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우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우민은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로, 2001년 롯데 자이언츠에 입단하여 2017년까지 선수 생활을 했다. 2007년 올스타전에 외야수 부문으로 선정되었고, 같은 해 3할 타율을 기록했다. 2015년 이승화에서 이우민으로 개명했다. 2017년 시즌 후 FA를 통해 은퇴했으며, 2018년 롯데 자이언츠 2군 코치를 역임했다. 현재는 센텀중학교 야구부 코치로 활동하고 있다. 뛰어난 수비 능력을 갖춘 외야수였으며, 통산 타율은 0.233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영초등학교 (부산) 동문 - 우지 (가수)
우지는 세븐틴의 멤버로서 데뷔하여 그룹의 음악적 중심축으로 활동하는 가수 겸 프로듀서이며, 솔로 아티스트로서도 활동하고 있다. - 수영초등학교 (부산) 동문 - 최지우
최지우는 1994년 MBC 공채 탤런트로 데뷔하여 드라마, 영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한류 스타로 자리매김한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부산상업고등학교 동문 - 신영복
신영복은 대한민국의 경제학자, 사회운동가, 대학교수, 저술가로서 통일혁명당 사건으로 수감 생활 중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을 집필하여 반향을 일으켰고, 출소 후 관계론을 중심으로 사상을 발전시키며 독특한 서체로 민중과 소통했으며, 다수의 저서를 남겼다. - 부산상업고등학교 동문 - 김지태
일제강점기부터 한국 전쟁 이후 부산에서 활동한 기업인이자 정치인인 김지태는 동양척식주식회사 근무를 시작으로 제지업과 섬유업 등으로 재산을 축적하고 부산일보 사장과 부산상공회의소 초대 회장, 제2, 3대 민의원을 지냈으나, 사사오입 개헌 반대와 부정축재 혐의, 친일 행위 논란으로 재산을 몰수당하는 등 그의 재산 형성 과정과 정치 활동, 박정희 정권과의 관계는 여전히 논란의 대상이다. - 부산중학교 동문 - 노회찬
노회찬은 대한민국의 노동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민주노동당, 진보신당, 통합진보당, 정의당에서 활동하며 국회의원을 지냈고 노동운동과 사회 개혁에 헌신했으나, 드루킹 사건 연루 의혹으로 특검 수사 중 투신 사망했다. - 부산중학교 동문 - 이윤택
이윤택은 대한민국의 연극 연출가이자 극작가, 시인으로 연희단거리패를 창단하여 한국 연극계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미투 운동으로 성폭력 가해 사실이 드러나 연극계에서 퇴출되었으며, 문재인 전 대통령을 지지하여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에 오르기도 했다.
이우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선수명 | 이우민 |
원어명 | Lee Woo-Min |
출생지 |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
생년월일 | 1982년 5월 4일 |
신장 | 182 |
체중 | 90 |
利き腕 (던지는 팔) | 우 |
타석 | 좌 |
수비 위치 | 중견수, 좌익수, 우익수 |
프로 입단 연도 | 2001년 |
드래프트 순위 | 2001년 2차 2라운드 (롯데 자이언츠) |
계약금 | 1억원 |
선수 경력 | |
선수 | 롯데 자이언츠 (2001년 ~ 2017년) 상무 야구단 (2004년 ~ 2005년) |
코치 경력 | |
코치 | 롯데 자이언츠 2군 작전/외야수비코치 (2019년) 롯데 자이언츠 외야수비코치 (2019년) 센텀중학교 야구부 코치(2020년 ~ 2021년) |
KBO 리그 기록 | |
첫 출장 | KBO / 2001년 7월 7일 / 광주 대 KIA전 |
마지막 경기 | KBO / 2017년 10월 15일 / 사직 대 NC전 |
국가대표 경력 | |
야구 월드컵 | 2007년 대만 |
2. 선수 경력
2001년 2차 드래프트에서 롯데 자이언츠의 지명을 받아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입단 초기에는 주로 수비 요원으로 경기에 나섰으며, 2004년부터 2005년까지 군 복무를 이행했다. 2007년에는 타격에서 발전된 모습을 보이며 올스타에 선정되기도 했으나, 부상으로 인해 제한적인 출전에 그쳤다. 이후 2008년에는 다시 타격 부진과 부상을 겪었다. 2015년에는 기존 이름 '''이승화'''에서 '''이우민'''으로 개명했다. 2017년 시즌 종료 후 처음으로 FA 자격을 행사했으나, 2018년까지 계약할 팀을 찾지 못하고 현역 은퇴를 결정했다. 은퇴 후인 2018년 11월 롯데 자이언츠 2군 코치로 복귀했으나, 2019년 시즌 종료 후 사임했다.
2. 1. 롯데 자이언츠 시절
2001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롯데 자이언츠에 2차 2라운드 지명을 받아 입단했다.[1] 입단 초기에는 주로 백업 선수 및 수비 요원으로 경기에 나섰으며, 2004년부터 2005년까지 군 복무를 했다. 2006년 팀에 복귀한 후에도 주로 백업과 2군에서 활동했다.[1]2007년은 그의 선수 경력 중 최고의 해(커리어 하이)로 평가받는다.[1] 이 해에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3할 타율을 기록했으며,[1] 이전까지 통산 타율 2할 전후에 머물렀던 타격 능력이 크게 향상되었다. 이러한 활약을 바탕으로 올스타 게임 외야수 부문에 선정되었으나, 6월 2일 경기 직전 왼쪽 손목 부상을 당해 대타로만 출전하는 아쉬움을 남겼다.
2008년에는 다시 타격 부진을 겪으며 주로 대주자 및 수비 요원으로 기용되었다.[1] 포스트시즌에서는 삼성 라이온즈와의 플레이오프 1차전에서 수비 도중 발목 부상을 당해 남은 경기에서 타석에 들어서지 못하고 시즌을 마감했다. 시즌 종료 후인 10월 20일에는 왼쪽 무릎 반월상 연골 파열로 서울의 한 병원에서 수술을 받았다.
2008년 이후 여러 차례 기회를 얻었으나 좀처럼 부진에서 벗어나지 못했다.[1] 특히 2011년에는 개막전부터 5월 24일까지 안타를 기록하지 못하는 극심한 타격 슬럼프를 겪었다.[1] 2군 조정 기간을 거친 후 5월 29일 KIA 타이거즈의 유동훈을 상대로 시즌 첫 안타를 기록했지만,[1] 해당 시즌 타율은 결국 1할대에 머물렀다.[1] 이후에도 타격 능력이 개선되지 않아 중요한 순간 찬스를 무산시키는 경우가 잦았고, 주로 백업 및 2군 선수로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1]
2015년 시즌을 앞두고 기존 이름 '''이승화'''에서 '''이우민'''으로 개명했다.
2017년 시즌 종료 후 데뷔 처음으로 FA 자격을 행사했으나, 2018년까지 새로운 팀을 찾지 못하면서 현역 은퇴를 선언했다.
2. 2. 상무 야구단 시절
2003년 시즌 후 상무 야구단에 입대하여 군 복무를 하였고, 2005년에 제대하여 팀에 복귀하였다.2. 3. 롯데 자이언츠 복귀
2018년 11월, 현역 은퇴 후 롯데 자이언츠에 2군 코치로 복귀했다. 2019년 시즌 종료 후 사임했다.3. 은퇴 이후
2017년 시즌 종료 후 처음으로 FA 자격을 얻었으나, 계약할 구단을 찾지 못해 2018년에 현역에서 은퇴했다. 같은 해 11월, 롯데 자이언츠의 2군 코치로 복귀했으나 2019년 시즌 종료 후 사임했다. 2020년부터는 센텀중학교 야구부 코치를 맡고 있다.
4. 플레이 스타일
뛰어난 외야 수비 능력을 갖춘 것으로 평가받지만, 타격에서는 다소 소극적인 모습을 보여 삼진과 볼넷이 많은 편이다.
또한, 잦은 부상으로 인해 중요한 시기에 경기에 출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응원가는 박현승과 박종윤의 응원가를 이어받아 사용했으며, 이우민이 은퇴한 후에는 이병규가 이 응원가를 사용했다.
5. 출신 학교
6. 통산 기록
wikitext
연도 | 팀명 | 타율 | 경기 | 타수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4사구 | 삼진 | 병살 | 실책 |
---|---|---|---|---|---|---|---|---|---|---|---|---|---|---|---|
2001 | 롯데 | 0.111 | 16 | 9 | 1 | 0 | 0 | 0 | 0 | 6 | 0 | 1 | 1 | 1 | 0 |
2002 | 0.188 | 49 | 154 | 29 | 5 | 1 | 1 | 10 | 15 | 2 | 19 | 47 | 1 | 0 | |
2003 | 0.214 | 23 | 56 | 12 | 4 | 0 | 0 | 5 | 6 | 3 | 12 | 19 | 0 | 0 | |
2006 | 0.188 | 89 | 112 | 21 | 5 | 0 | 2 | 12 | 12 | 7 | 8 | 42 | 0 | 1 | |
2007 | 0.301 | 75 | 269 | 81 | 4 | 5 | 1 | 23 | 31 | 11 | 27 | 57 | 1 | 2 | |
2008 | 0.214 | 87 | 145 | 31 | 1 | 3 | 1 | 13 | 27 | 4 | 13 | 31 | 6 | 1 | |
2009 | 0.259 | 102 | 162 | 42 | 7 | 0 | 0 | 15 | 25 | 12 | 22 | 37 | 3 | 0 | |
2010 | 0.244 | 92 | 82 | 20 | 4 | 1 | 0 | 9 | 13 | 2 | 6 | 16 | 0 | 1 | |
2011 | 0.120 | 70 | 75 | 9 | 1 | 1 | 0 | 3 | 12 | 3 | 12 | 26 | 0 | 0 | |
2012 | 0.214 | 65 | 84 | 18 | 2 | 0 | 1 | 5 | 12 | 1 | 12 | 21 | 0 | 0 | |
2013 | 0.253 | 60 | 217 | 55 | 5 | 0 | 0 | 16 | 30 | 5 | 23 | 47 | 2 | - | |
2014 | 0.225 | 44 | 80 | 18 | 0 | 0 | 0 | 10 | 14 | 0 | 16 | 22 | 1 | 0 | |
2015 | 0.227 | 75 | 141 | 32 | 4 | 0 | 4 | 18 | 18 | 2 | 16 | 43 | 2 | 0 | |
2016 | 0.193 | 52 | 83 | 16 | 5 | 0 | 1 | 8 | 19 | 2 | 11 | 16 | 3 | 0 | |
2017 | 0.254 | 104 | 185 | 47 | 5 | 1 | 4 | 21 | 35 | 2 | 25 | 38 | 6 | 2 | |
통산 | 17시즌 | 0.233 | 1,003 | 1,854 | 432 | 52 | 12 | 15 | 168 | 275 | 56 | 223 | 463 | 26 | 9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