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스트리엔 변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스트리엔 변경백령은 고대 히스트리 부족의 정착지였으며, 로마 제국, 롬바르드 왕국, 비잔틴 제국 등 다양한 세력의 지배를 받았다. 샤를마뉴는 이스트리아를 카롤링거 제국에 편입시켰고, 이후 신성 로마 제국 시대를 거치며 케른텐 공국, 안데크스 가문 등의 지배를 받았다. 13세기 중반부터 베네치아 공화국이 해안 지역을 장악했고, 내륙 지역은 합스부르크 가문이 차지하여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해체까지 이스트리아 변경백 작위를 유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슬로베니아의 중세사 - 대모라바 왕국
    대모라바 왕국은 9세기에서 10세기 초 현재의 체코, 슬로바키아, 헝가리, 폴란드에 걸쳐 존재했던 초기 슬라브 국가로, 모이미르 1세에 의해 건국되어 라스티슬라프와 스바토플루크 1세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으나 마자르족의 침입으로 멸망했다.
  • 슬로베니아의 중세사 - 프리울리 변경
    프리울리 변경백국은 774년 샤를마뉴가 롬바르드 왕국을 정복한 후 시작되어 프랑크 왕국에 통합, 분할 및 재통합 과정을 거치다가 952년 베로나 변경백령에 편입되면서 소멸했다.
  • 카롤루스 제국의 변경 - 데인 변경
    데인 변경은 카롤링거 왕조 시대부터 1025년까지 덴마크와 프랑크 왕국 간의 경계 지역으로, 샤를마뉴가 덴마크의 위협에 대응하여 설치한 후 811년 아이더강을 경계로 확정되었으며, 오토 1세의 기독교화 시도와 974년 데인 변경백 살해 사건, 1025년 크누트 대왕의 종주권 인정으로 종말을 맞이했다.
  • 카롤루스 제국의 변경 - 판노니아 변경
    판노니아 변경은 8세기부터 10세기 초 동프랑크 왕국의 군사적 요충지로서 아바르족 정복 후 설치되었으나, 모라비아에 대항하며 독자적인 세력을 구축하려다 10세기 초 헝가리의 침략으로 붕괴되고 907년 헝가리 왕국에 병합되었다.
  • 신성 로마 제국의 변경 - 오스트리아 변경백국
    976년 오토 2세가 바벤베르크 가문의 레오폴트 1세에게 하사한 다뉴브 강 남북 지역의 변경백국인 오스트리아 변경백국은 니더외스터라이히주와 유사한 초기 영토에서 확장하여 헝가리 변경백국을 병합하고, 1156년 공국으로 승격되었으나 1278년 하프스부르크 가문에게 패배하며 바벤베르크 가문의 통치가 종식되었으며, "Österreich" (오스트리아)의 어원이 되었다.
  • 신성 로마 제국의 변경 - 몬페라토 변경백국
    몬페라토 변경백국은 950년경 서 리구리아 변경백국에서 시작되어 알레라미치 가문, 팔레올로고스 가문, 곤차가 가문에 의해 통치받다가 1574년 공국으로 승격되었으나 1708년 사보이아 공국에 병합되었다.
이스트리엔 변경
지리 정보
기본 정보
국가신성 로마 제국
존속 기간803년 ~ 1209년
이전프랑크 왕국
이후아퀼레이아 총대주교령
위치이스트라 반도
역사
설립803년
해체1209년
통치
통치자이스트리아 변경백
기타
독일어 명칭Mark Istrien
이탈리아어 명칭marca d'Istria

2. 역사

고대 히스트리 부족이 살았던 이 지역은 기원전 178년 로마 제국에 정복되었고, 아우구스투스 황제 시기에는 로마 속주인 이탈리아 북동부의 ''베네티아 에트 히스트리아'' 지역에 포함되었다. 로마 제국 쇠퇴와 민족 대이동 시기를 거치며, 568년부터는 알보인 왕이 이끄는 롬바르드족이 ''베네티아'' 지역을 정복하고 프리울리 공작령을 세워 그들의 이탈리아 왕국의 일부로 삼았다. 하지만 이스트리아 반도 자체는 비잔틴 제국(동로마 제국)의 영향력 아래 남아 있었으며, 동부와 북부에는 남슬라브족(크로아티아인과 슬로베니아인)이 정착하기 시작했다.

이후 프랑크 왕국의 샤를마뉴가 773-774년에 롬바르드 왕국을 정복하면서 이스트리아는 카롤링거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카롤링거 시대에 이스트리아는 프리울리 공작령에 속했다가 독자적인 변경백령으로 발전하며 외부 세력으로부터 이탈리아를 방어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843년 베르됭 조약 이후에는 중프랑크 왕국에 속했다가, 이후 신성 로마 제국의 일부가 되어 베로나 변경백국, 케른텐 공국 등 여러 세력 아래 소속이 변화하는 복잡한 과정을 거쳤다.

11세기 이후에는 카르니올라 변경백국과 밀접한 관계를 맺었으며, 점차 베네치아 공화국이 해안 지역을 장악하기 시작했다. 13세기 중반에는 해안 대부분이 베네치아의 지배하에 들어갔고, 반도의 남은 내륙 지역은 아퀼레이아 총대주교령의 영향 아래 있다가 합스부르크 가문의 오스트리아 대공국으로 넘어갔다. 1420년 아퀼레이아의 세속 영토가 베네치아에 의해 완전히 정복된 후, 이스트리아의 대부분은 베네치아 공화국에 속하게 되었고, 오스트리아의 합스부르크 왕가는 파진(Pazin, Mitterburg) 주변 반도 내륙의 작은 영토만을 소유하게 되었다.

1797년 캄포포르미오 조약으로 베네치아령 이스트리아는 합스부르크 군주국에 넘어갔으나, 나폴레옹 전쟁 시기에는 잠시 프랑스 제국의 이탈리아 왕국과 일리리아 지방에 편입되기도 했다. 1815년 빈 회의 이후 다시 오스트리아 제국으로 반환되어 일리리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가, 1849년 이후 오스트리아 해안 왕령의 하위 구역으로 재편되었다. 1861년 2월 칙령에 따라 파렌초에 이스트리아 의회가 설립되면서 자체 왕령으로서 상당한 자치권을 얻었다. 합스부르크 통치자들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해체되는 1918년까지 자신들의 여러 칭호에 "이스트리아 변경백"이라는 칭호를 포함시켰다.

2. 1. 카롤링거 왕조 시대

749년부터 롬바르드 왕국의 왕이었던 아이스톨프는 이탈리아 내 남은 비잔틴 제국 영토를 공격하며 로마의 교황까지 위협했다. 당시 교황 자카리는 콘스탄티노플로부터 지원을 기대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알프스 북쪽의 강력한 프랑크 왕국 궁재였던 피핀 3세와 손을 잡고 그를 프랑크 왕으로 인정했다. 이에 피핀 3세는 755년 이탈리아를 침공하여 아이스톨프를 프랑크의 영향력 아래 두었다. 피핀의 아들인 샤를마뉴는 773년과 774년에 걸쳐 이탈리아 왕국을 카롤링거 제국에 완전히 병합했다.

샤를마뉴는 처음에 이스트리아 반도를 롬바르드계 이탈리아 왕국의 일부였던 프리울리 공작령에 귀속시키고, 자신의 아들 피핀의 통치하에 두었다. 프리울리는 공식적으로는 공작령이었으나, 776년부터는 프랑크족이 임명한 통치자들이 명목상의 공작 지위를 가진 변경백령으로 사실상 운영되었다.

이스트리아 변경백령은 프리울리의 에릭 공작이 799년 리토랄 크로아티아와의 국경에서 벌어진 트르사트 공방전에서 사망한 이후 처음으로 역사에 등장한다. 이 지역은 프랑크족 백작 훈프리드에게 봉토로 주어졌으며, 그는 '포로이울라누스 공작'이라는 칭호도 함께 가졌다. 초기의 카롤링거 변경백령은 율리안 알프스와 카르스트 고원에서 크바르너만까지 이르는 지역을 포함했다. 이 변경백령은 프리울리, 카란타니아와 더불어 아바르족, 슬라브족, 마자르족의 침입으로부터 이탈리아를 방어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9세기 초반에는 요한 공작이 이스트리아를 다스렸는데, 그는 명목상 고대 비잔틴 관습을 따랐지만 실제로는 프랑크족의 봉신이었다. 당시 이 지역에는 트리에스테를 포함한 아홉 개의 도시가 있었다.

피핀 왕이 아드리아 해안에서 베네치아를 정복하려 여러 차례 시도했으나 실패하자, 그의 아버지 샤를마뉴 황제는 812년 아헨 조약을 통해 베네치아에 대한 형식적인 비잔틴 통치와 이스트리아 서해안에 대한 지배권을 인정했다. 그러나 이후 비잔틴 제국이 이 지역에서 실질적인 통치력을 회복했는지는 불분명하며, 이스트리아의 나머지 지역은 카롤링거 제국의 프리울리 공국에 다시 통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마지막 프리울리 공작이었던 발드리크가 폐위된 후, 경건왕 루이 황제는 829년 보름스 제국 회의에서 그의 광대한 공국을 네 개의 변경백령으로 나누었다. 이때 이스트리아는 프리울리 변경백령과 함께 아퀼레이아를 중심으로 변경백 에버하르트와 그의 후손인 운루오칭가 가문에 의해 통치되었다. 843년 베르됭 조약으로 이스트리아는 중프랑크 왕국의 일부가 되었고, 855년에는 루이 2세 황제의 이탈리아 왕국에 속하게 되었다. 운루오칭가 가문의 변경백 프리울리의 베렌가리오는 888년 뚱보 카를 3세의 뒤를 이어 이탈리아 왕위에 오르기도 했다.

2. 2. 신성 로마 제국 시대

952년 독일 국왕 오토 1세가 이탈리아의 베렌가르 2세 치하의 북부 이탈리아를 원정한 후, 그는 프리울리를 광대한 베로나 변경백국에 병합하여 그의 형제인 바이에른 공작 하인리히 1세에게 주었다. 하인리히 1세는 이미 인접한 케른텐 변경백국과 카르니올라 변경백국을 다스리고 있었다. 976년, 하인리히 1세의 아들이자 후계자인 바이에른의 하인리히 2세 공작이 폐위되자, 황제 오토 2세는 케른텐 공국을 바이에른에서 분리하여 별도의 공국으로 만들었다. 이 공국은 젊은 하인리히 공작에게 맡겨졌으며, 그는 베로나, 이스트리아, 카르니올라 및 슈타이어마르크 변경백국을 포함한 남동부 바이에른 변경백국에 대한 지배권을 부여받았다.

10세기 말에는 이스트리아 백작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스트리아는 1040년에 카르니올라 변경백국과 함께 케른텐 공국에서 분리되었다. 두 지역은 튀링겐 백작 바이마르의 포포 1세에게 주어졌는데, 그는 마지막으로 알려진 프리울리 변경백 베리안트 (베리안트 (프리울리))와의 결혼을 통해 이 지역들을 상속받은 것으로 여겨진다. 이후 카르니올라 변경백들은 점차 반도의 북동부 영토를 획득해 나갔고, 반면 서부와 남부 해안은 점차 베네치아 공화국에 의해 점령되었다. 독일 국왕 하인리히 4세는 남은 변경백국을 명목상 아퀼레이아 총대주교령에 할당했지만, 변경백 작위와 이스트리아 영토는 사실상 카르니올라가 계속 유지했다.

1173년, 호엔슈타우펜가의 황제 프리드리히 1세는 바이에른 귀족 가문인 안데크스 가문에게 이스트리아를 봉토로 주었고, 그들은 이스트리아를 자신들의 메라니아 공국에 병합했다. 그러나 1209년, 안데크스 변경백이 독일 국왕 슈바벤의 필리프(프리드리히 1세의 아들) 암살 사건에 연루되었다는 혐의로 추방되면서, 아퀼레이아 총대주교령이 이스트리아를 되찾았다.

13세기 중반까지 이스트리아 해안의 대부분은 베네치아에 의해 정복되었다. 아퀼레이아 총대주교들은 더 이상 변경백을 임명하지 않았고, 반도의 남은 내륙 지역을 포크트(Vogt, 행정관)를 통해 직접 관리했는데, 주로 마이네르디너 백작 가문이 이 역할을 맡았다. 1374년, 합스부르크 가문의 오스트리아 대공국 대공들이 괴르츠 영토를 획득했다. 합스부르크 가문은 이미 1335년부터 카르니올라 변경백국을 소유하고 있었으며, 1382년에는 트리에스테 시까지 장악하며 이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강화했다.

2. 3. 합스부르크 가문 시대

1420년 아퀼레이아 총대주교의 세속 영토가 베네치아 공화국에 의해 완전히 정복된 후, 이스트리아의 대부분은 베네치아 공화국('라 세레니시마', La Serenissima)에 속하게 되었다. 오스트리아의 합스부르크 왕가는 파진(Pazin, Mitterburg) 주변 반도 내륙의 작은 영토만을 소유했으며, 이 지역은 카르니올라 공국에서 관리했다. 그럼에도 합스부르크 통치자들은 1918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해체될 때까지 자신들의 여러 칭호에 "이스트리아 변경백"이라는 칭호를 포함시켰다.

베네치아령 이스트리아는 1797년 캄포포르미오 조약에 따라 합스부르크 군주국(1804년부터는 오스트리아 제국)에 넘어갔다. 하지만 1805년 프레스부르크 강화 조약으로 인해 나폴레옹에게 점령되어 그의 이탈리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이후 1809년에는 일리리아 지방의 일부로서 프랑스 제국에 편입되었다. 1815년 나폴레옹이 패배하자, 이 영토는 빈 회의의 결정에 따라 일리리아 왕국의 일부로 다시 오스트리아에 반환되었다.

1849년 일리리아 왕국이 분할되면서, 이스트리아 변경백령은 오스트리아 해안 왕령의 하위 행정 구역이 되었다. 1861년 2월 칙령에 따라 포레치(Parenzo)에 이스트리아 의회가 설립되면서, 이스트리아는 자체 왕령으로서 상당한 자치권을 얻게 되었다.

3. 역대 변경백

이스트리엔 변경백령은 카롤루스 왕조 시기부터 존재했으며, 여러 귀족 가문을 거쳐 작위가 계승되었다. 초기에는 프리울리 공작이 겸임하거나 별도의 공작이 임명되었고, 이후 바이마르 가문, 슈폰하임 가문, 바이마르-오를라뮌데 가문, 안데크스 가문 등이 차례로 변경백 작위를 세습하거나 임명받았다. 각 가문별 상세한 변경백 목록과 활동 내역은 아래의 하위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 안데크스 가문 출신 변경백인 오토 2세가 1248년에 사망한 이후, 이스트리엔 변경백 작위는 합스부르크 가문의 군주에게 통합되었다. 이에 따라 '이스트리아 변경백'이라는 칭호는 이후 오스트리아 황제가 사용하는 공식 칭호 목록인 오스트리아 황제의 대칭호에 포함되었다.

3. 1. 카롤루스조 이스트리아 공작

샤를마뉴는 이스트리아 반도를 롬바르드 이탈리아 왕국의 일부인 프리울리 공국에 귀속시키고, 그의 아들 피핀의 통치 아래 두었다. 공식적으로는 공작령이었으나, 프리울리는 776년부터 프랑크족이 임명한 통치자들이 명목상의 공작 지위를 가진 변경백령으로 다스렸다.

이스트리아 변경백령은 프리울리 공작 에릭이 799년 트르사트 공방전에서 사망한 이후 처음으로 기록에 등장한다. 이 전투는 리토랄 크로아티아와의 프랑크족 국경 지대에서 벌어졌다. 이스트리아는 프랑크족 백작 운프레두스에게 수여되었으며, 그는 동시에 "포로이울라누스 공작"(프리울리 공작)이라는 칭호도 가졌다. 원래의 카롤링거 변경백령은 율리안 알프스 산맥과 카르스트 고원에서 크바르너만까지 이르는 넓은 지역이었다. 이 변경백령은 프리울리, 카란타니아와 함께 아바르족, 슬라브족, 그리고 마자르족의 침입으로부터 이탈리아를 방어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9세기 초, 요한 공작이 이스트리아를 통치했다(804년경). 그는 명목상 고대 비잔틴의 관습을 따랐으나, 실제로는 프랑크족의 봉신이었다. 당시 이 지역에는 트리에스테를 포함한 아홉 개의 주요 도시가 있었다.

피핀 왕이 아드리아 해 연안에서 베네치아를 정복하려 여러 차례 시도했으나 실패하자, 그의 아버지인 샤를마뉴 황제는 812년 아헨 조약을 통해 베네치아에 대한 형식적인 비잔틴 통치와 함께 이스트리아, 최소한 그 서쪽 해안에 대한 지배권을 인정했다. 이후 이 지역의 역사는 명확하지 않으나, 비잔틴 제국이 반환된 영토에 효과적인 통치 체제를 다시 세우지는 못했을 가능성이 크다. 이스트리아의 나머지 지역은 결국 카롤링거 프리울리 공국에 다시 통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마지막 프리울리 공작이었던 발드리크가 828년 자리에서 물러나자, 경건왕 루이 황제는 829년 보름스 제국 회의에서 그의 광대한 공국을 네 개의 변경백령으로 나누었다. 이때 이스트리아는 프리울리 변경백령과 함께 아퀼레이아를 중심으로 변경백 에버하르트와 그의 후손들인 운루오칭가 가문에 의해 통치되었다. 843년 베르됭 조약 이후 이스트리아는 중프랑크 왕국의 일부가 되었고, 855년에는 루이 2세 황제의 이탈리아 왕국에 할당되었다. 운루오칭가 가문의 변경백이었던 프리울리의 베렌가리오는 888년 카를 3세의 뒤를 이어 이탈리아 왕위에 오르기도 했다.

카롤루스 왕조 시기의 주요 이스트리아 공작(변경백)은 다음과 같다.

  • 운프레두스 (799년경): 프리울리 공작 겸임
  • 요한 (804년경)

3. 2. 바이마르 백작 겸작

10세기 말 이스트리아 백작이 등장한 이후, 1040년 이스트리아는 카르니올라 변경백국과 함께 케른텐 공국에서 분리되었다. 이 두 지역은 튀링겐 백작이자 바이마르 가문의 포포 1세에게 주어졌다. 포포 1세는 마지막 프리울리 변경백으로 알려진 베리안트 (베리안트 (프리울리))와의 혼인을 통해 이 지역을 상속받은 것으로 여겨진다.

  • 포포 1세 (1012년–1044년): 1040년부터 카르니올라 변경백 겸임.
  • 울리히 1세 (1060년–1070년): 포포 1세의 아들, 카르니올라 변경백 겸임.
  • 하인리히 1세 (1077년–1090년)

3. 3. 슈폰하임 가문


  • 엥겔베르트 1세 (1090년-1096년)
  • 부르크하르트 (1093년-1101년)
  • 엥겔베르트 2세 (1107년-1124년)
  • 엥겔베르트 3세 (1124년-1173년)

3. 4. 바이마르-오를라뮌데 백작 겸작


  • 포포 2세 (1096년–1098년): 울리히 1세의 아들. 1070년부터 카르니올라 변경백 겸직.
  • 울리히 2세 (1098년–1107년): 포포 2세의 형제. 카르니올라 변경백 겸직.

3. 5. 슈폰하임 가문

wikitext

이름재임 기간비고
엥겔베르트 1세1090년–1096년
부르크하르트1093년–1101년
엥겔베르트 2세1107년–1124년엥겔베르트 1세의 아들. 카르니올라 변경백 겸임. 1124년부터 카린티아 공작.
엥겔베르트 3세1124년–1173년엥겔베르트 2세의 아들. 카르니올라 변경백 겸임.


3. 6. 안데크스 가문

안데크스 가문은 1173년부터 1248년까지 이스트리엔 변경백 작위를 소유했다.

변경백재임 기간비고
베르톨트 1세1173년–1188년카르니올라 변경백 겸직
베르톨트 2세1188년–1204년카르니올라 변경백, 메라니아 공작(베르톨트 4세, 1183년부터) 겸직
하인리히 2세1204년–1228년카르니올라 변경백 겸직
오토 1세1228년–1234년카르니올라 변경백, 메라니아 공작(1204년부터), 부르고뉴 팔츠백(오토 2세, 1211년부터) 겸직
오토 2세1234년–1248년카르니올라 변경백, 메라니아 공작, 부르고뉴 팔츠백(오토 3세) 겸직



오토 2세 이후 이스트리엔 변경백 작위는 합스부르크 군주에게 통합되었으며, "이스트리아 변경백" 칭호는 오스트리아 황제의 대칭호에 포함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