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태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태석은 수단의 돈 보스코, 또는 수단의 슈바이처로 불린 대한민국의 가톨릭 신부이다. 부산에서 태어나 의과대학 졸업 후 군의관으로 복무하다 살레시오회에 입회하여 사제의 길을 걸었다. 2001년부터 아프리카 남수단 톤즈에서 선교와 의료 봉사, 구호 활동을 펼치며 병원, 학교를 설립하고 음악 교육을 통해 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헌신했다. 2008년 대장암 4기 진단을 받고 귀국하여 투병하다 2010년 선종했으며, 그의 삶은 영화 《울지마, 톤즈》를 통해 널리 알려졌다. 사후에는 기념 사업회가 설립되었고, 외교통상부에서 이태석상을 제정하여 그의 봉사 정신을 기리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흥양 이씨 - 이의상
    이의상은 1932년생 법학자이자 정치인으로,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교수와 학장을 역임하고 김대중 전 대통령 비서로 정계에 입문하여 새천년민주당에서 활동했다.
  • 광주가톨릭대학교 동문 - 조환길
    조환길은 1954년 대구 출생으로 1981년 사제 서품을 받고 대구대교구에서 사목하다가 2010년 대구대교구 교구장에 임명된 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 사제이자 대주교이다.
  • 광주가톨릭대학교 동문 - 성염
    성염은 대한민국의 신부이자 외교관, 대학교수로서, 가톨릭대학교에서 신학을 전공하고 교황청 한국대사를 역임했으며, 학회 및 사회단체 활동을 하며 4대강 사업과 국가정보원 여론 조작 사건에 대한 비판적 발언을 했다.
이태석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라이촉 나환자촌의 아이들과 함께
라이촉 나환자촌의 아이들과 함께
본명이태석
세례명세례자 요한
직업천주교 사제, 살레시오회 선교사, 의사, 군인 (군의관)
출생지대한민국 부산광역시 서구 남부민동
사망 장소서울특별시 서초구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안장지전라남도 담양군 천주교 공동묘역 살레시오 성직자 묘역
국적대한민국
종교천주교
가족누나 6명, 형 2명, 남동생 1명
학력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과 졸업
경남고등학교 졸업
사제 정보
사제 서품일2001년 6월 24일
사제 서품 장소서울대교구
사제 서품자김수환
군인 정보
복무대한민국 육군
복무 기간1987년 ~ 1990년
최종 계급대한민국 육군 대위
근무군의관
역할군의무장교
주요 활동
알려진 업적남수단에서 봉사 활동
기타 이력천주교 사제
수단 톤즈 돈보스코 미션 선교병원 원장
기타
관련 정보남수단 교과서에 수록

2. 별칭과 명성

세례명은 요한이며, '수단의 돈 보스코'(수단의 슈바이처)로 칭송받았다. 톤즈 주민들은 '파더 쫄리'(John Lee|존 리영어) 신부라고 불렀다.[1]

3. 생애

부산 남부민동에서 10남매 중 9째로 태어난 이태석은 알로이시오 슈왈츠 신부에게 유아세례를 받았다.[10] 어린 시절 아버지의 죽음 이후, 어머니는 자갈치시장에서 삯바느질로 생계를 유지했다.[10] 한센병 환자를 돌본 벨기에 선교사 다미안 신부의 영화 "모로카이(MOLOKAI)"를 보고 감명을 받아 그와 같은 삶을 살기로 결심했다.[10] 학창 시절 송도성당에서 종교 활동을 했다.[11]

1981년 경남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87년 인제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했다.[3] 군의관 복무 중 가톨릭 사제가 되기로 결심하고,[3][4] 1991년 살레시오 수도회에 입회, 1992년 광주가톨릭대학교에 다시 들어갔다.[1][3] 1994년 첫 서원 후, 서울 대림동 살레시오 수도원에서 사목실습을 하고 1997년 로마 교황청립 살레시오 대학교로 유학을 떠났다. 유학 중 수단 선교를 권유받고 1999년 아프리카 케냐를 거쳐 남수단 톤즈에서 봉사하며 헌신을 결심했다.

2000년 종신선언과 부제서품을 받고, 2001년 서울 구로3동 살레시오 수도회에서 사제 서품을 받았다.[12] 그해 선교사남수단 와랍 주 톤즈에 부임, 병원과 학교, 기숙사를 짓고 톤즈 브라스 밴드를 만들어 의료, 구호, 교육 활동에 헌신했다.

2008년 대장암 진단을 받고 투병하다 2010년 1월 14일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에서 선종했다(향년 47세). 유해는 전라남도 담양군 천주교 공동묘역 살레시오 성직자 묘역에 안장되었다.

3. 1. 출생과 성장

부산 남부민동에서 10남매 중 9째(4남 6녀 중 3남)로 태어나 송도성당에서 알로이시오 슈왈츠 신부에게 유아세례를 받았다.[10] 1970년(당시 초등학교 2학년)에 아버지가 돌아가셨으며, 어머니는 자갈치시장에서 삯바느질로 자녀들을 키웠다.[10] 초등학교 시절 동네 교회에서 하와이 몰로카이 섬의 한센병 환자들을 돌본 벨기에 선교사 다미안 신부의 일대기를 다룬 영화 "모로카이(MOLOKAI)"를 보고 다미안 신부와 같은 삶을 살기로 결심했다.[10] 학창 시절에는 송도성당에서 주일학교 교사, 청년회, 학생회, 성가대, 복사(사제를 돕는 역할) 등 종교 활동을 하였다.[11]

3. 2. 청년기

1981년 경남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87년 인제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했다.[3] 군의관으로 복무하면서 가톨릭 사제가 되는 뜻을 품었다.[3][4] 복무를 마치고 청소년교육에 대한 깊은 관심에 따라 1991년 8월 살레시오 수도회에 입회했다. 1992년 광주가톨릭대학교에 살레시오 수도회 소속으로 다시 들어갔다.[1][3] 1993년 1월 24일 수련을 시작해서 1994년 1월 30일 첫 서원을 하고, 광주 가톨릭 대학교에서 2년 철학과정을 마친 후 서울 대림동 살레시오 수도원에서 2년 과정의 사목실습을 했다. 1997년 로마 교황청립 살레시오 대학교로 유학했다.

유학 중, 한국에서 20년 동안 선교사로 활동하다 1991년 아프리카 수단으로 파견된 공고미노 수사를 만나 수단 선교를 권유받았다. 1999년 방학 때 선교체험차 아프리카 케냐를 방문하던 중, 남수단 톤즈에서 활동하던 인도 출신 살레시오 수도회 제임스 신부를 만나 톤즈로 가게 되었다. 이때 톤즈의 가난한 아이들을 위해 헌신할 것을 결심했다.

3. 3. 사제 생애

2000년 4월 27일 종신선언을 하고, 2000년 6월 28일 로마에서 부제서품을 받았다. 2001년 6월 24일 서울 구로3동 살레시오 수도회에서 사제 서품을 받았으며,[12] 같은 해 10월 아프리카로 선교사로 출발하여 12월 7일 남수단 와랍 주 톤즈에 부임하였다.

톤즈에서 가난과 기아, 질병 등으로 고통받는 주민들을 위해 의료 봉사, 구호 활동, 선교 활동에 헌신하였다. 병실 12개 짜리 병원을 짓고[12] 진료소를 만들어, 하루 200~300명의 환자를 돌보며 인근 80여 개 마을을 순회진료와 예방접종도 하였다. 학교를 만들고, 초·중·고교 12년 과정을 꾸려 수학음악도 가르쳤다. 그곳에서 학생들이 머물 기숙사도 짓고 톤즈 브라스 밴드를 만들어 악기도 가르쳤다.

2008년 11월 한국에 휴가차 입국했다가 대장암 4기 진단을 받아 톤즈로 돌아가지 못하였다. 암 투병 끝에 2010년 1월 14일 서울특별시 서초구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에서 새벽 5시 35분에 살레시오회 형제들과 가족, 친지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선종하였다(향년 47세). 유해는 전라남도 담양군 천주교 공동묘역 살레시오 성직자 묘역에 안장되었다.

4. 사후 봉사단체 난립과 살레시오회의 경고

이태석 신부 사후, 그의 이름을 내건 단체들이 난립하자, 이 신부가 소속된 수도회인 살레시오회는 상업적 이용을 금지하고, 이태석 신부의 정신이 훼손될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하며 수차례 경고하였다.[3] 살레시오회는 엉뚱한 사람이나 조직이 상업적 이득을 취하는 것은 물론, 이태석 신부의 삶과 정신이 잘못 다뤄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태석 신부를 팔지마라" 살레시오회 강력경고

5. 음악적 재능과 작품

이태석은 음악적 소질이 있었지만 가난하여 사교육을 받지는 못하고 성당에 있는 오르간으로 독학했다. 첼로, 색소폰, 클라리넷 등도 독학으로 연주했다. 초등학교 시절부터 ‘성탄’, ‘둥근 해’, ‘작은 별’ 등 쉬운 동요를 작곡했으며, 중학생 때에는 부산시에서 작곡부문 대상을 받기도 했다. 그가 중학교 시절 지은 곡으로 ‘묵상’(청소년 성가에 수록), ‘새 아담을 찾아서’와 의대 재학시절 작곡한 ‘아리랑 열두고개’, 2005년 남북 수단이 평화협정을 맺었다는 소식을 듣고 감격에 싸여 지은 ‘슈쿠란 바바’(하느님 감사합니다.)가 있다.[14]

6. 소속

살레시오회는 청소년 교육을 전문으로 하는 가톨릭 활동 수도회로, 전 세계 130개국에서 1만 5천 명의 회원이 소속되어 있으며 천주교에서 두 번째로 큰 수도회이다.[1] 이태석은 천주교 살레시오회 한국관구 파견 선교사였다.[2] 그의 마지막 사목지는 수단 톤즈 돈보스코 미션 병원장이었다.[3]

7. 학력

8. 수상 경력

연도상 이름수여 기관
2005년제7회 인제인성대상인제대학교와 인제학원
2007년제23회 보령의학 봉사상
2009년제2회 한미자랑스런의사상대한의사협회와 한미약품
2010년제1회 KBS 감동 대상KBS[15]
2011년국민훈장 무궁화장
2018년대통령 훈장(Medal of the President)남수단 정부


9. 연기한 배우


  • 이지훈 - 인순이의 토크 드라마 그대가 꽃

10. 노래

이태석은 음악에 소질이 있었지만 가난하여 사교육을 받지 못하고 성당에 있는 오르간으로 독학했다. 첼로, 색소폰, 클라리넷 등도 독학으로 연주했다. 초등학교 시절부터 ‘성탄’, ‘둥근 해’, ‘작은 별’ 등 쉬운 동요를 작곡했으며, 중학생 때에는 부산시에서 작곡 부문 대상을 받기도 했다. 그가 중학교 시절 지은 곡으로 ‘묵상’(청소년 성가에 수록), ‘새 아담을 찾아서’가 있고, 의대 재학 시절 작곡한 ‘아리랑 열두고개’, 2005년 남북 수단이 평화협정을 맺었다는 소식을 듣고 감격에 싸여 지은 ‘슈쿠란 바바’(하느님 감사합니다.)가 있다.[14]

다음은 이태석 신부가 중학교 시절 지은 '묵상'이라는 곡의 가사이다.

> 십자가 앞에 꿇어 주께 물었네. 오~오~오 / 추위와 굶주림에 시달리는 이들, / 총부리 앞에서 피를 흘리며 죽어가는 이들을 왜 당신은 보고만 있냐고. / 눈물을 흘리면서 주께 물었네. / 세상엔 죄인들과 닫힌 감옥이 있어야만 하고, / 인간은 고통 속에서 번민해야 하느냐고. / 조용한 침묵 속에서 주님 말씀하셨지./ 사랑, 사랑, 사랑 오직 서로 사랑하라고. / 난 영원히 기도하리라. 세계평화 위해. / 난 사랑하리라. 내 모든 것 바쳐.

11. 사후 기념 사업


  • 2010년 9월, 이태석의 헌신적인 삶을 그린 영화 《울지마, 톤즈》가 개봉되었다.[13]
  • 2011년 1월 14일, 선종 1주기를 맞아 추모제가 열렸다.
  • 2010년 12월 24일, KBS tv에서 《성탄특집 이태석 신부 세상을 울리다 - 수단의 슈바이처 故 이태석 신부. 울지마, 톤즈》가 방송되었다.[13] 이 프로그램을 기획한 구수환 프로듀서는 제20회 한국가톨릭매스컴 대상을 받았으며, 대상 상금 전액을 아프리카 톤즈 병원에 기부했다.[16]
  • 2011년 6월 1일, 고 이태석 신부를 기리기 위해 ‘이태석 기념사업회’가 창립되었다.[17] 12월에는 홍보대사로 배우 안재모가 위촉되었다.[18]
  • 2011년 외교통상부는 이태석의 봉사정신을 기리기 위해 이태석상을 제정했다. 2011년 11월 23일 첫 수상자로 2003년부터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에서 의료봉사를 해온 외과 전문의 이재훈 씨를 선정했다.[19]
  • 2020년 이태석 신부 선종 10주기 사업 요약:

날짜내용
2020년 1월 9일"울지마 톤즈2: 슈크란 바바" 개봉 (KBS미디어 제작, 살레시오회 제작지원 및 감수)
2020년 1월 12일이태석 선종 10주기 기일미사: 광주 살레시오고등학교 -> 전라남도 담양군 천주교묘역
2020년 1월 14일이태석 기념관 개관 (부산광역시 서구 톤즈공원 내 위치), 부산 서구청 건립, 살레시오회 위탁 운영


  • 이태석 사랑 나눔 재단은 2012년에 설립되었으며, 2020년에 이태석 재단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8] 2020년 4월 2일, 남수단에서 NGO로 정식 등록되었다.[8]

참조

[1] 웹사이트 South Sudanese textbooks to narrate revered Korean priest https://www.koreatim[...] 2017-02-22
[2] 웹사이트 Sudan, the story of a Korean missionary ends up in school books http://www.asianews.[...] AsiaNews.it 2021-11-05
[3] 웹사이트 "[Interview] South Sudanese medical student honors S. Korean priest who inspired him" https://english.hani[...] 2021-11-05
[4] 웹사이트 Sudanese medical student, disciple of revered Korean priest, becomes doctor in Korea https://www.koreatim[...] 2018-12-24
[5] 웹사이트 Revered priest comes from South Sudan to Korea https://english.hani[...] 2021-11-05
[6] 뉴스 "'Don't Cry for Me, Sudan' follow-up set for release in next month" https://koreajoongan[...] 2021-11-05
[7] 웹사이트 가비아 호스팅 서비스:웹호스팅,웹메일호스팅,쇼핑몰호스팅,단독서버,동영상호스팅 http://www.frjohnlee[...] 2022-08-25
[8] 웹사이트 이태석 재단 http://www.smiletonj[...] 2022-02-05
[9] 문서
[10] 뉴스 다미안과 이태석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11-01-28
[11] 웹인용 이태석목사님소개 http://true-love.kr/[...] (사)이태석신부참사상실천사업회 2012-06-19
[12] 웹인용 ‘한국의 슈바이처’ 살레시오 수도회 이태석 신부의 생애 http://news.catholic[...] 가톨릭뉴스 2012-06-19
[13] 뉴스 ‘살아있는 예수’ 故 이태석 신부 삶, 영화 TV다큐로 감동릴레이 http://www.mydaily.c[...] 마이데일리 2011-01-28
[14] 웹인용 사제 이태석 http://www.catholict[...] 가톨릭신문 2012-06-19
[15] 뉴스 “울지마 톤즈” 故 이태석 신부, KBS 감동대상 수상 http://www.hankyung.[...] 한국경제 2011-01-28
[16] 웹인용 다시 시작하는 이태석 : 그 시간 이후 http://www.catholict[...] 가톨릭신문 2012-06-19
[17] 뉴스 '울지마 톤즈' 이태석 신부 기념사업회 창립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1-06-24
[18] Youtube 이태석 기념사업회 안재모씨 홍보대사로 https://www.youtube.[...]
[19] 웹인용 제2의 이태석 신부 찾아 http://web.pbc.co.kr[...] 평화신문 2012-06-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