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이후 월드컵 본선 진출 기록은 없다.

1998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을 시작으로 꾸준히 승점 10점 이상을 획득하고 있으며, 특히 2006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에서는 10경기 4승 6무로 1970년 이후 36년 만에 월드컵 지역 예선 최다 승점과 무패 기록을 동시에 달성했다.

FIFA 월드컵 본선 기록
년도결과순위경기무*득점실점승점
1970년조별리그12위3021132
합계1회 진출(1/21)조별리그(1회)302132
순위FIFA 월드컵 역대 순위 : 64위



FIFA 월드컵 예선 기록
년도경기무*득점실점승점
1934년20022110[38]
1938년2002140[39]
1970년43108110
2006년10460151018
합계121393448164177151
순위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59위 (유럽 26위)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이스라엘은 1991년 유럽 축구 연맹(UEFA)에 편입된 이후 현재까지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본선에 진출한 기록은 없다. 그러나 UEFA 유로 2008 예선 E조에서 12경기 7승 2무 3패, 조 4위로 역대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 UEFA 유로 2000 예선에서는 8경기에서 25골을 넣어 최다 득점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UEFA 유로컵 예선 기록
년도경기무*득점실점승점
1992년 이전비회원국
1996년10334131312
2000년10415251713
2004년82339119
2008년12723201223
2012년10514131116
2016년10415161413
2020년11335161812
합계712814291129698
순위유로 예선 승점 순위 : 32위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기록rowspan=13 style="width:1; border: none;"|예선 기록
연도라운드선수 명단결과
1960–1992UEFA 회원국 아님UEFA 회원국 아님
1996예선 탈락5위103341313
2000플레이오프8413259
20043위8233911
20084위127232012
20123위105141311
20164위104151614
2020플레이오프113351618
2024플레이오프114341215
2028미정미정
2032
합계style="width:1; border: none;"|플레이오프80321731124103



개최 연도결과경기승리무승부패배득점실점
1996예선 탈락
2000
2004
2008
2012
2016
2020
2024
합계출전 0회000000



### 하계 올림픽

이스라엘은 이전 하계 올림픽 본선 1968년, 1976년 2번의 대회에서 모두 8강에 진출했다. 이후 2023년 UEFA 유러피언 U-21 챔피언십에서 4강에 오르면서 이스라엘 올림픽 대표팀 출범 이후 처음이자 1976년 이후 48년만에 통산 3번째 올림픽 본선 진출에 성공했다.

올림픽 경기 기록
연도라운드순위경기무승부득점실점선수단
1952불참
1956
1960예선 탈락
1964
19688강5위421197선수단
1972예선 탈락
19768강6위403147선수단
1980기권
1984예선 탈락
1988
1992–현재'23세 이하' 경기로 진행
합계8강2/1082421314


3. 1. FIFA 월드컵

이스라엘의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은 1970년 대회가 유일하다. 이 대회에서 이스라엘은 우루과이에 0-2로 패했고, 스웨덴이탈리아와는 각각 1-1, 0-0으로 비기며 2무 1패, 조 최하위로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이후 월드컵 본선 진출 기록은 없다.

1998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을 시작으로 꾸준히 승점 10점 이상을 획득하고 있으며, 특히 2006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에서는 10경기 4승 6무로 1970년 이후 36년 만에 월드컵 지역 예선 최다 승점과 무패 기록을 동시에 달성했다.

FIFA 월드컵 본선 기록
년도결과순위경기무*득점실점승점
1970년조별리그12위3021132
합계1회 진출(1/21)조별리그(1회)3021132
순위FIFA 월드컵 역대 순위 : 64위



FIFA 월드컵 예선 기록
년도경기무*득점실점승점
1934년20022110[38]
1938년2002140[39]
1970년43108110
2006년10460151018
합계121393448164177151
순위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59위 (유럽 26위)


3. 2.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이스라엘은 1991년 유럽 축구 연맹(UEFA)에 편입된 이후 현재까지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본선에 진출한 기록은 없다. 그러나 UEFA 유로 2008 예선 E조에서 12경기 7승 2무 3패, 조 4위로 역대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 UEFA 유로 2000 예선에서는 8경기에서 25골을 넣어 최다 득점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UEFA 유로컵 예선 기록
년도경기무*득점실점승점
1992년 이전비회원국
1996년10334131312
2000년10415251713
2004년82339119
2008년12723201223
2012년10514131116
2016년10415161413
2020년11335161812
합계712814291129698
순위유로 예선 승점 순위 : 32위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기록rowspan=13 style="width:1; border: none;"|예선 기록
연도라운드선수 명단결과
1960–1992UEFA 회원국 아님UEFA 회원국 아님
1996예선 탈락5위103341313
2000플레이오프8413259
20043위8233911
20084위127232012
20123위105141311
20164위104151614
2020플레이오프113351618
2024플레이오프114341215
2028미정미정
2032
합계style="width:1; border: none;"|플레이오프80321731124103



개최 연도결과경기승리무승부패배득점실점
1996예선 탈락
2000
2004
2008
2012
2016
2020
2024
합계출전 0회000000


3. 3. 하계 올림픽

이스라엘은 이전 하계 올림픽 본선 1968년, 1976년 2번의 대회에서 모두 8강에 진출했다. 이후 2023년 UEFA 유러피언 U-21 챔피언십에서 4강에 오르면서 이스라엘 올림픽 대표팀 출범 이후 처음이자 1976년 이후 48년만에 통산 3번째 올림픽 본선 진출에 성공했다.

올림픽 경기 기록
연도라운드순위경기무승부득점실점선수단
1952불참
1956
1960예선 탈락
1964
19688강5위421197선수단
1972예선 탈락
19768강6위403147선수단
1980기권
1984예선 탈락
1988
1992–현재'23세 이하' 경기로 진행
합계8강2/1082421314


4. 팀

wikitext

'''현재 선수 명단'''

다음 선수들은 2024년 11월 14일과 17일에 열린 2024-25년 UEFA 네이션스 리그 프랑스벨기에와의 경기에 소집되었다.[23][24] 출전 횟수와 골은 2024년 11월 18일 벨기에와의 경기 후 기준이다.[25][26][27][28]

등번호포지션이름생년월일출전득점소속팀
1GK다니엘 페레츠2000년 7월 10일40바이에른 뮌헨/FC 바이에른 뮌헨de
18GK로이 미슈파티1992년 11월 23일00마카비 텔아비브
23GK요아브 게라피1993년 8월 29일40하포엘 하이파
2DF엘리 다사1992년 12월 3일650디나모 모스크바
3DF숀 골드버그1996년 8월 25일170마카비 하이파
4DF라즈 슐로모1999년 8월 13일162마카비 텔아비브
5DF이단 나흐미아스1997년 3월 17일90마카비 텔아비브
12DF일라이 페인골드2004년 8월 23일20마카비 하이파
14DF니키타 스토이노프2005년 8월 24일00마카비 네타냐
DF사기브 예헤즈켈1995년 3월 21일90마카비 텔아비브
6MF옴리 간델만2000년 5월 16일41헨트/KAA 헨트nl
8MF도르 페레츠1995년 5월 17일476마카비 텔아비브
9MF디아 사바1992년 11월 18일133마카비 하이파
11MF돌레브 하지자1995년 7월 5일180마카비 하이파
15MF오스카 글루흐2004년 4월 1일183레드 불 잘츠부르크/FC 레드 불 잘츠부르크de
16MF모하마드 아부 파니1998년 4월 27일272페렌츠바로시/페렌츠바로시 TChu
17MF단 비톤1999년 4월 23일30하포엘 베에르셰바
20MF에단 아줄라이2002년 5월 26일20마카비 하이파
22MF마흐무드 자베르1999년 10월 5일100마카비 하이파
MF가비 카니초프스키1997년 8월 24일161마카비 텔아비브
7FW야르덴 슈아1999년 6월 16일11베이타르 예루살렘
10FW마노르 솔로몬1999년 7월 24일417리즈 유나이티드
13FW아난 칼라일리2004년 9월 3일90위니옹 SG/로열 위니옹 생질루아즈프랑스어
19FW도르 투르게만2003년 10월 24일70마카비 텔아비브
21FW딘 다비드1996년 3월 14일61마카비 하이파
FW타이 바리보1998년 1월 15일183필라델피아 유니온
FW리엘 아바다2001년 10월 3일151샬럿 FC
FW가이 멜라메드1992년 12월 21일31하포엘 하이파



다음 선수들은 지난 12개월 동안 이스라엘 대표팀에 소집된 선수들이다.

포지션이름생년월일출전득점소속팀최근 소집
GK옴리 글레이저1996년 3월 11일170츠르베나 즈베즈다/FK 츠르베나 즈베즈다srv. , 2024년 10월 14일
GK샤리프 케우프2001년 6월 25일00마카비 하이파v. , 2024년 10월 14일
GK오메르 니론2001년 4월 17일00마카비 네타냐v. , 2024년 9월 9일
DF데니 그로퍼1999년 3월 16일80루도고레츠 라즈그라드/PFC 루도고레츠 라즈그라드bgv. , 2024년 10월 14일
DF마탄 발탁사1995년 9월 20일20하포엘 베르셰바v. , 2024년 10월 14일
DF로이 레비보2003년 5월 22일60마카비 텔아비브v. , 2024년 9월 9일
DF오프리 아라드1998년 9월 11일100카이라트/FC 카이라트kkv. , 2024년 6월 11일
DF길 코헨2000년 11월 8일00베이타르 예루살렘v. , 2024년 6월 11일
DF우리 다한1999년 12월 7일00베이타르 예루살렘v. , 2024년 6월 11일
DF오피르 다비다자1991년 5월 5일190마카비 텔아비브v. , 2024년 3월 21일
DF미겔 비토르1989년 6월 30일120하포엘 베르셰바v. , 2024년 3월 21일
MF람지 사푸리1995년 10월 21일171안탈리아스포르/안탈리아스포르trv. , 2024년 10월 14일
MF엘리엘 페레츠1996년 11월 18일20하포엘 베르셰바v. , 2024년 10월 14일
MF네타 라비1996년 8월 25일220감바 오사카/감바 오사카일본어v. , 2024년 9월 9일
MF단 글레이저1996년 9월 20일211파리 니즈니 노브고로드/FC 파리 니즈니 노브고로드ruv. , 2024년 6월 11일
MF가디 킨다1994년 3월 23일102마카비 하이파v. , 2024년 6월 11일
MF모하메드 크나안2000년 1월 14일31아슈도드v. , 2024년 6월 11일
MF로이 고르다나1990년 7월 6일20하포엘 베르셰바v. , 2024년 6월 11일
MF고니 나르1999년 4월 23일20하포엘 텔아비브v. , 2024년 6월 11일
MF요아브 호프마이스터2000년 12월 25일10코로나 키엘체/코로나 키엘체plv. , 2024년 6월 11일
MF에덴 샤미르1995년 6월 25일10마카비 페타 티크바v. , 2024년 6월 11일
MF오페크 비톤1999년 9월 27일00하포엘 예루살렘v. , 2024년 6월 11일
MF이도 샤하르2001년 8월 20일00마카비 텔아비브v. , 2024년 3월 21일
MF토메르 요세피1999년 2월 2일00하포엘 베르셰바v. , 2024년 3월 21일
FW옴리 알트만1994년 3월 23일20볼로스/볼로스 FCelv. , 2024년 6월 11일
FW알론 투르게만1991년 6월 9일20하포엘 베르셰바v. , 2024년 6월 11일
FW에란 자하비1987년 7월 25일7435마카비 텔아비브v. , 2024년 3월 21일



'''은퇴:''' 국가대표팀에서 은퇴한 선수

'''부상:''' 부상으로 인해 제외된 선수

'''코칭 스태프'''

란 벤 시몬


2024년 5월 23일 기준 이스라엘 축구 국가대표팀의 코칭 스태프는 다음과 같다.[13][14]

직책이름
감독란 벤 시몬
수석 코치아미르 셸라흐
갈 코헨
피트니스 코치에란 셰도
마탄 쇼샤니
골키퍼 코치이타이 질파
분석관아다르 로젠베르그
마얀 바할룰
기술 매니저로이 라인슈라이버
아비 레비
주치의에후드 "우디" 카우프만



'''역대 감독'''

2024년 5월 23일 기준 이스라엘 축구 국가대표팀의 역대 감독 및 기록은 다음과 같다.[15][16]

감독감독 역임 기간경기득점실점승률[17]
에곤 폴락19481001010.00
러요시 헤스1949310251233.33
라슬로 세켈리195021017450.00
제리 베이트 하레비1953–545005170.00
재키 기번스1956520371240.00
제리 베이트 하레비19571001450.00
모셰 바로195852036740.00
규러 먼디1959–633112712496338.71
조지 에인슬리1963–6432014266.67
요세프 메리모비치19641001040.00
규러 먼디1964330051100.00
요세프 메리모비치1964–6531022233.33
밀로반 치리치1965–68258215434532.00
에마뉘엘 셰퍼1968–7024888443433.33
에드몽 슈밀로비치1970–73191045271352.63
다비드 슈바이처1973–773617118673447.22
에마뉘엘 셰퍼1978–7913544171538.46
잭 맨셀1980–811023581220.00
요세프 메리모비치1983–86278910393629.63
밀렌코 미히치1986–88204511273520.00
이츠하크 슈네어
야코브 그룬드만
1988–9218558213027.78
슐로모 샤르프1992–20008231183313111837.80
리차드 묄러 닐센2000–0220749293335.00
아브람 그란트2002–063314136553742.42
드로르 카슈탄2006–103115106513048.39
엘리 오하나 (임시)2010110020100.00
루이스 페르난데스2010–1115618121840.00
엘리 구트만2011–15298714424627.59
알론 하잔 (임시)20161001020.00
엘리샤 레비2016–201710415111540.00
알론 하잔 (임시)20181001120.00
안디 헤어초크[18]2018–201916628292637.50
빌리발트 루텐슈타이너[19][20]2020–2022년 2월 7일19847333342.11
가디 브루머[21] (임시)2022년 3월 17일 – 2022년 3월 29일2011240.00
알론 하잔[16][22]2022년 5월 8일 – 2024년 3월 27일17755262441.18
란 벤 시몬2024년 5월 23일 – 현재21014350.00


4. 1. 현재 선수 명단

다음 선수들은 2024년 11월 14일과 17일에 열린 2024-25년 UEFA 네이션스 리그 프랑스벨기에와의 경기에 소집되었다.[23][24] 출전 횟수와 골은 2024년 11월 18일 벨기에와의 경기 후 기준이다.[25][26][27][28]

등번호포지션이름생년월일출전득점소속팀
1GK다니엘 페레츠2000년 7월 10일(2000-07-10)40바이에른 뮌헨/FC 바이에른 뮌헨de
18GK로이 미슈파티1992년 11월 23일(1992-11-23)00마카비 텔아비브
23GK요아브 게라피1993년 8월 29일(1993-08-29)40하포엘 하이파
2DF엘리 다사1992년 12월 3일(1992-12-03)650디나모 모스크바
3DF숀 골드버그1996년 8월 25일(1996-08-25)170마카비 하이파
4DF라즈 슐로모1999년 8월 13일(1999-08-13)162마카비 텔아비브
5DF이단 나흐미아스1997년 3월 17일(1997-03-17)90마카비 텔아비브
12DF일라이 페인골드2004년 8월 23일(2004-08-23)20마카비 하이파
14DF니키타 스토이노프2005년 8월 24일(2005-08-24)00마카비 네타냐
DF사기브 예헤즈켈1995년 3월 21일(1995-03-21)90마카비 텔아비브
6MF옴리 간델만2000년 5월 16일(2000-05-16)41헨트/KAA 헨트nl
8MF도르 페레츠1995년 5월 17일(1995-05-17)476마카비 텔아비브
9MF디아 사바1992년 11월 18일(1992-11-18)133마카비 하이파
11MF돌레브 하지자1995년 7월 5일(1995-07-05)180마카비 하이파
15MF오스카 글루흐2004년 4월 1일(2004-04-01)183레드 불 잘츠부르크/FC 레드 불 잘츠부르크de
16MF모하마드 아부 파니1998년 4월 27일(1998-04-27)272페렌츠바로시/페렌츠바로시 TChu
17MF단 비톤1999년 4월 23일(1999-04-23)30하포엘 베에르셰바
20MF에단 아줄라이2002년 5월 26일(2002-05-26)20마카비 하이파
22MF마흐무드 자베르1999년 10월 5일(1999-10-05)100마카비 하이파
MF가비 카니초프스키1997년 8월 24일(1997-08-24)161마카비 텔아비브
7FW야르덴 슈아1999년 6월 16일(1999-06-16)11베이타르 예루살렘
10FW마노르 솔로몬1999년 7월 24일(1999-07-24)417리즈 유나이티드
13FW아난 칼라일리2004년 9월 3일(2004-09-03)90위니옹 SG/로열 위니옹 생질루아즈프랑스어
19FW도르 투르게만2003년 10월 24일(2003-10-24)70마카비 텔아비브
21FW딘 다비드1996년 3월 14일(1996-03-14)61마카비 하이파
FW타이 바리보1998년 1월 15일(1998-01-15)183필라델피아 유니온
FW리엘 아바다2001년 10월 3일(2001-10-03)151샬럿 FC
FW가이 멜라메드1992년 12월 21일(1992-12-21)31하포엘 하이파



다음 선수들은 지난 12개월 동안 이스라엘 대표팀에 소집된 선수들이다.

포지션이름생년월일출전득점소속팀최근 소집
GK옴리 글레이저1996년 3월 11일(1996-03-11)170츠르베나 즈베즈다/FK 츠르베나 즈베즈다srv. , 2024년 10월 14일
GK샤리프 케우프2001년 6월 25일(2001-06-25)00마카비 하이파v. , 2024년 10월 14일
GK오메르 니론2001년 4월 17일(2001-04-17)00마카비 네타냐v. , 2024년 9월 9일
DF데니 그로퍼1999년 3월 16일(1999-03-16)80루도고레츠 라즈그라드/PFC 루도고레츠 라즈그라드bgv. , 2024년 10월 14일
DF마탄 발탁사1995년 9월 20일(1995-09-20)20하포엘 베르셰바v. , 2024년 10월 14일
DF로이 레비보2003년 5월 22일(2003-05-22)60마카비 텔아비브v. , 2024년 9월 9일
DF오프리 아라드1998년 9월 11일(1998-09-11)100카이라트/FC 카이라트kkv. , 2024년 6월 11일
DF길 코헨2000년 11월 8일(2000-11-08)00베이타르 예루살렘v. , 2024년 6월 11일
DF우리 다한1999년 12월 7일(1999-12-07)00베이타르 예루살렘v. , 2024년 6월 11일
DF오피르 다비다자1991년 5월 5일(1991-05-05)190마카비 텔아비브v. , 2024년 3월 21일
DF미겔 비토르1989년 6월 30일(1989-06-30)120하포엘 베르셰바v. , 2024년 3월 21일
MF람지 사푸리1995년 10월 21일(1995-10-21)171안탈리아스포르/안탈리아스포르trv. , 2024년 10월 14일
MF엘리엘 페레츠1996년 11월 18일(1996-11-18)20하포엘 베르셰바v. , 2024년 10월 14일
MF네타 라비1996년 8월 25일(1996-08-25)220감바 오사카/감바 오사카일본어v. , 2024년 9월 9일
MF단 글레이저1996년 9월 20일(1996-09-20)211파리 니즈니 노브고로드/FC 파리 니즈니 노브고로드ruv. , 2024년 6월 11일
MF가디 킨다1994년 3월 23일(1994-03-23)102마카비 하이파v. , 2024년 6월 11일
MF모하메드 크나안2000년 1월 14일(2000-01-14)31아슈도드v. , 2024년 6월 11일
MF로이 고르다나1990년 7월 6일(1990-07-06)20하포엘 베르셰바v. , 2024년 6월 11일
MF고니 나르1999년 4월 23일(1999-04-23)20하포엘 텔아비브v. , 2024년 6월 11일
MF요아브 호프마이스터2000년 12월 25일(2000-12-25)10코로나 키엘체/코로나 키엘체plv. , 2024년 6월 11일
MF에덴 샤미르1995년 6월 25일(1995-06-25)10마카비 페타 티크바v. , 2024년 6월 11일
MF오페크 비톤1999년 9월 27일(1999-09-27)00하포엘 예루살렘v. , 2024년 6월 11일
MF이도 샤하르2001년 8월 20일(2001-08-20)00마카비 텔아비브v. , 2024년 3월 21일
MF토메르 요세피1999년 2월 2일(1999-02-02)00하포엘 베르셰바v. , 2024년 3월 21일
FW옴리 알트만1994년 3월 23일(1994-03-23)20볼로스/볼로스 FCelv. , 2024년 6월 11일
FW알론 투르게만1991년 6월 9일(1991-06-09)20하포엘 베르셰바v. , 2024년 6월 11일
FW에란 자하비1987년 7월 25일(1987-07-25)7435마카비 텔아비브v. , 2024년 3월 21일



'''은퇴:''' 국가대표팀에서 은퇴한 선수

'''부상:''' 부상으로 인해 제외된 선수

4. 2. 코칭 스태프

wikitext

2024년 5월 23일 기준 이스라엘 축구 국가대표팀의 코칭 스태프는 다음과 같다.[13][14]

직책이름
감독란 벤 시몬
수석 코치아미르 셸라흐
갈 코헨
피트니스 코치에란 셰도
마탄 쇼샤니
골키퍼 코치이타이 질파
분석관아다르 로젠베르그
마얀 바할룰
기술 매니저로이 라인슈라이버
아비 레비
주치의에후드 "우디" 카우프만


4. 3. 역대 감독

2024년 5월 23일 기준 이스라엘 축구 국가대표팀의 역대 감독 및 기록은 다음과 같다.[15][16]

감독감독 역임 기간경기득점실점승률[17]
에곤 폴락19481001010.00
러요시 헤스1949310251233.33
라슬로 세켈리195021017450.00
제리 베이트 하레비1953–545005170.00
재키 기번스1956520371240.00
제리 베이트 하레비19571001450.00
모셰 바로195852036740.00
규러 먼디1959–633112712496338.71
조지 에인슬리1963–6432014266.67
요세프 메리모비치19641001040.00
규러 먼디1964330051100.00
요세프 메리모비치1964–6531022233.33
밀로반 치리치1965–68258215434532.00
에마뉘엘 셰퍼1968–7024888443433.33
에드몽 슈밀로비치1970–73191045271352.63
다비드 슈바이처1973–773617118673447.22
에마뉘엘 셰퍼1978–7913544171538.46
잭 맨셀1980–811023581220.00
요세프 메리모비치1983–86278910393629.63
밀렌코 미히치1986–88204511273520.00
이츠하크 슈네어
야코브 그룬드만
1988–9218558213027.78
슐로모 샤르프1992–20008231183313111837.80
리차드 묄러 닐센2000–0220749293335.00
아브람 그란트2002–063314136553742.42
드로르 카슈탄2006–103115106513048.39
엘리 오하나 (임시)2010110020100.00
루이스 페르난데스2010–1115618121840.00
엘리 구트만2011–15298714424627.59
알론 하잔 (임시)20161001020.00
엘리샤 레비2016–201710415111540.00
알론 하잔 (임시)20181001120.00
안디 헤어초크[18]2018–201916628292637.50
빌리발트 루텐슈타이너[19][20]2020–2022년 2월 7일19847333342.11
가디 브루머[21] (임시)2022년 3월 17일 – 2022년 3월 29일2011240.00
알론 하잔[16][22]2022년 5월 8일 – 2024년 3월 27일17755262441.18
란 벤 시몬2024년 5월 23일 – 현재21014350.00


5. 유니폼

1996–2008년
2018–2024년


6. 경기장

이스라엘 축구 국가대표팀의 첫 홈 경기는 1934년 4월 6일 팜스 그라운드에서 열린 이집트와의 1934년 월드컵 예선 경기였다. 이스라엘 건국 전에는 1938년 FIFA 월드컵 예선과 마카비아 스타디움에서 마카비 그라운드에서 경기를 치렀다. 1948년 새롭게 건국된 이스라엘을 대표하는 최초의 국가대표팀은 1954년 FIFA 월드컵 예선의 일환으로 55,000명의 관중 앞에서 라마트 간 스타디움에서 경기를 치렀다. 라마트 간 스타디움은 2013년까지 이스라엘의 홈 구장으로 사용되었다.

하이파 시의 새미 오페르 스타디움, 예루살렘 시의 테디 스타디움, 베르셰바 시의 터너 스타디움, 네타냐 시의 네타냐 스타디움 그리고 텔아비브 시의 블룸필드 스타디움이 건설된 이후, 이스라엘 축구 국가대표팀은 이 5개 경기장에서 공식 홈 경기를 번갈아 개최하고 있다.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기간 동안, 이스라엘은 홈 경기의 대부분을 헝가리에서 치렀다.

경기이미지경기장수용 인원위치첫 번째 경기마지막 경기
51
블룸필드 경기장
블룸필드 경기장29,400텔아비브, 이스라엘1964년 5월 17일2023년 9월 12일
14
테디 경기장
테디 경기장31,733예루살렘, 이스라엘1992년 2월 12일2023년 6월 19일
12
사미 오페르 경기장
사미 오페르 경기장30,942하이파, 이스라엘2014년 11월 16일2022년 6월 2일
9
네타냐 경기장
네타냐 경기장13,610네타냐, 이스라엘2013년 2월 6일2022년 3월 29일
4
터너 경기장
터너 경기장16,126베르셰바, 이스라엘2018년 10월 14일2021년 10월 12일
137
라마트 간 경기장
라마트 간 경기장41,583라마트 간, 이스라엘1954년 3월 8일2013년 10월 15일
3
마카비아 경기장
마카비아 경기장20,000텔아비브, 이스라엘1949년 7월 30일1950년 10월 28일


7.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נאתכו: בטוח שהנבחרת תגיע ליורו, אהיה בשווייץ https://www.one.co.i[...] 2023-03-25
[2] 웹사이트 Palestine – International Results – Details https://www.rsssf.or[...] 2013-07-20
[3] 웹사이트 Statistical Kit: Preliminary Draw for the 2014 FIFA World Cup Brazil https://digitalhub.f[...] 2020-12-21
[4] 웹사이트 Site-Map-Israel-Football-Facts—Stats http://www.myfootbal[...] 2016-05-19
[5] 웹사이트 Bayati recalls Iran's tense win over Israel http://www.the-afc.c[...] 2021-04-01
[6] 뉴스 Time is right for Israel to return to its Asian roots https://www.theguard[...] 2008-02-27
[7] 뉴스 Aust-Asian bid fails https://news.google.[...] 1974-09-16
[8] 뉴스 'Visibles' win without any kick... https://news.google.[...] 1974-09-14
[9] 뉴스 Why Does Israel's Football Team Play In Europe? http://news.sky.com/[...] Sky News 2015-05-19
[10] 웹사이트 Willi Ruttensteiner ist nicht mehr Teamchef von Israel https://www.derstand[...] 2022-02-07
[11] 웹사이트 European Qualifier match between Belgium and Sweden declared abandoned with half-time result confirmed as final https://www.uefa.com[...] Union of European Football Associations 2023-10-19
[12] 경기 Belgium vs. Israel 2024-09-06
[13] 웹사이트 Israel Football Association - National A Team - Team Staff https://www.football[...] 2023-11-21
[14] 웹사이트 ההתאחדודת לכדורגל בישראל - [ - נבחרת ישראל בכדורגל גברים ( בוגרים)] - בעלי תפקידים https://www.football[...] 2024-05-23
[15] 웹사이트 In national team - Ran Ben Shimon - National A Team - Team Staff https://www.football[...] 2023-11-21
[16] 웹사이트 Alon Hazan, football manager https://eu-football.[...]
[17] 문서 Win% is rounded to two decimal places
[18] 웹사이트 Andreas Herzog, football manager https://eu-football.[...]
[19] 웹사이트 Andreas Herzog, football manager https://eu-football.[...]
[20] 웹사이트 וילי רוטנשטיינר סיים את דרכו כמאמן נבחרת ישראל: "גאה בעשייה שלי" https://www.davar1.c[...] 2022-02-07
[21] 웹사이트 ברומר וחרזי יאמנו את נבחרת ישראל - ספורט 5 https://www.sport5.c[...] 2022-03-17
[22] 웹사이트 רשמי: אלון חזן מונה למאמן נבחרת ישראל - ספורט 5 https://www.sport5.c[...] 2022-05-08
[23] 웹사이트 Israel Football Association - [seniors National] Team Squad https://www.football[...] 2024-08-29
[24] 웹사이트 ההתאחדות לכדורגל בישראל - נבחרת לאומית גברים [בוגרים] https://www.football[...] 2023-11-21
[25] 웹사이트 Israel vs. Belgium - 14 October 2024 - Soccerway https://int.soccerwa[...]
[26] 웹사이트 Israel vs Italy, 9 September 2024 https://eu-football.[...]
[27] 웹사이트 Most Israel Caps https://eu-football.[...]
[28] 웹사이트 National A Team – Team Squad https://www.football[...] 2023-11-21
[29] 웹사이트 Israel – Record International Players https://www.rsssf.or[...]
[30] 웹사이트 Israel national football team match results https://eu-football.[...]
[31] 웹사이트 The FIFA/Coca-Cola World Ranking - Associations - Israel- Men's https://www.fifa.com[...] FIFA
[32] 웹사이트 About AFC(AFCについて 歴史など説明)-AFC公式HP英語版2007年9月6日 http://www.the-afc.c[...]
[33] 서적 2002ワールドカップ32カ国・データブック http://www.neko.co.j[...] 株式会社ネコパブリッシング
[34] 서적 日本サッカー史日本代表の90年 双葉社
[35] 뉴스 イスラエル代表新監督に元PSGのルイス・フェルナンデス氏が就任 https://megalodon.jp[...]
[36] 웹사이트 Israel international footballers https://eu-football.[...] 2019-09-06
[37] 웹사이트 Israel national football team goal scorers https://eu-football.[...] 2019-09-06
[38] 문서 영국령 팔레스타인으로 출전
[39] 문서 영국령 팔레스타인으로 출전
[40] 목록 국가대표팀 목록
[41] 목록 국가대표팀 목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