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징 (조선 전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징은 조선 전기의 인물로, 소위장군, 호군 등을 역임하고 사후 증 이조참의, 호조참판에 추증되었다. 성종 재위 시 딸의 혼인 문제로 사간원과 사헌부의 탄핵을 받아 파직되었으나, 이후 복직하여 선무랑 목청전직을 지냈다. 그의 고조부는 고려 말의 장수 이의이며, 할아버지는 중추원경력 이인숙이다. 이징은 양천 허씨, 그리고 다른 부인을 두었으며, 장남 이지방과 아들 이지영을 두었다. 묘소는 경기도 성남시 대장동에 있었으나, 2017년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단강리로 이장되었다.

2. 생애

이징은 조선 초기의 인물로, 충찬위(忠贊衛)를 지냈다. 성종 때 딸이 하성위 정현조의 후처가 된 일로 1482년(성종 13년) 사간원사헌부의 탄핵을 받아 파직되었다.[3] 1490년(성종 21년) 복직하여 선무랑 목청전직(宣務郞 穆淸殿直)을 역임했다.

사후 이조참의를 거쳐 호조참판동지의금부사에 추증되었다. 묘소는 경기도 광주군 낙생면 대장리(현 성남시 분당구 대장동)에 있었으나, 2017년 판교대장 도시개발사업으로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단강1리로 이장되었다.

2. 1. 가계 배경

이징은 소위장군 행충좌위부사정과 호군을 역임하고 사후 증 통정대부 형조참의추증된 이경연과, 홍문관교리 남숙문의 딸 의령남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생년은 미상이다. 고조부 이의고려 말 문신 출신 장수로, 강계원수 재직 시 1차 요동 정벌 당시 좌군도통사 이성계의 휘하로 출정하였다. 그러나 이성계가 2차 요동 정벌에서 회군한 후 조선을 건국하자, 충신은 불사이군이라 하여 관직을 거부하고 순흥 소백산에 은거하였다. 증조부 이만은 고려 말 문과에 급제하여 인진사, 홍로부사, 사재감 등을 거쳐 중추원부사를 지냈으나, 조선 건국 후 봉렬대부 호분위경력으로 강등되었다.

할아버지 이인숙은 사정, 직장을 거쳐 중추원경력, 호분위경력을 역임하고 1433년(세종 15년) 9월 지덕천군사로 부임하였고[2], 최종 관직은 판사복시사에 이르렀다.

어머니는 교리를 지낸 남숙문의 딸로, 외증조부는 남근이고, 외고조할아버지는 고려말 참지문하부사(參知門下府事) 사천백 남을진이다.

형제로는 이숭(李崇)이 있는데, 이숭의 행적, 생졸년월일, 사망 원인, 묘소는 기록에 전하지 않는다.

2. 2. 초기 생애와 관직

소위장군 행충좌위부사정과 호군을 역임하고 사후 증 통정대부 형조참의추증된 이경연과, 부인인 홍문관교리 남숙문의 딸 의령남씨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생년은 미상이다. 고조부 이의고려 말의 문신 출신 장수로, 강계원수 재직 시 1차 요동 정벌 당시 좌군도통사 이성계의 휘하로 출정하였다. 그러나 이성계가 2차 요동 정벌에서 회군한 후 조선을 건국하자, 충신은 불사이군이라 하여 관직을 거부하고 순흥 소백산에 은거하였다. 증조부 이만은 고려 말에 문과에 급제하여 인진사, 홍로부사, 사재감 등을 거쳐 중추원부사를 지냈으나 조선 건국 후 봉렬대부 호분위경력으로 강등되었다.

할아버지 이인숙은 사정, 직장을 거쳐 중추원경력, 호분위경력을 역임하고 1433년(세종 15년) 9월 지덕천군사로 부임하였고[2], 최종 관직은 판사복시사에 이르렀다.

어머니는 교리를 지낸 남숙문의 딸로, 외증조부는 남근이고, 외고조할아버지는 고려말의 참지문하부사(參知門下府事) 사천백 남을진이다.

형제로는 이숭(李崇)이 있는데 이숭의 행적은 기록이 전하지 않는다. 또한 이숭의 생졸년월일, 사망원인, 묘소 역시 기록에 전하지 않는다.

그의 초기의 행적은 알려지지 않았으며 충찬위(忠贊衛)가 되었다. 성종 때 충찬위(忠贊衛)로 재직 중 그의 딸이 하성위 정현조의 후처가 되었다가, 이것이 이길원의 딸이자 이오의 누이가 반성위 박자순의 후처가 된 사건과 함께 문제가 되어 1482년(성종 13년) 5월부터 사간원사헌부의 탄핵, 여러 번의 논란 끝에 파직되었다.[3] 1490년(성종 21년) 7월 7일 작첩을 돌려받았다. 이후 선무랑 목청전직(宣務郞 穆淸殿直)에 이르렀다. 이후의 행적은 자세히 전하지 않는다.

이조참의추증되었다가 다시 증 가선대부 호조참판동지의금부사에 추증되었다.

2. 3. 파직과 복직

성종 때 충찬위(忠贊衛)로 재직 중 그의 딸이 하성위 정현조의 후처가 되었다. 이것이 이길원의 딸이자 이오의 누이가 반성위 박자순의 후처가 된 사건과 함께 문제가 되어 1482년(성종 13년) 5월부터 사간원사헌부의 탄핵, 여러 번의 논란 끝에 파직되었다.[3] 1490년(성종 21년) 7월 7일 작첩을 돌려받았다. 이후 선무랑 목청전직(宣務郞 穆淸殿直)에 이르렀다. 이후의 행적은 자세히 전하지 않는다.

2. 4. 사후

사후 경기도 광주군 낙생면 대장리(현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장동) 산 18번지 계좌(癸坐)에 안장되었다. 근처에는 아버지 이경연 내외의 묘소가 있었다.

2017년 6월 성남 판교대장 도시개발사업으로 2017년 8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장동 산 19번지에서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단강1리로 이장되었다. 아버지 이경연 내외의 묘소 아래에 묘가 조성되었고 그 아래에는 증손자 이감과 풍천임씨, 예천윤씨 묘소, 4대손 이성헌 내외와 5대손 이길남 묘소, 그 아래에는 7대손 이홍관과 밀양박씨의 묘소가 조성되었다. 2017년 이장된 묘소 근처에는 숙종대에 건립된 그의 7대손 송곡 이서우의 사당인 영정각이 있다.

3.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할아버지이인숙(李仁淑)판사복시사
할머니해주 오씨(海州吳氏)지인천군사 오부(吳溥)의 딸, 검교좌정승 이성중의 외손녀
아버지이경연(李景衍, 다른 이름은 경행(景行))증 통정대부 형조참의
어머니의령 남씨(宜寧南氏)홍문관교리 남숙문의 딸, 남을진의 증손녀
동생이숭(李崇)
부인양천 허씨(陽川許氏, ? - 1509년[4])사헌부장령, 의정부 사인 허적(許迪)의 딸
장녀우계 이씨
사위정현조(鄭顯祖)하동인, 편정공, 종성령 이구의 장인
차녀우계 이씨
사위이오(李晤)
삼녀우계 이씨
사위조효돈(趙孝暾)현감
장남이지방(李之芳, 1466년 ~ 1537년)
자부청송 심씨(靑松沈氏)봉사 심안신(沈安信)의 딸, 관찰사 증영돈녕부사 망세당 심선(沈璿)의 손녀
손녀우계 이씨
손자이광식(李光軾, 1493년 ~ 1563년)
손부함안 이씨(咸安李氏)정국공신 평안도관찰사 이세응(李世應)의 딸
손녀우계 이씨
부인?
아들이지영(李之英)
자부성주 이씨
손자이형손(李亨遜)무과 군수
외할아버지남숙문(南叔文)


참조

[1] 문서 후처 이씨의 친정아버지
[2] 실록 이인숙·노종덕·안계인이 하직하다
[3] 문서 공주와 옹주의 남편은 공주, 옹주가 사망하더라도 재혼이 불가능하였다.
[4] 실록 회령 부사 이지방이 상을 당해 심순경·최한홍을 의망한 일 등을 논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