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십살가야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십살가야견은 불교 용어로, '나'라는 존재에 대한 잘못된 이해를 의미하는 '아견(我見)'과 '아소견(我所見)'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5아견은 5온(五蘊), 즉 색온, 수온, 상온, 행온, 식온을 '나'라고 여기는 다섯 가지 견해를, 15아소견은 아소견을 15가지로 세분화한 것이다. 15아소견은 5온 각각에 대해 상응아소, 수전아소, 불리아소로 나뉜다. 현대 사회에서 20아견은 개인주의, 소유욕, 사회적 갈등과 연결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탈아집적 사고, 공동체 의식, 사회적 책임 인식이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근본번뇌 - 백십이혹
    백십이혹은 불교에서 중생의 마음을 어지럽히는 112가지의 심리적 장애를 의미하며, 견혹과 수혹으로 나뉘고, 수행자들은 백십이혹을 극복하여 해탈에 이르기 위해 노력한다.
  • 근본번뇌 - 십수면
  • 심소법 - 마음작용 (현양성교론)
    마음작용은 《현양성교론》에서 마음과 상응하는 모든 법을 의미하며, 아뢰야식의 종자에서 생겨나 마음에 의지하여 함께 작용하는 대승불교의 교의에 따라 51가지로 분류된다.
  • 심소법 - 무치
  • 불교 용어 - 불멸기원
    불멸기원은 석가모니의 입멸을 기원으로 하는 불교력의 연호로, 기원전 544년 설과 기원전 543년 설에 따라 계산에 차이가 있으며, 태음태양력을 기반으로 윤년과 윤달을 통해 태양력과의 차이를 조정하고, 동남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불교 관련 행사 및 휴일 표기에 사용된다.
  • 불교 용어 - 마음챙김
    마음챙김은 불교 용어인 '사띠'와 '스므르티'에서 유래하여 현재 순간에 대한 자각과 수용을 의미하며, 스트레스 감소 및 정신 건강 증진을 위해 심리학, 의학 분야에서 활용되고 다양한 분야에서 유사한 개념이 존재하나 상업화 및 윤리적 문제에 대한 비판도 있다.
이십살가야견
기본 정보
이십살 가야개
이십살 가야개
별칭갯과 동물
크기중형견
수명12년 ~ 15년
성격용맹하고 충성스러움
역사
기원대한민국 경상남도 고령군
시대삼국 시대
용도군견, 사냥견
특징
외모털색은 주로 황색, 갈색, 검은색이며, 귀는 쫑긋하고 꼬리는 말려 있다.
성격주인에게 충성심이 강하고 용맹하며 경계심이 강하다.
관리활동량이 많으므로 충분한 운동이 필요하며, 털 관리를 위해 빗질을 자주 해 주어야 한다.
보존 상태
상태멸종 위기
이유일제강점기 및 한국 전쟁을 거치면서 개체 수가 급감하였고, 현재는 혈통 보존을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
참고 자료
관련 링크고령군청
고부산의 향기

2. 5아견

'''5아견'''(五我見)은 '나'라는 존재에 대한 다섯 가지 기본적인 오해를 의미한다.

# 5온 가운데 색온(色蘊)을 나[我]라고 여기는 견해

# 5온 가운데 수온(受蘊)을 나[我]라고 여기는 견해

# 5온 가운데 상온(想蘊)을 나[我]라고 여기는 견해

# 5온 가운데 행온(行蘊)을 나[我]라고 여기는 견해

# 5온 가운데 식온(識蘊)을 나[我]라고 여기는 견해

2. 1. 색온과 아견

색온(色蘊), 즉 물질적 요소가 '나'라고 여기는 견해이다. 이 견해는 5온 가운데 색온을 '나(我)'라고 여기는 것이다.

분류:불교 용어

분류:아견

분류:오견

분류:번뇌

분류:유신견

2. 2. 수온과 아견

수온(受蘊), 즉 감각적 경험을 '나(我)'라고 여기는 견해이다. 수온은 5온(五蘊) 중 하나로, 외부 자극에 대한 감각적인 경험을 의미한다. 이러한 감각적 경험을 자신과 동일시하는 것을 수온아견(受蘊我見)이라고 한다.

2. 3. 상온과 아견

상온(想蘊), 즉 인식 작용이 '나'라고 여기는 견해이다. 5온 가운데 하나인 상온(想蘊)을 나[我]라고 여기는 견해이다.

2. 4. 행온과 아견

5온 가운데 하나인 행온(行蘊)을 나[我]라고 여기는 견해이다. 행온은 의지적 행위를 의미한다.

2. 5. 식온과 아견

5온 가운데 하나인 식온(識蘊), 즉 의식 자체가 '나'라고 여기는 견해이다.

3. 15아소견

'''15아소견'''(十五我所見)은 아소견(我所見)을 15가지로 나눈 것이다.


5온 가운데 색온(色蘊)과 관련된 3가지 아소견은 상응아소(相應我所) 수전아소(隨轉我所) 불리아소(不離我所)이다.

# '''아유색'''(我有色): 색온과 관련된 상응아소로, 색온이 내[我] 안에 존재한다고 여기는 견해

# '''색속아'''(色屬我) 또는 '''색시아소'''(色是我所): 색온과 관련된 수전아소로, 색온이 나[我]에 소속되어 있다고 여기는 견해, 즉 색온을 내 것[我所]이라고 여기는 견해

# '''아재색중'''(我在色中): 색온과 관련된 불리아소로, 색온 안에 내[我]가 존재한다고 여기는 견해

5온 가운데 수온(受蘊)과 관련된 3가지 아소견은 상응아소(相應我所) 수전아소(隨轉我所) 불리아소(不離我所)이다.

# '''아유수'''(我有受): 수온과 관련된 상응아소로, 수온이 내[我] 안에 존재한다고 여기는 견해

# '''수속아'''(受屬我) 또는 '''수시아소'''(受是我所): 수온과 관련된 수전아소로, 수온이 나[我]에 소속되어 있다고 여기는 견해, 즉 수온을 내 것[我所]이라고 여기는 견해

# '''아재수중'''(我在受中): 수온과 관련된 불리아소로, 수온 안에 내[我]가 존재한다고 여기는 견해

5온 가운데 상온(想蘊)과 관련된 3가지 아소견은 상응아소(相應我所) 수전아소(隨轉我所) 불리아소(不離我所)이다.

# '''아유상'''(我有想): 상온과 관련된 상응아소로, 상온이 내[我] 안에 존재한다고 여기는 견해

# '''상속아'''(想屬我) 또는 '''상시아소'''(想是我所): 상온과 관련된 수전아소로, 상온이 나[我]에 소속되어 있다고 여기는 견해, 즉 상온을 내 것[我所]이라고 여기는 견해

# '''아재상중'''(我在想中): 상온과 관련된 불리아소로, 상온 안에 내[我]가 존재한다고 여기는 견해

5온 가운데 행온(行蘊)과 관련된 3가지 아소견은 상응아소(相應我所) 수전아소(隨轉我所) 불리아소(不離我所)이다.

# '''아유행'''(我有行): 행온과 관련된 상응아소로, 행온이 내[我] 안에 존재한다고 여기는 견해

# '''행속아'''(行屬我) 또는 '''행시아소'''(行是我所): 행온과 관련된 수전아소로, 행온이 나[我]에 소속되어 있다고 여기는 견해, 즉 행온을 내 것[我所]이라고 여기는 견해

# '''아재행중'''(我在行中): 행온과 관련된 불리아소로, 행온 안에 내[我]가 존재한다고 여기는 견해

5온 가운데 식온(識蘊)과 관련된 3가지 아소견은 상응아소(相應我所) 수전아소(隨轉我所) 불리아소(不離我所)이다.

# '''아유식'''(我有識): 식온과 관련된 상응아소로, 식온이 내[我] 안에 존재한다고 여기는 견해

# '''식속아'''(識屬我) 또는 '''식시아소'''(識是我所): 식온과 관련된 수전아소로, 식온이 나[我]에 소속되어 있다고 여기는 견해, 즉 식온을 내 것[我所]이라고 여기는 견해

# '''아재식중'''(我在識中): 식온과 관련된 불리아소로, 식온 안에 내[我]가 존재한다고 여기는 견해

3. 1. 상응아소

상응아소(相應我所)는 '나의 것'이 나와 함께 존재한다고 믿는 것이다. 예를 들어, '내 안에 색온(色蘊)이 있다', '내 안에 수온(受蘊)이 있다' 등과 같이 5온(五蘊)과 관련하여 '나'와 함께 존재한다고 여기는 견해이다.

5온 각각에는 3가지 아소견(我所見)이 있는데, 그중 하나가 상응아소(相應我所)이다. 색온과 관련된 상응아소는 아유색(我有色)으로, 색온이 내 안에 존재한다고 여기는 견해이다. 수온과 관련된 상응아소는 아유수(我有受)로, 수온이 내 안에 존재한다고 여기는 것이다. 상온(想蘊)과 관련된 상응아소는 아유상(我有想)으로, 상온이 내 안에 존재한다고 여기는 것이다. 행온(行蘊)과 관련된 상응아소는 아유행(我有行)으로, 행온이 내 안에 존재한다고 여기는 것이다. 식온(識蘊)과 관련된 상응아소는 아유식(我有識)으로, 식온이 내 안에 존재한다고 여기는 견해이다.

3. 2. 수전아소

수전아소(隨轉我所)는 '나의 것'이 나에게 종속되어 있다고 믿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색온(色蘊)과 관련하여 '색온이 나에게 속한다' 혹은 '색온은 나의 것이다'라고 여기는 견해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수온(受蘊), 상온(想蘊), 행온(行蘊), 식온(識蘊)에 대해서도 각각 '나에게 속한다'거나 '나의 것이다'라고 여기는 견해가 수전아소에 해당한다.

3. 3. 불리아소

'''불리아소'''(不離我所)는 '나의 것' 안에 내가 존재한다고 믿는 것이다. 예를 들어, '나는 색온 안에 있다', '나는 수온 안에 있다' 등과 같이 5온 안에 내[我]가 존재한다고 여기는 견해이다.

4. 20아견의 현대적 의미

4. 1. 개인주의와 아집

4. 2. 소유와 집착

4. 3. 사회적 갈등과 불평등

5. 20아견 극복의 필요성

5. 1. 탈아집적 사고

5. 2. 공동체 의식 함양

5. 3. 사회적 책임 인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