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 농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집트 농구 국가대표팀은 이집트를 대표하는 농구 국가대표팀으로, 1936년 하계 올림픽에 처음 참가하며 국제 대회에 데뷔했다. 1937년 국제농구연맹(FIBA)과 FIBA 유럽에 가입하여 유로바스켓에 참가했으며, 1947년 유로바스켓에서 동메달, 1949년 유로바스켓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1962년 FIBA 아프리카로 소속을 변경한 후, 아프리카 농구 선수권 대회에서 4번 우승하며 아프리카 농구 강호로 자리매김했다. 올림픽에는 7번, FIBA 농구 월드컵에는 7번 출전했으며, 1950년 월드컵에서는 5위를 기록했다. 이집트는 아프로바스켓에서 17개의 메달을 획득하며 최다 메달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아셈 마레이, 오마르 오라비, 에하브 아민 등 많은 선수들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프리카의 농구 국가대표팀 - 나이지리아 농구 국가대표팀
나이지리아 농구 국가대표팀인 'D'Tigers'는 꾸준히 성장하여 해외파와 NBA 선수들의 활약으로 국제 대회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월드컵과 올림픽 등 주요 대회에 꾸준히 참가, 특히 2020 도쿄 올림픽에서 미국을 꺾는 이변을 연출하기도 했으며, 정부 지원 부족 속에서도 아프로바스켓 우승 등 우수한 성적을 거두고 있다. - 아프리카의 농구 국가대표팀 - 튀니지 농구 국가대표팀
튀니지 농구 국가대표팀은 2011년, 2017년, 2021년 FIBA 아프리카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며 아프리카 농구 강호로 자리매김했으며, 올림픽에도 출전한다. - 남자 농구 국가대표팀 - 나이지리아 농구 국가대표팀
나이지리아 농구 국가대표팀인 'D'Tigers'는 꾸준히 성장하여 해외파와 NBA 선수들의 활약으로 국제 대회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월드컵과 올림픽 등 주요 대회에 꾸준히 참가, 특히 2020 도쿄 올림픽에서 미국을 꺾는 이변을 연출하기도 했으며, 정부 지원 부족 속에서도 아프로바스켓 우승 등 우수한 성적을 거두고 있다. - 남자 농구 국가대표팀 - 남수단 농구 국가대표팀
남수단 농구 국가대표팀은 2011년에 창단되어 2013년 FIBA에 가입했으며, 2023년 FIBA 농구 월드컵에 진출하여 17위를 기록하고 2024년 하계 올림픽에 처음 출전하여 9위를 기록했다.
이집트 농구 국가대표팀 | |
---|---|
기본 정보 | |
국가 | 이집트 |
별칭 | 파라오들 |
국제 농구 연맹 (FIBA) 가입 | 1934년 |
FIBA 지역 | FIBA 아프리카 |
국가 연맹 | EBF |
홈 유니폼 색상 | 빨간색 |
어웨이 유니폼 색상 | 흰색 |
FIBA 랭킹 | 55위 (2023년 2월 27일 기준) |
코칭 스태프 | |
감독 | 미정 |
올림픽 | |
출전 횟수 | 7회 |
최고 성적 | 9-16위 (1952년) |
월드컵 | |
출전 횟수 | 7회 |
최고 성적 | 5위 (1950년) |
아프리카 선수권 대회 (AfroBasket) | |
출전 횟수 | 24회 |
우승 | 5회 (1962년, 1964년, 1970년, 1975년, 1983년) |
준우승 | 6회 (1972년, 1981년, 1987년, 1989년, 1993년, 2013년) |
3위 | 6회 (1978년, 1985년, 1992년, 1999년, 2001년, 2003년) |
유로바스켓 | |
출전 횟수 | 4회 |
우승 | 1회 (1949년) |
3위 | 1회 (1947년) |
유니폼 | |
홈 유니폼 상의 | FF0000 |
홈 유니폼 상의 패턴 | _blacksides |
홈 유니폼 하의 | FFFFFF |
홈 유니폼 하의 패턴 | _blacksides |
원정 유니폼 상의 | FFFFFF |
원정 유니폼 상의 패턴 | _blacksides |
원정 유니폼 하의 | 000000 |
원정 유니폼 하의 패턴 | _whitesides |
관련 링크 | |
국가 연맹 웹사이트 | 이집트 농구 연맹 |
![]() |
2. 역사
이집트는 1936년 베를린 올림픽에 참가하여 국제 무대에 처음으로 등장했다. 1937년 국제농구연맹과 FIBA 유럽에 가입하여 유럽 농구 선수권 대회에도 참가했으며, 1949년 자국에서 열린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1962년 FIBA 아프리카로 소속을 옮긴 후, 아프리카 선수권 대회에서 첫 대회를 포함해 4번 우승했다. 1992년 대회에서 3위를 기록하여, 유럽과 아프리카 선수권 대회를 통틀어 자국 개최 대회에서 총 5번 우승했다.
최근에는 침체기를 겪으며 1994년 세계 선수권 대회 이후 세계 무대에서 멀어졌으나, 2014년 20년 만에 월드컵 출전을 확정하며 다시 한번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2. 1. 초기 역사 (1936년 ~ 1960년대)
이집트는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농구 종목에 참가하여 국제 무대에 데뷔했다. 1937년에는 국제농구연맹과 유럽 연맹(현 FIBA 유럽)에 가입하여 유로바스켓에도 참가하기 시작했다.
1937년 유럽 농구 선수권 대회(EuroBasket 1937)에서 이집트는 FIBA 유럽(FIBA Europe)이 주관한 두 번째 유럽 농구 선수권 대회에 참가했으나 최하위를 기록했다. 예선 첫 두 경기에서 에스토니아와 리투아니아에게 패한 후 대회에서 기권했고, 남은 경기는 모두 불참으로 인한 패배 처리되었다.
1947년 유러바스켓에서는 이전보다 훨씬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예선 조별리그 세 경기와 첫 번째 준결승 조별리그 경기를 모두 승리했다. 이 대회에서 이집트의 유일한 패배는 결승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소련에게 당한 것이었다. 준결승 조별리그에서 2승 1패를 기록하며 2위를 차지하여 벨기에와의 동메달 결정전을 치렀고, 50-48로 승리하며 첫 유럽 메달을 획득했다.
1949년, 이집트는 1949년 유러바스켓을 개최하여 우승을 차지했다.[2] 7개 팀이 참가한 이 대회에서 이집트는 첫 다섯 경기를 무난히 승리했다. 두 팀 모두 무패를 기록한 상태에서 마지막 경기에서 프랑스를 만나 57-36으로 승리하며 우승을 확정지었다. 알베르트 타드로스는 최우수 선수로, 후세인 몬타세르는 득점왕으로 선정되었다.
1953 유러바스켓에서 이집트 대표팀은 예선 라운드를 쉽게 통과했지만, 결선 라운드에서는 1승 6패의 기록으로 부진했다. 6번의 패배에는 이스라엘에게 기권패한 것도 포함되어 있는데, 이집트는 이스라엘과의 경기를 거부했기 때문이다. 이집트 대표팀은 결선 라운드 8개 팀 중 8위, 전체 17위를 차지했다.
2. 2. 아프리카로의 전환과 전성기 (1960년대 ~ 1980년대)
1962년 이집트는 아프리카 연맹(현 FIBA 아프리카)으로 이적했다. 이집트는 아프리카 선수권 대회에서 제1회 대회를 포함하여 4번 우승했다. 4번 모두 자국에서 개최되었으나, 1992년 대회에서는 3위에 그쳐 유로바스켓과 합쳐 자국 개최에서의 우승은 5회로 멈추었다.[3]2. 3. 침체기와 부활의 노력 (1990년대 ~ 현재)
2011년 이집트 혁명 이후, 오마르 오라비(Omar Orabi), 이집트계 미국인 오마르 삼한(Omar Samhan), 레바논 농구 리그 올스타 포워드 아마드 이스마일(Ahmad Ismail) 등 이집트의 정상급 선수 몇몇은 2011년 FIBA 아프리카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지 않았다.[3]1994년 세계 선수권 대회 이후 세계 무대에서 멀어졌으나, 2014년 20년 만에 월드컵(구 세계 선수권 대회) 출전을 확정지으며 부활을 노리고 있다.
3. 주요 국제 대회 성적
이집트 농구 국가대표팀은 하계 올림픽, FIBA 농구 월드컵, 유로바스켓, 아프리카 선수권 대회 등 주요 국제 대회에 참가했다.
1992년 올림픽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했으며,[1] 유로바스켓에서는 1949년에 우승했다.[2] 아프리카 선수권 대회에서는 1962년, 1970년, 1975년, 1983년에 우승하여 총 4회 우승했다.[1]
대회 | 결과 |
---|---|
올림픽 | 7회 출전, 최고 성적 동메달 (1992) |
농구 월드컵 | 7회 출전, 최고 성적 5위 (1950) |
유로바스켓 | 우승 1회 (1949) |
아프리카 선수권 대회 | 우승 4회 (1962, 1970, 1975, 1983) |
3. 1. 올림픽
1972년 대회는 뮌헨 올림픽 테러 사건 이후 이집트가 기권하였다. 1976년 올림픽에서는 여러 아프리카 국가들의 뉴질랜드 보이콧에 이어 이집트가 한 경기 후 기권하였다.[1]연도 | 라운드 | 순위 | 경기 수 | 승 | 패 |
---|---|---|---|---|---|
1936 | 패자부활전 | 15–18위 | 3 | 0 | 3 |
1948 | 순위 결정전 | 19위 | 7 | 2 | 5 |
1952 | 순위 결정전 | 9–16위 | 6 | 3 | 3 |
1956 | 예선 탈락 | ||||
1960 | |||||
1964 | |||||
1968 | |||||
1972 | 순위 결정전 | 16위 | 9 | 0 | 9 |
1976 | 예선 라운드 | 12위 | 7 | 0 | 7 |
1980 | 예선 탈락 | ||||
1984 | 예선 라운드 | 12위 | 7 | 0 | 7 |
1988 | 예선 라운드 | 12위 | 7 | 0 | 7 |
1992 | 예선 탈락 | ||||
1996 | |||||
2000 | |||||
2004 | |||||
2008 | |||||
2012 | |||||
2016 | |||||
2020 | |||||
2024 | |||||
합계 | 7/21 | 46 | 5 | 41 |
3. 2. FIBA 농구 월드컵
FIBA 농구 월드컵 | |||||
---|---|---|---|---|---|
년도 | 라운드 | 순위 | 경기 수 | 승 | 패 |
1950 | 최종 라운드 | 5위 | 7 | 4 | 3 |
1959 | 순위 결정 라운드 | 11위 | 6 | 1 | 5 |
1970 | 순위 결정 라운드 | 13위 | 8 | 0 | 8 |
1990 | 순위 결정 라운드 | 16위 | 8 | 0 | 8 |
1994 | 순위 결정 라운드 | 14위 | 8 | 1 | 7 |
2014 | 예선 라운드 | 24위 | 5 | 0 | 5 |
2023 | 순위 결정 라운드 | 20위 | 5 | 2 | 3 |
2027 | 미정 | ||||
합계 | 7/20 | 47 | 8 | 39 |
3. 3. 유러바스켓 (FIBA 유럽 소속)
이집트는 유럽 농구 선수권 대회(EuroBasket)의 주최 기구인 FIBA 유럽(FIBA Europe)이 주관한 두 번째 유럽 농구 선수권 대회인 1937년 유럽 농구 선수권 대회(EuroBasket 1937)에서 최하위를 기록했다. 예선 첫 두 경기에서 에스토니아와 리투아니아에게 패한 후 대회에서 기권했다. 남은 경기는 모두 불참으로 인한 패배 처리되었는데, 이에는 예선 최종전, 순위 결정 준결승전, 7-8위전이 포함된다.
이집트는 다음 출전인 1947년 유러바스켓에서 훨씬 더 성공적인 모습을 보였다. 예선 조별리그 세 경기와 첫 번째 준결승 조별리그 경기를 모두 승리했다. 이 대회에서 이집트의 유일한 패배는 결승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소련에게 두 번째 준결승 조별리그 경기에서 당한 것이었다. 이후 이집트는 세 번째 경기에서 승리했다. 준결승 조별리그에서 2승 1패를 기록하며 2위를 차지하여 예선 라운드에서 이긴 벨기에와의 동메달 결정전을 치르게 되었다. 이집트는 접전 끝에 50-48로 승리하며 첫 유럽 메달을 획득했다.
이 대회는 이집트가 개최하고 우승을 차지했다.[2] 7개 팀이 참가한 비교적 규모가 작은 대회였으며, 이전 대회에서 3위 이상을 기록한 팀은 없었습니다(프랑스와 이집트는 3위를 기록한 적이 있었다). 이집트는 첫 다섯 경기를 무난히 승리했다. 조 추첨 결과, 이집트는 토너먼트 마지막 경기까지 프랑스와 만나지 않았다. 따라서 순위는 7개 팀의 라운드 로빈 방식에 따라 결정되었지만, 두 팀 모두 무패를 기록한 상태에서 마지막 경기에서 맞붙게 되었습니다. 이집트는 전반전에 36-16으로 크게 앞섰고, 후반전에도 점수 차를 벌려 57-36으로 승리했다. 스타 플레이어이자 주장은 알베르트 타드로스였다. 주목할 만한 선수로는 타드로스와 후세인 몬타세르가 있다. 나중에 타드로스는 최우수 선수로, 몬타세르는 득점왕으로 선정되었다.
모스크바에서 열린 1953 유러바스켓에서 이집트 팀은 예선 라운드를 쉽게 통과했으며, 소련과 불가리아를 제외하고는 가장 많은 득점을 기록했다. 불가리아는 이집트보다 한 경기 더 치렀다. 그러나 결선 라운드에서는 이집트의 성공 가능성이 낮았다. 1승 6패의 기록으로 이탈리아를 제외하고는 모두 패했다. 6번의 패배에는 이스라엘에게 기권패한 것도 포함되어 있는데, 이집트는 이스라엘과의 경기를 거부했기 때문이다. 이집트 대표팀은 결선 라운드 8개 팀 중 8위, 전체 17위를 차지했다.
유러바스켓 (EuroBasket) | ||||
---|---|---|---|---|
년도 | 순위 | 경기 수 | 승 | 패 |
1937 | 8위 | 5 | 0 | 5 |
1947 | 동메달 | 6 | 5 | 1 |
1949 | 금메달 | 6 | 6 | 0 |
1953 | 8위 | 10 | 4 | 6 |
합계 | 27 | 15 | 12 |
3. 4. 아프로바스켓 (FIBA 아프리카 소속)
이집트는 아프로바스켓(구 아프리카 선수권 대회)에서 17개의 메달을 획득하여 역대 최다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우승 횟수는 5회로 안골라에 이어 공동 2위를 기록하고 있다.[1] 이집트는 이 대회를 6번이나 개최했으며, 그때마다 메달을 획득했고, 그중 4번은 금메달이었다.[1]아프로바스켓 | |||||
---|---|---|---|---|---|
연도 | 라운드 | 순위 | 경기 수 | 승 | 패 |
1962 | 우승 | 1위 | 4 | 4 | 0 |
1964 | 우승 | 1위 | 5 | 5 | 0 |
1965 | 불참 | ||||
1968 | 불참 | ||||
1970 | 우승 | 1위 | 5 | 5 | 0 |
1972 | 준우승 | 2위 | 6 | 5 | 1 |
1974 | 불참 | ||||
1975 | 우승 | 1위 | 5 | 5 | 0 |
1978 | 3위 | 3위 | 6 | 5 | 1 |
1980 | 불참 | ||||
1981 | 준우승 | 2위 | 7 | 5 | 2 |
1983 | 우승 | 1위 | 6 | 6 | 0 |
1985 | 3위 | 3위 | 7 | 5 | 2 |
1987 | 준우승 | 2위 | 6 | 4 | 2 |
1989 | 준우승 | 2위 | 7 | 5 | 2 |
1992 | 3위 | 3위 | 6 | 5 | 1 |
1993 | 준우승 | 2위 | 6 | 5 | 1 |
1995 | 불참 | ||||
1997 | 4위 | 4위 | 5 | 2 | 3 |
1999 | 3위 | 3위 | 7 | 6 | 1 |
2001 | 3위 | 3위 | 7 | 5 | 2 |
2003 | 3위 | 3위 | 7 | 5 | 2 |
2005 | 불참 | ||||
2007 | 4위 | 4위 | 6 | 3 | 3 |
2009 | 8강 | 10위 | 8 | 2 | 6 |
2011 | 16강 | 11위 | 5 | 2 | 3 |
2013 | 준우승 | 2위 | 7 | 3 | 4 |
2015 | 8강 | 5위 | 7 | 6 | 1 |
2017 | 8강 | 8위 | 4 | 2 | 2 |
2021 | 8강 | 11위 | 4 | 1 | 3 |
2025 | 미정 | ||||
합계 | 24/30 | 143 | 101 | 42 |
3. 5. 기타 대회
이집트 농구 국가대표팀은 여러 국제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대회 | 연도 | 결과 |
---|---|---|
올림픽 | 1936년 | 15-18위 |
1948년 | 19위 | |
1952년 | 9-16위 | |
1972년 | 16위 | |
1976년 | 12위 | |
1984년 | 12위 | |
1988년 | 12위 | |
1992년 | 동메달 |
대회 | 결과 |
---|---|
유로바스켓 | 우승 1회 (1949년) |
아프리카 선수권 대회 | 우승 4회 (1962년, 1970년, 1975년, 1983년) |
대회 | 연도 | 결과 |
---|---|---|
지중해 게임 | 1951년 | -- |
1959년 | -- | |
1979년 | -- | |
2005년 | 5위 | |
2013년 | 6위 | |
2022년 | 9위 |
대회 | 연도 | 결과 |
---|---|---|
아랍 농구 선수권 대회 | 1953년 | -- |
1961년 | -- | |
1965년 | -- | |
1999년 | -- | |
2004년 | -- | |
2007년 | -- | |
2011년 | -- |
대회 | 연도 | 결과 |
---|---|---|
올아프리카 게임 농구 토너먼트 | 1965년 | |
1973년 | ||
1991년 | -- | |
1995년 | -- | |
1999년 | -- | |
2007년 | ||
2011년 | 5위 | |
2015년 | -- | |
2019년 | -- |
4. 선수
이집트 농구 국가대표팀은 다양한 선수들을 배출해왔다.
1947년 유로바스켓에서 3위를 차지했을 당시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선수 |
---|
알베르트 타드로스 |
가브리엘 "가비" 카타파고 |
유세프 아바스 |
후아드 압델메구이드 엘-케이르 |
압델라만 이스마일 |
후세인 몬타서 |
와히드 살레 |
자키 하라리 |
하산 모아와드 |
자키 예히아 |
귀도 아처 |
모리스 칼리페 |
1949년 유로바스켓에서 우승을 차지했을 당시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선수 |
---|
가브리엘 "가비" 카타파고 |
알베르트 타드로스 |
유세프 아부아우프 |
후아드 압델메구이드 엘-케이르 |
압델라만 이스마일 |
후세인 몬타서 |
네심 살라 엘-딘 |
와히드 살레 |
메드하트 유세프 |
모하메드 솔리만 |
유세프 아바스 |
모하메드 알리 엘-라시디 |
감독 |
카르미네 "넬로" 파라토레 |
2014 FIBA 농구 월드컵 대표팀 명단은 다음과 같다.
포지션 | 이름 | 생년월일 | 신장 | 비고 |
---|---|---|---|---|
F | 세이프 사미르 | 1993년 6월 5일 | 2.03m | 알 아흘리 소속 |
G | 아므르 겐디 | 1991년 6월 14일 | 1.93m | 게지라 소속 |
C | 하이탐 카말 | 1987년 11월 17일 | 2.07m | 알 이티하드 소속 |
G | 와엘 바드르 | 1978년 12월 1일 | 1.92m | 스포팅 소속, 주장 |
F | 모아멘 아부엘라닌 | 1986년 6월 25일 | 1.94m | 알 이티하드 소속 |
G | 이브라힘 엘-감말 | 1988년 3월 23일 | 1.91m | 알 아흘리 소속 |
G | 무하나드 엘-사바그 | 1988년 4월 23일 | 1.86m | 알 이티하드 소속 |
G | 셰리프 게네디 | 1979년 4월 3일 | 1.88m | 게지라 소속 |
F | 유세프 쇼샤 | 1993년 6월 9일 | 1.9m | 스포팅 소속 |
G | 무스타파 엘메카위 | 1994년 10월 22일 | 2.04m | 잠알렉 소속 |
F | 라미 이브라힘 | 1988년 2월 6일 | 2.04m | 알 이티하드 소속 |
F | 아슈라프 라비 | 1983년 1월 16일 | 2.05m | 알 이티하드 소속 |
감독: Amr Aboul Kheir|암르 아불 케이르영어, 코치: Sabry Saleh|사브리 살레영어 |
2015 FIBA 아프리카 챔피언십 대표팀 명단은 다음과 같다.
포지션 | 이름 | 생년월일 | 신장 | 비고 |
---|---|---|---|---|
C | 하이탐 카말 | 1987년 11월 17일 | 2.07m | 알 이티하드 소속 |
G | 에하브 아민 | 1995년 8월 1일 | 1.9m | 텍사스 A&M 코퍼스 크리스티 소속 |
G | 아므르 겐디 | 1991년 6월 14일 | 1.93m | 게지라 소속 |
G | 라미 구나디 | 1981년 12월 20일 | 1.85m | 잠알렉 소속, 주장 |
G | 이브라힘 엘-감말 | 1988년 3월 23일 | 1.91m | 알 아흘리 소속 |
G | 아흐메드 타우픽 | 1987년 11월 2일 | 1.99m | 스포팅 소속 |
C | 알리 아흐메드 | 1992년 3월 15일 | 2.06m | CSU 베이커스필드 대학교 소속 |
F | 유세프 쇼샤 | 1993년 6월 9일 | 1.9m | 스포팅 소속 |
F | 라미 이브라힘 | 1988년 2월 6일 | 2.04m | 알 이티하드 소속 |
G | 아흐메드 헤샴 | 1992년 10월 14일 | 1.94m | 스포팅 소속 |
F | 아셈 마레이 | 1992년 6월 16일 | 2.06m | 미네소타 주립대학교 소속 |
F | 오마르 오라비 | 1991년 9월 8일 | 2.18m | 게지라 소속 |
감독: Ahmed Marei|아흐메드 마레이영어, 코치: Mohamed Gaber|모하메드 가베르영어 |
모하메드 사예드 솔리만(Mohammed Sayed-Soliman)은 '살라와(Salaawa)'라는 별명으로 알려져 있으며, 1984년 올림픽에서 득점왕을 차지했다.[3]
2011년 이집트 혁명 이후, 오마르 오라비(Omar Orabi), 이집트계 미국인 오마르 삼한(Omar Samhan), 레바논 농구 리그의 올스타 포워드인 아마드 이스마일(Ahmad Ismail) 등 이집트의 몇몇 정예 선수들은 2011년 FIBA 아프리카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지 않았다.
이 외에도 아쌈 마레이, 암르 압델하림(Amr Abdelhalim), 이하브 살레흐(Ihab Saleh) 등이 이집트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했다.
4. 1. 현재 선수 명단
2023 FIBA 농구 월드컵에 참가한 이집트 농구 국가대표팀 명단은 다음과 같다.[4][5]번호 | 이름 | 포지션 | 키 | 생년월일 | 소속팀 |
---|---|---|---|---|---|
0 | 아므르 자흐란 (Amr Zahran) | G | 1.91m | 2001년 10월 6일 | 알 아흘리 |
1 | 카림 엘-기자위 (Karim El-Gizawy) | PG | 1.91m | 2005년 1월 13일 | 알 아흘리 |
4 | 에합 아민 (Ehab Amin) | G | 1.85m | 1995년 8월 1일 | 알 아흘리 |
5 | 아므르 겐디 (Amr Gendy) | PF | 1.93m | 1991년 6월 14일 | 알 아흘리 |
7 | 아담 무사 (Adam Moussa) | G | 1.9m | 2002년 7월 14일 | 터틀턴 스테이트 텍산스 |
10 | 아나스 마흐무드 (Anas Mahmoud) | PF | 2.14m | 1995년 5월 9일 | 알 이티하드 |
12 | 유세프 아부슈샤 (Youssef Aboushousha) | SG | 1.93m | 1993년 6월 9일 | 알 이티하드 |
15 | 패트릭 가드너 (Patrick Gardner) | C | 2.11m | 2000년 1월 1일 | 마리스트 레드 폭스스 |
28 | 칼레드 압델가와드 (Khaled Abdelgawad) | PF | 2.04m | 1999년 2월 15일 | 잠알렉 |
44 | 오마르 헤샴 (Omar Hesham) | SG | 1.91m | 1995년 3월 29일 | 잠알렉 |
50 | 아셈 마레이 (Assem Marei) | C | 2.06m | 1992년 6월 16일 | 창원 LG 세이커스 |
55 | 오마르 오라비 (Omar Oraby) | C | 2.18m | 1991년 9월 8일 | 알 아흘리 |
- 감독: 로이 라나 (Roy Rana)
- 수석 코치: 와엘 바드르(Wael Badr), 모하메드 셀림(Mohamed Selim)
'''참고:'''
- '''(C)''' 주장을 나타낸다.
- '''소속팀'''은 대회 이전 마지막 소속팀을 기준으로 한다.
- '''나이'''는 2023년 8월 25일 기준 나이를 기준으로 한다.
4. 2. 과거 주요 선수
모하메드 사예드 솔리만(Mohammed Sayed-Soliman), '살라와(Salaawa)'로 알려진 선수는 1984년 올림픽 득점왕이었다.[3]2011년 이집트 혁명 이후, 오마르 오라비(Omar Orabi), 이집트계 미국인 오마르 삼한(Omar Samhan), 레바논 농구 리그의 올스타 포워드인 아마드 이스마일(Ahmad Ismail) 등 이집트의 몇몇 정예 선수들은 2011년 FIBA 아프리카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지 않았다.
1947년 유로바스켓에서 이집트는 14개 팀 중 3위를 차지했다. 당시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선수 |
---|
알베르트 타드로스 |
가브리엘 "가비" 카타파고 |
유세프 아바스 |
후아드 압델메구이드 엘-케이르 |
압델라만 이스마일 |
후세인 몬타서 |
와히드 살레 |
자키 하라리 |
하산 모아와드 |
자키 예히아 |
귀도 아처 |
모리스 칼리페 |
1949년 유로바스켓에서 이집트는 7개 팀 중 1위를 차지했다. 당시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선수 |
---|
가브리엘 "가비" 카타파고 |
알베르트 타드로스 |
유세프 아부아우프 |
후아드 압델메구이드 엘-케이르 |
압델라만 이스마일 |
후세인 몬타서 |
네심 살라 엘-딘 |
와히드 살레 |
메드하트 유세프 |
모하메드 솔리만 |
유세프 아바스 |
모하메드 알리 엘-라시디 |
감독 |
카르미네 "넬로" 파라토레 |
2014 FIBA 농구 월드컵 대표팀 명단은 다음과 같다.
포지션 | 이름 | 생년월일 | 신장 | 비고 |
---|---|---|---|---|
F | 세이프 사미르 | 1993년 6월 5일 | 2.03m | 알 아흘리 소속 |
G | 아므르 겐디 | 1991년 6월 14일 | 1.93m | 게지라 소속 |
C | 하이탐 카말 | 1987년 11월 17일 | 2.07m | 알 이티하드 소속 |
G | 와엘 바드르 | 1978년 12월 1일 | 1.92m | 스포팅 소속, 주장 |
F | 모아멘 아부엘라닌 | 1986년 6월 25일 | 1.94m | 알 이티하드 소속 |
G | 이브라힘 엘-감말 | 1988년 3월 23일 | 1.91m | 알 아흘리 소속 |
G | 무하나드 엘-사바그 | 1988년 4월 23일 | 1.86m | 알 이티하드 소속 |
G | 셰리프 게네디 | 1979년 4월 3일 | 1.88m | 게지라 소속 |
F | 유세프 쇼샤 | 1993년 6월 9일 | 1.9m | 스포팅 소속 |
G | 무스타파 엘메카위 | 1994년 10월 22일 | 2.04m | 잠알렉 소속 |
F | 라미 이브라힘 | 1988년 2월 6일 | 2.04m | 알 이티하드 소속 |
F | 아슈라프 라비 | 1983년 1월 16일 | 2.05m | 알 이티하드 소속 |
감독: Amr Aboul Kheir|암르 아불 케이르영어, 코치: Sabry Saleh|사브리 살레영어 |
2015 FIBA 아프리카 챔피언십 대표팀 명단은 다음과 같다.
포지션 | 이름 | 생년월일 | 신장 | 비고 |
---|---|---|---|---|
C | 하이탐 카말 | 1987년 11월 17일 | 2.07m | 알 이티하드 소속 |
G | 에하브 아민 | 1995년 8월 1일 | 1.9m | 텍사스 A&M 코퍼스 크리스티 소속 |
G | 아므르 겐디 | 1991년 6월 14일 | 1.93m | 게지라 소속 |
G | 라미 구나디 | 1981년 12월 20일 | 1.85m | 잠알렉 소속, 주장 |
G | 이브라힘 엘-감말 | 1988년 3월 23일 | 1.91m | 알 아흘리 소속 |
G | 아흐메드 타우픽 | 1987년 11월 2일 | 1.99m | 스포팅 소속 |
C | 알리 아흐메드 | 1992년 3월 15일 | 2.06m | CSU 베이커스필드 대학교 소속 |
F | 유세프 쇼샤 | 1993년 6월 9일 | 1.9m | 스포팅 소속 |
F | 라미 이브라힘 | 1988년 2월 6일 | 2.04m | 알 이티하드 소속 |
G | 아흐메드 헤샴 | 1992년 10월 14일 | 1.94m | 스포팅 소속 |
F | 아셈 마레이 | 1992년 6월 16일 | 2.06m | 미네소타 주립대학교 소속 |
F | 오마르 오라비 | 1991년 9월 8일 | 2.18m | 게지라 소속 |
감독: Ahmed Marei|아흐메드 마레이영어, 코치: Mohamed Gaber|모하메드 가베르영어 |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선수들이 이집트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했다.
- 아쌈 마레이
- 암르 압델하림(Amr Abdelhalim)
- 이하브 살레흐(Ihab Saleh)
4. 3. 역대 감독
참조
[1]
웹사이트
FIBA National Federations – Egypt
https://archive.fiba[...]
2012-02-24
[2]
뉴스
The time when Egypt won the EuroBasket
https://olybet.tv/th[...]
2022-08-22
[3]
웹사이트
1984 Olympic Games : Tournament for Men
https://archive.fiba[...]
archive.fiba.com
1984-08-10
[4]
웹사이트
ألبوم يحتفظ به 12 لاعب للتاريخ.. نثق بكم جميعا
https://www.instagra[...]
2023-08-22
[5]
웹사이트
Team roster: Egypt
https://reports.worl[...]
FIBA
2023-08-25
[6]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ww.fiba.com[...]
[7]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deposoft.[...]
[8]
웹사이트
منتخب مصر يفتتح مشوار بطولة الأمم الأفريقية للسلة بمواجهة سهلة أمام موزمبيق
http://archive.aawsa[...]
[9]
웹사이트
Head coaches
http://www.fiba.com/[...]
2013-05-08
[10]
웹사이트
Juan Antonio Orenga será... ¡seleccionador de Egipto!
http://www.solobaske[...]
Solobasket
2016-04-25
[11]
웹사이트
عمرو أبو الخير مديراً فنياً لمنتخب السلة خلفاً لأورينجا – بوابة الشروق
http://www.shoroukne[...]
[12]
웹사이트
Essam Abdel Hamid
https://sport.elwata[...]
elwatannews.com
2019-03-28
[13]
뉴스
Canada's Roy Rana to guide Egyptian men's basketball team
https://www.cbc.ca/s[...]
2022-01-03
[14]
웹사이트
ロイ・ラナ氏 ヘッドコーチ就任のお知らせ
https://hannaryz.jp/[...]
京都ハンナリーズ
2022-05-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