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윤 (상나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윤은 상나라 시대의 인물로, 전설에 따르면 대홍수 때 뽕나무에서 태어났다고 전해진다. 요리사로 시작하여 상나라 탕왕을 보좌하며 하나라를 멸망시키는 데 기여했고, 상 왕조 건국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탕왕 사후에는 어린 태갑을 보좌했으나, 태갑이 폭정을 하자 동궁으로 유배하고 섭정했다. 태갑이 뉘우치고 돌아오자 정권을 돌려주고, 태갑의 아들 옥정 시대에 사망했다. 이윤은 명신으로 평가받지만, 태갑을 추방한 일로 인해 부정적인 평가도 존재하며, 《죽서기년》에는 그가 왕위를 찬탈하려 했다는 기록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이윤 (상나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이윤 |
본명 | 이지 |
국적 | 상나라 |
직업 | 요리사, 정치가 |
주요 업적 | 탕왕을 섬김; 하나라를 전복; 태갑을 섬김 |
관직 | |
직책 | 재상 |
재임 기간 | 탕 외병 중임 태갑 외정 |
이름 (한자) | 伊尹 |
로마자 표기 | Yi Yin |
2. 생애
전설에 의하면, 이윤의 어머니는 대홍수에 휩쓸려가 뽕나무가 되었고 그 줄기에서 이윤이 태어났다고 한다.[7] 여기에서 이윤은 홍수의 신으로 보는 설이 존재한다.
성인이 된 후에는 요리인으로서 어느 귀족을 시중들었고 주인의 딸이 상의 군주인 자리(훗날의 탕왕)에게 시집갈 때에 그 심부름꾼으로서 자리를 시중들었다. 이 때 그 재능을 자리에게 인정받아 상의 국정에 참여해 중책을 맡기에 이른다.
상이 하를 멸할 때에도 활약했고 상 왕조 성립에 큰 역할을 하였으며 아형(阿衡)으로서 탕왕을 보좌해 수 백년동안 이어지는 상 왕조의 기초를 굳혔다.
탕왕의 사후에 그 아들인 외병과 중임의 두 명의 왕을 보좌한 후 중임이 세상을 뜨자 이윤은 태정의 아들 태갑을 옹립했다. 탕왕의 손자 태갑이 즉위한 후에도 이윤은 계속해 이를 보좌하였다. 그러나 태갑이 즉위 3년 동안 포악해져 탕의 법을 지키지 않고 방탕하여 국정을 어지럽혔으므로 이윤은 태갑을 동궁(桐宮)으로 추방했고 섭정으로서 태갑을 대신했다. 3년 후 태갑이 동궁에서 3년을 지내며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고 선하게 돌아왔다. 이에 이윤은 태갑을 맞이하여 정권을 돌려주었다. 태갑이 덕을 닦으니 제후가 모두 은으로 되돌아오고 백성은 안녕을 되찾았다. 이윤이 이를 가쁘게 여겨 「태갑훈(太甲訓)」 세 편을 3편을 지어 태갑을 칭송하고 태종(太宗)이라 불렀다.
이윤은 태갑의 아들 옥정의 시대에 죽었다고 한다. 이윤을 박에 장사지내고 고단(咎單)은 이윤의 사적을 가르치기 위해 「옥정(沃丁)」을 지었다.
공안국에 따르면 이척은 이윤의 아들이라고 한다.[8]
이윤은 「이훈(伊訓)」, 「사명(肆命)」, 「조후(徂后)」를 지었다.
다른 기록에는 이윤이 태갑을 추방하고 스스로 왕위에 올랐으나, 7년 뒤 태갑에게 살해되었다는 내용도 있다. 그러나 갑골문 기록에 따르면 이윤은 사후에도 상나라 백성들에게 숭배받았다는 내용이 있어, 이 기록의 신뢰성은 의문시된다.
2. 1. 출생과 기원
이윤은 전설에 따르면, 그의 어머니가 대홍수에 휩쓸려 뽕나무로 변했고, 그 줄기에서 태어났다고 한다.[7] 이윤을 홍수의 신으로 보는 설도 있다.성인이 된 후에는 요리인으로서 어느 귀족을 시중들었고 주인의 딸이 상의 군주인 자리(훗날의 탕왕)에게 시집갈 때에 그 심부름꾼으로서 자리를 시중들었다. 이때 재능을 자리에게 인정받아 상의 국정에 참여하여 중책을 맡게 되었다. 상나라가 하나라를 멸망시킬 때도 활약했고(명조의 싸움), 상 왕조 성립에 큰 역할을 하였으며 아형(阿衡)으로서 탕왕을 보좌해 수 백년동안 이어지는 상 왕조의 기초를 굳혔다.[2]
다른 이야기에 따르면, 이윤은 노예가 된 적이 없었고, 탕왕은 이윤에 대한 소문을 듣고 이윤이 도움을 요청을 받아들이기 전에 다섯 번이나 그를 영입하려 시도했다.[3]
공안국에 따르면 이척은 이윤의 아들이라고 한다.[8]
2. 2. 탕왕과의 만남
이윤은 유신씨의 요리사였다. 유신씨의 딸이 상나라 군주 자려에게 시집갈 때, 이윤은 그 수행원이 되어 자려를 따라갔다. 이윤은 자려에게 자신의 재능을 인정받아 상나라의 국정에 참여하여 중책을 맡게 되었다.[7]탕은 하나라의 수도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곳으로 이동한 후, 걸에게 세금을 납부하는 것을 중단했다. 걸은 격노하여 아홉 부족의 군대를 소집하여 탕과 싸우게 했다.[5] 이윤은 탕에게 하나라 걸의 군대가 약해질 때까지 기다리라고 조언했다. 1년 후, 탕과 이윤은 귀족들의 영지를 공격하여 모든 전투에서 승리했다.[3] 수도에서 5 ''리'' 떨어진 곳에서 이윤은 군대의 사기 진작을 위해 탕에게 병사들에게 연설할 것을 요청했고, 이 연설은 '탕의 서약'(湯誥)으로 상서에 기록되었다. 그 후, 탕과 이윤은 명조 전투에서 하나라 걸을 격파했다.[3]
이윤은 아형(阿衡)으로서 탕 임금을 보좌하여 수백 년 동안 이어지는 상나라의 기초를 다졌다.[7] 상나라 초기에 이윤은 탕이 다양한 제도를 설립하는 것을 도왔고, 이는 정치적 안정과 경제적 이점으로 이어졌다.[2]
2. 3. 상나라 건국
전설에 의하면, 이윤의 어머니는 대홍수에 휩쓸려 뽕나무가 되었고 그 줄기에서 이윤이 태어났다고 한다.[7] 여기에서 이윤은 홍수의 신으로 보는 설이 존재한다. 성인이 된 후 요리사로서 유신씨를 섬기며, 유신씨의 딸이 상나라 군주 자려에게 시집갈 때, 그 수행원이 되었는데, 거기서 자려에게 그 재능을 인정받아 상나라의 국정에 참여하여 중책을 맡았다고 한다.상이 하를 멸할 때에도 활약했고 상 왕조 성립에 큰 역할을 하였으며 아형(阿衡)으로서 탕왕을 보좌해 수 백년동안 이어지는 상 왕조의 기초를 굳혔다.[7] 탕은 하나라의 수도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곳으로 이동했다.[4] 그들은 걸에게 세금을 납부하는 것을 중단했다. 걸은 격노하여 아홉 부족의 군대를 소집하여 탕과 싸우게 했다.[5] 이윤은 탕에게 하나라 걸의 군대가 약해질 때까지 기다리라고 확신했다. 그는 탕에게 걸을 섬기는 귀족들이 여전히 강력한 군대를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래서 그들은 1년 동안 기다리다가 귀족들의 영지를 공격하여 모든 전투에서 승리했다.[3]
그러나 그들이 수도에서 단지 5 ''리'' 떨어진 곳에 이르렀을 때, 이윤은 중단을 요청했다. 그는 군대의 사기 진작이 필요하다고 설명했고, 탕은 병사들에게 연설을 했는데, 이 연설은 '탕의 서약'(湯誥, 현재는 상서)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그 후, 그들은 결정적인 명조 전투에서 하나라 걸을 격파했다.[3]
상나라 초기에 이윤은 탕이 다양한 제도를 설립하는 것을 도왔고, 이는 정치적 안정과 경제적 이점으로 이어졌다.[2]
2. 4. 탕왕 사후
탕왕 사후 이윤은 탕왕의 아들인 외병과 중임 두 왕을 보좌했다.[2] 중임이 세상을 뜨자 이윤은 태정의 아들 태갑을 옹립했다.[2] 태갑이 즉위한 후에도 이윤은 계속해 그를 보좌하였다.[2] 그러나 태갑이 즉위 3년 동안 포악해져 탕의 법을 지키지 않고 방탕하여 국정을 어지럽혔으므로 이윤은 태갑을 동궁(桐宮)으로 추방했고 섭정으로서 태갑을 대신했다.[2] 3년 후 태갑이 동궁에서 3년을 지내며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고 선하게 돌아왔다.[2] 이에 이윤은 태갑을 맞이하여 정권을 돌려주었다.[2] 태갑이 덕을 닦으니 제후가 모두 은으로 되돌아오고 백성은 안녕을 되찾았다.[2] 이윤이 이를 가쁘게 여겨 「태갑훈(太甲訓)」 세 편을 3편을 지어 태갑을 칭송하고 태종(太宗)이라 불렀다.[2]이윤은 태갑의 아들 옥정의 시대에 죽었다고 한다. 이윤을 박에 장사지내고 고단(咎單)은 이윤의 사적을 가르치기 위해 「옥정(沃丁)」을 지었다. 공안국에 따르면 이척은 이윤의 아들이라고 한다.
이윤은 「이훈(伊訓)」, 「사명(肆命)」, 「조후(徂后)」를 지었다.
《죽서기년》에는 다른 내용이 기록되어 있는데, 이 버전에 따르면 이는 태갑과 실제로 권력을 다투었다.[6] 이는 태갑을 그의 할아버지 무덤으로 유배시킨 다음 7년 동안 절대 권력을 장악했다.[6] 태갑은 탈출하여 이를 살해하고 왕위를 되찾았다.[6] 그러나 갑골문의 기록에 근거한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이는 죽은 지 수백 년이 지난 후에도 상나라 백성, 심지어 왕족에게도 숭배를 받았으며, 후자의 기록에 대한 신뢰성에 큰 의문을 제기했다.
2. 5. 죽음
이윤은 태갑의 아들 옥정의 시대에 죽었다고 한다.[2] 공안국에 따르면 이척은 이윤의 아들이라고 한다.[8] 옥정이 왕으로 재위한 지 8년째 되던 해에 이는 죽었다. 일부 전설에 따르면 그의 나이는 백 살이었다.[2] 옥정은 이윤을 위해 왕과 같은 장례를 치렀다. 그는 소, 양, 돼지를 제물로 바치고 3년 동안 애도했다.[2] 이윤을 박에 장사지내고 고단(咎單)은 이윤의 사적을 가르치기 위해 「옥정(沃丁)」을 지었다.《죽서기년》에 따르면 이윤은 태갑을 그의 할아버지 무덤으로 유배시킨 다음 7년 동안 절대 권력을 장악했다. 하지만 태갑은 탈출하여 이를 살해하고 왕위를 되찾았다.[6] 그러나 갑골문의 기록에 근거한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이는 죽은 지 수백 년이 지난 후에도 상나라 백성, 심지어 왕족에게도 숭배를 받았으며, 후자의 기록에 대한 신뢰성에 큰 의문을 제기했다.
3. 평가
후세에 이윤은 명신(名臣)으로서 평가받고 있지만 태갑의 추방한 일에 대해서는 유력한 신하가 중간에 주군을 추방했다는 다소 부정적인 평가를 받기도 한다. 또 태갑의 추방은 전한의 곽광과 함께 후세에 자신과 사이가 좋지 않은 군주를 추방하고 싶은 유력자가 추방의 전거로 삼기도 하였다.
한편 《죽서기년》에 이윤이 태갑을 추방한 후 스스로 왕이 되었지만 7년 후에 태갑에 의해 토벌되었다는 기사가 전한다.
후세에 이윤은 명신으로 평가받았지만, 태갑의 추방 건에 관해서는 신하로서 군주를 몰아낸 점, 찬탈이 아니냐는 논란이 일게 된다(맹자・진심상편). 유력한 신하가 사이가 좋지 않은 군주를 추방했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 실제로 태갑의 추방은 전한의 곽광과 함께 후세에 자신에게 불리한 군주를 추방하려는 유력자들이 추방의 구실로 삼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3. 1. 긍정적 평가
이윤은 후세에 명신(名臣)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태갑을 추방한 일에 대해서는 유력한 신하가 주군을 추방했다는 부정적인 평가도 존재한다. 태갑 추방 사건은 전한의 곽광의 사례와 함께, 후세의 권력자들이 자신과 사이가 좋지 않은 군주를 추방하는 명분으로 악용되기도 하였다.한편, 《죽서기년》에는 이윤이 태갑을 추방하고 스스로 왕위에 올랐으나, 7년 후 태갑에게 토벌되었다는 기록이 전해진다. 이윤의 태갑 추방은 신하가 군주를 몰아낸 찬탈 행위라는 논란을 낳기도 하였다(맹자・진심상편).
3. 2. 부정적 평가
이윤은 명신(名臣)으로 평가받고 있지만, 태갑을 추방한 일에 대해서는 다소 부정적인 평가도 존재한다. 유력한 신하가 주군을 추방했다는 점은 후세에 자신과 사이가 좋지 않은 군주를 추방하고 싶은 유력자들에게 전거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전한의 곽광이 대표적인 예이다.《죽서기년》에는 이윤이 태갑을 추방한 후 스스로 왕이 되었다가 7년 후 태갑에게 토벌되었다는 기사가 전해진다. 이는 이윤이 신하로서 군주를 몰아낸 찬탈 행위가 아니냐는 논란을 야기했다(맹자・진심상편).
3. 3. 현대적 재평가
이윤은 후세에 명신(名臣)으로 평가받고 있지만, 태갑을 추방한 일에 대해서는 다소 부정적인 평가를 받기도 한다. 유력한 신하가 군주를 추방했다는 점 때문에 전한의 곽광과 더불어 후세의 권력자들이 자신과 사이가 좋지 않은 군주를 추방할 때 전거로 삼기도 하였다.한편, 《죽서기년》에는 이윤이 태갑을 추방한 후 스스로 왕이 되었지만, 7년 후 태갑에게 토벌되었다는 기사가 전한다. 이러한 기록은 이윤이 단순한 충신이 아니라 왕위를 찬탈하려 했다는 의혹을 제기하며, 맹자 진심상편에서도 관련 논란이 언급된다.
4. 관련된 작품
미야기타니 마사미쓰의 소설 『천공의 배 - 소설・이윤전』이 분게이슌주에서 출판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http://www.china10k.[...]
china50k.com
2010-03-07
[2]
서적
[3]
웹사이트
Yi Yin the Wise Counselor
http://www.shme.com/[...]
shme.com
2010-03-07
[4]
문서
戴 and 龔, p.60–61
[5]
웹사이트
http://www.greatchin[...]
greatchinese.com
2010-03-07
[6]
웹사이트
http://www.china10k.[...]
china50k.com
2010-03-07
[7]
문서
宮城谷昌光は母が伊尹を樹洞(木のうろ)に隠したと解釈している。
[8]
문서
孔安国の言によ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