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운룡 (1562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이운룡(李雲龍, 1562년 ~ 1610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입니다. 본관은 재령(載寧)이며, 자는 경현(景見), 호는 동계(東溪)입니다. 경상북도 청도 출신으로, 아버지는 남해현령을 지낸 이몽상(李夢祥)입니다.
다음은 이운룡의 주요 생애와 활동입니다.
- 1585년(선조 18년): 24세에 무과에 합격했습니다.
- 1587년: 병조판서 유성룡의 후원으로 선전관에 임명되었습니다.
- 1589년: 옥포 만호에 제수되었습니다.
- 1592년: 임진왜란 발발. 옥포 해전에서 선봉장으로 활약하여 적선 50여 척을 불사르는 큰 전과를 올렸습니다. 이 해전은 임진왜란 최초의 승전입니다. 이후 사천, 진해, 한산도, 안골포, 부산 등 여러 해전에서 활약하며 조선 수군이 제해권을 장악하는 데 큰 공을 세웠습니다.
- 1593년: 웅천 현감으로 승진했습니다.
- 1595년: 통정대부로 가자(加資)되었습니다.
- 1596년: 이순신의 천거로 경상 좌수사에 승진하여 전쟁이 끝날 때까지 경상도 수군을 주도했습니다.
- 1604년: 선무공신(宣武功臣) 3등에 녹훈되고, 식성군(息城君)에 봉해졌습니다.
- 1605년: 도총부 부총관, 경상 우수사 겸 삼도 수군 통제사(三道水軍統制使) 등을 역임했습니다.
- 1607년: 비변사의 천거로 함경남 병사(咸鏡南兵使)로 전직되어 기병 별대를 창설하고 갑산성 수축에 공을 세웠습니다.
- 1609년: 충청 수사로 제수되었습니다.
- 1610년: 체직(遞職)되어 고향인 청도로 돌아와 49세의 나이로 별세했습니다.
저서로는 『거영일기(居營日記)』와 『식성군실기(息城君實記)』 2권이 있습니다.
이운룡 장군의 영정은 1604년 선무공신으로 책봉되었을 때 그려진 것으로,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으나, 1977년에 도난당했습니다. 현재는 모사본과 일부 비단 조각만 전해지고 있습니다.
군의 영정은 1604년 선무공신으로 책봉되었을 때 그려진 것으로,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으나, 1977년에 도난당했습니다. 현재는 모사본과 일부 비단 조각만 전해지고 있습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