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스미언 리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스미언 리그는 1905년 아마추어 축구 클럽들이 프로화에 반대하여 창설한 잉글랜드의 축구 리그이다. 창립 초기에는 아마추어 정신을 강조하며 명예를 중시했으나, 1970년대 중반 잉글랜드 축구 협회의 프로화 수용 정책에 따라 프로 리그로 전환되었다. 현재는 내셔널 리그 시스템의 하부 리그로, 프리미어 디비전과 세 개의 디비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위 리그로의 승강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이스미언 리그는 잉글랜드 축구 리그 중 최초로 스폰서십을 도입했으며, 앨런 터비 트로피라는 리그 컵 대회를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05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지브롤터 프리미어디비전
    지브롤터 프리미어디비전은 지브롤터 축구 협회가 주관하는 최상위 축구 리그로, 1907년 출범하여 지브롤터 축구 발전에 기여했으며, 2013년 UEFA 가입 후 UEFA 주관 대회에 참가, 2019년에는 하위 리그와 통합하여 지브롤터 내셔널 리그로 출범했다.
  • 잉글랜드의 축구 리그 - 프리미어리그
    프리미어리그는 1992년 잉글랜드 1부 리그 클럽들이 풋볼 리그에서 독립하여 창설된 잉글랜드 최상위 프로축구 리그로, 20개 클럽이 참가하여 승점에 따라 순위를 결정하며, UEFA 챔피언스리그 및 유로파리그 진출과 EFL 챔피언십 강등이 결정되는 인기와 수익이 높은 리그이다.
  • 잉글랜드의 축구 리그 - EFL 챔피언십
    EFL 챔피언십은 24개 팀이 경쟁하는 잉글랜드 풋볼 리그 시스템의 2부 리그로, 상위 두 팀은 프리미어리그로 자동 승격하고 3~6위 팀은 플레이오프를 통해 승격하며 하위 세 팀은 EFL 리그 원으로 강등된다.
  • 잉글랜드 축구에 관한 - 프리미어리그
    프리미어리그는 1992년 잉글랜드 1부 리그 클럽들이 풋볼 리그에서 독립하여 창설된 잉글랜드 최상위 프로축구 리그로, 20개 클럽이 참가하여 승점에 따라 순위를 결정하며, UEFA 챔피언스리그 및 유로파리그 진출과 EFL 챔피언십 강등이 결정되는 인기와 수익이 높은 리그이다.
  • 잉글랜드 축구에 관한 -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은 잉글랜드 축구 협회에 의해 운영되며, 1966년 FIFA 월드컵에서 우승을 차지하고 2020년 유로 대회에서 준우승을 기록했으며, 스코틀랜드와 함께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웸블리 스타디움을 홈 구장으로 사용한다.
이스미언 리그
기본 정보
이스미언 리그 로고
국가잉글랜드
기타 참여 국가건지 섬
창립1905년
참가 팀 수88
승격내셔널리그 사우스
강등컴바인드 카운티스 리그 북부 또는 남부
이스턴 카운티스 풋볼 리그
에식스 시니어 풋볼 리그
서던 콤비네이션 풋볼 리그
서던 카운티스 이스트 풋볼 리그
스파르탄 사우스 미들랜즈 풋볼 리그
웨식스 풋볼 리그
리그 레벨7-8
국내 컵 대회FA컵
FA 트로피
이스미언 리그컵
현재 시즌2024–25 시즌
공식 웹사이트이스미언 풋볼 리그 공식 웹사이트
디비전 정보
디비전프리미어 디비전
노스 디비전
사우스 센트럴 디비전
사우스 이스트 디비전
팀 수 (디비전별)프리미어 디비전: 22
노스 디비전: 22
사우스 센트럴 디비전: 22
사우스 이스트 디비전: 22
최근 시즌 우승팀
프리미어 디비전혼처치
노스 디비전로웨스토프트 타운
사우스 센트럴 디비전처트지 타운
사우스 이스트 디비전크레이 밸리 페이퍼 밀스

2. 역사

1905년 리그 창설 당시 잉글랜드에는 아마추어 축구 리그가 존재하지 않았고, 오직 토너먼트 컵 대회만 있었다. 캐주얼스, 시빌 서비스, 클랩튼 등 런던의 여러 클럽 대표들이 모여 아마추어 리그 창설을 논의했고, 그 결과 이스미언 리그가 탄생했다. 리그는 아마추어리즘을 강조하여 리그 챔피언에게 트로피나 메달을 수여하지 않았고, "honor sufficit" (명예는 충분하다)라는 모토를 내걸었다.

초기에는 FA 아마추어컵 우승 팀을 배출하는 등 강력한 아마추어 리그로 자리매김했지만, 사우스런 리그보다는 낮은 수준으로 평가받았다. 1922년까지 14개 클럽으로 운영되었고, 이후 아테니언 리그 클럽들이 합류하면서 규모가 커졌다.

1970년대 중반, 잉글랜드 축구 협회가 아마추어와 프로의 구분을 폐지하면서 이스미언 리그도 프로화를 수용했다. 1973년1977년에 각각 디비전 2와 디비전 3이 신설되었다. 1979년 얼라이언스 프리미어리그(APL) 창설에 참여하지 않았지만, 1985년부터 이스미언 리그 우승 팀에게 풋볼 콘퍼런스 승격 자격이 주어졌다.

1984년 아테니언 리그가 해체되면서 이스미언 리그는 88개 클럽으로 최대 규모가 되었다. 1991년 4부 리그제로 개편되었고, 2002년2006년 추가적인 개편을 거쳤다. 2018년에는 8부 리그에 해당하는 디비전이 추가되어 현재의 4개 디비전 체제가 되었다.

다음은 잉글리시 풋볼 리그에 진출한 전 이스미언 리그 클럽들이다.

이스미언 리그 시즌이스미언 리그 우승 횟수최고 진출 디비전첫 시즌EFL 수상 내역주요 컵 수상 내역현재 디비전
데건햄 & 레드브리지1907–92; 1996–200019EFL 리그 원2007-08없음없음내셔널 리그
윔블던1921–648프리미어 리그1977–782부 리그FA컵해체
와이컴 원더러스1921–85; 1986–878EFL 챔피언십1993–94없음없음EFL 리그 원
메이드스톤 유나이티드1959–7104부 리그1989–90없음없음해체
서튼 유나이티드1963–86; 1991–99; 2001–04; 2008–115EFL 리그 투2021–22없음없음EFL 리그 투
스티버리지1984–1994 as Stevenage Borough1EFL 리그 원2010–11없음없음EFL 리그 투
요빌 타운1985–88; 1995–972EFL 챔피언십2003-04리그 투없음내셔널 리그
올더숏 타운1992–20031EFL 리그 투2008–09없음없음내셔널 리그
AFC 윔블던2004–080EFL 리그 원2011–12없음없음EFL 리그 투


2. 1. 설립과 초기 (1905년 ~ 1970년대)

1905년 3월 7일, 일포드를 비롯한 런던의 6개 아마추어 축구 클럽 대표자들이 모여 이스미언 리그를 창설했다.[1] 당시 잉글랜드에는 아마추어 축구 리그가 없어 컵 대회만 존재했기 때문에, 이들의 협의를 통해 리그가 탄생하게 되었다. 리그 참가는 초청제로만 이루어졌으며, 아마추어리즘을 매우 중요하게 여겼다. 리그의 라틴어 모토는 "honor sufficit" ('명예는 충분하다')였으며,[1] 리그 챔피언에게는 트로피나 메달도 수여하지 않았다.

이러한 아마추어 중시 자세로 인해, 이스미언 리그는 세미 프로 리그로 발전한 사우스런 리그보다 재정적으로 약한 클럽들이 모이는 경향을 보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스미언 리그는 FA 아마추어 컵 우승팀을 꾸준히 배출하며 잉글랜드 내에서 강력한 아마추어 리그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다만, 여전히 사우스런 리그보다는 하위 리그로 여겨졌다.

1922년까지 이스미언 리그는 14개 클럽으로 구성되었으며,[8] 이후 50년 동안 리그를 떠나는 클럽이 생기면 소수의 신규 회원을 가입시키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1963년에는 아테니언 리그에서 4개 클럽이 한꺼번에 가입하여 20개 클럽으로 구성이 확대되었다.[8]

1970년대 중반, 잉글랜드 축구 협회가 아마추어와 프로의 구분을 없애면서 이스미언 리그도 프로화를 수용하기 시작했다. 1973년에는 16개 클럽으로 구성된 두 번째 디비전이, 1977년에는 세 번째 디비전이 추가되었다. 그러나 1979년 얼라이언스 프리미어 리그(APL) 창설에는 참여하지 않았고, 1981년 엔필드와 대거넘이 APL로 이적했다. 1985년이 되어서야 이스미언 리그 우승 팀에게 풋볼 콘퍼런스로 승격할 자격이 주어졌다.

1984년에는 아테니언 리그가 해체되면서 이스미언 리그는 88개 클럽으로 리그 역사상 최대 규모가 되었다.[8]

2. 2. 프로화 수용과 발전 (1970년대 ~ 2000년대)

1970년대잉글랜드 축구 협회가 아마추어와 프로의 구분을 폐지하면서 이스미언 리그도 프로화를 수용하기 시작했다. 1973년에는 16개 클럽이 참여하는 2부 디비전을 신설하였고, 1977년에는 3부 디비전도 추가되었다.[1] 이 디비전들은 프리미어 디비전, 디비전 1, 디비전 2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79년 얼라이언스 프리미어리그(APL) 창립에 불참했지만, 엔필드 FC와 대건햄 FC 등 일부 클럽들이 이탈하여 1981년에 콘퍼런스에 합류했다. 1985년부터 이스미언 리그 우승팀에게 풋볼 콘퍼런스로 승격할 기회가 주어졌다.

1984년, 아마추어 리그였던 아테니언 리그가 해체되면서 많은 클럽들이 이스미언 리그에 합류했다.

다음은 이스미언 리그에서 잉글랜드 축구 리그 시스템의 상위 레벨로 승격한 클럽들이다.

시즌클럽순위승격 대상
1980–81엔필드
대거넘
2위
8위
얼라이언스 프리미어 리그
1984–85와이콤 워렌더러스3위얼라이언스 프리미어 리그
1985–86서튼 유나이티드1위풋볼 컨퍼런스
1986–87와이콤 워렌더러스1위풋볼 컨퍼런스
1987–88요빌 타운1위풋볼 컨퍼런스
1988–89파른보로 타운2위풋볼 컨퍼런스
1989–90슬로 타운1위풋볼 컨퍼런스
1990–91레드브리지 포레스트1위풋볼 컨퍼런스
1991–92워킹1위풋볼 컨퍼런스
1993–94스티브니지 보로1위풋볼 컨퍼런스
1994–95슬로 타운2위풋볼 컨퍼런스
1995–96헤이즈1위풋볼 컨퍼런스
1996–97요빌 타운1위풋볼 컨퍼런스
1997–98킹스토니안1위풋볼 컨퍼런스
1998–99서튼 유나이티드1위풋볼 컨퍼런스
1999–2000대거넘 앤드 레드브리지1위풋볼 컨퍼런스
2000–01파른보로 타운1위풋볼 컨퍼런스
2001–02그레이브센드 앤드 노스플리트1위풋볼 컨퍼런스
2002–03알더샷 타운1위풋볼 컨퍼런스 내셔널
2003–04캔비 아일랜드1위풋볼 컨퍼런스 내셔널
케터링 타운9위풋볼 컨퍼런스 노스
서튼 유나이티드2위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서록3위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혼처치5위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그레이스 애슬레틱6위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칼샬턴 애슬레틱7위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헤이즈8위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보그너 레지스 타운10위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비숍스 스토트포드11위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메이든헤드 유나이티드12위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포드 유나이티드13위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베이싱스토크 타운14위*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세인트 알반스 시티19위*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르위스 (IL DOS)1위*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2004–05이딩
이스틀리
1위
3위*
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2005–06브레인트리 타운
피셔 애슬레틱
1위
3위*
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2006–07햄프턴 앤드 리치몬드 B
브롬리
1위
2위*
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2007–08첼름스포드 시티
AFC 윔블던
1위
3위*
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2008–09도버 애슬레틱
스테인스 타운
1위
2위*
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2009–10다트포드
보럼 우드
1위
4위*
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2010–11서튼 유나이티드
톤브리지 엔젤스
1위
2위*
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2011–12빌러리카이 타운
AFC 혼처치
1위
2위*
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2012–13화이트호크
콩코드 레인저스
1위
4위*
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2013–14윌드스톤
로우스토프트 타운
1위
4위*
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풋볼 컨퍼런스 노스
2014–15메이드스톤 유나이티드
마게이트
1위
3위*
내셔널 리그 사우스
2015–16햄프턴 앤드 리치몬드 B
이스트 써록 유나이티드
1위
3위*
내셔널 리그 사우스
2016–17헤이번트 앤드 워털루빌
보그너 레지스 타운
1위
2위*
내셔널 리그 사우스
2017–18빌러리카이 타운
덜위치 햄릿
1위
2위*
내셔널 리그 사우스
2018–19도킹 원더러스
톤브리지 엔젤스
1위
4위*
내셔널 리그 사우스
2019–20내셔널 리그 노스 또는 사우스로 승격 없음
2020–213단계 승격 취소
2021–22워싱
체셤트
1위
5위*
내셔널 리그 사우스
2022–23비숍스 스토트포드
아블레이
1위
4위*
내셔널 리그 노스
내셔널 리그 사우스
2023–24혼처치
엔필드 타운*
1위
3위
내셔널 리그 사우스
내셔널 리그 사우스



별표는 플레이오프를 통해 승격한 클럽을 나타낸다.

2. 3. 구조 개편과 현대 (2000년대 ~ 현재)

2002년, 리그는 재조직되어 디비전 1을 북부와 남부로 나누고, 디비전 3을 디비전 2로 명칭을 변경했다.[1] 2004년, FA의 논리그 재편에 따라 리그 규모가 축소되고, 서던 풋볼 리그와 관할 지역이 겹치는 문제가 발생했다.[1] 2006년, 디비전 1을 다시 남부와 북부로 재편하고 디비전 2를 폐지했다.[1]

2017년, 잉글랜드 축구 협회의 결정에 따라 2018-19 시즌부터 8부 리그에 해당하는 세 번째 디비전을 추가했다.[1] 현재 내셔널 리그 시스템의 3단계(7부 리그)에 해당하는 프리미어 디비전과 4단계(8부 리그)의 노스, 사우스 센트럴, 사우스 이스트 디비전으로 구성되어 있다.[1]

3. 리그 구조 및 승강 시스템

케터링 타운
서튼 유나이티드
서록
혼처치
그레이스 애슬레틱
칼샬턴 애슬레틱
헤이즈
보그너 레지스 타운
비숍스 스토트포드
메이든헤드 유나이티드
포드 유나이티드
베이싱스토크 타운
세인트 알반스 시티
르위스1위
9위
2위
3위
5위
6위
7위
8위
10위
11위
12위
13위
14위*
19위*
1위*풋볼 컨퍼런스 내셔널
풋볼 컨퍼런스 노스
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풋볼 컨퍼런스 사우스2004–05이딩, 이스틀리1위, 3위*풋볼 컨퍼런스 사우스2005–06브레인트리 타운, 피셔 애슬레틱1위, 3위*풋볼 컨퍼런스 사우스2006–07햄프턴 앤드 리치몬드 B, 브롬리1위, 2위*풋볼 컨퍼런스 사우스2007–08첼름스포드 시티, AFC 윔블던1위, 3위*풋볼 컨퍼런스 사우스2008–09도버 애슬레틱, 스테인스 타운1위, 2위*풋볼 컨퍼런스 사우스2009–10다트포드, 보럼 우드1위, 4위*풋볼 컨퍼런스 사우스2010–11서튼 유나이티드, 톤브리지 엔젤스1위, 2위*풋볼 컨퍼런스 사우스2011–12빌러리카이 타운, AFC 혼처치1위, 2위*풋볼 컨퍼런스 사우스2012–13화이트호크, 콩코드 레인저스1위, 4위*풋볼 컨퍼런스 사우스2013–14윌드스톤, 로우스토프트 타운1위, 4위*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풋볼 컨퍼런스 노스2014–15메이드스톤 유나이티드, 마게이트1위, 3위*내셔널 리그 사우스2015–16햄프턴 앤드 리치몬드 B, 이스트 써록 유나이티드1위, 3위*내셔널 리그 사우스2016–17헤이번트 앤드 워털루빌, 보그너 레지스 타운1위, 2위*내셔널 리그 사우스2017–18빌러리카이 타운, 덜위치 햄릿1위, 2위*내셔널 리그 사우스2018–19도킹 원더러스, 톤브리지 엔젤스1위, 4위*내셔널 리그 사우스2019–20내셔널 리그 노스 또는 사우스로 승격 없음2020–213단계 승격 취소2021–22워싱, 체셤트1위, 5위*내셔널 리그 사우스2022–23비숍스 스토트포드, 아블레이1위, 4위*내셔널 리그 노스, 내셔널 리그 사우스2023–24혼처치, 엔필드 타운*1위, 3위내셔널 리그 사우스



별표(*)는 플레이오프를 통해 승격한 클럽을 나타낸다.

3. 1. 현재 구조 (2024-25 시즌)

2017년 5월, FA는 내셔널 리그 시스템 개편의 일환으로 이스미언 리그의 8부 리그 단계에 세 번째 디비전을 추가하고, 8부 리그에 해당하는 3개의 디비전 참가팀을 각각 20개 팀으로 줄이기로 결정했다. 새 디비전은 2018-19 시즌부터 시작되어 현재 내셔널리그 시스템의 3단계에 해당하는 프리미어 디비전(7부)과 4단계의 노스, 사우스 센트럴, 사우스 이스트 디비전(8부)으로 구성되어 있다.

2024-25 시즌 리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프리미어 디비전 (7부 리그)노스 디비전 (8부 리그)사우스 센트럴 디비전 (8부 리그)사우스 이스트 디비전 (8부 리그)


3. 2. 승강 시스템

2017년 5월, FA는 내셔널 리그 시스템 개편의 일환으로 이스미언 리그의 8부 리그 단계에 세 번째 디비전을 추가하고, 8부 리그에 해당하는 3개의 디비전 참가팀을 각각 20개 팀으로 줄이기로 결정했다.[1] 새 디비전은 2018-19 시즌부터 시작되어 현재 내셔널 리그 시스템의 3단계에 해당하는 프리미어 디비전(7부)과 4단계의 노스, 사우스 센트럴, 사우스 이스트 디비전(8부)로 구성되어 있다.[1]

매년 8월부터 다음 해 4월까지를 원칙적인 시즌으로 하며, 해당 시즌의 성적에 따라 다음 해 소속 클래스가 결정된다.

1905년 리그가 결성된 이후, 잉글랜드 축구 리그 시스템의 상위 레벨로 승격된 클럽들은 다음과 같다.

시즌클럽순위승격 대상
1980–81엔필드, 대거넘2위, 8위얼라이언스 프리미어 리그
1984–85와이콤 워렌더러스3위얼라이언스 프리미어 리그
1985–86서튼 유나이티드1위풋볼 컨퍼런스
1986–87와이콤 워렌더러스1위풋볼 컨퍼런스
1987–88요빌 타운1위풋볼 컨퍼런스
1988–89파른보로 타운2위풋볼 컨퍼런스
1989–90슬로 타운1위풋볼 컨퍼런스
1990–91레드브리지 포레스트1위풋볼 컨퍼런스
1991–92워킹1위풋볼 컨퍼런스
1993–94스티브니지 보로1위풋볼 컨퍼런스
1994–95슬로 타운2위풋볼 컨퍼런스
1995–96헤이즈1위풋볼 컨퍼런스
1996–97요빌 타운1위풋볼 컨퍼런스
1997–98킹스토니안1위풋볼 컨퍼런스
1998–99서튼 유나이티드1위풋볼 컨퍼런스
1999–2000대거넘 앤드 레드브리지1위풋볼 컨퍼런스
2000–01파른보로 타운1위풋볼 컨퍼런스
2001–02그레이브센드 앤드 노스플리트1위풋볼 컨퍼런스
2002–03알더샷 타운1위풋볼 컨퍼런스 내셔널
2003–04캔비 아일랜드
케터링 타운
서튼 유나이티드
서록
혼처치
그레이스 애슬레틱
칼샬턴 애슬레틱
헤이즈
보그너 레지스 타운
비숍스 스토트포드
메이든헤드 유나이티드
포드 유나이티드
베이싱스토크 타운
세인트 알반스 시티
르위스 (IL DOS)
1위
9위
2위
3위
5위
6위
7위
8위
10위
11위
12위
13위
14위*
19위*
1위*
풋볼 컨퍼런스 내셔널
풋볼 컨퍼런스 노스
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2004–05이딩, 이스틀리1위, 3위*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2005–06브레인트리 타운, 피셔 애슬레틱1위, 3위*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2006–07햄프턴 앤드 리치몬드 B, 브롬리1위, 2위*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2007–08첼름스포드 시티, AFC 윔블던1위, 3위*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2008–09도버 애슬레틱, 스테인스 타운1위, 2위*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2009–10다트포드, 보럼 우드1위, 4위*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2010–11서튼 유나이티드, 톤브리지 엔젤스1위, 2위*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2011–12빌러리카이 타운, AFC 혼처치1위, 2위*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2012–13화이트호크, 콩코드 레인저스1위, 4위*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2013–14윌드스톤, 로우스토프트 타운1위, 4위*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풋볼 컨퍼런스 노스
2014–15메이드스톤 유나이티드, 마게이트1위, 3위*내셔널 리그 사우스
2015–16햄프턴 앤드 리치몬드 B, 이스트 써록 유나이티드1위, 3위*내셔널 리그 사우스
2016–17헤이번트 앤드 워털루빌, 보그너 레지스 타운1위, 2위*내셔널 리그 사우스
2017–18빌러리카이 타운, 덜위치 햄릿1위, 2위*내셔널 리그 사우스
2018–19도킹 원더러스, 톤브리지 엔젤스1위, 4위*내셔널 리그 사우스
2019–20내셔널 리그 노스 또는 사우스로 승격 없음
2020–213단계 승격 취소
2021–22워싱, 체셤트1위, 5위*내셔널 리그 사우스
2022–23비숍스 스토트포드, 아블레이1위, 4위*내셔널 리그 노스, 내셔널 리그 사우스
2023–24혼처치, 엔필드 타운*1위, 3위내셔널 리그 사우스



별표(*)는 플레이오프를 통해 승격한 클럽을 나타낸다.

4. 주요 클럽

현재 이스미언 리그 회원



1905년 리그가 결성된 이후, 다음 클럽들이 잉글랜드 축구 리그 시스템의 상위 레벨로 승격되었다.

시즌클럽순위승격 대상
1980–81엔필드, 대거넘2위, 8위얼라이언스 프리미어 리그
1984–85와이콤 워렌더러스3위얼라이언스 프리미어 리그
1985–86서튼 유나이티드1위풋볼 컨퍼런스
1986–87와이콤 워렌더러스1위풋볼 컨퍼런스
1987–88요빌 타운1위풋볼 컨퍼런스
1988–89파른보로 타운2위풋볼 컨퍼런스
1989–90슬로 타운1위풋볼 컨퍼런스
1990–91레드브리지 포레스트1위풋볼 컨퍼런스
1991–92워킹1위풋볼 컨퍼런스
1993–94스티브니지 보로1위풋볼 컨퍼런스
1994–95슬로 타운2위풋볼 컨퍼런스
1995–96헤이즈1위풋볼 컨퍼런스
1996–97요빌 타운1위풋볼 컨퍼런스
1997–98킹스토니안1위풋볼 컨퍼런스
1998–99서튼 유나이티드1위풋볼 컨퍼런스
1999–2000대거넘 앤드 레드브리지1위풋볼 컨퍼런스
2000–01파른보로 타운1위풋볼 컨퍼런스
2001–02그레이브센드 앤드 노스플리트1위풋볼 컨퍼런스
2002–03알더샷 타운1위풋볼 컨퍼런스 내셔널
2003–04캔비 아일랜드 (1위), 케터링 타운 (9위), 서튼 유나이티드 (2위), 서록 (3위), 혼처치 (5위), 그레이스 애슬레틱 (6위), 칼샬턴 애슬레틱 (7위), 헤이즈 (8위), 보그너 레지스 타운 (10위), 비숍스 스토트포드 (11위), 메이든헤드 유나이티드 (12위), 포드 유나이티드 (13위), 베이싱스토크 타운 (14위*), 세인트 알반스 시티 (19위*), 르위스 (1위*)colspan=2|
2004–05이딩 (1위), 이스틀리 (3위*)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2005–06브레인트리 타운 (1위), 피셔 애슬레틱 (3위*)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2006–07햄프턴 앤드 리치몬드 B (1위), 브롬리 (2위*)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2007–08첼름스포드 시티 (1위), AFC 윔블던 (3위*)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2008–09도버 애슬레틱 (1위), 스테인스 타운 (2위*)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2009–10다트포드 (1위), 보럼 우드 (4위*)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2010–11서튼 유나이티드 (1위), 톤브리지 엔젤스 (2위*)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2011–12빌러리카이 타운 (1위), AFC 혼처치 (2위*)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2012–13화이트호크 (1위), 콩코드 레인저스 (4위*)풋볼 컨퍼런스 사우스
2013–14윌드스톤 (1위), 로우스토프트 타운 (4위*)
2014–15메이드스톤 유나이티드 (1위), 마게이트 (3위*)내셔널 리그 사우스
2015–16햄프턴 앤드 리치몬드 B (1위), 이스트 써록 유나이티드 (3위*)내셔널 리그 사우스
2016–17헤이번트 앤드 워털루빌 (1위), 보그너 레지스 타운 (2위*)내셔널 리그 사우스
2017–18빌러리카이 타운 (1위), 덜위치 햄릿 (2위*)내셔널 리그 사우스
2018–19도킹 원더러스 (1위), 톤브리지 엔젤스 (4위*)내셔널 리그 사우스
2019–20내셔널 리그 노스 또는 사우스로 승격 없음
2020–213단계 승격 취소
2021–22워싱 (1위), 체셤트 (5위*)내셔널 리그 사우스
2022–23비숍스 스토트포드 (1위), 아블레이 (4위*)
2023–24혼처치 (1위), 엔필드 타운 (3위*)내셔널 리그 사우스


  • 별표(*)는 플레이오프를 통해 승격한 클럽


이스미언 리그의 여러 전 멤버들이 잉글리시 풋볼 리그에 진출했다. 풋볼 리그 초창기에는 비(非) 리그 시스템에서 자격 요건을 갖춘 팀을 직접 승격시키지 않고, 대신 정기적인 선거를 실시하여 비 리그 팀이 참가할 수 있도록 했다. 실제로 야심 찬 비 리그 팀만이 선거에 출마했고,[7] 성공은 드물었다(1945년부터 1987년 폐지될 때까지, 리그 확장을 제외하고 리그 진출에 성공한 클럽은 7개에 불과했다). 이스미언 리그 멤버는 풋볼 리그 선거에 한 번도 출마한 적이 없지만, 윔블던은 1964년 이스미언 리그를 떠난 후 서던 리그 멤버로 선출되었다.[7]

풋볼 리그에 진출한 최초의 전 이스미언 리그 팀은 1977년 윔블던이었고, 그 뒤를 이어 메이드스톤 유나이티드 (1989), 와이컴 원더러스 (1993), 요빌 타운 (2003), 데건햄 & 레드브리지 (2007), 올더숏 타운 (2008), 스티버리지 (2010) 및 AFC 윔블던 (2011)이 뒤를 이었다. 2011년까지 이스미언 리그에 있었던 서튼 유나이티드는 2021년에 승격되면서 풋볼 리그로 승격된 가장 최근의 전 멤버가 되었다.

잉글리시 풋볼 리그로 승격한 전(前) 이스미언 리그 클럽
이스미언 리그 시즌이스미언 리그 우승최고 진출 디비전첫 시즌EFL 수상 내역주요 컵 수상 내역현재 디비전
데건햄 & 레드브리지EFL 리그 원2007-08없음없음내셔널 리그
윔블던1921–648회 (1930–31, 1931–32, 1934–35, 1935–36, 1958–59, 1961–62, 1962–63, 1963–64)프리미어 리그1977–78FA컵 (1987–88)해체
와이컴 원더러스1921–85, 1986–878회 (1955–56, 1956–57, 1970–71, 1971–72, 1973–74, 1974–75, 1982–83, 1986–87)EFL 챔피언십1993–94없음없음EFL 리그 원
메이드스톤 유나이티드1959–710회4부 리그1989–90없음없음해체
서튼 유나이티드1963–86, 1991–99, 2001–04, 2008–115회 (1966–67, 1984–85, 1985–86, 1998–99, 2010–11)EFL 리그 투2021–22없음없음EFL 리그 투
스티버리지1984–1994 스티브니지 보로1회 (1993–94)EFL 리그 원2010–11없음없음EFL 리그 투
요빌 타운1985–88, 1995–972회 (1987–88, 1996–97)EFL 챔피언십2003-04리그 투 (2004–05)없음내셔널 리그
올더숏 타운1992–20031회 (2002–03)EFL 리그 투2008–09없음없음내셔널 리그
AFC 윔블던2004–080회EFL 리그 원2011–12없음없음EFL 리그 투


5. 리그 컵

앨런 터비 트로피는 1975년부터 시작된 이스미언 리그컵으로, 모든 이스미언 리그 팀들이 참가한다.

6. 스폰서십

이스미언 리그는 잉글랜드 축구 리그 중 스폰서십을 도입한 선구적인 리그 중 하나이다. 1973년부터 1977년까지 Rothmans가 리그를 처음 후원했으며, 이들은 리그 순위에 따라 상금을 지급하고 경고를 받으면 상금을 삭감하는 방식으로 더 많은 골과 페어플레이를 장려했다.[1]

이후 이스미언 리그를 후원한 기업들은 다음과 같다.

기간스폰서
1973–1977Rothmans
1977–1978Michael Lawrie
1978–1982Berger
1982–1985Servowarm
1985–1990복스홀-오펠
1990–1991복스홀
1991–1995Diadora
1995–1997ICIS
1997–2017Ryman[2]
2017–2019Bostik[3]
2019–2020BetVictor
2020–현재Entain (Pitching In)[4]



Ryman은 20년 동안 리그를 후원하여 영국 축구 역사상 가장 오래 지속된 스포츠 스폰서십 기록을 세웠으며, 2016-17 시즌을 끝으로 후원을 종료했다.[6] Ryman은 이스미언 유스 리그와 이스미언 개발 리그도 후원했다.[5]

참조

[1] 뉴스 The big shake up of non-League football confirmed http://nonleague.pit[...] Pitch Hero Ltd. 2017-05-16
[2] 웹사이트 English Non-League Archive 1965–98 http://www.staff.cit[...] Rec.Sport.Soccer Statistics Foundation
[3] 웹사이트 Bostik signs sponsorship deal with the Isthmian Football League https://www.bostik.c[...] 2017-07-02
[4] 뉴스 Introducing 'Pitching In' - the new partner of the Isthmian Football League https://www.isthmian[...] 2020-09-03
[5] 웹사이트 Record-breaking Ryman era to end – The Ryman Isthmian Football League http://www.isthmian.[...] 2017-01-14
[6] 웹사이트 End of the Ryman era as longest-running sponsors quit after 20 years https://www.thenonle[...] 2017-01-19
[7] 웹사이트 A HISTORY OF ADMISSION TO THE FOOTBALL LEAGUE http://www.nonleague[...]
[8] 웹사이트 The Pitching In Isthmian Football League https://www.isthmian[...] 2022-01-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